맨위로가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발칸 반도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 두 지역으로 구성된다. 10세기부터 지명이 사용되었으며, 보스나강에서 유래된 보스니아와 '공작의 땅'을 의미하는 헤르체고비나로 불리게 되었다. 고대 로마 제국 시대부터 슬라브족의 정착,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거쳤다. 1992년 독립 이후 보스니아 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이 주요 민족이다.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이슬람교, 세르비아 정교회, 로마 가톨릭이 주요 종교이다. 군사력은 통합되어 운영되며, 문화적으로는 다양한 종교와 강대국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특징을 지닌다. 유럽 연합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과는 1995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스피
    시프라게는 바냐 루카 남동쪽 우르반야 강 상류에 위치한 마을로, 귀족 가문에서 유래되었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로마 시대 유적과 중세 보스니아 국가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르티잔 요충지였고 보스니아 전쟁 당시에는 수용소가 설치되기도 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스릅스카 공화국
    스릅스카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자치 공화국으로, 세르비아계가 다수를 차지하며 세르비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수도는 바냐루카이며, 낮은 법인세를 통해 투자를 유치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현지 이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
국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장
국장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수도사라예보
최대 도시사라예보
공용어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문자 체계라틴 문자
세르비아 키릴 문자
인구2013년: 3,531,159명
2022년 추정: 3,434,000명
면적51,209 km²
인구 밀도69 명/km²
종교51% 이슬람교
46% 기독교
31% 세르비아 정교회
15% 로마 가톨릭교회
3% 무종교/기타
통화태환 마르카
통화 코드BAM
시간대CET
UTC 시차+01
일광 절약 시간CEST
UTC 시차 (일광 절약 시간)+02
날짜 형식일. 월. 년. (CE)
자동차 주행 방향오른쪽
국제전화 코드+387
국가 도메인.ba
국가 약칭BiH
ISO 3166-1BA / BIH
정치
정치 체제연방제 의회 각료 회의 공화국
상급 대표크리스티안 슈미트
대통령 위원회 의장젤카 츠비야노비치
대통령 위원회 위원젤코 콤시치
데니스 베치로비치
각료 회의 의장보르야나 크리슈토
의회의회
상원인민원
하원대의원원
역사
국가 성립9세기 보스니아
1154년 보스니아 공국
1377년 보스니아 왕국
1463년 오스만 제국 정복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정복 및 1908년 합병
1918년 12월 1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1943년 11월 25일 ZAVNOBiH
1945년 11월 29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1992년 3월 3일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
1994년 3월 18일 워싱턴 협정
1995년 12월 14일 데이턴 협정
독립1992년 3월 1일 유고슬라비아로부터
경제
GDP (PPP)742억 8천만 달러
GDP (PPP) 1인당21,498 달러
GDP (명목)290억 7천 8백만 달러
GDP (명목) 1인당8,317 달러
지니 계수32.7
기타
인간 개발 지수0.779
민족 구성50.1% 보스니아인
30.8% 세르비아인
15.4% 크로아티아인
3.7% 기타
데모님보스니아인
헤르체고비나인
회원국지중해 연합
나토 회원국 행동 계획 (MAP)나토 회원국 행동 계획 초청

2. 국명

"보스니아"(Bosnia)라는 단어는 동로마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 시기인 10세기 중반(948년~952년)에 작성된 정치, 지리에 관한 서적인 《데 아드미니스트란도 임페리오》에 처음 등장한다. 이 책에서는 그리스어로 "세르브인"을 뜻하는 "보소나"(Βοσώναel)와 "작은 땅"을 뜻하는 "코리온"(χωρίονel)을 합친 단어로 설명했다.[270] 《DAI》에서는 보스니아를 "세례받은 세르비아의 땅"이라고도 불렀다.

보스니아라는 지역 이름은 보스니아의 중심부를 흐르는 보스나강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문헌학자 안톤 메이어는 보스나(Bosna)라는 이름이 일리리아어의 *"Bass-an-a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흐르는 물"을 뜻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인 "bʰegʷ-"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중세학자인 윌리엄 밀러는 보스니아의 슬라브 정착민이 "라틴어 지명을 받아들이면서 ... 보스나 개울을 따와 자신을 부르는 언어를 바산테라고 하고, 스스로를 '보슈냐크'(Bosniaks)라고 지칭하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271][14]

"헤르체고비나"(Herzegovina)라는 단어는 "헤르초크의 땅"이라는 뜻으로 여기서 헤르초크(herzog)는 독일어로 "공작"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훔과 해안의 헤르초크"(1448년)이었던 15세기 보스니아의 지도자 스체판 북치치 코사차의 칭호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훔(Hum)은 자훔레라고 부르는 지역으로 14세기 전반 보스니아 반샤그가 정복한 중세 초기 공국의 영토였다.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장악했을 땐 헤르체고비나 산자크(헤르세크, Hersek)로 불렀다. 이후 영토는 보스니아 에야레트에 있다가 1830년대 단명한 헤르체고비나 에야레트으로 분할되었으나 1850년대 다시 재병합되었으며 두 에야레트를 하나로 묶어 보통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272][15]

1992년 최초 독립 선언 당시 국가 공식 명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이었으나 1995년 데이턴 협정과 이에 따른 신헌법에 따라 공식 명칭은 연방제 국가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바뀌었다.[273][16]

3. 역사



소콜라츠(Sokolac) 근처 반야니(Banjani) 출토 철기 시대 의식용 마차


=== 고대 및 중세 ===

고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일리리아인이 살았으며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18][19][20] 수에토니우스가 묘사한 바와 같이, 로마는 포에니 전쟁 이후 역사상 가장 어려운 전투 중 하나를 바로 오늘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치렀다.[18] 6세기 후반부터 슬라브족이 정착했고[22][23] 중세 시대에는 왕국을 형성했다. 슬라브족은 6세기와 7세기에 발칸 반도를 압도했다. 특정 관습과 전통, 지명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일리리아 문화적 특징은 남슬라브족에 의해 채택되었다.[21]

차플리나(Čapljina) 근처의 4세기 고대 로마 교외 빌라 루스티카인 모고르옐로(Mogorjelo)


초기 슬라브족 (Early Slavs)은 6세기와 7세기 초( 민족 대이동 (Migration Period) 중) 보스니아를 포함한 서부 발칸 반도를 습격했는데, 비잔티움 제국에 ''슬라베니 (Sclaveni)''로 알려진 하나의 슬라브 연합에서 나온 작은 부족 단위로 구성되어 있었다.[22][23] 12세기 후반부터는 보스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15세기 후반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중세 보스니아의 삽화가 들어간 슬라브어 사본, 흐발의 사본 (Hval's Codex)


코사차 가문 (House of Kosača)의 마지막 여왕, 보스니아의 카타리나 (Queen Catherine of Bosnia)의 묘사


중세 초기 (High Middle Ages)에,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그 지역은 헝가리 왕국 (Kingdom of Hungary)과 비잔티움 제국 사이에서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 12세기 초 두 세력 사이의 또 다른 권력 이동 이후, 보스니아는 두 세력의 통제를 벗어나 보스니아 반국 (Banate of Bosnia)(지역 ''반''의 통치 아래)으로 등장했다.[25]

중세 보스니아를 아우르는 보스니아 반국 (Banate of Bosnia)과 그 뒤를 잇는 보스니아 왕국 (Kingdom of Bosnia)


===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정복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으며, 정치적, 문화적 환경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34] 15세기 후반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왔다. 오스만 제국은 보스니아를 역사적 명칭과 영토적 완전성을 유지한 채 제국의 일부로 편입했다.[34] 보스니아 내에서 오스만 제국은 새로운 토지 소유 제도, 행정 구역 개편, 계급과 종교적 소속에 따른 복잡한 사회적 차별화 시스템 등 영토의 사회 정치 행정에 여러 가지 중요한 변화를 도입했다.

오스만 제국의 점령 이후 보스니아에서 꾸준히 사람들이 빠져나갔고, 오스만 제국 기록에는 보스니아에 많은 버려진 마을들이 언급되어 있다.[35] 정교회 세력으로부터 탄압받던 보고밀파 신자들은 이때 많은 수가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35] 이 외에도 이슬람교로 개종한 현지 슬라브인들과 터키 등에서 이주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정착한 무슬림들에 의해 이 지역에서는 이슬람교도의 인구 비율이 높아졌다. 초기 오스만 제국 점령기에 많은 보스니아 가톨릭 신자들은 인근 가톨릭 지역으로 피신했다.[36]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에는 이슬람교도들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35] 1624년 알바니아 가톨릭 사제 Pjetër Mazreku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이슬람교도 45만 명, 가톨릭 신자 15만 명, 동방 정교회 신자 7만 5천 명이 있다고 보고했다.[35]

오스만 제국 이전 시대에는 보스니아 자체에는 정교회 활동이 부족했다.[37] 보스니아의 정교회 기독교인 인구는 오스만 제국의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로 생겨났다.[38] 오스만 제국은 가톨릭 신자들보다 정교회 신자들을 더 우대하여, 보스니아에 많은 정교회 교회 건설을 허용했다.[40]

1531년에 건립된 가지 후스레브베그 모스크(Gazi Husrev-beg Mosque) (사라예보)


1557년 술레이만 1세가 건설을 의뢰한 모스타르 다리


4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보스니아의 인구 구성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는데, 제국의 정복, 유럽 열강과의 잦은 전쟁, 강제 및 경제적 이주, 전염병으로 인해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토착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공동체가 등장하여 결국 강력한 기독교 교회 조직의 부재와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 사이의 지속적인 경쟁으로 인해 가장 큰 민족 종교 집단이 되었고, 토착 보스니아 교회는 완전히 사라졌다(회원들의 이슬람 개종으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그들을 ''kristianlar''라고 불렀고, 정교회 신자와 가톨릭 신자는 ''gebir'' 또는 ''kafir''(즉, "불신자")라고 불렀다. 보스니아 프란체스코회(그리고 가톨릭 신자 전체)는 공식적인 제국 칙령과 오스만 제국 법률에 따라 보호받았지만, 실제로는 종종 강력한 지역 엘리트의 임의적인 통치와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

수도 사라예보는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에얄레트(Bosnia Eyalet, 1580~1867)와 보스니아 빌라예트(Bosnia Vilayet, 1867~1908)의 중심이 되었고, 궁전이 건설되었으며, 제국의 주지사들에 의해 오스만식 도시 건설과 도시 계획이 추진되었다. 사라예보와 모스타르와 같은 여러 도시가 설립되어 무역과 도시 문화의 지역 중심지로 성장했고, 1648년 오스만 여행가 에브리아 첼레비가 방문했다. 이러한 도시들 안에서 여러 오스만 술탄들은 보스니아 최초의 사라예보 도서관, 마드라사, 수피 철학 학교, 시계탑(''Sahat Kula''), 스타리 모스트, 황제 모스크, 가지 후스레브베그 모스크와 같은 다리 등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건축의 많은 작품 건설에 자금을 지원했다.[42] 많은 주민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다른 발칸 국가들과는 달리 문화의 터키화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오스만 제국이 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과 전쟁을 벌였을 때, 보스니아는 오스만 제국에게 중요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여러 보스니아 무슬림들이 오스만 제국의 문화 및 정치사에서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다.[43] 보스니아 출신 신병들은 모하지 전투와 크르바바 전투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의 큰 부분을 차지했고, 다른 많은 보스니아인들은 오스만 군대의 계급을 통해 제국에서 최고 권력 지위를 차지했다.[44]

그러나 17세기 후반에 제국의 군사적 불운이 보스니아를 덮쳤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대터키 전쟁이 끝나면서 보스니아는 다시 제국의 서쪽 끝 지방이 되었다. 18세기는 더 많은 군사적 실패, 보스니아 내의 수많은 반란, 그리고 여러 차례의 페스트 발생으로 특징지어진다.[45]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오스만 제국의 근대화 노력은 보스니아에서 적대감으로 발전하는 불신에 직면했는데, 그곳의 지역 귀족들은 제안된 탄지마트 개혁으로 인해 많은 것을 잃을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것은 후세인 그라다슈체비치의 부분적으로 실패한 반란으로 이어졌다.[44] 관련 반란은 1850년에 진압되었지만, 상황은 계속 악화되었다.

19세기 중반에 보스니아에는 새로운 민족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19세기 초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직후,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가 보스니아에서 일어났고, 이러한 민족주의자들은 보스니아 영토에 대한 영토 수복주의적 주장을 했다.[46]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외무장관 율라 안드라시(Gyula Andrássy)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점령 및 통치권을 획득했고,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철수할 때까지 오스만의 통치하에 남아 있을 노비파자르 산자크(Sanjak of Novi Pazar)에 주둔할 권리도 얻었다.[47] 16세기, 17세기에 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던 오스만 제국의 전초 기지로 여겨졌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전한 이후에 열린 베를린 회의를 계기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향권에 편입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관리들이 보스니아인들과 신속하게 합의에 이르렀지만, 긴장은 여전히 남아 있었고 보스니아인들의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다. 그러나 상당히 빨리 상대적인 안정 상태에 도달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모범적인" 식민지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진 여러 사회 및 행정 개혁에 착수할 수 있었다.

합스부르크 통치는 보스니아에서 몇 가지 주요 관심사를 가지고 있었다. 이전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보스니아에 대한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고 보스니아 또는 보스니아크인 정체성을 장려함으로써 남슬라브 민족주의를 해소하려고 했다. 합스부르크 통치는 또한 법전 제정, 새로운 정치 제도 도입, 산업 설립 및 확장을 통해 현대화를 추진하려고 했다.[47]

1883년 사라예보 사람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보스니아 합병을 계획하기 시작했지만, 국제 분쟁으로 인해 1908년 합병 위기가 발생할 때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몇 가지 외부 문제가 보스니아의 지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1903년 세르비아에서 발생한 피비린내 나는 쿠데타는 벨그라드에 반 오스트리아 정부를 집권시켰다. 그런 다음 1908년 오스만 제국의 반란으로 이스탄불 정부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완전한 반환을 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보스니아 문제에 대한 영구적인 해결책을 더 빨리 모색하게 되었다.

1892년 사라예보의 바슈차르시야 모스크


오스만 제국의 혼란을 이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외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위에 대한 러시아의 임시 승인을 얻으려고 시도했고, 1908년 10월 6일에 합병 선포를 발표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합병에 대한 국제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그 종주국인 세르비아는 1909년 3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합병을 받아들여야 했다.

1910년 합스부르크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Franz Joseph I of Austria)는 보스니아 최초의 헌법을 선포했고, 이는 이전 법률의 완화, 선거, 보스니아 의회(Diet of Bosnia)의 구성 및 새로운 정치 생활의 성장으로 이어졌다.[48]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한 보스니아 위기를 계기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이웃한 세르비아에서는 대세르비아주의, 범슬라브주의가 확산되었다.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에서 가브릴로 프린치프(Gavrilo Princip)에 의해 암살된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Archduke Franz Ferdinand of Austria)과 소피 공녀(Sophie, Duchess of Hohenberg)


1914년 6월 28일, 혁명 운동 젊은 보스니아(Young Bosnia)의 회원이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Serbs of Bosnia and Herzegovina)인 가브릴로 프린치프(Gavrilo Princip)가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Archduke Franz Ferdinand of Austria)을 암살했는데, 이 사건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특히 1914년에 일어난 사라예보 사건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된다. 전쟁이 끝날 무렵, 보스니아크인(Bosniaks)들은 합스부르크 제국 내 다른 어떤 민족 집단보다 1인당 사망자 수가 더 많았는데, 그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Austro-Hungarian Army)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병(Bosnian-Herzegovinian Infantry) (''보스니아켄''으로 알려짐)에서 복무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피해 없이 갈등을 피할 수 있었다.[43]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제국의 반세르비아 정서(Anti-Serb sentiment) 탄압 정책에서 모호한 역할을 하는 슈츠코르프스(Schutzkorps)라는 보조 민병대를 설립했다.[50] 주로 무슬림(보스니아크) 인구 중에서 모집된 슈츠코르프스는 반란 세르비아인 (''체트니크(Chetniks)'' 및 ''코미타지(Komitadji)'')을 사냥하는 임무를 맡았고, 특히 1914년 가을에 해당 지역 무슬림 인구를 공격했던 세르비아 체트니크에 대한 보복으로 동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에서 세르비아인을 박해한 것으로 알려졌다.[51][52]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의 조치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약 5,500명의 세르비아계 시민이 체포되었고, 700~2,200명이 감옥에서 사망했으며 460명이 처형되었다. 약 5,200명의 세르비아 가족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강제 추방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시대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남슬라브족의 유고슬라비아 왕국(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합류하였다.[43] 이 시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적 삶은 재산 재분배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불안과 여러 정당의 결성이라는 두 가지 주요 경향으로 특징지어졌다.[43] 크로아티아 지역주의와 세르비아 중앙집권주의 사이의 갈등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민족 집단들에 의해 다르게 접근되었고 전반적인 정치적 분위기에 좌우되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실시된 종교별 토지 소유 및 인구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무슬림은 전체 재산의 91.1%, 정교회 세르비아인은 6.0%, 크로아티아 가톨릭 신자는 2.6%, 기타는 0.3%를 소유하고 있었다. 개혁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총 1,175,305헥타르의 농지와 산림을 몰수당했다.[53]

[[File:Čuvajte_Jugoslaviju.jpg|thumb|"유고슬라비아를 지켜라"(Čuvajte Jugoslaviju), 유고슬라비아 여러 민족이 콜로(kolo) 춤을 추는 그림 속에 묘사된 알렉산다르 1세] 왕의 마지막 말로 추정되는 변형

메흐메드 스파호와 같은 보스니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분할된 6개의 oblast는 오스만 시대의 6개의 산작과 일치하여, 국가의 전통적인 경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수립은 행정 지역을 의도적으로 모든 역사적 및 민족적 경계를 피하는 바노비나로 재구획하여 보스니아 실체의 흔적을 제거하였다. 1939년에 크로아티아 바나트인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를 만든 츠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은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할을 조장하였다.[4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정복하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모두 나치 괴뢰 정권인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에 할양되었고, 이는 우스타샤가 이끌었다. NDH 지도자들은 세르비아인, 유대인,

3. 1. 고대 및 중세

고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일리리아인이 살았으며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18][19][20] 수에토니우스가 묘사한 바와 같이, 로마는 포에니 전쟁 이후 역사상 가장 어려운 전투 중 하나를 바로 오늘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치렀다.[18] 6세기 후반부터 슬라브족이 정착했고[22][23] 중세 시대에는 왕국을 형성했다. 슬라브족은 6세기와 7세기에 발칸 반도를 압도했다. 특정 관습과 전통, 지명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일리리아 문화적 특징은 남슬라브족에 의해 채택되었다.[21]

초기 슬라브족 (Early Slavs)은 6세기와 7세기 초( 민족 대이동 (Migration Period) 중) 보스니아를 포함한 서부 발칸 반도를 습격했는데, 비잔티움 제국에 ''슬라베니 (Sclaveni)''로 알려진 하나의 슬라브 연합에서 나온 작은 부족 단위로 구성되어 있었다.[22][23] 12세기 후반부터는 보스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15세기 후반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중세 초기 (High Middle Ages)에,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그 지역은 헝가리 왕국 (Kingdom of Hungary)과 비잔티움 제국 사이에서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 12세기 초 두 세력 사이의 또 다른 권력 이동 이후, 보스니아는 두 세력의 통제를 벗어나 보스니아 반국 (Banate of Bosnia)(지역 ''반''의 통치 아래)으로 등장했다.[25]

3. 2.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정복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으며, 정치적, 문화적 환경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34] 15세기 후반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왔다. 오스만 제국은 보스니아를 역사적 명칭과 영토적 완전성을 유지한 채 제국의 일부로 편입했다.[34] 보스니아 내에서 오스만 제국은 새로운 토지 소유 제도, 행정 구역 개편, 계급과 종교적 소속에 따른 복잡한 사회적 차별화 시스템 등 영토의 사회 정치 행정에 여러 가지 중요한 변화를 도입했다.

오스만 제국의 점령 이후 보스니아에서 꾸준히 사람들이 빠져나갔고, 오스만 제국 기록에는 보스니아에 많은 버려진 마을들이 언급되어 있다.[35] 정교회 세력으로부터 탄압받던 보고밀파 신자들은 이때 많은 수가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35] 이 외에도 이슬람교로 개종한 현지 슬라브인들과 터키 등에서 이주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정착한 무슬림들에 의해 이 지역에서는 이슬람교도의 인구 비율이 높아졌다. 초기 오스만 제국 점령기에 많은 보스니아 가톨릭 신자들은 인근 가톨릭 지역으로 피신했다.[36]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에는 이슬람교도들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35] 1624년 알바니아 가톨릭 사제 Pjetër Mazreku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이슬람교도 45만 명, 가톨릭 신자 15만 명, 동방 정교회 신자 7만 5천 명이 있다고 보고했다.[35]

오스만 제국 이전 시대에는 보스니아 자체에는 정교회 활동이 부족했다.[37] 보스니아의 정교회 기독교인 인구는 오스만 제국의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로 생겨났다.[38] 오스만 제국은 가톨릭 신자들보다 정교회 신자들을 더 우대하여, 보스니아에 많은 정교회 교회 건설을 허용했다.[40]

4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보스니아의 인구 구성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는데, 제국의 정복, 유럽 열강과의 잦은 전쟁, 강제 및 경제적 이주, 전염병으로 인해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토착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공동체가 등장하여 결국 강력한 기독교 교회 조직의 부재와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 사이의 지속적인 경쟁으로 인해 가장 큰 민족 종교 집단이 되었고, 토착 보스니아 교회는 완전히 사라졌다(회원들의 이슬람 개종으로 인해). 오스만 제국은 그들을 ''kristianlar''라고 불렀고, 정교회 신자와 가톨릭 신자는 ''gebir'' 또는 ''kafir''(즉, "불신자")라고 불렀다. 보스니아 프란체스코회(그리고 가톨릭 신자 전체)는 공식적인 제국 칙령과 오스만 제국 법률에 따라 보호받았지만, 실제로는 종종 강력한 지역 엘리트의 임의적인 통치와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

수도 사라예보는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에얄레트(Bosnia Eyalet, 1580~1867)와 보스니아 빌라예트(Bosnia Vilayet, 1867~1908)의 중심이 되었고, 궁전이 건설되었으며, 제국의 주지사들에 의해 오스만식 도시 건설과 도시 계획이 추진되었다. 사라예보와 모스타르와 같은 여러 도시가 설립되어 무역과 도시 문화의 지역 중심지로 성장했고, 1648년 오스만 여행가 에브리아 첼레비가 방문했다. 이러한 도시들 안에서 여러 오스만 술탄들은 보스니아 최초의 사라예보 도서관, 마드라사, 수피 철학 학교, 시계탑(''Sahat Kula''), 스타리 모스트, 황제 모스크, 가지 후스레브베그 모스크와 같은 다리 등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건축의 많은 작품 건설에 자금을 지원했다.[42] 많은 주민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다른 발칸 국가들과는 달리 문화의 터키화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오스만 제국이 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과 전쟁을 벌였을 때, 보스니아는 오스만 제국에게 중요한 전초기지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여러 보스니아 무슬림들이 오스만 제국의 문화 및 정치사에서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다.[43] 보스니아 출신 신병들은 모하지 전투와 크르바바 전투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의 큰 부분을 차지했고, 다른 많은 보스니아인들은 오스만 군대의 계급을 통해 제국에서 최고 권력 지위를 차지했다.[44]

그러나 17세기 후반에 제국의 군사적 불운이 보스니아를 덮쳤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대터키 전쟁이 끝나면서 보스니아는 다시 제국의 서쪽 끝 지방이 되었다. 18세기는 더 많은 군사적 실패, 보스니아 내의 수많은 반란, 그리고 여러 차례의 페스트 발생으로 특징지어진다.[45]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오스만 제국의 근대화 노력은 보스니아에서 적대감으로 발전하는 불신에 직면했는데, 그곳의 지역 귀족들은 제안된 탄지마트 개혁으로 인해 많은 것을 잃을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것은 후세인 그라다슈체비치의 부분적으로 실패한 반란으로 이어졌다.[44] 관련 반란은 1850년에 진압되었지만, 상황은 계속 악화되었다.

19세기 중반에 보스니아에는 새로운 민족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19세기 초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직후,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가 보스니아에서 일어났고, 이러한 민족주의자들은 보스니아 영토에 대한 영토 수복주의적 주장을 했다.[46]

3.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외무장관 율라 안드라시(Gyula Andrássy)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점령 및 통치권을 획득했고,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철수할 때까지 오스만의 통치하에 남아 있을 노비파자르 산자크(Sanjak of Novi Pazar)에 주둔할 권리도 얻었다.[47] 16세기, 17세기에 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던 오스만 제국의 전초 기지로 여겨졌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전한 이후에 열린 베를린 회의를 계기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향권에 편입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관리들이 보스니아인들과 신속하게 합의에 이르렀지만, 긴장은 여전히 남아 있었고 보스니아인들의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다. 그러나 상당히 빨리 상대적인 안정 상태에 도달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모범적인" 식민지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진 여러 사회 및 행정 개혁에 착수할 수 있었다.

합스부르크 통치는 보스니아에서 몇 가지 주요 관심사를 가지고 있었다. 이전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보스니아에 대한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고 보스니아 또는 보스니아크인 정체성을 장려함으로써 남슬라브 민족주의를 해소하려고 했다. 합스부르크 통치는 또한 법전 제정, 새로운 정치 제도 도입, 산업 설립 및 확장을 통해 현대화를 추진하려고 했다.[47]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보스니아 합병을 계획하기 시작했지만, 국제 분쟁으로 인해 1908년 합병 위기가 발생할 때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몇 가지 외부 문제가 보스니아의 지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1903년 세르비아에서 발생한 피비린내 나는 쿠데타는 벨그라드에 반 오스트리아 정부를 집권시켰다. 그런 다음 1908년 오스만 제국의 반란으로 이스탄불 정부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완전한 반환을 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보스니아 문제에 대한 영구적인 해결책을 더 빨리 모색하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혼란을 이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외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위에 대한 러시아의 임시 승인을 얻으려고 시도했고, 1908년 10월 6일에 합병 선포를 발표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합병에 대한 국제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그 종주국인 세르비아는 1909년 3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합병을 받아들여야 했다.

1910년 합스부르크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Franz Joseph I of Austria)는 보스니아 최초의 헌법을 선포했고, 이는 이전 법률의 완화, 선거, 보스니아 의회(Diet of Bosnia)의 구성 및 새로운 정치 생활의 성장으로 이어졌다.[48]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한 보스니아 위기를 계기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이웃한 세르비아에서는 대세르비아주의, 범슬라브주의가 확산되었다.

1914년 6월 28일, 혁명 운동 젊은 보스니아(Young Bosnia)의 회원이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Serbs of Bosnia and Herzegovina)인 가브릴로 프린치프(Gavrilo Princip)가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Archduke Franz Ferdinand of Austria)을 암살했는데, 이 사건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특히 1914년에 일어난 사라예보 사건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된다. 전쟁이 끝날 무렵, 보스니아크인(Bosniaks)들은 합스부르크 제국 내 다른 어떤 민족 집단보다 1인당 사망자 수가 더 많았는데, 그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Austro-Hungarian Army)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병(Bosnian-Herzegovinian Infantry) (''보스니아켄''으로 알려짐)에서 복무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피해 없이 갈등을 피할 수 있었다.[43]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제국의 반세르비아 정서(Anti-Serb sentiment) 탄압 정책에서 모호한 역할을 하는 슈츠코르프스(Schutzkorps)라는 보조 민병대를 설립했다.[50] 주로 무슬림(보스니아크) 인구 중에서 모집된 슈츠코르프스는 반란 세르비아인 (''체트니크(Chetniks)'' 및 ''코미타지(Komitadji)'')을 사냥하는 임무를 맡았고, 특히 1914년 가을에 해당 지역 무슬림 인구를 공격했던 세르비아 체트니크에 대한 보복으로 동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에서 세르비아인을 박해한 것으로 알려졌다.[51][52]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의 조치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약 5,500명의 세르비아계 시민이 체포되었고, 700~2,200명이 감옥에서 사망했으며 460명이 처형되었다. 약 5,200명의 세르비아 가족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강제 추방되었다.

3. 4.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남슬라브족의 유고슬라비아 왕국(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합류하였다.[43] 이 시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적 삶은 재산 재분배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불안과 여러 정당의 결성이라는 두 가지 주요 경향으로 특징지어졌다.[43] 크로아티아 지역주의와 세르비아 중앙집권주의 사이의 갈등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민족 집단들에 의해 다르게 접근되었고 전반적인 정치적 분위기에 좌우되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실시된 종교별 토지 소유 및 인구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무슬림은 전체 재산의 91.1%, 정교회 세르비아인은 6.0%, 크로아티아 가톨릭 신자는 2.6%, 기타는 0.3%를 소유하고 있었다. 개혁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총 1,175,305헥타르의 농지와 산림을 몰수당했다.[53]

[[File:Čuvajte_Jugoslaviju.jpg|thumb|"유고슬라비아를 지켜라"(Čuvajte Jugoslaviju), 유고슬라비아 여러 민족이 콜로(kolo) 춤을 추는 그림 속에 묘사된 알렉산다르 1세] 왕의 마지막 말로 추정되는 변형

메흐메드 스파호와 같은 보스니아 정치인들의 노력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분할된 6개의 oblast는 오스만 시대의 6개의 산작과 일치하여, 국가의 전통적인 경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수립은 행정 지역을 의도적으로 모든 역사적 및 민족적 경계를 피하는 바노비나로 재구획하여 보스니아 실체의 흔적을 제거하였다. 1939년에 크로아티아 바나트인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를 만든 츠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은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할을 조장하였다.[4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정복하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모두 나치 괴뢰 정권인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에 할양되었고, 이는 우스타샤가 이끌었다. NDH 지도자들은 세르비아인, 유대인,

3. 5. 보스니아 전쟁 (1992-1995)

1990년 11월 18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다당제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공산당의 권력은 세 개의 민족 기반 정당 연합으로 대체되었다.[72]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민들은 유고슬라비아 잔류(주로 세르비아인)와 독립 추구(주로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티아인) 문제로 분열되었다.[73]

1991년 10월 15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권 선언에 이어, 1992년 2월 29일과 3월 1일에 독립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대다수 세르비아인들은 이를 보이콧했다. 투표율은 63.4%였으며, 유권자의 99.7%가 독립에 찬성했다.[7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 3월 3일 독립을 선언했고, 4월 6일에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7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은 1992년 5월 22일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했다.[79]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세르비아계 의원들은 1991년 10월 24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 의회를 구성했고, 이는 1990년 선거 이후 3개 민족 연합의 종말을 알렸다. 세르비아인 의회는 1992년 1월 9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공화국을 수립했고, 8월에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개명했다. 1991년 11월 18일, 크로아티아 민주연합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부는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동체를 선포하고, 크로아티아 방위군을 군사 부대로 두었다.[74]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로부터 인정받지 못했다.[75][76]

세르비아 지도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크로아티아 지도자 프라뇨 투지만은 1991년 3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할에 합의하여 대세르비아와 대크로아티아 수립을 목표로 했다.[8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독립 이후, 보스니아 세르비아 민병대가 동원되었고, 무장이 부족했던 정부군은 전쟁에 대비하지 못했다.[8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1992년 6월 공식적으로 철수했지만, 보스니아 세르비아계 JNA 구성원들은 스릅스카 공화국군(VRS)을 구성하고 전투를 계속했다. VRS는 JNA 비축물자로 무장하고, 세르비아 지원을 받아 1992년 공세에서 전국 많은 지역을 통제했다.

유엔군이 행정위원회 건물 앞에 있다. 1995년 사라예보 포위 공격 중 전차 사격을 받아 불타버렸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의 진격은 VRS 통제 지역에서 보슈냐크인과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에 대한 민족 청소를 수반했다. 수십 개의 강제 수용소가 설립되었고, 수감자들은 폭력과 학대를 당했다.[82] 민족 청소는 1995년 7월 스레브레니차 학살로 절정에 달했는데,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이를 집단 학살로 판결했다.[83]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티아군도 전쟁 범죄를 저질렀지만, 규모는 작았다.[84][85][86][87]

파괴된 국립도서관에서 첼로를 연주하는 베드란 스마일로비치(Vedran Smailović)(1992년, 사라예보에서 미하일 에프스타피예프 촬영)


1994년 3월 워싱턴 협정 체결로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이 종식되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군(ARBiH)과 HVO 점령 지역을 통합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수립되었다.[88]

1995년에 유엔의 중재로 평화 협정(데이턴 협정)에 조인하여 분쟁은 종결되었다.

3. 6. 독립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의 전초 기지 역할을 했다.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함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고,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전한 이후 베를린 회의를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향권에 편입되었다.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합병은 보스니아 위기를 야기했고, 이웃한 세르비아에서 대세르비아주의와 범슬라브주의를 확산시켰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대부분은 추축국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의해 지배되었다. 파시스트 조직 우스타샤는 세르비아인, 유대인, 롬인, 반체제 인사들을 학살하고 강제 수용소로 보냈다. 세르비아 민족주의 조직 체트니크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크로아티아인과 보슈냐크인을 학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슈냐크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결성하여 저항 활동을 펼쳤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 주도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수립된 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1989년 혁명을 계기로 각 민족을 대표하는 정당들이 형성되었다. 1991년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의 독립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도 독립 요구가 높아졌지만,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잔류를, 보슈냐크인과 크로아티아인들은 독립을 원했다.

이러한 민족 간 분쟁은 1992년 보스니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는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인들은 스릅스카 공화국을, 크로아티아인들은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 공화국을 수립하며 내전이 격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 민족 간의 학살 행위가 자행되었다.

1994년 3월 보스니아계와 크로아티아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수립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의 개입과 1995년 데이턴 협정 체결로 보스니아 전쟁은 종식되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합 국가가 되었다.

스레브레니차 학살 기념비


데이턴 협정 이후 민정은 고등대표사무소(OHR), 군사는 NATO 중심의 다국적군(SFOR)이 담당하여 평화 유지를 추진했다. 전쟁범죄자 체포, 기소 및 민족 정화 피해자들의 귀환 지원, 민족 간 화해 노력이 계속되었지만, 주민들의 저항으로 귀환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민족주의 정당의 득세와 민족 간 갈등으로 정치가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등대표가 강권을 발동하여 정치적 어려움을 타개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3개 민족이 국정에 사실상 거부권을 가지고 대통령이 순환제이기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등대표가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가 되고 있다.

2004년 12월부터 EU이 편성한 유럽 연합군 "알테아" (EUFOR Althea)가 보스니아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고 있으며, 병력은 점차 감축되었다.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독립 후 최초의 인구 조사가 실시되었으나, 민족 간 갈등으로 인해 과거 두 차례 무산된 바 있다. 인구 조사는 EU 가입과 정책 입안에 필수적이지만, 민족 구성에 따른 정부 주요 직책 및 공무원 수 배분 등 국가의 근간과 관련되어 정치적으로 이용될 소지가 있었다. 실제로 각 세력의 개입과 부정 행위가 드러났으며, 민족 분류와 소수 민족 차별을 거부하는 코스모폴리타니즘 움직임도 나타났다. 2014년 1월에 발표될 예정이었던 비공식 속보치에 따르면 인구는 370만 명에서 380만 명 정도이며, 보스니아인 54%, 세르비아인 32.5%, 크로아티아인 11.5%, 기타 2%였다.

2014년 2월 7일, 반정부 충돌 이후 불타고 있는 투즐라 정부 청사


2014년 2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정부에 대한 시위가 투즐라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이 시위는 '보스니아의 봄'으로 불리며, 파산한 공장 노동자들의 일자리, 미지급 급여 및 연금 문제 해결 요구에서 시작되었다. 사라예보, 제니차, 모스타르 등 여러 도시에서 폭력적인 충돌이 발생했고,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다. 바냐루카 시에서도 자체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이 시위는 1995년 보스니아 전쟁 종전 이후 높은 실업률과 정치적 무능에 대한 가장 큰 대중적 분노의 표출이었다.

2021년 말, 크리스티안 슈미트(Christian Schmidt)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등대표(High Representative for Bosnia and Herzegovina) 사무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고조되는 정치적, 민족적 긴장을 겪고 있으며, 이는 국가를 분열시키고 다시 전쟁으로 몰아넣을 가능성이 있다. 유럽 연합은 이것이 지역의 추가적인 발칸화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4. 지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발칸 반도 서부에 위치하며, 북쪽과 서쪽으로는 크로아티아(932km), 동쪽으로는 세르비아(302km), 남동쪽으로는 몬테네그로(225km)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네움(Neum) 마을 주변으로 약 20km 길이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98][99] 아드리아해에 접한 해안선은 20km에 불과하며 국경선의 대부분이 크로아티아에 둘러싸여 있는 내륙국이다. 위도 북위 42°와 북위 46° 그리고 경도 동경 15°와 동경 20° 사이에 위치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형


국가 이름은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Herzegovina)라는 두 지역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두 지역의 경계는 정의된 적이 없다. 역사적으로 북부 중앙부는 보스니아, 남부는 헤르체고비나라고 불려왔다. 크로아티아와의 국경지대를 흐르는 사바강과 그 지류인 보스나강과 비바스강이 북류하면서 이루어 놓은 북부 평야지대와 남부의 네레트바강 유역평야를 제외하고는 평균 해발고도가 1,000~1,600m의 디나르고원이 위치하는 전형적인 산악국이다.

이 나라는 대부분 산악 지형이며, 중앙에는 디나르 알프스가 있다. 국토의 척량산맥인 디나르알프스산맥이 뻗어 있고,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남부에는 해발 고도 2,000m가 넘는 산지가 많다. 아드리아해를 따라 디나르 알프스(Dinaric Alps)가 뻗어 있으며, 국토의 남서부는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카르스트 지형으로 건조하다. 디나르 알프스는 일반적으로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남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높아진다. 국내 최고봉은 몬테네그로 국경에 있는 마글리치 산의 2386m 봉우리이다. 다른 주요 산으로는 볼루야크 산, 젤렌고라(Zelengora), 렐리야(Lelija), 레브르슈니크(Lebršnik), 오르옌(Orjen), 코자라(Kozara), 그르메치(Grmeč), 츠브르스니차(Čvrsnica), 프렌(Prenj), 브란(Vran), 브라니차(Vranica), 벨레즈, 블라시치 산, 친카르(Cincar), 로마니야(Romanija), 야호리나(Jahorina), 비엘라슈니차(Bjelašnica), 트레스카비차(Treskavica) 및 트레베비치(Trebević)가 있다. 보스니아의 디나르 산맥 지질 구성은 주로 석회암(중생대 석회암 포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보스니아 중부와 북부 지역에 철, 석탄, 아연, 망간, 보크사이트, 납 및 소금이 매장되어 있다.[100] 지질 구조상 강한 지진대에 속한다.

북동부는 파노니아 분지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아드리아해와 접한다. 보스니아 북부(포사비나(Posavina))에는 사바 강을 따라 매우 비옥한 농경지가 있으며, 이 지역은 집약적인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농지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로 이어지는 파노니아 평원의 일부이다.

전체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거의 50%가 산림으로 덮여 있다. 대부분의 산림 지역은 보스니아의 중앙, 동부 및 서부 지역에 분포한다. 헤르체고비나는 건조한 지중해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카르스트 지형이 우세하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산림 피복은 2020년 기준 총 토지 면적의 약 43%인 2,187,910 헥타르(ha)이며, 1990년 2,210,000 헥타르(ha)에서 감소했다. 2015년 기준으로 산림 면적의 74%가 국유이며, 26%가 사유였다.[106][107]

사라예보는 수도[102]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다른 주요 도시로는 보스니아 크라이나(Bosanska Krajina)로 알려진 북서부 지역의 바냐루카와 프리예도르, 북동부의 투즐라, 비엘리나, 도보이 및 브르치코, 중앙부의 제니차, 그리고 헤르체고비나 남부 지역의 가장 큰 도시인 모스타르가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7개의 주요 강이 있다.[103]

  • 사바 강(Sava)은 이 나라에서 가장 큰 강이며, 크로아티아와의 북쪽 자연 경계를 형성한다. 이 강은 이 나라 영토의 76%[103]의 물을 다뉴브 강을 거쳐 흑해로 흘려보낸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다뉴브 강 보호를 위한 국제 위원회(ICPDR)의 회원국이다.
  • 우나 강, 사나 강 및 브르바스 강은 사바 강의 오른쪽 지류이다. 이 강들은 북서부 지역인 보스니아 크라이나(Bosanska Krajina)에 있다.
  • 보스나 강은 이 나라의 이름을 따왔으며, 이 나라 안에 완전히 포함된 가장 긴 강이다. 사라예보 근처의 발원지에서 북쪽의 사바 강까지 보스니아 중앙을 가로지른다.
  • 드리나 강(Drina)은 보스니아 동부를 흐르며, 대부분 세르비아와의 자연 경계를 형성한다.
  • 네레트바 강(Neretva)은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강이며, 아드리아해로 남쪽으로 흐르는 유일한 주요 강이다.


국토 남부, 헤르체고비나 지역을 네레트바 강이 관통하여 크로아티아 영토를 거쳐 아드리아해로 흘러든다. 북부에는 사바 강이 흘러 크로아티아와의 자연 국경을 이룬다. 사바 강은 그 후 세르비아 영토를 거쳐 다뉴브 강에 합류한다. 국토 북동부에 있는 사바 강에 접한 도시 브르치코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육상 교통과 다뉴브 강의 수상 교통로를 잇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최대의 항구 도시이다. 사바 강의 지류인 보스나 강은 사라예보 인근 산악 지대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제니차, 도보이, 보산스키 샤마츠를 거쳐 사바 강에 합류한다. 이 외에도 사바 강의 지류로 우나 강이나 브르바스 강 등이 있다. 또한 국토 동부에는 드리나 강이 흘러 세르비아와의 국경을 이룬다.

기후는 북부 보스니아는 사바 강 유역을 중심으로 대륙성 기후, 남부 헤르체고비나는 네레트바 강 하구 부근이 지중해성 기후이다. 보스니아는 대체로 온난하지만 겨울은 매우 춥고, 헤르체고비나(특히 석회암 지대)는 10월부터 1월까지의 겨울철에 비가 많고 여름이 매우 덥다.

5. 기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디나르알프스산맥에 위치하고 있어 대한민국보다 겨울에 눈이 더 많이 온다.

6. 행정 구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행정 구역은 크게 3개 구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스릅스카 공화국, 브르치코 행정구)으로 나뉜다.[248]

1995년데이턴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주축이 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세르비아인이 주축이 된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두 개의 구성체(Entitet)로 구성된다. 양측이 권리를 주장하며 합의에 이르지 못했던 브르치코는 2000년 결정에 따라 독자적인 행정구역인 “브르치코 행정구”(Brčko distrikt)으로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 정부의 직할지가 되었다. 브르치코는 헌법상으로는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모두에 속한다고 되어 있지만, 양측 모두 브르치코에 대한 실질적인 행정권은 배제되어 사실상 “제3의 구성체”가 되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은 10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스릅스카 공화국에는 주에 해당하는 자치체가 없다.

옵슈티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작은 자치 단위이며, 일본의 시정촌이나 이탈리아의 코무네, 독일의 게마인데와 거의 동등하다. 각 옵슈티나는 독자적인 의회와 시장, 각료를 가지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는 79개, 스릅스카 공화국에는 62개의 옵슈티나가 있다.

7. 정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스릅스카 공화국으로 구성된 1국가 2체제이며, 정치 체제가 매우 복잡하다.[108][109][110][111] 데이턴 협정에 따라 민간 평화 이행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재 고등 대표가 감독하며, 고등 대표는 평화 이행 위원회(PIC)에서 선출된다. 고등 대표는 국가 최고 정치 권력자이며, 선출직 및 비선출직 공무원 해임을 포함한 광범위한 정부 및 입법 권한을 가지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치에 대한 고등 대표의 광범위한 권한과 거부권 때문에, 이 직책은 총독에 비유되기도 한다.[12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FBiH), 세르비아 공화국(RS), 브르치코 구(BD)로 구성되어 있다.


정치는 의원내각제 대의 민주주의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행정부의 권력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장관회의가 행사한다. 입법부의 권력은 장관회의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회 모두에 위임된다. 의회 의원은 비례 대표제(PR) 시스템에 따라 선출된다.[112][1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며, 데이턴 협정에 따라 여러 수준의 정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가 수준에서는 배타적 또는 공동으로만 한정된 권한만 존재하며, 대부분의 권한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세르비아 공화국이라는 두 개의 정체 내에 있다.[114] 숨만트라 보스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의제 연방으로 묘사한다.[115]

국가 북부의 브르치코 구는 2000년에 두 정체의 땅으로부터 만들어졌다. 공식적으로는 두 정체 모두에 속하지만, 어느 쪽에도 지배되지 않으며 분권화된 지방 정부 시스템하에 기능한다. 선거 목적으로 브르치코 구 유권자는 연방 또는 세르비아 공화국 선거 중 하나에 참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브르치코 구는 다민족 인구와 국가 평균을 크게 웃도는 번영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칭찬받고 있다.[116]

{{Multiple image

| align = right

| direction = vertical

| width = 220

| image1 = Parliament (6042784223).jpg

| caption1 = 사라예보에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 건물

| image2 = Hipotekarna banka palata predsjednika.JPG

| caption2 = 바냐루카에 있는 공화국 궁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은 10개의 칸톤으로 구성되며, 각 칸톤은 연방 전체의 법률에 따라 칸톤 정부를 가지고 있다. 일부 칸톤은 민족적으로 혼합되어 있어 모든 구성 민족의 평등을 보장하기 위한 특별 법률을 가지고 있다.[11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은 79개, 세르비아 공화국은 64개의 시정촌으로 나뉜다. 시정촌도 자체 지방 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영토 내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또는 장소를 기반으로 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각 칸톤은 여러 시정촌으로 구성되며, 시정촌은 지역 사회로 나뉜다.[118] 정체, 칸톤, 시정촌 외에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바냐루카, 모스타르, 사라예보, 동사라예보의 네 개의 "공식" 도시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여러 중앙 기관이 설립되어 일부 관할권이 정체에서 국가로 이전되는 과정에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는 국가의 세 주요 집단(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을 대표하는 엘리트들로 구성되며, 각 집단은 권력의 보장된 몫을 가지고 있다. 의장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단의 세 구성원 사이에서 순환하며, 각 구성원은 4년 임기 중 8개월 동안 의장직을 맡는다. 대통령단의 세 구성원은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된다.[244] 장관회의 의장은 대통령단이 지명하고 의회 대표원이 승인한다.

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입법 기관이며, 민족원과 대표원의 두 개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민족원은 15명, 대표원은 4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11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재판소는 법적 문제에 대한 최고의 최종 결정권자이며, 9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다.[120]

데이턴 협정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치는 국제적인 감시 하에 있다. 민족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세 주요 민족에서 각각 한 명씩 선출된 대표자들로 구성된 대통령 위원회에 의한 집단 지도 체제가 취해지고 있다. 대통령 위원회의 의장은 8개월마다 순번으로 교체되며, 의장은 사실상의 국가 원수가 된다. 국제사회의 감독기관으로 주요국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평화 이행 위원회'''(PIC)가 설치되었고, 그 위원회 아래 '''고등대표사무소'''(OHR)가 설치되어 있다. 고등대표사무소의 장은 고등대표(HR)이며, 데이턴 협정을 이행하는 데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는 직접 입법권, 인사 개입권을 포함한 강력한 내정 간섭권을 발동할 수 있다.

중앙 정부와 보스니아 연방에서는 2000년에 실시된 총선을 통해 분쟁 발발 후 처음으로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비민족주의 정권이 탄생했다. 그러나 2002년 10월 총선에서는 비민족주의 정권이 부진했고, 대통령 위원회 의원 선거에서는 3명 모두 민족주의 정당 출신이 당선되는 등 결과적으로 민족주의 세력이 신장했다. 주요 정당은 민족별로 결성되어 각각 민족적 이익을 주장하기 때문에 국정 운영상의 장애가 되고 있다. 수도 사라예보에서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세르비아인에게 허용하지 않았던 선거 제도에 대해 유럽인권재판소가 2020년 12월 위법 판결을 내렸다.[24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 5월 22일 유엔에 가입했다. 2000년 12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2005년 11월 7일에 안정화·협력협정 체결 협상 개시를 승인했다. EU 가입은 3개 민족의 공통 목표[246][242]로 여겨지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기에도 그러한 점이 나타나 있다. 2016년 2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는 EU에 공식 가입을 신청했다.[247]

8. 인구

1991년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인구는 4,369,319명이었으나, 1996년 세계은행 조사에서는 3,764,425명으로 감소했다.[134]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발생한 대규모 인구 이동으로 인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인구 구성에 변화가 생겼다. 1991년과 2013년 사이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인구 조사를 실시할 수 없었다. 2011년[135], 그리고 2012년[136] 인구 조사가 계획되었으나 2013년 10월로 연기되었다. 2013년 조사 결과 총 인구는 3,531,159명으로 나타났는데,[1] 이는 1991년 이후 약 20% 감소한 수치이다.[137] 2013년 인구 조사 수치에는 비거주 보스니아 주민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두고 레푸블리카 스르프스카 관리들과 세르비아 정치인들은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140]

사라예보의 도시 지역은 사라예보시뿐만 아니라 일리자, 보고슈차, 이스토치나 일리자, 이스토치노 노보 사라예보, 이스토치니 스타리 그라드 지자체를 포함하며, 인구는 419,957명이다.[150] 사라예보 광역권은 사라예보 칸톤, 이스토치노 사라예보, 그리고 브레자, 키셀랴크, 크레셰보, 비소코 지자체를 포함하며, 인구는 555,210명이다.[151]

9. 주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민은 보슈냐크인이 48%, 세르비아인이 37%, 크로아티아인이 14%이며, 기타(롬족, 알바니아인, 아랍인, 튀르키예인, 유대인 등)가 0.6%이다.[1] 3대 민족 집단은 모두 남슬라브계에 속하는 근연(近緣) 종족이나, 정치·종교와 역사적인 전통에 의한 대립으로 갈려 있다. 보슈냐크인은 보스니아 무슬림 또는 보스니악이라고도 한다.[138]

2013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방별 민족 구성. 녹색은 보스니아인, 주황색은 크로아티아인, 파란색은 세르비아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보스니아인이 인구의 50.1%, 세르비아인이 30.8%, 크로아티아인이 15.5%, 기타가 2.7%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민족을 밝히지 않거나 응답하지 않았다.[1] 이 인구 조사 결과는 스릅스카 공화국 통계청과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정치인들에 의해 논란이 되고 있다.[139] 인구 조사에 대한 논쟁은 비거주 보스니아 거주민의 포함 여부에 관한 것으로, 스릅스카 공화국 당국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140] 유럽 연합 통계청인 유로스타트는 2016년 5월 보스니아 통계청이 사용한 인구 조사 방법론이 국제 권고 사항에 부합한다고 결론지었다.[141]

원래 이 지역에는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이 거의 대등한 비율로 거주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연방제를 실시할 당시, 다른 5개 공화국은 주요 민족을 기반으로 수립된 데 비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지역을 기반으로 수립되었다.

카톨릭교회와 이슬람교, 세르비아 정교회가 혼재하는 거리 풍경(보사스카 크루파)

10. 언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가 공용어이다.[142][143][144] 세르비아어는 스릅스카 공화국 지역에서 주로 쓰이며, 크로아티아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지역에서 보스니아어 다음으로 많이 쓰인다. 이들 언어는 20세기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공용어였던 세르보크로아트어로 통합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정치적 상호 대립이 극심한 상황에서 상호 배타적인 방향으로 급속하게 분화하는 중이다.[145][146]

보슈냐크인은 종교적인 이유에서 유럽에서는 유일하게 아랍 문자를 사용하기도 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은 공식 언어를 명시하지 않지만, 학자 힐러리 후티트와 마이클 켈리는 데이턴 협정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영어, 세르비아어로 작성되었다고 언급하며, 이를 국가 차원에서 사실상 세 가지 공식 언어를 인정한 것으로 묘사한다. 세 가지 표준어는 완전히 상호 이해 가능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라는 명칭으로 통칭된다. 세 가지 언어 중 하나의 사용은 민족 정체성의 표지가 되었다.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2.86%가 모국어를 보스니아어로, 30.76%가 세르비아어로, 14.6%가 크로아티아어로, 1.57%가 다른 언어로, 0.21%가 응답하지 않았다.[1]

1992년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알바니아어, 몬테네그로어, 체코어, 이탈리아어, 헝가리어, 마케도니아어, 독일어, 폴란드어, 로마니어, 루마니아어, 루신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그리고 유대인 언어(이디시어와 라디노)를 소수 언어로 인정한다.[14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독일계 소수 민족은 대부분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발칸 반도를 차지한 후 이 지역에 정착한 다뉴브슈바벤의 잔류 집단이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 추방과 강제 동화로 인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독일계 민족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148]

11. 종교

보스니아인은 이슬람교, 세르비아인은 세르비아 정교회, 크로아티아인은 로마 가톨릭을 주로 믿는다.[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민의 51%는 무슬림이며, 31%는 세르비아 정교회, 15%는 가톨릭 그 외 3%인데, 이는 민족구성과 거의 일치한다.[1] 거의 대부분 슬라브족의 종교는 동방 정교회나 로마 가톨릭이지만, 보스니아인은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 슬라브 민족이다. 2012년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 무슬림의 54%는 무종파였고, 38%는 수니파를 따랐다.[149]

메주고리예에서는 성모 마리아 발현이 있었다고 주장되고 있지만, 바티칸은 이를 승인하지 않았으며, 메주고리예의 교회도 가톨릭 교회에 속하지 않는다.

12. 군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군(OSBiH)은 2005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군과 스릅스카 공화국군이 합병되면서 단일 기구로 통합되었다.[122] 이들 군대는 각자의 지역을 방어해 왔다.[122] 국방부는 2004년에 설립되었다.[123]

보스니아 군은 보스니아 지상군과 공군 및 방공군으로 구성된다.[124] 지상군은 현역 7,200명과 예비군 5,000명으로 구성된다.[125] 이들은 미국, 유고슬라비아, 소련, 유럽산 무기, 차량 및 군사 장비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공군 및 방공군은 1,500명의 인원과 약 62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방공군은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SAM) 배터리, 대공포와 레이더를 운용한다. 최근 육군은 국제 안보 지원군(ISAF)에서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보스니아 군인들이 사용하는 개조된 MARPAT 군복을 채택했다. 현재 군 부대에 적절한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국내 생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126]

부대구성비고
보스니아 지상군현역 7,200명, 예비군 5,000명미국, 유고슬라비아, 소련, 유럽산 무기, 차량 및 군사 장비 혼용
공군 및 방공군1,500명의 인원, 약 62대의 항공기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SAM) 배터리, 대공포와 레이더 운용



2007년부터 국방부는 최초로 국제 지원 임무를 수행하여 군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콩고민주공화국의 ISAF 평화 유지 임무에 파병했다. 콩고민주공화국에는 장교/자문관으로 활동하는 5명의 장교가 파병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주로 기지 경비 및 의무 보조원으로 활동하는 45명의 군인이 파병되었다. 85명의 보스니아 군인은 이라크에서 기지 경비를 맡았으며, 때때로 보병 순찰도 수행했다. 세 파병 부대 모두 각각의 국제군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방부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국제 지원 작전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12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및 방공군은 2006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군과 스릅스카 공화국 공군의 일부가 합병되면서 창설되었다. 공군은 지난 몇 년 동안 항공기 수리에 대한 자금 지원이 증가하고 지상군과의 협력이 개선됨에 따라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국방부는 헬리콥터와 전투기까지 포함한 신형 항공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128]

보스니아 지상군 결합된 결의 XV


보스니아 공군 TH-1H 휴이 주요 수송기


이 나라에는 해군이 없다. 군사력은 중앙 정부에 통합되었지만, 연대 이하는 민족별로 편성되어 있다.[231]

13. 문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이슬람교, 천주교, 동방 정교회 등 여러 종교의 영향으로 다양한 문화적 색채를 띠고 있지만, 보슈냐크인이 문화의 중심을 잡고 있다.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강대국의 일부였던 역사와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아온 역사로 인해 풍부하고 다채로운 문화를 가지고 있다.

사라예보의 국립 및 대학 도서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건축은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받은 네 가지 주요 시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각 시대는 고유한 문화와 건축 양식에 기여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양성은 문학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가 사용되었고,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라틴 문자로 집필되었다. 트라브니크 출신의 이보 안드리치는 196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유고슬라비아 시대를 상징하는 작가가 되었다.

14. 음식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요리는 서구와 동양의 영향을 고루 받았다. 토마토, 감자, 양파, 마늘, 피망, 오이, 당근, 양배추, 버섯, 시금치, 애호박, , 생콩, 자두, 우유, 파프리카, 파브라카 등이 대표적인 재료이다.[220] 거의 500년 동안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인해 터키, 그리스, 그리고 다른 지중해 요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20] 그러나 오랜 기간 오스트리아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중앙 유럽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대부분의 요리는 삶아서 만들기 때문에 가볍고, 소스는 채소의 자연스러운 즙 외에는 거의 들어가지 않아 매우 자연스럽다.[220]

보스니아식 고기 접시. 체바피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짐


대표적인 육류 요리로는 소고기와 양고기가 있다. 지역 특선 요리로는 체바피, 뵈렉, 돌마, 사르마, 필라프, 굴라시, 아주바르 그리고 다양한 동양식 과자가 있다. 특히 체바피는 다진 고기를 구운 요리로, 일종의 케밥이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20]세르비아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진다.[221][222][223] 헤르체고비나에서는 포도 재배에 적합한 기후 덕분에 지역 와인이 생산된다. 헤르체고비나의 ''로자''(이탈리아 그라파와 비슷하지만 덜 달다)가 매우 인기 있다. 자두(''라키야'') 또는 사과(''야부코바차'') 알코올 음료는 북부에서 생산된다.[220] 남부에서는 증류소에서 대량의 브랜디를 생산하여 전 유고슬라비아의 모든 주류 공장에 공급했다.[220]

보스니아 커피를 드제즈바에 담아 라하트 로쿰과 각설탕과 함께 제공하는 커피숍은 사라예보와 전국의 모든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커피 마시는 것은 보스니아인의 가장 좋아하는 오락거리이며 문화의 일부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인당 커피 소비량 세계 9위 국가이다.[224]

15. 외교

1995년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며, 1996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수교하였다. 수교 이전에는 1973년 사라예보에서 열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구기 종목 사상 처음으로 단체전 세계 제패를 일군 이에리사 선수를 통해 알려졌다. 현재 주 헝가리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다.

이 나라는 주변국인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와 전쟁을 했던 역사를 갖고 있다. 특히, 크로아티아의 견제로 아드리아해로 21km에 불과한 해안선을 확보한 것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내륙국이나 다름없다. 유럽의 여러 국가 및 국제기구와 관계를 맺고 있다.[274][275][276][277] 유럽 평의회의 회원국이며,[274][275][276][277] 지중해 연합의 회원국이다.[274][275][276][277]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며, 이슬람 협력 기구(OIC)의 옵서버 국가이다.

지중해 연합


프랑코포니


유럽 평의회


과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일원이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이후 보스니아 전쟁을 겪으며 주변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특히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와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안고 있다.

미국과는 1992년에 수교하였으며, 미국 외에 러시아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유럽 평의회, 지중해 연합의 회원국이며, 프랑코포니이슬람 협력 기구(OIC)의 참관국이다.

젤리코 콤시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단의 크로아티아계 구성원, 그리고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 (2011년 12월 13일)


유럽 연합 통합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정치 목표 중 하나이며, 2007년 안정화·연합 과정을 시작했다. SAP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면 EU 회원국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받았다. 따라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EU 가입을 위한 잠재적 후보국이다.[129]

1995년 데이턴 협정의 이행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책 입안자들과 국제 사회의 노력을 구 유고슬라비아의 후계 국가들에서의 지역 안정화에 집중시켰다.[13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에서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는 데이턴 협정 체결 이후 상당히 안정적이었다. 2010년 4월 2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NATO 회원국 행동 계획을 NATO로부터 받았는데, 이는 동맹의 정회원이 되기 전 마지막 단계이다. 개혁 진전에 따라 초기에는 2014년 또는 2015년에 정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31] 2018년 12월, NATO는 보스니아의 회원국 행동 계획을 승인했다.[132]

2024년 세계 평화 지수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세계에서 61번째로 평화로운 국가이다.[133]

15. 1.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1995년 9월 14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현재 주 헝가리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다.

15. 2. 주변국과의 관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유럽의 여러 국가 및 국제기구와 관계를 맺고 있다.[274][275][276][277] 유럽 평의회의 회원국이며,[274][275][276][277] 지중해 연합의 회원국이다.[274][275][276][277]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이며, 이슬람 협력 기구(OIC)의 옵서버 국가이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일원이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이후 보스니아 전쟁을 겪으며 주변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특히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와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안고 있다.

15. 3. 그 밖의 나라와의 관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유럽 평의회, 지중해 연합의 회원국이며, 프랑코포니이슬람 협력 기구(OIC)의 참관국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Bosni i Hercegovini, 2013: Rezultati Popisa /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Bosnia and Herzegovina, 2013: Final Results https://www.popis.go[...] 2016-00-00
[2]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state.go[...]
[3]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 Country facts https://en.populatio[...] 2020-03-21
[4] 웹사이트 Danas se iz Norveške kući vraća 13 državljana BiH, a šta je sa ostalima? https://mojabih.oslo[...] 2020-04-05
[5] 웹사이트 Demografija, 2022. https://bhas.gov.ba/[...] Agency for Statistics of Bosnia and Herzegovina 2023-10-31
[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B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7]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family income – Gini index https://data.worldba[...] TWB
[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and Indicators: 2018 Statistical Update http://hdr.undp.org/[...] UNDP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tourism, number of arrivals – Bosnia and Herzegovin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11] 웹사이트 List of Member States of the Union for the Mediterranean – UfM http://ufmsecretaria[...]
[12] 웹사이트 Membership Action Plan (MAP) http://www.nato.int/[...] NATO
[13]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1993-00-00
[14] 서적 Essays on the Latin Ori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1-00-00
[15] 웹사이트 Facts, Geography, History, & Maps https://www.britanni[...]
[16] 서적 The World Factbook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3-00-00
[17] 논문 2022-00-00, 2018-00-00, 2015-00-00, 2012-00-00, 2015-00-00
[18] 서적 Tiberius
[19] 서적 Tacitus: Annals I 2002-00-00
[20] 서적 The Illyrians: History and Culture Noyess Press 1974-00-00
[21] 서적 Illyrian Bosnia and Herzegovina-an overview of a cultural legacy https://www.academia[...] Centre for Balkan Studies, Online Balkan Centre 2004-00-00
[22] 서적 Bosnia and Hercegovina: A Tradition Betrayed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00-00
[23]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2004-00-00
[24] 서적 Empires and Barbarians: The Fall of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0-00
[25] 서적 Religion and the war in Bosn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0-00
[26] 서적 Bosnia and Hercegovina: A Tradition Betrayed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5-00-00
[27] 서적 Myths and boundaries in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Hurst & Co. 2005-00-00
[28] 학술지 What is a Bosnian? http://www.lrb.co.uk[...] London Review of Books; Vol.16 No.8. 28 April 1994 1994-04-28
[29] 웹사이트 Declared as national monument http://www.aneks8kom[...]
[30] 간행물 Krunidbena i grobna crkva bosanskih vladara u Milima (Arnautovićima) kod Visokog. Glasnik Zemaljskog muzeja XXXIV/1979. Zemaljski muzej Bosne i Hercegovine, Sarajevo 1980-00-00
[3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Yugoslav Peop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00-00
[32]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 Ottoman Bosnia https://www.britanni[...]
[33] 학술지 Pomeni srpskog imena u srednjovjekovnim bosanskim ispravama 2018-00-00
[34] 서적 Ottoman Bosnia: A History in Peril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4-00-00
[35]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36]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37]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38]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39]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40]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41]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42] 서적 Concise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rivate Limited 2021-06-22
[4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Bosnia–Herzegovina http://www.kakarigi.[...] 1993
[44]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45] 서적 Bosnien an der Schwelle zur Neuzeit : eine Kulturgeschichte der Gewalt Oldenbourg
[46] 서적 Whose Bosnia? Nationalism and Political Imagination in the Balkans, 1840–1914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0-12-21
[47] 서적 Industrialization of Bosnia-Hercegovina : 1878–191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8] 서적 Multinational Federalism in Bosnia and Herzegovina Routledge
[49] 서적 Die Bosniaken kommen: Elitetruppe in der k.u.k. Armee, 1879–1918 Leopold Stocker
[50]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12-04
[51]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12-04
[52] 서적 undefined
[53] 웹사이트 An International Symposium "Southeastern Europe 1918–1995" http://www.hic.hr/bo[...] Hic.hr 2006-06-14
[54] 뉴스 Balkan 'Auschwitz' haunts Croatia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4-25
[55] 서적 Visions of Annihilation: The Ustasha Regime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Fascism, 1941–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20-11-02
[56] 서적 The Fragmentation of Yugoslavia: Nationalism in a Multinational Stat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11-02
[57] 서적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the War in Bosn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11-02
[58] 서적 undefined
[59]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5-06-16
[60]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The Chetnik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06-16
[61] 서적 Genocide and Resistance in Hitler's Bosnia: The Partisans and the Chetniks 1941–1943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Serbia's Secret War: Propaganda and the Deceit of History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63] 학술지 Human Losses of the Croats in World War II and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Caused by the Chetniks (Yugoslav Army in the Fatherand) and the Partisans (People's Liberation Army and the Partisan Detachments of Yugoslavia/Yugoslav Army) and the Communist Authorities: Numerical Indicators http://hrcak.srce.hr[...]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5-10-25
[64] 서적 Himmler's Bosnian Division: The Waffen-SS Handschar Division 1943–1945 https://books.google[...] Schiffer Publishing 2015-06-16
[65] 서적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20-11-02
[66] 서적 Istorija Naroda Bosne i Hercegovine Institut za istoriju radničkog pokreta 2022-01-02
[67]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Frank Cass
[68] 웹사이트 The Great Serbian threat, ZAVNOBiH and Muslim Bosniak entry into the People's Liberation Movement https://web.archive.[...] Posebna izdanja ANUBiH 2020-12-21
[69] 서적 Yugoslavia manipulations with the number Second World War victims http://www.hic.hr/bo[...] Croatian Information Centre 2016-02-12
[70] 웹사이트 Branko Mikulic – socialist emperor manqué http://www.bosnia.or[...]
[71] 서적 A Short History of South East Europe https://books.google[...] Lulu.com 2021-06-22
[72] 웹사이트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phron.org/Ref[...] 2006-06-14
[73] 웹사이트 Bosnia – Herzegovina https://pesd.princet[...] 2021-06-22
[74] 웹사이트 ICTY: Prlić et al. (IT-04-74) https://www.un.org/i[...]
[75] 웹사이트 Prlic et al. Initial Indictment http://secnet069.un.[...] United Nations 2010-02-03
[7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Case NO: IT-01-47-PT (Amended Indictment) http://www.icty.org/[...] 2009-01-01
[77] 웹사이트 The Referendum on Independence in Bosnia–Herzegovina: February 29 – March 1, 1992 http://csce.gov/inde[...]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09-12-28
[78] 서적 Contested lands: Israel-Palestine, Kashmir, Bosnia, Cyprus, and Sri Lank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10-11
[79] 서적 Ad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Charter Article 4 and the Rise of Universal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5-10-11
[80]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4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81] 웹사이트 ICTY: Naletilić and Martinović verdict – A. Historical background https://www.un.org/i[...]
[82] 웹사이트 ICTY: The attack against the civilian population and related requirements https://www.un.org/i[...]
[83] 서적 The Geography of Genocid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4] 웹사이트 Judgement https://www.un.org/i[...] UN 2013-01-13
[85]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s://www.un.org/i[...] UN 2013-01-07
[86] 웹사이트 Crimes in Stolac Municipality http://www.haverford[...]
[87] 웹사이트 Indictment https://www.un.org/i[...] UN 2013-01-07
[88] 웹사이트 The Yugoslav War – Boundless World History https://courses.lume[...] 2021-06-22
[89] 뉴스 Bosnian protests: A Balkan Spring? https://www.bbc.co.u[...] 2014-02-08
[90] 웹사이트 Građanski bunt u BiH http://www.klix.ba/g[...] 2014-02-08
[91] 뉴스 Protests Over Government and Economy Roil Bosnia https://www.nytimes.[...] 2014-02-08
[92] 뉴스 Bosnian Protesters Torch Government Buildings in Sarajevo, Tuzla http://www.rferl.org[...] 2014-02-08
[93] 뉴스 Bosnia–Hercegovina protests break out in violence https://www.bbc.co.u[...] 2014-02-08
[94] 뉴스 Bosnian protesters storm government buildings https://www.smh.com.[...] 2014-02-08
[95] 웹사이트 Bosnian Serb police drill seen as separatist 'provocation' https://apnews.com/a[...] 2021-11-02
[96] 웹사이트 Bosnia is in danger of breaking up, warns top international official https://www.theguard[...] 2021-11-02
[97] 뉴스 Bosnian leader stokes fears of Balkan breakup https://www.bbc.com/[...] 2021-11-03
[98] 웹사이트 Field Listing – Coastline https://www.cia.gov/[...] 2006-08-22
[99]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I: Introduction http://encarta.msn.c[...] 2009-02-12
[100] 서적 The A to Z of Bosnia and Herzegovina Rowman & Littlefield 2010
[101] 웹사이트 Bosnia-and-Herzegovina Neum https://www.britanni[...] 2015-09-09
[10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ccbh.ba/p[...] 2015-03-06
[103] 간행물 Watershed Management in Mountain Regions in Bosnia and Herzegovina ftp://ftp.fao.org/do[...] FAO 2011-06-16
[104]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05]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06] 서적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07]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Bosnia and Herzegovina https://fra-data.fao[...]
[108] 뉴스 Two visions for Bosnia https://www.economis[...] 2011-04-13
[109] 뉴스 Carlos Westendorp, Bosnia's Euro-Spanish viceroy https://www.economis[...] 1998-09-03
[110] 웹사이트 Interview: Christian Schwarz-Schilling, High Representative for BiH: "The Last Bosnian Viceroy" http://www.ohr.int/i[...] 2006-03-31
[111] 서적 A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Genocide: Portraits of Evil and Good https://books.google[...]
[112] 웹사이트 Parliamentarism in Bosnia and Herzegovina during the period 1945 – 1990 https://www.parlamen[...]
[113] 간행물 Open and transparent budget process in Western Balkan countries http://www.ccbh.ba/p[...] MPRA Paper No. 76299
[114] 서적 Illiberal Politics in Southeast Europe
[115] 서적 Bosnia after Dayton. Nationalist Partition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16] 웹사이트 Final hearing of the Arbitration Tribunal in Vienna http://www.ohr.int/o[...] OHR 1998-02-03
[117] 학술지 Ethnic but Equal: The Quest for a New Democratic Order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jstor.or[...] Columbia Law Review Association, Inc.
[118] 웹사이트 Division of Powers – Bosnia-Herzegovina https://portal.cor.e[...]
[119]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2016: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120]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ourt of Bosnia and Herzegovina, Organization http://www.ccbh.ba/o[...]
[121] 웹사이트 The Contradictions of "Democracy" without Consent, East European Constitutional Review, New York University Law School, 1998 http://www1.law.nyu.[...]
[122] 웹사이트 Bosnia-Herzegovina: NATO Aims To Merge Rival Armies Into Single Bosnian Force https://www.rferl.or[...] 2005-08-18
[123] 웹사이트 Opinion: Nikola Radovanović: Bosnian Defence Minister, 01-Oct.-2004 http://www.nato.int/[...] 2004-03-15
[124] 웹사이트 The Armed Forces of Bosnia and Herzegovina and the Role of NATO https://europeanwest[...] 2017-01-20
[125] 웹사이트 MINISTARSTVO ODBRANE I ORUŽANE SNAGE BOSNE I HERCEGOVINE MINISTARSTVO ODB http://www.mod.gov.b[...] 2016-03-04
[126] 웹사이트 2021 Bosnia and Herzegovina Military Strength https://www.globalfi[...]
[127] 웹사이트 Topic: Relations with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nato.int/[...] 2015-06-23
[128] 뉴스 Bosnia breaks through ethnic divide by merging Serb, Muslim-Croat forces http://www.stripes.c[...] 2006-01-11
[129]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Enlargement – Bosnia and Herzegovina – Relations with the EU http://ec.europa.eu/[...]
[130]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Doing Business for Everyone Guide – Practical Information and Contact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USA
[131] 뉴스 Bosnia gets Nato membership plan http://news.bbc.co.u[...] 2010-04-22
[132] 웹사이트 NATO Approves Membership Action Plan for Bosnia https://balkaninsigh[...] 2018-12-05
[133] 웹사이트 2024 Global Peace Index https://www.economic[...]
[134]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Data https://data.worldba[...]
[135] 뉴스 Hopes Fade For Census in Bosnia in 2011 http://www.balkanins[...] 2011-02-03
[136] 웹사이트 Bosnia Edges Closer To Population Census http://www.balkanins[...] 2011-08-01
[137] 뉴스 Bosnia Erupts In Feuding Over New Census Data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2016-06-30
[138] 뉴스 Second Class Citizens: Discrimination against Roma, Jews, and Other National Minorities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2-04-04
[139] 뉴스 Census Reveals Bosnia's Changed Demography http://www.balkanins[...] 2016-06-30
[140] 뉴스 Bosnia to Publish Census Without Serb Agreement http://www.balkanins[...] 2016-06-30
[141] 뉴스 Bosnia–Herzegovina has lost a fifth of its pre-war population https://www.theguard[...] 2016-07-11
[142] 논문 Language rights and language justice in the constitutions of the world https://pdfs.semanti[...] 2004
[143] 서적 Rights Before Courts: A Study of Constitutional Courts in Postcommunist Stat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archive.org/[...] Springer 2005
[144] 서적 Languages at War: Policies and Practices of Language Contacts in Conflict Palgrave Macmillan 2012
[145] 서적 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46] 서적 Interpreting the Peace: Peace Operations, Conflict and Language in Bosnia–Herzegovina Palgrave Macmillan 2013
[147] 웹사이트 Reservations and Declarations for Treaty No.148 –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www.coe.int/e[...] 2017-04-25
[148] 웹사이트 Deutsche Minderheit in Bosnien-Herzegowina – German minority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agdm.fuen.org[...]
[149] 웹사이트 The World's Muslims: Unity and Diversit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6-04-07
[150] pdf Final results http://www.popis.gov[...] Popis 2013 BiH 2017-12-19
[151] 웹사이트 Census results http://www.popis.gov[...] 2021-06-22
[152]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12
[153] 웹사이트 Presuda Karadžiću: Materijalna šteta u ratu u BiH 200 milijardi eura http://balkans.aljaz[...] 2019-03-22
[154] 웹사이트 Euro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in2013do[...]
[155] 웹사이트 A Divided Bosnia, January 29, 1996 http://www.scc.rutge[...] 2016-02-12
[156] 서적 Bosnia Maggioli 1997
[157] 웹사이트 Post-conflict Bosnia and Herzegovina – Martha Walsh – Employment Sector http://www.ilo.org/p[...] ILO 2009-05-05
[158] 간행물 CIA World Factbook
[159] 웹사이트 Table 15: Inequality in income or expenditure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6
[160] 웹사이트 GDP per capita in PPS http://epp.eurostat.[...] Eurostat 2011-10-01
[161] 웹사이트 IMF To Loan Bosnia $500 Million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3-03-26
[162] 웹사이트 Siva ekonomija čini 25 posto BDP-a BiH http://ba.n1info.com[...] 2018-05-24
[163] 웹사이트 BiH povećala izvoz u 2017. godini: Evo koje države najviše uvoze naše proizvode – Kameleon M&M https://radiokameleo[...] 2018-02-17
[164] 웹사이트 Izvoz u prošloj godini premašio 11 milijardi KM i povećan za 17 posto https://www.klix.ba/[...] 2018-03-31
[165] 웹사이트 Nezaposlenost prvi put ide ispod 20 posto – Biznis Info http://www.biznisinf[...] 2018-03-16
[166] 웹사이트 Javni dug BiH prošle godine smanjen za 744,59 miliona KM https://www.klix.ba/[...] 2018-05-05
[167] 웹사이트 Više od 30.000 bh. kompanija ostvarilo ukupni prihod od 65 milijardi KM https://www.klix.ba/[...] 2018-07-02
[168] 웹사이트 U 2017. u BiH investirano 777,7 miliona KM – Biznis Info https://www.biznisin[...] 2018-08-10
[169] 웹사이트 Global Location Trends https://public.dhe.i[...] 2018-09-11
[170] 웹사이트 Američki IBM: BiH treća u svijetu po stranim investicijama, prema broju stanovnika – Biznis Info https://www.biznisin[...] 2018-09-11
[171] 웹사이트 Izvoz iz BiH u EU povećan za više od deset posto https://www.biznisin[...] 2019-03-23
[172] 웹사이트 Prosječna cijena prodatih novih stanova u BiH 1.639 KM https://www.klix.ba/[...] 2018-08-22
[173] 웹사이트 Javni dug BiH oko 11,8 milijardi KM http://www.6yka.com/[...] 2018-11-06
[174] 웹사이트 U sedam mjeseci BiH posjetilo više od 800.000 turista – Biznis Info https://www.biznisin[...] 2018-09-11
[175] 웹사이트 Za 10 godina broj turista u BiH porastao za 810 hiljada, a noćenja za 1,56 miliona https://www.klix.ba/[...] 2019-01-18
[176] 웹사이트 Za sedam mjeseci u BiH više od 900 hiljada turista, ostvareno 1,8 miliona noćenja https://www.klix.ba/[...] 2019-09-17
[177] 웹사이트 Ovo su najveće akvizicije u BiH (Sa cijenama) https://www.biznisin[...] 2019-01-31
[178] 웹사이트 Računar u poslovanju koristi 99,5 posto firmi u BiH, a internet 99,3 posto https://www.klix.ba/[...] 2019-03-09
[179] 웹사이트 CBBiH: Priliv direktnih stranih investicija u 2018. godini 783,4 miliona KM http://biznis.ba/cbb[...] 2019-08-19
[180] 웹사이트 Prošlogodišnja dobit Centralne banke BiH 8,4 miliona KM https://www.klix.ba/[...] 2019-04-09
[181] 웹사이트 Svjetska banka potvrdila prognozu rasta BiH od 3,4 posto u ovoj godini https://www.klix.ba/[...] 2019-01-10
[182] 웹사이트 Objavljen indeks ekonomskih sloboda: Blagi napredak Bosne i Hercegovine https://www.klix.ba/[...] 2019-01-30
[183] 웹사이트 Građani uštedjeli milijardu KM za 12 mjeseci https://www.biznisin[...] 2019-03-26
[184] 웹사이트 Prosječna cijena prodatih novih stanova 1.606 KM po kvadratu https://www.klix.ba/[...] 2019-08-21
[185] 웹사이트 Smanjen izvoz iz BiH u prvoj polovini 2019. https://www.biznisin[...] 2019-07-23
[186] 웹사이트 Pojačan priliv direktnih stranih investicija https://www.biznisin[...] 2019-10-08
[187]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2024-10-06
[188] 웹사이트 Na bh. cestama više od 1,3 miliona registrovanih motornih vozila https://www.klix.ba/[...]
[189] 웹사이트 Traveloholic Tours http://traveloholic.[...] 2021-08-02
[190] 웹사이트 20 Facts About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travelta[...] 2021-08-02
[191] 웹사이트 BiH: U 2017. ostvareno 1,3 miliona turističkih posjeta i 2,6 miliona noćenja http://ba.n1info.com[...] 2018-02-17
[192] 웹사이트 U 2018. Godini BiH posjetilo više od 1,4 miliona turista | N1 BA http://ba.n1info.com[...] 2019-03-23
[193] 웹사이트 Lonely Planet: Sarajevo 43th Best City in the World http://www.bosniatra[...] Bosnia Travel
[194] 웹사이트 Press Centre & Lonely Planet Reveals Its Best Destinations, Journeys & Experiences for 2010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1-01-04
[195] 웹사이트 The Best City To Visit Travel Tournament 2012: Championship http://foxnomad.com/[...] Foxnomad 2012-03-30
[196] 웹사이트 RomeReports: Visionaries of Medjugorje may appear before the Vatican http://www.romerepor[...] 2011-02-26
[197] 웹사이트 Vatican Probes Claims of Apparitions at Medugorje https://www.reuters.[...] 2010-03-17
[198] 웹사이트 Pope authorizes pilgrimages to Medjugorje https://www.vaticann[...] 2021-08-02
[199] 이미지 http://adventure.nat[...]
[200] 웹사이트 Bosnia's newfound tourism – Travel – Reuters http://features.us.r[...] 2021-08-11
[201] 웹사이트 top 6 rivers for rafting https://getbybus.com[...] 2021-08-11
[202] 웹사이트 World Rafting Championship History https://www.internat[...] 2021-08-11
[203] 웹사이트 Can sport help Bosnia forget the past? https://www.reuters.[...] 2021-08-11
[204] 웹사이트 The Magnificent Tara River Canyon https://www.taraspor[...] 2021-08-11
[205] 웹사이트 The grand canyons of Europe https://www.telegrap[...] 2021-08-11
[206] 뉴스 13 Greatest Adventures For 2013 https://www.huffingt[...] 2013-01-11
[207] 웹사이트 EAD Basic – Error Page http://www.ead.euroc[...] 2016-02-12
[208] 웹사이트 Bosnia–Herzegovina – Telecoms Market Overview & Statistics Report Covers the Regulatory Environment, Major Players and Market Developments http://www.businessw[...] Businesswire.com 2009-01-03
[209] 웹사이트 What is Happening with the Oldest Bosnian-Herzegovinian Daily: Oslobođenje to be sold for 4.7 Million Marks http://www.mediaonli[...] 2002-05-03
[210] 뉴스 Al Jazeera Launches Its Balkans Broadcast Centre https://www.theguard[...] 2016-12-14
[211] 웹사이트 Growing Influence of Global Media in Balkans http://www.media.ba/[...] 2016-07-14
[212] 웹사이트 2021 Press Freedom Index https://rsf.org/en/r[...] Reporters Without Borders
[213] 웹사이트 Stopa korištenosti interneta u BiH za 2021. Godinu 95,55% https://bljesak.info[...]
[214] 웹사이트 University of Sarajevo http://www.sarajevo.[...]
[215] 웹사이트 About University http://unsa.ba/eng/o[...] University of Sarajevo
[216] 웹사이트 Education System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euroeduca[...]
[217] 문서 Hozić, 2008; Thompson & De Luce, 2002; Kurspahić, 2003; Jusić, 2006
[218]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http://ejc.net/media[...]
[219] 웹사이트 Home Festival Awards & Juries: International Jury "Prizes of the International Jury https://www.berlinal[...] 2016
[220] 백과사전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britanni[...] 2009
[221]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Macropædia : Knowledge in depth https://books.google[...] 2002-08-11
[222] 서적 Countries and Their Cultures: Saint Kitts and Nevis to Zimbabwe https://books.google[...] Macmillan Reference USA
[223] 웹사이트 Serbian cuisine https://www.travelse[...] TravelSerbia.Info – Your travel guide for Serbia
[224] 뉴스 Coffee: Who grows, drinks and pays the most? https://www.bbc.com/[...] 2018-04-13
[225] 웹사이트 800 metres men IAAF World Athletics Championships, Doha 2019 – Results https://www.iaaf.org[...] 2019-10-01
[226] 웹사이트 Ring zamijenio nalivperom http://www.nezavisne[...] Nezavisne novine 2005-06-12
[227] 웹사이트 Nikolić and Müller take scorer honours https://www.uefa.com[...] 2014-05-22
[228] 웹사이트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の最高権力者は外国人 https://www.asahi.co[...]
[229]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14 http://www.imf.org/e[...] IMF 2014-10
[230]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国際金融情報センター -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 http://www.jcif.or.j[...] 2012-05-15
[231] 웹사이트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32] 웹사이트 ボスニア 分断の現在地(中)「政治はビジネス」募る不信/国家元首 3民族の輪番制 https://www.asahi.co[...]
[233] 서적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ヴィナ:特殊な地域 柴・山崎編著『ボスニア・ヘルツェゴヴィナを知るための60章』
[234]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1993
[235] 서적 Essays on the Latin Orient https://books.google[...] 1921
[236] 서적 ヘルツェゴヴィナ:その歴史と地理 柴・山崎編著『ボスニア・ヘルツェゴヴィナを知るための60章』
[237] 웹사이트 Facts, Geography, History, & Maps https://www.britanni[...]
[238] 웹사이트 ボスニア 分断の現在地/バレンティン・インツコ上級代表に聞く「行革・法支配の確立 最後の機会」 https://www.asahi.co[...]
[239] 문서 本来は半年前に実施予定だったが、民族に関する質問方法をめぐって意見がまとまらなかった経緯がある。
[240] 문서 これまでは、独立前の1991年に旧ユーゴスラビア時代に行われた国勢調査を基に配分されていた。
[241] 뉴스 ボスニア:紛争後初の国勢調査 「民族色分け」で揺れる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3-10-15
[242] 뉴스 「民族色分け」に揺れる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13-10-22
[243] 뉴스 EKSKLUZIVNO O REZULTATIMA POPISA: Bošnjaci 54%, Hrvati 11,5%, Srbi 32,5%, Ostali 2%? http://doznajemo.com[...] 2013-10-30
[244] 웹사이트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における調査(平成22年度ODA調査資料) https://www.sangiin.[...] 参議院
[245] 웹사이트 ボスニア 分断の現在地(下)民族ごとの政治 問い直す動き/直轄行政区 25歳の議員誕生 https://www.asahi.co[...]
[246] 문서
[247] 뉴스 EUがボスニアの加盟申請受理、長い道のりに一歩 https://jp.reuters.c[...] 2016-09-20
[248] 문서
[249] 웹사이트 内閣府による県民経済計算 https://www.esri.cao[...] 2022-03-25
[250] 웹사이트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251] 간행물 旧ユーゴスラヴィア諸国における祝日・記念日の変遷と特徴 https://atomi.repo.n[...] 2022
[252] 웹사이트 ZAKON O BLAGDANIMA I NERADNIM DANIMA U ŽUPANIJI ZAPADNOHERCEGOVAČKOJ http://uip-zzh.com/u[...] 2024-06-29
[253] 서적 State or Nation? The Challenges of Political Transi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academia[...] 2011
[254] 웹사이트 NATIONAL HOLIDAYS https://www.protokol[...] Republic Protocol 2024-06-29
[255] 웹사이트 Усвојен закључак о обиљежавању Дана српског јединства https://lat.rtrs.tv/[...] 2024-06-29
[256] 웹사이트 SAMURAI BLUE(日本代表) ヴァイッド・ハリルホジッチ監督との契約を解除 http://www.jfa.jp/ne[...] 日本サッカー協会 2018-04-09
[257] 웹사이트 日本代表・オシム監督、脳梗塞で倒れる http://www.yomiuri.c[...]
[258] 문서
[259] 문서
[260] 문서
[261] 문서
[262] 문서
[263] 문서
[264] 웹사이트 Field Listing – Coastline https://www.cia.gov/[...] 2006-08-22
[265]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I: Introduction http://encarta.msn.c[...] 2006
[266] 웹인용 Human Development Indices and Indicators: 2018 Statistical Update http://hdr.undp.org/[...] UNDP 2018-09-16
[267] 웹인용 International tourism, number of arrivals – Bosnia and Herzegovin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0-11-14
[268] 웹인용 List of Member States of the Union for the Mediterranean – UfM http://ufmsecretaria[...] 2018-05-05
[269] 웹인용 Membership Action Plan (MAP) https://web.archive.[...] NATO 2015-04-06
[270] 서적 De Administrando Imperio Dumbarton Oaks Center for Byzantine Studies 1993
[271] 서적 Essays on the Latin Ori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1
[272] 웹사이트 Facts, Geography, History, & Maps https://www.britanni[...] 2021-06-21
[273] 서적 The World Factbook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3
[274] 문서
[275] 문서
[276] 문서
[27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