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파르티잔 세력이 수립한 국가이다. 1943년 야이체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 반파시스트 인민해방위원회(AVNOJ) 회의를 통해 건국되었으며, 민주적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평등한 국민들의 국가를 표방했다. 1944년 2월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라는 명칭을 공식 채택하고, 티토가 원수 계급을 받아 정부 수반 및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1945년 11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슬라브족이여
    슬라브족이여는 범슬라브주의 고취를 위해 1834년 사모 토마시크가 작사한 노래로, 슬로바키아 민족 국가이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가였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어떤 주권국의 공식 국가로도 사용되지 않는다.
  • 1943년 설립 - 펜타곤
    펜타곤은 미국 국방부의 본부 건물로, 세계 최대의 오각형 건물이며 9·11 테러 당시 아메리칸 항공 77편이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펜타곤 추모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1943년 설립 - 조선문인보국회
    조선문인보국회는 일제강점기 말, 태평양 전쟁 지원과 국민총력 운동에 문학을 결합할 목적으로 결성되어 일제의 침략 전쟁을 지원하고 식민 통치를 선전하는 활동을 펼친 친일 문학 단체로, 일제 패망과 함께 해체되었다.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1943–1946)
국기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의 문장
상징
공용 명칭유고슬라비아
정식 명칭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
시대제2차 세계 대전
존속 기간1943년 ~ 1945년
정부 형태연방 임시 정부
상태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주도 정부
수도베오그라드
최대 도시수도
국가슬라브족이여
공용어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공용 문자키릴 문자
라틴 문자
통화다양한 통화 사용
면적255,804 km2
전화 코드38
시간대중앙 유럽 표준시 (CET)
차량 통행 방향우측 통행
정치
정치 체제연방 임시 정부 (1943년 ~ 1945년)
입헌군주제 (1943년 ~ 1945년, 명목상)
지도자 직함AVNOJ 상임위원회 의장
지도자이반 리바르
국가 대표 직함국왕
국가 대표페타르 2세
총리 직함총리
총리요시프 브로즈 티토
의회임시 국회
역사
주요 사건AVNOJ 2차 회의 (1943년 11월 29일)
티토-슈바시치 협정 (1944년 6월 16일)
임시 정부 구성 (1945년 3월 7일)
유엔 가입 (1945년 10월 24일)
선거 (1945년 11월 11일)
군주제 폐지 (1945년 11월 29일)
이전 국가크로아티아 독립국
세르비아 군정청
:en:German–occupied territory of Montenegro독일의 몬테네그로 점령
불가리아 왕국
이탈리아 사회주의 공화국
나치 독일
헝가리 왕국 (1920년~1946년)헝가리 왕국
:en:German occupation of Albania알바니아 왕국
:en:Yugoslav government-in-exile유고슬라비아 망명정부
계승 국가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통화
통화 (1943년 ~ 1944년)세르비아 디나르
NDH 쿠나
불가리아 레프
이탈리아 리라
라이히스마르크
통화 (1944년 ~ 1945년)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지도
1945년 파리 조약 이전의 유고슬라비아 민주연방
1945년 파리 조약 이전의 유고슬라비아 민주연방

2. 역사

1943년 11월 야이체에서 열린 제2차 AVNOJ 회의에서 유고슬라비아는 평등한 국민들의 국가로서 민주적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수립된다고 선언되었다.[4] 또한 망명 정부의 모든 권한을 박탈하고, 망명 정부가 체결한 국제 조약 및 의무를 무효화하거나 재검토하며, 향후 체결할 조약은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4]

1944년 2월 17일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같은 날 다섯 개의 횃불이 그려진 유고슬라비아 문장을 채택했다.[5]

1945년 11월 29일, 페터 2세 국왕이 폐위된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2. 1. 건국 배경

1943년 11월 29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야이체에서 유고슬라비아 반파시스트 인민해방위원회(AVNOJ) 제2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의 건국이 선언되었다.[4]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고슬라비아 국민해방반파시스트평의회(AVNOJ)는 유고슬라비아의 최고 입법 및 행정 대표 기구이자, 유고슬라비아 전체 국민 주권의 최고 대표 기관으로 구성된다. 유고슬라비아 국민해방위원회(NKOJ)는 국가 정부의 모든 기능을 갖춘 기관으로 설립되어 AVNOJ의 행정 기능을 수행한다.
  • 망명 정부는 유고슬라비아의 합법 정부로서의 모든 권리, 특히 유고슬라비아 국민을 어디에서든 대표할 권리를 박탈당한다.
  • 망명 정부가 해외에서 유고슬라비아 명의로 체결한 모든 국제 조약 및 의무는 무효화, 갱신 또는 승인을 목적으로 검토되며, 망명 정부가 향후 해외에서 체결할 모든 국제 조약 및 의무는 인정받지 못한다.
  • 유고슬라비아는 평등한 국민들의 국가로서 민주적 연방주의 원칙에 따라 수립된다.


AVNOJ는 여섯 개의 법령을 발표했고, 회의가 열리지 않을 때도 기능을 계속 수행한 AVNOJ 의장단은 네 가지 결정을 내렸다. 이것들은 유고슬라비아에서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국가의 헌법을 구성했다. 11월 30일, 의장단은 티토에게 유고슬라비아 원수 계급을 부여하고 그를 정부 수반(또는 총리 대행) 및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세 명의 부수상과 13명의 장관이 NKOJ에 임명되었다.[4]

1944년 2월 17일,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같은 날 다섯 개의 횃불이 그려진 유고슬라비아 문장을 채택했다.[5]

2. 2. 임시 정부 수립과 운영

1943년 11월 야이체에서 열린 제2차 AVNOJ 회의에서 티토는 유고슬라비아 원수 계급을 받고 총리 대행 겸 국방장관에 임명되었다.[4] 1944년 2월 17일,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라는 명칭이 공식 채택되었다.[5]

1944년 11월 이후 임시 의회가 입법 기능을 수행했다.[6] 1944년 티토-슈바시치 협정은 민주적 자유, 개인의 자유,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다원주의적 민주주의 국가를 선언했다.[7] 그러나 1945년 1월, 티토는 다당제가 불필요한 분열을 초래한다고 주장하며 인민전선을 중심으로 한 단일 정치 세력을 강조했다.[7]

유고슬라비아 공산당과 총서기이자 원수인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인민전선 연합은 정부 내 핵심 세력이었다. 밀리보예 마르코비치가 대표하는 "나프레드" 운동도 정부에 참여했다.[6]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통일 국가 해방 전선 구성원들과 구 유고슬라비아 왕국 출신 정당 일부로 구성된 임시 정부가 통치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정부 수반이었고, 공산당은 재무, 내무, 사법, 교통 등 22개 장관직을 차지했다. 크로아티아 농민당 출신 이반 슈바시치는 외무장관, 민주당 출신 밀란 그롤은 부총리를 맡았다. 그러나 새로운 정책에 대한 이견으로 많은 비공산당원들이 사임했다.[8]

3. 정치

1944년 11월 이후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의 입법부는 임시 의회였다.[6] 1944년 티토-슈바시치 협정에 따라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민주적 자유, 개인의 자유,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다원주의적 민주주의 국가로 선언되었다.[7] 그러나 1945년 1월,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다원주의 민주주의 대신 인민전선이 모든 유고슬라비아 국민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며, 여러 정당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전쟁 중 여러 정당이 불필요하게 분열을 일으킨다고 주장했다.[7] 유고슬라비아 공산당과 총서기이자 원수인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인민전선 연합은 정부 내 주요 세력이었다. 정부에 참여한 다른 정치 운동으로는 밀리보예 마르코비치가 대표하는 "나프레드" 운동이 있었다.[6]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통일 국가 해방 전선 구성원들과 구 유고슬라비아 왕국 출신 정당 인사들로 구성된 임시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다. 정부 수반은 요시프 브로즈 티토였으며, 공산당은 재무, 내무, 사법, 교통 등 22개 장관직을 차지하며 권력을 독점했다. 크로아티아 농민당 출신이자 전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바누인 이반 슈바시치는 외무장관을, 민주당 출신 밀란 그롤은 부총리를 맡았으나, 이들은 티토의 새로운 정책에 반발하여 사임했다.[8]

4. 행정 구역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었다.[1]

1945년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행정구역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연방 공화국
크로아티아 연방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공화국
슬로베니아 연방 공화국
몬테네그로 연방 공화국
마케도니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연방 공화국 내에는 2개의 자치구가 있었다.

자치구
보이보디나 자치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4. 1. 연방 공화국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었다.[1]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연방 공화국
크로아티아 연방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공화국
슬로베니아 연방 공화국
몬테네그로 연방 공화국
마케도니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연방 공화국 내에는 2개의 자치구가 있었다.

자치구
보이보디나 자치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4. 2. 자치주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1]

  • 세르비아 연방 공화국
  • * 보이보디나 자치주
  • *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 크로아티아 연방 공화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공화국
  • 슬로베니아 연방 공화국
  • 몬테네그로 연방 공화국
  • 마케도니아 연방 공화국

참조

[1] 문서 These were the languages specified for the Emblem of Yugoslavia on 17 February 1944.
[2]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Palgrave Macmillan
[3] 서적 Tito, Mihailović, and the allies, 1941-1945 Duk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The Central Government of Yugoslavia
[5] 서적 The Bosnian Muslims in the Second World War: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Party pluralism or monism: social movements and the political system in Yugoslavia, 1944-1949 East European Monographs
[7]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8] 학술지 PRVA DECENIJA TITOVE JUGOSLAVIJE http://adattar.vmmi.[...]
[9] 문서 These were the languages specified for the Emblem of Yugoslavia on 17 February 1944.
[10]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Palgrave Macmillan
[11] 서적 Europe from the Balkans to the Urals: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SIPRI 2020-10-15
[12]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2020-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