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아보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아보무는 라틴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는 인공 언어이다. 로마자를 음절 문자로 사용하며, 각 문자는 자음과 단모음의 결합을 나타낸다. 문법은 SVO 어순을 따르며, 관사나 조동사는 사용하지 않는다. 어휘는 오카모토 후이시키의 독자적인 분류 체계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명사, 동사, 보어, 대명사 등 각 품사에 따라 단어의 구조와 규칙이 정해져 있다. 수사는 아라비아 숫자 또는 라틴 문자에 분음 부호를 붙여 표현하며, 서수는 접미사 -r을 사용하여 만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보아보무
일반 정보
깃발
국기
이름Babm
발음보아보무
창시자오카모토 리키치(후이시키)
창작 시기1962년
목적국제 보조어
어족인공어
언어 유형국제 보조어
선험어
언어 코드
ISO 639-3없음
Glottolog없음
IETFart-x-babm

2. 문자 및 발음

보아보무는 로마자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로마자는 알파벳이 아닌 음절 문자로서, 각 문자는 자음과 단모음의 결합을 나타낸다.[1] 모든 보아보무 자음은 특정 단모음 뒤에 와야 하며, /k/는 어떤 모음이든 올 수 있다. 명사에 붙은 모음은 기본적으로 단모음이고, 명사에 붙지 않은 모음은 장모음이지만 모음 길이는 수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어는 기본적으로 CV(자음+모음) 구조를 가지며, 일부 모음 결합은 있지만 자음 결합은 없다.[1]

2. 1. 문자 목록

다음은 보아보무에서 사용되는 로마자와 그 발음을 나타낸 표이다.

로마자 발음
abcde
fghij
klmno
pqrst
uvwxy
z



모음은 장음자(長音字)라고 하여 모두 길게 발음하고, 자음은 단음자(短音字)라고 하여 짧게 발음한다.[1]

보아보무는 26개의 문자로 된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알파벳의 각 문자는 해당 문자와 단모음을 나타낸다. 쓰여진 모음은 장모음을 나타낸다.[1] 자음과 모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자음 목록
rowspan="2" |colspan="3" rowspan="2" |⟨B b⟩rowspan="2" |
/bo/
rowspan="2" |rowspan="2" |⟨D d⟩colspan="3" rowspan="2" |
/de/
rowspan="2" |colspan="4" rowspan="2" |⟨F f⟩
/fu/
rowspan="2" |⟨G g⟩colspan="4" rowspan="2" |
/ga/
rowspan="2" |⟨H h⟩colspan="4" rowspan="2" |
/ha/
rowspan="2" |colspan="4" rowspan="2" |⟨Y y⟩
/ju/
rowspan="2" |rowspan="2" |⟨K k⟩⟨X x⟩⟨C c⟩⟨Q q⟩
/ke//ki//ko//ku/
rowspan="2" |rowspan="2" |⟨L l⟩colspan="3" rowspan="2" |
/le/
rowspan="2" |colspan="4" rowspan="2" |⟨M m⟩
/mu/
rowspan="2" |⟨N n⟩colspan="4" rowspan="2" |
/na/
rowspan="2" |rowspan="2" |⟨P p⟩colspan="3" rowspan="2" |
/pe/
rowspan="2" |⟨R r⟩colspan="4" rowspan="2" |
/ra/
rowspan="2" |rowspan="2" |⟨S s⟩colspan="3" rowspan="2" |
/se/
rowspan="2" |colspan="3" rowspan="2" |⟨T t⟩rowspan="2" |
/to/
rowspan="2" |colspan="2" rowspan="2" |⟨V v⟩colspan="2" rowspan="2" |
/vi/
rowspan="2" |⟨W w⟩colspan="4" rowspan="2" |
/wa/
rowspan="2" |colspan="2" rowspan="2" |⟨J j⟩⟨Z z⟩rowspan="2" |
/zi//zo/



모음 목록
⟨A a⟩⟨E e⟩⟨I i⟩⟨O o⟩⟨U u⟩


2. 2. 발음 규칙

모음은 장음자(長音字)라고 하여 모두 길게 발음하고, 자음은 단음자(短音字)라고 하여 짧게 발음한다.[1]

예:Babm 보아:보무

명사에 붙은 모음은 기본적으로 단모음이고, 명사에 붙지 않은 모음은 장모음이지만 모음 길이는 수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어는 기본적으로 CV(자음+모음) 구조를 가지며, 일부 모음 결합은 있지만 자음 결합은 없다.[1]

자음 목록
rowspan="2" |colspan="3" rowspan="2"⟨B b⟩rowspan="2"
/bo/
rowspan="2" |rowspan="2"⟨D d⟩colspan="3" rowspan="2"
/de/
rowspan="2" |colspan="4" rowspan="2"⟨F f⟩
/fu/
rowspan="2" |⟨G g⟩colspan="4" rowspan="2"
/ga/
rowspan="2" |⟨H h⟩colspan="4" rowspan="2"
/ha/
rowspan="2" |colspan="4" rowspan="2"⟨Y y⟩
/ju/
rowspan="2" |rowspan="2"⟨K k⟩⟨X x⟩⟨C c⟩⟨Q q⟩
/ke//ki//ko//ku/
rowspan="2" |rowspan="2"⟨L l⟩colspan="3" rowspan="2"
/le/
rowspan="2" |colspan="4" rowspan="2"⟨M m⟩
/mu/
rowspan="2" |⟨N n⟩colspan="4" rowspan="2"
/na/
rowspan="2" |rowspan="2"⟨P p⟩colspan="3" rowspan="2"
/pe/
rowspan="2" |⟨R r⟩colspan="4" rowspan="2"
/ra/
rowspan="2" |rowspan="2"⟨S s⟩colspan="3" rowspan="2"
/se/
rowspan="2" |colspan="3" rowspan="2"⟨T t⟩rowspan="2"
/to/
rowspan="2" |colspan="2" rowspan="2"⟨V v⟩colspan="2" rowspan="2"
/vi/
rowspan="2" |⟨W w⟩colspan="4" rowspan="2"
/wa/
rowspan="2" |colspan="2" rowspan="2"⟨J j⟩⟨Z z⟩rowspan="2"
/zi//zo/



모음 목록
⟨A a⟩⟨E e⟩⟨I i⟩⟨O o⟩⟨U u⟩



a, e, i, o, u는 길게 발음하므로 '''장음자'''라고 부르고, 다른 문자는 짧게 발음하므로 '''단음자'''라고 부른다.

abcde
fghij
klmno
pqrst
uvwxy
z



「'''x'''」는 크사행이 아니므로 주의.

3. 문법

보아보무는 문법 규칙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오카모토는 "문장에는 많은 작문 규칙이 없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1] 이 언어는 어느 정도 고립어굴절을 보인다. 복잡한 구조의 문장에서는 "전치사 접속사"를 통해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오카모토가 "집행 보어"라고 칭하는 일련의 보조적 요소가 있는데,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사를 수식하며, 접미사 또는 동사 앞에 오는 별도의 단어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1]

3. 1. 어순

기본 어순은 SVO이며, 문법 수식어는 수식하는 요소 앞에 위치한다.[1] 보충어(형용사 및 부사) 등의 수식어는 전치사를 가지며 한문의 문법과 유사하게 앞에 위치한다.

  • cmo bpeb cgedw gof op djoh. (大 鳥 荒 飛 於 空) 큰 새가 하늘에서 거칠게 난다.


영어에서는 부자연스러운 SOVO나 SCVO 어순도 보인다.

  • Pabjt vew laijip pigm. (선생님 저에게 설명했다 이론) 선생님은 저에게 이론을 설명했다.
  • Ribt cmo dek hojm. (주부 크게 하다 옷) 주부는 옷을 크게 한다.


관계절이 앞의 단어를 수식하는지, 뒤에서 수식하는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 Y habip op cmo hdat, Ired V widir. (너 살았다 於 큰 집, →그것 내가 살 것이다) 네가 살았던 큰 집을 내가 살 것이다.
  • Qwt pegip ce hatj, Ired Y pajipio? (누가 썼다 그 책, ←그것 너 읽고 있었다) 네가 읽고 있던 그 책은 누가 썼는가?


계사 문에 관해서는, "이다"를 나타내는 접미사 -o를 사용한 SC 어순과, 계사 동사 deb를 사용한 SVC 어순이 있다.

  • Rces cuojio. (노예 자불유최시) 노예는 가장 자유롭지 못하다.
  • cojill deb cdid pjob. (자유최사 是 영원한 이상) 최대의 자유는 영원한 이상이다.

3. 2. 품사

보아보무의 품사는 명사, 동사, 보어(형용사, 부사), 대명사, 전치 접속사, 감탄사 등으로 나뉜다.

3. 2. 1. 명사

일반적으로 명사는 4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명사는 의미를 나타내는 초기 단음절 문자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길게 발음되고 강세를 받는 장음절 문자가 뒤따른다. 세 번째 문자는 일반적으로 단음절이며, 의미에 따라 나뉘는 명사의 종류를 나타내지만, 장음절일 수도 있다. 마지막 문자 또한 단음절이며, 명사를 특정한다. 명사가 중간에 두 개의 장음절 문자를 가지는 경우, 첫 번째 문자에 강세가 주어진다. 고유 명사도 이러한 지침을 따라야 하지만, 단어 앞이나 뒤에 장음절 또는 단음절 문자가 하나 추가될 수 있다. 'c, lr,' 및 'qw'는 명사 시작 문자로 허용되지 않으며, 명사의 끝에서는 'l'과 'w'가 사용되지 않는다.

예시 명사로는 및 가 있다.

3. 2. 2. 동사

동사는 3자 또는 4자로 구성된다. 의미를 나타내는 단모음으로 시작하고 단모음으로 끝난다. 중간에 장모음이 하나 또는 두 개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장모음과 마지막 단모음은 유사한 발음의 명사 대응어와 일치한다. 드물게 동사는 세 개의 장모음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장모음과 세 번째 장모음(있는 경우)은 강세로 발음되며 마지막 단모음은 약간 강하고 뚜렷하게 발음된다.

예시: ''bean''

3. 2. 3. 보어 (형용사, 부사)

보아보무의 보어는 세 글자 미만이며, 'c'로 시작한다.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할 때는 형용사, 다른 단어를 수식할 때는 부사이다. 부사임을 더 명확하게 만들기 위해 접미사 '-w'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보어는 일반적으로 단모음으로 끝나며, 마지막에 'l'과 'w'를 사용하지 않는다.

형용사부사


3. 2. 4. 대명사

대명사는 인칭 대명사, 비인칭 대명사, 관계 대명사, 의문 대명사의 네 종류로 나뉜다.

인칭 및 비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1인칭2인칭3인칭비인칭
Y - 너 (단수)x - 그 또는 그녀z - 어떤 대상



관계 대명사는 ''lr''을 기반으로 하며, 의문 대명사는 ''qw''를 기반으로 한다. 이 두 종류 모두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된다. 시작하는 짧은 소리 글자와 첫 번째 긴 소리 글자는 강세를 가지며, 다른 긴 소리 글자는 다소 강하고 뚜렷하게, 잠시 멈추어 발음한다.

3. 2. 5. 전치 접속사

전치 접속사는 문자 "a" 한 글자이다. 그것은 보통 단모음 문자 앞이나 뒤에 장모음 문자 한두 개가 오며, 단어, 절 또는 문장 앞에 올 수 있다.[1]

3. 2. 6. 감탄사

감탄사는 두 개의 길게 발음되는 문자로 구성되며, 중간이나 끝에 'w'가 추가될 수 있다.

3. 3. 접사

보아보무는 접두사접미사를 사용하여 명사, 동사, 보어, 대명사를 수정한다.

4. 어휘 구성

보아보무의 어휘는 기존 언어에서 차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분류 체계에 따라 구성되며, 예외는 있지만 도서 분류법과 유사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어휘 구성 방식은 17~18세기 유럽의 철학적 언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합리적으로 분류된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인간 사고의 명료화를 꾀한다는 철학적 의도가 담겨 있다. 오카모토 후이시키의 직업이 철학자이므로, 그가 만든 인공어가 이러한 유럽 사조의 영향을 받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 '''생물(B)'''
  • * '''동물에 관한 명사(bm, bn)'''
  • ** bmom 코끼리
  • ** bemd 참새(새-부류는 별도로 있지만 이것만 예외적으로 여기에 속해 있음)


이러한 어휘 조직법은 나중에 도서 분류 체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반면에 실제 입말로 쓰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체계적인 어휘 구성은 과학적일 수는 있지만, 말할 때는 비슷한 발음의 낱말을 너무 많이 만들어내게 되므로, 이것이 도리어 걸림돌로 작용했다. 또한 과학의 진보에 따라 그전까지 진리에 가까운 명제로 여겨졌던 것들이 계속 수정되어 갔기 때문에 어휘 체계가 반드시 자연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짜였다고 확신할 수 없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기존 자연 언어와 어떤 연결 고리도 없는 단어들을 외우는 것은 기억력에 상당한 부담을 주었다. 이 때문에 19세기 이후 인공어의 주류는 볼라퓌크에스페란토같이 이미 있는 자연어에서 익숙한 어휘를 빌려와 규칙적으로 재구성하는 유형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5. 수사

수사는 명사 또는 보충어 역할을 한다.

아라비아 숫자 또는 라틴 문자에 분음 부호가 붙은 것으로 나타낸다.

숫자표기숫자표기
0o 오10a 아
1b~ 보100o 오
2d~ 데10^3u 우
3f~ 푸10^6n¨ 나
4g~ 가10^9p¨ 페
5h~ 하
6j~ 지
7k~ 케
8l~ 루
9m~ 무



명수 체계는 서양식의 세 자리마다 끊어 읽는 방식 또는 알갱이 단위로 읽는다.


  • 3,219,876 (푸나・데오・보아무・루오・케아・지 / 푸・데・보・무・루・케・지)


서수는 접미사 -r을 붙여서 만든다.

  • b~r 첫째

6. 예시 문장

[5]

(저는 이 책을 읽고 있는데, 주요 학자가 바브무어로 매우 흥미롭게 작성했습니다.)[6]

(시간은 젊음을 늙게 만든다.)

참조

[1] 서적 Universal auxiliary language, Babm https://books.google[...] 2014-12-15
[2] 웹사이트 IAL Attempts https://web.archive.[...] 2005-11-29
[3] 서적 (The Simplest) Universal Auxiliary Language BABM Fuishiki Okamoto
[4] 웹사이트 à bas le ciel: BABM: Japan's (inspiring?) answer to Esperanto http://a-bas-le-ciel[...] A-bas-le-ciel.blogspot.ca 2012-05-05
[5] 서적 In the Land of Invented Languages Random House Digital
[6] 서적 op. cit. supra
[7]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