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천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천교는 강일순의 처남 차경석이 1910년 강일순 사후에 세운 종교이다. 차경석은 처음에는 강일순의 부인 고씨를 교주로 받들었으나, 이후 세력을 확장하여 1921년 보화교를 세우고 '시국'이라는 국호를 선포했으며, 1922년 보천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보천교는 60방주라는 조직을 통해 교세를 확장하여 한때 신도 수가 600만 명에 이르렀으나, 일제의 탄압과 내부 분열로 쇠퇴했다. 차경석 사후에는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으며, 1954년 분열로 인해 와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산 계통의 종교 - 증산도
증산도는 강증산을 상제로 숭배하며, 우주 이법이 변혁하는 시기에 인간으로 강세한 강증산이 제시한 새로운 삶의 길을 따르는 신앙 공동체로, 《도전》을 주요 경전으로 삼고 후천개벽, 원시반본 등의 핵심 이념을 강조하는 신종교이다. - 증산 계통의 종교 - 태극도 (종교)
조철제가 1948년 부산에서 창도한 태극도는 강증산으로부터 천명과 신교를 받았다는 조철제의 주장에 따라 일제강점기 해산된 무극대도를 재창도한 종교로, 교단 분란으로 대순진리회가 분리되었지만 감천동 본부를 중심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본부가 위치한 감천문화마을은 관광 명소가 되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보천교 |
---|
2. 역사
강일순 사후 그의 가르침을 따르는 여러 종교 단체가 생겨났다. 차경석은 초기에는 고씨를 교주로 받들었으나, 이후 독립하여 보천교를 세웠다. 보천교는 한때 신도 수가 600만에 달할 정도로 크게 성장했지만, 일제의 탄압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였다. 차경석 사후에는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고, 1954년에는 큰 충돌이 발생하여 신도들이 흩어졌다.
강일순의 부인 고판례는 선도교를 세웠으며, 이는 증산교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차경석이 보천교를 세우면서 증산교계는 여러 종파로 분열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종교로 탄압을 받았으나, 광복 이후 다시 여러 증산교단들이 생겨났다. 증산도는 보천교 신자였던 안운산이 강증산의 교리를 연구하여 세운 종파이다.
증산교는 여러 종파로 분열되면서 사회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비판을 받고 있다.[4]
2. 1. 강일순의 생애와 가르침 (1871-1909)
강일순(1871년 음력 9월 19일~1909년 음력 6월 24일)은 전라북도 고부 출신으로, 증산교의 시초가 되는 인물이다. 강일순은 종파를 만들지 않고, '천지공사'를 통해 인간과 신명을 구원하고 지상선경을 열고자 했다.[4]1909년 강증산은 3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면서 "나는 간다. 내가 없다고 조금도 낙심하지 말라. 행하여 오던 대로 잘 행해 나가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는 평소 혹세무민하지 말라고 가르쳤으며, 병을 낫게 하려고 애썼다.[4]
2. 2. 초기 종단 형성 (1910년대-1920년대)
강증산(본명 강일순)의 처남 차경석은 강증산 사후 1주기인 1910년에 처음에는 자신의 이종사촌 누나이자 강증산의 제2부인인 고씨를 교주로 받들었다. 그러나 점차 세력을 확장하고 분립하여 스스로 후천개벽의 문로가 자신에 의해 열린다고 자부하며 교단을 세웠다. 1921년에는 보화교(普化敎)라는 교명과 '시국(時國)'이라는 국호를 선포했으며, 1922년에는 교명을 보천교로 바꾸었다.[1]보천교는 60방주(方主)라는 강력한 조직을 갖추어 교화 방식으로 한때 전국(당시 인구 약 2000만 명)에 걸쳐 신도 수가 600만에 이른 때도 있었다. 당시 보천교는 이른바 시국(時國)의 국교(國敎)였다.[1]
당시 그는 전라북도 정읍에서 대한제국(조선)을 종주국으로 하고 정치와 종교 양면에서 세계통일(世界統一)의 신정부(新政府)가 세워질 것이라 선전하고, 이를 합리화하기 위해 정감록을 동원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스스로 천자의 자리에 등극하여 그 권위를 시현하기도 했으나, 일제의 강력한 탄압과 자체 내의 분열 등으로 쇠퇴하였다.[1]
2. 3. 분열과 발전 (1930년대-현재)
차경석 사망 후 보천교는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다. 차경석의 가르침을 따르고 그를 교조로 받드는 신파와, 강일순을 교조로, 차경석을 교주로 보는 구파는 차경석 생존 시부터 나뉘어 있었다. 1954년 성서 간행과 교주의 영위 봉안 문제를 두고 충돌하여 신도들은 흩어져 파벌로 와해되었다.[4]강일순 사후, 그의 부인 고판례가 선도교를 세웠고, 이는 증산교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강일순의 제자이자 고씨 부인 측근이었던 차경석이 선도교에서 분리되어 증산교계 최대 종파인 보천교를 세웠으나, 신자 간 내부 갈등으로 여러 종파로 분열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종교 탄압으로 해체 위기에 놓였다가, 광복 이후 수많은 증산교단들이 부활했다. 이 중 보천교 신자로 추정되는 안운산이 강증산의 교리를 연구하여 새로운 종파인 증산도를 세웠다.[4]
1909년 강증산은 39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나는 간다. 내가 없다고 조금도 낙심하지 말라. 행하여 오던 대로 잘 행해 나가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는 평소 혹세무민하지 말라고 가르쳤으나, 증산교는 선도교, 보천교, 미륵불교, 제화교, 태을교 등 수십 개의 독립 교단으로 분열되었다. 일부 신자들의 기복적, 주술적 사고방식은 사회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으며, 현재까지 그러한 모습이 일부 남아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4]
3. 비판
강일순은 종파를 만들지 않고 '천지공사'에만 매진했다. 1909년 강일순 사후, 증산교는 여러 종파로 갈라졌으며, 일부 신자들의 기복적이고 주술적인 사고방식으로 인해 사회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이러한 비판은 현재까지 일부 남아 있다.[4]
4. 한국 사회와 증산 계열 종교
강일순(1871년 음력 9월 19일~1909년 음력 6월 24일)은 증산교를 창시했지만, 특별히 종파를 만들지는 않았다. 그는 오로지 비겁에 빠진 인간과 신명을 구원하여 지상선경(地上仙境)을 열기 위한 '천지공사'에만 매진했다. 1909년 강일순 사후, 그의 부인 고판례가 선도교를 만들면서 증산교가 시작되었다. 이후 강일순의 제자이자 고판례의 측근이었던 차경석이 선도교에서 분리되어 보천교를 창립했다. 보천교는 증산교 계열 종파 중 가장 큰 규모였으나, 신자 간 내부 갈등으로 여러 종파로 분열되었다.[4]
한편, 강일순의 제자들은 '천지공사' 가르침을 자체적으로 연구하여 여러 종파를 세웠다. 이들 종교는 일제강점기에 민족종교로 탄압받아 해체 위기에 놓였다가, 광복 이후 다시 부활하여 난립했다. 이 중 보천교 신자로 추정되는 안운산이 강증산의 교리를 연구하여 새로운 종파를 세웠는데, 이것이 증산도의 전신이다.[4]
1909년 강증산은 39세의 나이로 죽으면서 “나는 간다. 내가 없다고 조금도 낙심하지 말라. 행하여 오던 대로 잘 행해 나가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는 평소 혹세무민하지 말라고 가르쳤고, 병든 것을 낫게 하려고 애썼지만, 그의 바람과는 달리 증산교는 선도교, 보천교, 미륵불교, 제화교, 태을교 등 수십 개의 독립 교단으로 분열되었다. 일부 신자들의 기복적이고 주술적인 사고방식은 사회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으며, 현재까지도 그러한 비판을 받는 모습이 남아있다.[4]
참조
[1]
문서
Lee Chi-ran, p. 24
[2]
논문
Chungsan-gyo: Its History, Doctrine and Ritual
1967
[3]
서적
Korean Millennial Mov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
서적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