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는 나의 것 (2002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수는 나의 것'은 2002년에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영화이다. 신장병을 앓는 누나를 위해 불법 장기 브로커에게 사기를 당한 류가, 누나의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유괴를 저지르면서 벌어지는 복수극을 그린다. 영화는 류, 유괴된 딸의 아버지 동진, 류의 여자친구 영미를 중심으로, 빈부 격차와 장애인 문제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흥행에서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비평가들로부터 스타일리시한 연출과 사회적 메시지에 대한 호평을 받았다. 2010년에는 미국 리메이크 판권이 워너 브라더스에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화 영화 작품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 수화 영화 작품 - 문영
문영은 말을 못하는 소녀가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이야기를 그린 2015년 서울독립영화제 공개작으로, 김태리 주연, 서울농아인협회와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7년 확장판이 개봉되었다. - 장기매매를 소재로 한 영화 - 심장이 뛴다 (영화)
2011년 개봉한 영화 《심장이 뛴다》는 딸의 심장 이식을 원하는 엄마와 식물인간 어머니를 지키려는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스릴러 드라마로, 모성애와 생명 윤리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장기매매를 소재로 한 영화 - 공모자들
2012년 개봉한 김홍선 감독의 스릴러 영화 《공모자들》은 장기밀매 조직 이야기를 중심으로, 과거를 청산하려던 총책 영규가 마지막 범죄에 가담하며 벌어지는 사건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도덕적 딜레마, 사회 부조리를 다루고 장기밀매의 현실을 극단적으로 묘사하여 사회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 - 박찬욱 감독 영화 - 올드보이
올드보이는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로, 15년간 감금되었다 풀려난 오대수가 자신을 가둔 이우진에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 박찬욱 감독 영화 - 친절한 금자씨
《친절한 금자씨》는 박찬욱 감독의 2005년 영화로, 억울하게 5세 아이 유괴·살해 혐의로 13년간 복역한 이금자가 출소 후 진범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복수는 나의 것 (2002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복수는 나의 것 |
로마자 표기 | Boksuneun Naui Geot |
영어 제목 | Sympathy for Mr. Vengeance |
일본어 제목 | 復讐者に憐れみを (복수자에 불쌍함을) |
감독 | 박찬욱 |
제작 | 임진규 |
각본 | 박찬욱 이재순 이무영 이종용 |
출연 | 송강호 신하균 배두나 |
음악 | 백현진 장영규 |
촬영 | 김병일 |
편집 | 김상범 |
제작사 | 스튜디오 박스 TMS 엔터테인먼트/서울무비 |
배급사 | CJ 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2002년 3월 29일 |
상영 시간 | 129분 |
언어 | 한국어 |
흥행 수입 | 1,954,937 미국 달러 |
스태프 (일본어판) | |
監督 (감독) | 박찬욱 |
脚本 (각본) | 이・ジョンヨン(이종용) 박찬욱 |
製作 (제작) | 임・ジンギュ(임진규) |
撮影 (촬영) | 김・ビョンイル(김병일) |
編集 (편집) | 김・サンボン(김상범) |
音楽 (음악) | 배・ユンジン(배윤진) |
일본 개봉 정보 | |
配給 (배급) | 시네카논 |
公開 (개봉) | 2005년 2월 5일 |
上映時間 (상영 시간) | 117분 |
2. 줄거리
농아자 류(신하균)는 신장병으로 죽어가는 누나에게 맞는 신장을 구하지 못하자 불법 브로커들에게 자신의 신장과 누나의 수술비 10000000KRW을 주고 그 대가로 누나에게 적합한 신장을 구하고자 했지만 사기를 당하고 만다. 류(Ryu영어)의 혈액형은 누나와 일치하지 않았다.[1] 그 후 극렬한 무정부주의자인 애인 영미(배두나)와 함께 누나의 신장이식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중소기업 사장의 딸을 유괴하고 몸값을 요구하려고 계획을 세운다. 류와 영미는 동진의 어린 딸 유선을 납치하기로 결정한다.[1]
이 영화는 송강호, 신하균, 배두나 등 주요 인물 외에도 다양한 조연들이 등장하여 극의 전개를 돕는다.
유괴는 성공하고 두 사람은 동진에게 몸값을 요구한다.[2] 류, 그의 여동생, 그리고 영미는 납치된 유선에게 친절하게 대하며, 유선이 부모의 이혼 후 엄마가 집을 나갔다고 밝히자 류는 구슬과 조개껍데기로 장식된 목걸이를 유선에게 만들어준다.[1]
납치 범행을 저지르는 동안, 류의 누나는 빨래를 하다가 류의 바지 주머니에서 퇴직금 정산서를 보게 된다. 자신의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동생이 아이를 유괴했다는 것을 알게 된 류의 누나는 자살하고 만다. 류는 누나의 유언대로 어릴 적 자주 놀던 강가에 묻어주기 위해 간 곳에서 동진의 딸은 사고로 익사하게 되었다. 류는 유선과 여동생의 시신을 어릴 적 자주 가던 강가로 데려가 묻는다. 장례를 치르느라 정신이 팔리고, 들을 수 없는 류는 유선이 강물에 빠져 익사하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1]
딸이 주검으로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동진은 복수심에 불타게 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동진 | 송강호 | 야마지 카즈히로 |
류 | 신하균 | 무토 마사시 |
윤미 | 배두나 | 네야 미치코 |
류의 누나 | 임지은 | 히노 유리카 |
유선 | 한보배 | 오오마에 아카네 |
중화요리점 배달원 | 류승완 | 나라 토루 |
강변의 청년 | 류승범 | 아카기 스스무 |
최 반장 | 이대연 | 타니 마사키 |
팽 기술자 | 기주봉 | |
사장 | 김세동 | |
불법 장기 거래 조직의 보스 | 이유미 | |
치 형사 | 지대한 | 노무라 켄지 |
허 형사 | 허정수 | |
본인 역 | 이금미 |
류와 강변의 청년은 각각 청각 장애와 뇌성마비 설정이며, 극중에 명확한 대사가 없이, 더빙을 담당한 무토와 아카기는 미세한 숨결이나 읊조리는 소리를 더빙하고 있다.
3. 2. 조연
- 이대연 - 최 반장 역
- 기주봉 - 팽 기사 역
- 김세동 - 사장 역
- 이윤미 - 장기밀거래 보스 역
- 류승범 - 뇌성마비 청년 역[1]
- 지대한 - 지 형사 역
- 허종수 - 허 형사 역
- 류승완 - 차의 아파트에 배달 온 배달원 역
- 오광록 - 무정부주의자 역
- 이칸희 - 박동진의 전 부인 역
- 정재영 - 동진의 전 부인의 새 남편 역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중화요리점 배달원 | 류승완 | 나라 토루 |
강변의 청년 | 류승범 | 아카기 스스무[1] |
최 반장 | 이대연 | 타니 마사키 |
팽 기술자 | 기주봉 | |
사장 | 김세동 | |
불법 장기 거래 조직의 보스 | 이유미 | |
지 형사 | 지대한 | 노무라 켄지 |
허 형사 | 허종수 | |
본인 역 | 이금미 |
그 외 목소리 출연: 사이토 지로, 사토 시노부, 호우키 카즈토시, 이시즈미 아키히코, 타케구치 아키코, 츠치야 토시히데, 미츠키 유우키, 츠네마츠 아유미, 이즈미 유코, 네즈 타카유키
일본어판 제작 스탭: 연출: 타카하시 고, 번역: 하루야마 요코, 제작: 프로센 스튜디오
4. 제작진
역할 | 이름 |
---|---|
프로듀서 | 이재순, 손세훈 |
제작투자 | 이강복 |
조명 | 박현원 |
연출부 | 정식, 이계벽, 한장혁 |
스크립터 | 김나성 |
조감독 | 이소영 |
동시녹음 | 이승철 |
음향 | 김석원 |
붐어시스턴트 | 이은주 |
미술 | 오상만, 오재원, 최정화 |
소품 | 장석만 |
특수분장 | 신재호 |
분장 | 송종희 |
의상 | 신승희 |
현장편집, 스토리보드 | 정상용 |
시각효과부문 | 신대용 |
5.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
영화는 류, 동진, 영미 등 등장인물들의 비극적인 운명을 통해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낸다. 류는 누나의 신장 이식을 위해 장기 매매를 시도하지만 사기를 당하고, 여자친구 영미는 극렬 무정부주의자이다. 류와 영미는 중소기업 사장 동진의 딸을 유괴하지만, 이 과정에서 류의 누나와 동진의 딸 모두 죽음을 맞이한다.[1]
이러한 사건들은 장기 매매, 무정부주의 등 한국 사회의 병리적 현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특히 청각 장애를 가진 류가 유선의 구조 요청을 듣지 못해 유선이 익사하는 비극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관심과 소통 부재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5. 1. 빈부 격차와 노동 문제
영화는 류와 동진의 서로 다른 삶을 통해 빈부 격차와 노동 문제를 보여준다. 류는 농아이자 공장 노동자로, 해고와 장기 매매 사기 등 연이은 불행을 겪으며 사회적 약자의 어려움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반면 동진은 중소기업 사장의 운전사이자 이사로, 류보다는 안정적인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딸의 유괴 사건을 겪으며 그 역시 자본주의 사회의 비극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준다.[1]이러한 묘사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과 소외 계층에 대한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과 연결된다. 영화는 단순한 복수극을 넘어, 빈부 격차와 노동 문제라는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그 속에서 고통받는 개인들의 모습을 통해 사회 구조적 문제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1]
5. 2. 장애인 문제
聾啞人|농아인중국어 류는 청각 장애를 가진 인물로서 사회적인 편견과 어려움에 직면한다.[1] 특히,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유괴한 유선이 강물에 빠져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를 듣지 못하고, 결국 유선이 익사하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한다.[1][3] 이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려와 지원 부족 문제를 드러낸다.[3]6. 평가
《복수는 나의 것》은 로튼 토마토에서 56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54%의 긍정도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6.16/10이다. 해당 웹사이트는 "박찬욱 감독이 스타일리시한 연출을 선보이지만, 이 복수 스릴러는 스릴보다 과도하게 잔혹하다"라고 평했다.[3] 메타크리틱에서는 21개 리뷰를 기반으로 56/100의 가중 평균 점수를 받아 "혼조되거나 평균적인 리뷰"를 나타냈다.[4]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G. 앨런 존슨은 이 영화를 "쓸모없는 작품"이라 칭하며 혹평했고,[5] 뉴욕 타임스의 마노라 다기스는 "영화 속 폭력이 창작자의 자아 외에는 아무런 의미도 전달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6] 필름 저널 인터내셔널의 다니엘 이간은 시각적인 스타일은 칭찬했지만 박찬욱 감독의 "응고된 비전"을 비판했다.[7] 시카고 트리뷴의 마이클 필립스는 "[이 영화는] 철저하게 계획된 영화이다. 그것은 또한 진실하지 못한 영화이며, 어두운 분위기에, 본질적으로 미숙하다."라고 평가했다.[2]
반면 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검게 아이러니한 유머가 섞인, 매혹적인 심리 드라마"라고 호평했고,[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깊이 뒤틀리고 기괴하다"고 평했다.[9] 보스턴 글로브의 웨슬리 모리스는 "냉혹한 살인과 죽음의 흔적에도 불구하고, ''복수는 나의 것''은 삶으로 따뜻하게 스며든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0] The A.V. Club의 타샤 로빈슨은 박찬욱 감독의 스타일이 대담하고 타협하지 않으며, 복수가 인간성을 파괴하는 방식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11]
박찬욱 감독은 이 영화로 부산 영화평론가 협회상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 한국 영화평론가 협회상 감독상과 각본상, 디렉터스 컷 시상식 감독상을 수상했다.
연도 | 상 | 부문 | 수상자(작) |
---|---|---|---|
2002년 | 부산 영화평론가 협회상 | 최우수 작품상 | 복수는 나의 것 |
감독상 | 박찬욱 | ||
춘사영화상 | 음악상 | 백현진, 장영규 (어어부 프로젝트) | |
한국 영화평론가 협회상 | 감독상 | 박찬욱 | |
각본상 | 박찬욱, 이재순, 이무영, 이용종 | ||
대한민국 영화대상 | 촬영상 | 김병일 | |
편집상 | 김상범 | ||
조명상 | 박현원 | ||
2002년 | 디렉터스 컷 시상식 | 감독상 | 박찬욱 |
6. 1. 흥행
《복수는 나의 것》은 2002년 3월 29일 대한민국에서 개봉했으며, 전 세계 흥행 수입은 1954937USD였다.[1] 이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개봉한 지 3년이 넘은 2005년 8월 19일부터 타탄 필름스를 통해 북미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개봉했다. 개봉 첫 주말에는 뉴욕 시의 3개 극장에서 9827USD(스크린당 3276USD)를 벌어들였다. 최대 6개의 스크린에서 상영되었으며, 북미 지역 총 흥행 수입은 45243USD였다.[1]6. 2. 비평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56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54%의 긍정도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6.16/10이다. 이 웹사이트의 비평적 합의는 다음과 같다. "박찬욱 감독이 스타일리시한 연출을 선보이지만, 이 복수 스릴러는 스릴보다 과도하게 잔혹하다."[3] 메타크리틱에서 이 영화는 21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56/100의 가중 평균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혼조된 또는 평균적인 리뷰"를 나타낸다.[4]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G. 앨런 존슨은 이 영화를 "쓸모없는 작품"이라고 부르며, "너무 피가 튀고, 배설물과 관련된 폭력적이며, 끊임없이 충격적이어서, 그것 자체 외에는 더 큰 목적이 없는 것 같다 – 이는 매우 암울하다."라고 언급했다.[5] 뉴욕 타임스의 마노라 다기스는 "이 영화가 감독의 분명한 능력 수준으로 결코 상승하지 못하는 것이 불행하다"고 썼으며, "영화 속 폭력은 창작자의 자아 외에는 아무런 의미도 전달하지 못한다"고 말했다.[6] 필름 저널 인터내셔널의 다니엘 이간은 이 영화를 "매끄럽고, 병적이며, 유치하게 도발적"이라고 부르며, 시각적인 스타일을 칭찬했지만 박찬욱 감독의 "응고된 비전"을 비판했다.[7] 시카고 트리뷴의 마이클 필립스는 "[이 영화는] 철저하게 계획된 영화이다. 그것은 또한 진실하지 못한 영화이며, 어두운 분위기에, 본질적으로 미숙하다."라고 적었다.[2]
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이 영화를 "검게 아이러니한 유머가 섞인, 매혹적인 심리 드라마"라고 불렀다.[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에 5점 만점에 3점을 주며 "깊이 뒤틀리고 기괴하다"고 칭했지만, "기묘하게 악몽 같은 확신"을 언급했다.[9] 보스턴 글로브의 웨슬리 모리스는 이 영화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놀라운 구도와 능숙하게 처리된 사회 정치적 경향을 가진, 깨끗하게 보이는 영화"라고 칭하고, "냉혹한 살인과 죽음의 흔적에도 불구하고, ''복수는 나의 것''은 삶으로 따뜻하게 스며든다"고 결론지었다.[10] The A.V. Club의 타샤 로빈슨은 박찬욱 감독의 "스타일은 그의 이야기만큼이나 대담하고 타협하지 않으며, 복수는 복수를 완전히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에게조차 만족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인간성을 파괴하는 방식을 보여주도록 설계된 것 같다. [...] 어려운 균형을 잡는 행위지만, 박 감독은 그의 레이어를 신중하고 솜씨 있게 만들어낸다."라고 평가했다.[11]
6. 3. 수상 내역
wikitext7. 영향
박찬욱 감독은 이가라시 미키오의 팬이며 특히 보노보노의 열렬한 팬으로, 영화 장면에 해당 만화를 등장시켰다.[1]
8. 리메이크
2010년 1월, 워너 브라더스는 이 영화의 미국 리메이크 판 판권을 획득했다.[13] 각본은 브라이언 터커가 쓰고, 로렌조 디 보나벤투라와 마크 바디안이 CJ 엔터테인먼트와 협력하여 제작할 예정이다.[14][15]
참조
[1]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2005)
https://boxofficemoj[...]
Box Office Mojo
2014-03-17
[2]
웹사이트
Elegant facade hides dark heart
https://www.chicagot[...]
2020-04-30
[3]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2002)
https://www.rottento[...]
2020-04-29
[4]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04-30
[5]
웹사이트
Film Clips / Also opening Friday
https://www.sfgate.c[...]
San Francisco Chronicle
2020-04-30
[6]
웹사이트
A Child Is Kidnapped and an Explosion of Shocking Violence Ensues
https://www.nytimes.[...]
2020-04-30
[7]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http://www.filmjourn[...]
2020-04-30
[8]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https://variety.com/[...]
2020-04-30
[9]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https://www.theguard[...]
2020-04-30
[10]
웹사이트
"'Mr. Vengeance' is a deft and grisly crime thriller"
http://archive.bosto[...]
2020-04-30
[11]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https://www.avclub.c[...]
2020-04-30
[12]
웹사이트
Sympathy for Mr Vengeance
http://www.cinemasie[...]
Cinemasie.com
2014-03-17
[13]
웹사이트
Warner Has Sympathy for Mr. Vengeance
https://www.dreadcen[...]
2014-07-18
[14]
뉴스
WB wants ''Vengeance''
https://variety.com/[...]
2014-07-18
[15]
웹사이트
Cannes: Park Chan-wook's ''Sympathy For Mr. Vengeance'' Getting Remake
https://deadline.com[...]
2014-07-18
[16]
문서
복수는 나의 것 (復讐は我がこと)
https://archive.ph/u[...]
[17]
뉴스
パク・チャヌク監督「カンヌで賞を獲るより娘に尊敬されたい!」
https://eiga.com/new[...]
2017-05-11
[18]
문서
영화진흥위원회
http://www.kofic.or.[...]
[19]
웹인용
'복수는 나의 것' 8월19일 미국 개봉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05-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