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눈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눈족은 대만 중앙산맥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한때 맹렬한 전사이자 머리 사냥꾼으로 알려졌다. 일본 통치 시기에는 저항하다가 강제로 이주당했고, 이후 기독교의 영향으로 개종하는 등 문화적 변화를 겪었다. 부눈족은 독특한 의복, 음악, 전설, 음력, 농업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말라탕기아라는 남성 통과의례 의식을 치른다. 현재는 난터우, 가오슝, 화롄, 타이둥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부눈족은 O1a2-M50 및 O2a1a-M88 하플로그룹을 주로 가진다. 부눈족 관련 관광 명소로는 부농문화박물관과 부농 레저농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원주민 - 아미족
    아미족은 타이완 원주민의 주요 부족 중 하나로, 자신들을 '팡카' 또는 '아미스'라고 부르며, 모계사회적 특징과 풍년제 등의 전통 축제를 가지고 있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 대만 원주민 - 루카이족
    루카이족은 대만 남부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세습 귀족 제도를 반영한 화려한 전통 의상은 수작업으로 제작되며 태양, 백보, 뱀 문양이 새겨져 있고, 모라콧 태풍 이후 강제 이주로 문화 보존과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부눈족
기본 정보
None
인구59,655명 (2020년)
거주지타이완 (난터우 현, 화롄 현, 타이둥 현, 타이베이 시 외)
언어부눈어, 타이완어, 국어, 일본어
종교기독교, 애니미즘, 샤머니즘
관련 민족타이완 원주민
자체 명칭Bunun (부눈)
민족어 명칭Vonum (보눔)

2. 역사

20세기 초 기독교 선교사들이 들어오기 전까지 부눈족은 용맹한 전사이자 머리 사냥꾼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대만 중앙산맥에서 소규모 가족 단위로 생활하며 외부인에게 적대적이었다. 부눈족은 아타얄족, 타로코족과 함께 중앙산맥을 이동하며 수렵과 화전 농업을 했다.

일본 통치 시대 (1895~1945)에 부눈족은 일본에 의해 마지막으로 "평정"된 민족 중 하나였다. 격렬한 저항 끝에 이들은 산에서 내려와 저지대 마을로 이주해야 했다. 일본 정부는 화기 사용 통제를 위해 사냥을 제한하고 논농사를 도입했다. 라호 아리(Raho Ari) 추장 지휘 하의 부눈족은 20년간 일본군에 저항했다. 1914년 일본의 총기 통제 정책과 1915년 다펑 사건(Dafen Incident)을 계기로 봉기하여 일본 경찰서를 공격하고 게릴라전을 펼쳤다. 많은 부눈족이 지역 경찰로 모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부눈족 연대가 있었다.[3]

1941년 부눈족은 파스나나반 사건 이후 이주되었다.[4]

20세기 동안 여러 선교사들이 대만 전역에 파견되었고, 1940년대에는 대부분의 부눈족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오늘날 부눈족은 가톨릭이나 장로교 신자가 많다.

1945년 중국 국민당 통치 시기, 원주민들은 "일어 일문화" 정책으로 인해 표준관화만 사용해야 했고, 고유 문화는 차별받았다. 부눈족 문화는 기독교 신앙과 정부의 중국화 정책으로 인해 위축되었으나, 최근 민주 개혁으로 상황이 개선되었다.

2. 1. 20세기 이전

250x250px


20세기 초 기독교 선교사들이 들어오기 전까지 부눈족은 맹렬한 전사이자 머리 사냥꾼으로 알려져 있었다. 부눈족은 대만 중앙산맥에 소규모 가족 단위로 살았던 "고산족"(아타얄족, 타로코족 포함) 중 하나였으며, 중국 이민자이든 주변 원주민이든 모든 외부인에게 적대적이었다. 다른 대부분의 원주민들이 정착 생활을 하고 저지대에 거주하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부눈족은 아타얄족, 타로코족과 함께 대만 중앙산맥을 끊임없이 이동하며 새로운 사냥터를 찾고 화전 농업을 실천했다. 그들의 주식은 기장, 얌, 사냥감이었다.

328x328px


일본 통치 시대(1895~1945) 동안 부눈족은 일본 정부에 의해 "평정"된 마지막 민족 중 하나였다. 초기의 격렬한 저항 이후, 그들은 산에서 내려와 섬 전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저지대 마을로 이주하도록 강요받았다. 그 결과 가족 단위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개별 마을 단위를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졌다. 일본 정부는 사냥 관행을 제한하고(주로 화기 사용 통제를 위해) 논농사를 도입했다. 라호 아리(Raho Ari)(lāhè· āléi) 추장 지휘하의 부눈족 원주민들은 20년 동안 일본군과 게릴라전을 벌였다. 라호 아리의 반란은 1914년 일본이 원주민들을 상대로 총기 통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사냥이 끝난 후 소총을 경찰서에 보관하도록 하자 촉발되었다. 다펑 사건(Dafen Incident)(다펑 사건)은 1915년 다펑에서 라호 아리의 일족이 경찰 소대를 학살하면서 시작되었다. 라호 아리는 추종자들과 함께 라오농 강 상류 근처에 타마호라는 266명이 거주하는 정착지를 건설하여 더 많은 부눈족 반군을 끌어들였다. 라호 아리와 그의 추종자들은 총알과 무기를 빼앗고 일본 경찰서에 대한 반복적인 기습 공격을 통해 일본군을 살해했으며, 감전 울타리와 경찰서로 이루어진 일본군의 "방어선"을 마음대로 침투했다.[3]

2. 2. 일제 강점기 (1895~1945)



일본 통치 시대(1895~1945) 동안 부눈족은 일본 정부에 의해 "평정"된 마지막 민족 중 하나였다. 초기의 격렬한 저항 이후, 그들은 산에서 내려와 섬 전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저지대 마을로 이주하도록 강요받았다. 그 결과 가족 단위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개별 마을 단위를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졌다. 일본 정부는 사냥 관행을 제한하고(주로 화기 사용 통제를 위해) 논농사를 도입했다. 라호 아리(lāhè· āléi) 추장 지휘하의 부눈족 원주민들은 20년 동안 일본군과 게릴라전을 벌였다. 라호 아리의 반란은 1914년 일본이 원주민들을 상대로 총기 통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사냥이 끝난 후 소총을 경찰서에 보관하도록 하자 촉발되었다.[3] 다펑 사건(다펑 사건)은 1915년 다펑에서 라호 아리의 일족이 경찰 소대를 학살하면서 시작되었다. 라호 아리는 추종자들과 함께 라오농 강 상류 근처에 타마호라는 266명이 거주하는 정착지를 건설하여 더 많은 부눈족 반군을 끌어들였다. 라호 아리와 그의 추종자들은 총알과 무기를 빼앗고 일본 경찰서에 대한 반복적인 기습 공격을 통해 일본군을 살해했으며, 감전 울타리와 경찰서로 이루어진 일본군의 "방어선"을 마음대로 침투했다.[3] 많은 부눈족이 지역 경찰로 모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부눈족 연대가 있었다.

1941년 부눈족은 파스나나반 사건 이후 이주되었다.[4]

2. 3. 중화민국 시대 (1945~현재)

일본 통치 시대(1895~1945) 동안 부눈족은 일본 정부에 의해 "평정"된 마지막 민족 중 하나였다. 초기의 격렬한 저항 이후, 그들은 산에서 내려와 섬 전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저지대 마을로 이주하도록 강요받았다. 그 결과 가족 단위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개별 마을 단위를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졌다. 일본 정부는 사냥 관행을 제한하고(주로 화기 사용 통제를 위해) 논농사를 도입했다.[3] 라호 아리(Raho Ari)(lāhè· āléi) 추장 지휘하의 부눈족 원주민들은 20년 동안 일본군과 게릴라전을 벌였다. 라호 아리의 반란은 1914년 일본이 원주민들을 상대로 총기 통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사냥이 끝난 후 소총을 경찰서에 보관하도록 하자 촉발되었다.[3] 다펑 사건(Dafen Incident)(다펑 사건)은 1915년 다펑에서 라호 아리의 일족이 경찰 소대를 학살하면서 시작되었다. 라호 아리는 추종자들과 함께 라오농 강 상류 근처에 타마호라는 266명이 거주하는 정착지를 건설하여 더 많은 부눈족 반군을 끌어들였다. 라호 아리와 그의 추종자들은 총알과 무기를 빼앗고 일본 경찰서에 대한 반복적인 기습 공격을 통해 일본군을 살해했으며, 감전 울타리와 경찰서로 이루어진 일본군의 "방어선"을 마음대로 침투했다.[3] 많은 부눈족이 지역 경찰로 모집되었고,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부눈족 연대가 있었다.

1941년 부눈족은 파스나나반 사건(Pasnanavan incident) 이후 이주되었다.[4]

20세기 내내 여러 교파의 선교사들이 대만 전역에 여러 차례 파견되었다. 그들은 섬의 원주민들에게 특히 성공적이었고, 1940년대 일본에서 시작된 마지막 선교 활동 이후 대부분의 원주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부눈족은 가톨릭교회 또는 현지 장로교회에 속해 있다.

1945년 10월 중국 국민당이 도착한 후 원주민들은 힘든 시기를 맞이했다. 국민당 정부의 "일어 일문화" 정책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공용어로 표준관화 이외의 언어 사용을 금지했고, 토착 문화는 체계적으로 차별받고 주류 문화에 동화되도록 장려되었다. 부눈족 문화는 새로운 신앙과 정부의 중국화 정책의 이중 압력으로 인해 침식되었다. 이 상황은 20년간의 민주 개혁 이후 최근에야 개선되었다.

3. 문화

부눈족은 전통적으로 동물 가죽과 삼베로 옷을 만들었지만, 한족과의 교류를 통해 목화와 양모 같은 재료도 사용하게 되었다.[5] 남성과 여성 의복은 각각 특징적인 형태와 장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 구슬이나 조개껍데기로 만든 머리띠, 모자, 목걸이 등의 장신구를 착용했다.[5][6][7][8][9]

부눈족의 전통 음악인 '파시붓붓(Pasibutbut)'은 4성부 화음으로 이루어진 다성 음악이다.[10][11] 부눈족은 여러 전설을 통해 그들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보여주는데, 특히 하늘과 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들은 아주 먼 옛날에는 태양이 두 개였는데, 아버지와 아들이 태양 하나를 쏘아 떨어뜨려 달을 만들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12] 또한, 부눈족은 대홍수 때 큰 뱀으로부터 거대한 게의 도움을 받아 구원받았다는 전설도 가지고 있다.

부눈족은 음력에 맞춰 생활했으며, 수확이나 돼지 도살과 같은 중요한 사건과 관련된 음력 주기를 기록하기 위해 원시적인 형태의 문자를 개발한 대만 유일의 원주민이다.[1] 타이완 기장은 부눈족의 주요 작물 중 하나였으며, 21세기에 들어 다시 재배되기 시작했다.[4]

말라탕기아(Malahtangia)는 부눈족 남성의 통과의례로, 사냥과 관련된 의식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부여한다. 이 축제는 보통 3월과 4월 사이에 열리며, 전통적으로 여성은 참석이 금지되었다. 현대에 들어서 이 의식은 변화되었지만, 여전히 장로와 공동체 전체에 대한 존중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4]

3. 1. 의복

원래 부눈족은 동물 가죽과 삼베로 옷을 만들었다. 그러나 한족과의 교류를 통해 목화와 양모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5]

남성 의복은 앞이 트인 흰색 조끼가 특징이며, 앞면과 뒷면에는 다채로운 여러 색깔의 기하학적 무늬가 있다.[6] 이 무늬에는 주로 분홍색, 녹색, 노란색, 빨간색, 남색이 사용된다. 부눈족 남성들은 이 조끼를 짧은 검은색 치마와 다채로운 배낭(속옷 역할을 하는)과 함께 착용한다.[5] 이러한 의복은 주로 의식에 착용된다.[6] 남성 의복의 또 다른 유형은 무릎까지 오는 검은색 치마와 목 부분, 가운데, 뒷면에 색색의 자수가 있는 검정색 또는 남색의 긴 소매 코트를 함께 입는 것이다.[5]

여성 의복에는 소매가 긴 검정색 또는 남색 드레스가 있으며, 소매 끝과 옷깃에는 자수가 있다. 또 다른 의상은 소매 끝, 깃, 옷깃, 밑단에 자수가 있는 긴 소매 셔츠이다. 이 셔츠는 밑단에 다채로운 무늬가 있는 긴 치마와 치마 위에 두른 앞치마와 함께 착용한다.[5] 앞치마에는 가운데, 왼쪽, 밑단에 자수가 있다. 또 다른 유형으로는 앞치마 아래에 바지를 입는 것이다.[7]

또한 부눈족은 머리띠(남성 전용), 모자, 목걸이와 같은 다양한 장신구와 액세서리를 착용한다.[8] 이러한 액세서리의 대부분은 유리 구슬이나 조개껍데기로 만들어진다.[9]

3. 2. 음악

부눈족의 파종 축제 노래인 '파시붓붓(Pasibutbut)'은 4성부 화음(일반적으로 8성부의 이종화성, 보통 5~12성부의 이종화성)으로 다성적으로 불린다. 대만 작곡가 양진펑(楊金峯|양금봉중국어)은 이 노래의 구조를 분석했다. 일본 음악학자 구로사와 다카토모(黑澤隆朝|구로사와 다카토모일본어)는 1943년에 부눈족 음악가들과 함께 이 노래를 녹음했다.[10][11]

3. 3. 전설

신의향 부눈 기념비


부눈족 전설에 따르면, 아주 먼 옛날에는 태양이 두 개 떠서 땅을 견딜 수 없을 만큼 뜨거웠다고 한다. 어느 아버지와 아들이 고난을 겪은 끝에 태양 하나를 쏘아 떨어뜨렸고, 그 태양은 달이 되었다. 분노한 달은 아버지와 아들에게 백성에게 돌아가 세 가지 계명을 지키지 않으면 멸망할 것이라는 경고를 전하라고 명령했다.

  • 첫 번째 계명은 달의 영휴(盈虧, 차고 기욺)를 항상 관찰하고, 그 움직임에 따라 모든 의식과 일을 행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 두 번째 계명은 모든 부눈족 사람들은 하늘과 땅의 영혼을 공경하기 위해 평생 의식을 행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 세 번째 계명은 금지된 행동을 알려주었고, 질서 있고 평화로운 백성이 되도록 했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아주 먼 옛날 어머니와 아버지가 들판에서 일을 하고 갓 태어난 아들을 데리고 나갔다고 한다. 일을 하는 동안 아이를 들판 한쪽에 바구니에 담아두었는데, 하루 종일 두 개의 태양 아래 견딜 수 없는 더위 속에 놓여 있었다. 늦은 오후 부모가 돌아왔을 때, 그들은 아들이 완전히 말라서 검은 도마뱀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슬픔에 잠긴 아버지는 활을 들고 태양 하나를 쏘아 떨어뜨렸다.

이 이야기는 전통 부눈족 애니미즘적 종교에서 하늘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부눈족은 자신들이 사는 세상이 초자연적 존재(''qanitu'')로 가득 차 있으며, 종종 특정 장소(나무, 바위 등)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초자연적 힘의 중요한 중심지는 하늘(''dihanin''/''diqanin'')이었다. 모든 초자연적 힘은 상당히 추상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하늘이 신이었는지, 아니면 온갖 영혼이 사는 ''장소''였는지 확실하지 않다.

요코하마 미국 영사의 아내는 부눈족이 산악 지역에 거주하게 된 기원에 대한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전했다.[12]

부눈족은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는 전설이 있다. 대만에서 대홍수가 발생했을 때, 마을 사람들이 조상이 남긴 보물 등을 가지지 않고 피난했고, 그 안에 있던 부눈 문자에 대해 쓰여진 서적은 떠내려가 유실되었다고 한다.

3. 4. 음력

달은 주요 정령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활동은 음력에 맞춰야 했다. 이는 매우 엄격하여, 예를 들어 특정 음력 달에는 여성이 자신을 씻는 것이 금지되었다. 부눈족(Bunun)은 수확이나 돼지 도살과 같은 중요한 사건과 관련된 음력 주기를 기록하기 위해 원시적인 형태의 문자를 개발한 대만 유일의 원주민이다.[1]

부농족 단검


음력과 관련된 규칙들은 부눈족 삶의 모든 측면을 지배했던 더 큰 규칙과 타부 시스템의 일부이다.[1]

3. 5. 농업

타이완 기장은 1941년 이주 전까지 부눈족 사람들의 주요 작물 중 하나였다. 21세기에 타이완 기장 재배가 부흥했다.[4]

3. 6. 말라탕기아 (Malahtangia)

말라탕기아(Malahtangia)는 부눈족 남성의 통과의례 의식이다. 이 축제는 보통 3월과 4월 사이에 열리며, 전통적으로 여성은 참석이 금지되었다. 축제 전에 모든 성인 남성은 사냥을 위해 산으로 간다. 성공적인 사냥 후, 남성들은 집으로 돌아와 나무 틀에 사체를 걸어 소년들이 죽은 동물을 쏠 수 있도록 한다. 사슴의 귀를 맞춘 소년은 그 작은 크기 때문에 특히 재능이 있다고 여겨졌다. 이 의식 후, 참가한 소년들은 성인으로 간주되어 그때부터 형제들과 아버지들과 함께 사냥에 참여할 수 있었다.[4]

부눈족 사회의 현대적인 생활 방식 변화와 함께, 말라탕기아는 더 의례화된 공연이 되었다. 축제를 통해 가르치는 사격술과 사냥 기술은 더 이상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이 행사는 여전히 장로와 공동체 전체에 대한 존중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유익하다고 여겨진다.[4]

4. 분포

부눈족은 주로 중앙산맥 양쪽에 거주하며 전형적인 고산족이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경, 난터우 부근의 부눈족이 대규모 이주를 시작하여 결과적으로 난터우, 가오슝, 화롄, 타이둥 현까지 거주 범위를 넓혔다.

부눈족에는 다섯 개의 집단이 있다.

집단명분포 지역
탁사군(卓社群, take-todotsu)난터우 현 신의 향 구미(久美)촌, 인아이 향 중정(中正), 법치(法治), 만풍(万豊)촌
카사군(卡社群, take bakhatsu)난터우 현 신의 향 남담(南潭), 지리(地利), 쌍룡(双竜) 삼촌
단사군(丹社群, take vatantsu)난터우 현 신의 향 지리(地利)촌, 화롄만영(万栄) 향 마위안(馬遠)촌
란사군(巒社群, takebanuadtsu)난터우 현 신의 향 풍구(豊丘), 왕향(望郷), 신향(新郷), 인륜(人倫) 및 화롄주오시(卓渓)
군사군(郡社群, isbukuntsu)난터우 현 신의 향 동포(東埔), 로나(羅娜), 명덕(明徳), 타이둥하이두안(海端) 향, 연평(延平) 향 및 가오슝나마샤(那瑪夏) 구, 타오위안(桃源) 구. 부눈족 중 가장 큰 집단.


5. 부눈족 출신 인물


  • 이슬투안 부쿤 이스마하산(Bukun Ismahasan Islituan): 시인이자 작가이다.
  • 장지중(Chiang Chih-chung): 창던지기 선수이다.
  • 린즈웨이(Lin Tzu-wei): 보스턴 레드삭스(Boston Red Sox) 야구 선수이다.
  • 고유정(Sammi Kao): 팝 가수이다.
  • 발린치난 사붕가즈(Savungaz Valincinan): 운동가, 정치인, 텔레비전 진행자이다.
  • 고샤론(Sharon Kao): 배우이다.
  • 에발 말린진난(Eval Malinjinnan): 4개 국어를 구사하는 예술가이자 시드니에 거주하는 다학제적 화가/디자이너이다.
  • 다후 알리(Dahu Ali/拉荷阿雷)(1854~1943): 부눈족의 민족 영웅으로, 항일 봉기 사건인 다분 사건의 주모자 중 한 명이다.
  • 왕홍은: 남성 가수이다.
  • 요하니 이스카카붓(尤哈尼伊斯卡卡夫特/Yohani Isqaqavut): 타이완 장로교 전도사이다. 전 원주민위원회 주임위원(제2대)과 전 총통부 정책고문을 역임했다.
  • 고승미: 1980년대에 활동한 가수로, 중국어로 노래하며 원주민임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다. 이후 중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 수란마야: 여성 가수이며, 한족과 혼혈이다.
  • 여현명: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추준문: 프로 야구 선수이다.
  • 허문웅: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왕국진: 프로 야구 선수이다.
  • 림자위: 프로 야구 선수이다.
  • 곽사육만발발: 작가로, 고인이 되었다. 많은 부눈족 문화 관련 서적을 남겼다.

6. 유전자

2014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부눈족의 Y-DNA는 주로 O1a2-M50 하플로그룹(34/56 = 60.7%) 또는 O2a1a-M88 하플로그룹(21/56 = 37.5%)에 속하며, P*-M45(xQ-M242, R-M207) 하플로그룹(1/56 = 1.8%)에 속하는 사람이 한 명 있다고 한다.[13] O-M88 하플로그룹은 대만과 그 주변의 다른 원주민들 사이에서는 드물지만, 중국 남서부와 동남아시아 북부의 인구, 예를 들어 타이족과 베트남인 사이에서는 더 흔하게 발견된다.

7. 관광 명소


  • 부농문화박물관
  • 부농 레저농장

참조

[1] 서적 The Island of Formosa, Past and Present: History, People, Resources, and Commercial Prospects: Tea, Camphor, Sugar, Gold, Coal, Sulphur, Economical Plants, and Other Productions https://archive.org/[...] Macmillan
[2] 웹사이트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f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eng.stat.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R.O.C. (DGBAS). National Statistics, Republic of China (Taiwan). 2007-03-12
[3] 서적 Taiwan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4
[4] 뉴스 Taiwan oil millet touted for its climate tolerance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2-07-09
[5] 간행물 台湾布农族服装特征研究
[6] 웹사이트 About the Bunun https://tauyuan-en.k[...]
[7] 웹사이트 Bunun https://www.cip.gov.[...] 2010-12-20
[8] 학술지 Cultural Performance and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 among the Bunun of Taiwan http://www.jstor.org[...] 2011
[9] 학술지 Present Day Conditions among the Aborigines of Formosa (Atayal and Bunun) http://www.jstor.org[...] 1956
[10] 웹사이트 http://163.22.50.130[...]
[11] 웹사이트 Hēizé Lóngcháo / Kurosawa Takatomo http://taiwanpedia.c[...]
[12] 잡지 Formosa the Beautiful https://archive.org/[...] 1920-03
[13] 학술지 Taiwan Y-Chromosomal DNA Vari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Island Southeast Asia 2014
[14] 웹사이트 http://www.apc.gov.t[...] 행정원 원주민족 위원회
[15] 서적 台湾生蕃種族写真帖 : 附・理蕃実況 成田写真製版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