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가오슝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가오슝시는 타이완 남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17세기부터 도시가 형성되었다. 도시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으며, 현재의 이름은 1920년 일본에 의해 정해졌다. 가오슝은 타이완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주요 항구와 산업 시설을 갖춘 중요한 경제 중심지이다. 초기에는 어항이었으나, 네덜란드, 청나라, 일본의 지배를 거치며 항구 도시로 발전했다. 1945년 중화민국이 타이완을 통치하면서 급속도로 성장했으며, 1979년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가오슝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며, 불교 사찰과 도교 사원, 기독교 교회, 이슬람 사원 등이 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85층 타워, 러브강, 치진섬, 보얼예술특구 등이 있으며, 38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오슝시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국제적인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항구 도시 - 지룽시
    지룽시는 타이완 북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여러 외세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중화민국의 관할이며, 타이완 철도 기점인 지룽역이 있고, 잦은 비로 우항이라는 별칭이 있다.
  • 대만의 항구 도시 - 쑤아오진
    타이완 이란현 동부 연안에 위치한 쑤아오진은 태평양과 접한 해안 경관, 쑤아오항과 난팡아오 어항을 중심으로 한 어업 및 상업 활동, 냉천 등의 자연 현상과 역사 유적지, 그리고 철도 및 도로 교통의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인구 37,602명의 진이다.
  • 대만의 직할시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대만의 직할시 - 타이중시
    타이중시는 타이완 중서부에 위치한 특별시로, 청나라 시대부터 발전하여 일본 통치 시기 도시 개발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 시설을 갖춘 도시이다.
  • 대만의 해안 도시 - 타이중시
    타이중시는 타이완 중서부에 위치한 특별시로, 청나라 시대부터 발전하여 일본 통치 시기 도시 개발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 시설을 갖춘 도시이다.
  • 대만의 해안 도시 - 타이둥시
    타이둥시는 타이완 타이둥현의 현청 소재지로, 비난시 충적평야에 위치하며, 푸유마족과 아미족의 농경 생활 지역으로 '비남'으로 불리다 시로 승격되었고, 현재는 농업, 어업,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헝가리 데브레첸과 자매 도시 관계이다.
가오슝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가오슝시의 위치
타이완에서의 가오슝시의 위치
가오슝 스카이라인
시가지 야경
기본 정보
공식 명칭가오슝시
다른 이름타카오
다카오
별칭항구 도시
해양 수도
물가의 도시
행정 구역 종류직할시
시청 소재지링야구 (시장 사무실), 펑산구 (시의회)
최대 거주 지역싼민구
행정 중심지 유형
행정 중심지 수38
입법부가오슝 시의회
시장천치마이 (민진당)
면적2951.85 km²
도시 면적363 km²
면적 순위4번째
도시 인구2,565,000명
전체 인구2,737,660명
인구 순위3번째
GDP (PPP)45,285 미국 달러
GDP (PPP) 연도2016년
GDP (PPP) 순위12번째
명목 GDP684,260 신 타이완 달러
명목 GDP 연도2016년
명목 GDP 순위12번째
시간대국가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800–852
전화 지역 번호07
공식 웹사이트가오슝시 공식 웹사이트 (영어)
무궁화
나무목화나무
명칭 및 어원
어원다카오 현
로마자 표기 (표준 중국어)Gāoxióng Shì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Kao¹-hsiung² Shih⁴
로마자 표기 (민난어)Ko-hiông Tshī
로마자 표기 (하카어)Gò-hiung Shi+
일본어 표기
타카오시
역사
펑산 현 설치1683년
다카오 현 설치1920년 9월
가오슝시 설치1945년 10월 25일
가오슝 현 설치1945년 12월 6일
위안 관할 직할시 승격1979년 7월 1일
가오슝 현과 합병2010년 12월 25일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38개 구
국가 대표
입법원113개 선거구 중 8개
경제
주요 산업항만
항구 처리량 감소2017년 대비 1.9% 감소
상징
시화무궁화
시목목화나무

2. 역사

## 명칭의 유래

가오슝은 17세기에는 '타커우'()라고 불렸는데, 이는 "개를 때리다"라는 뜻이었다.[7] 타커우라는 이름은 원주민 시라야어에서 유래하여 "대나무 숲"으로 번역된다는 설과, 마카타오 부족의 이름에서 음운 변화를 통해 발전했다는 설이 있다.[7] 마카타오족은 시라야 부족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한다.[7]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남부 타이완 지역은 약 30년간 유럽인들에게 '탄코이아'로 알려졌다. 1662년, 네덜란드는 정성공의 명나라 충신들에 의해 세워진 동닝 왕국에 의해 축출되었고, 그의 아들 정경은 1664년 마을 이름을 '반리안치우'()로 개명했다.

1670년대 후반, 중국 본토에서 이민자가 급증하면서 '타커우'라는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고, 1895년 타이완이 일본 제국에 할양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1903년 타이완 일반사에서 포르모사 주재 미국 영사 제임스 W. 데이비슨은 "타코우"가 이미 영어로 잘 알려진 이름이었다고 전했다.[8] 1920년, 이 이름은 교토 우쿄구의 지명인 , a place in Ukyō Ward, Kyoto|lead=yes}}를 따서 로 변경되었고, 타카오 현의 관할 하에 있었다.

타이완이 중화민국에 할양된 후, 한자는 변하지 않았지만, 표준어 발음에 맞춰 조정되었으며,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는 인 가오슝이 되었는데, 이는 高雄중국어의 표준중국어 발음에 대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유래했다.

'타커우'라는 이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루카이어와 같은 타이완의 언어에서 여전히 도시의 공식 명칭으로 남아 있지만, 도시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1880년 타이완 지도 (타까우(가오슝) 포함)


## 초기 역사

가오슝은 명나라 말기 17세기 말에 다가우(打狗, 打狗nan, Tá-káu)라고 불리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라는 이름은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되었다. 1624년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하였으나, 1635년에 지역 원주민들에게 패하였다. 1662년 네덜란드인들은 정씨왕국의 건립자인 정성공에 의해 추방되었다. 정성공의 아들인 정경은 1664년에 마을의 이름을 만년주(萬年洲)로 개칭하였다. 1670년대 후반에 중국 본토에서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마을은 급격히 성장하였고 이름은 다시 타카우로 복구되었다. 1684년에 청나라는 대만을 병합하고 봉산현(鳳山縣)이라 개칭하여 대만부에 포함시켰다. 1680년대에 처음으로 개항하였다.

청나라 시대 마카타오 사람들의 스케치


가오슝 지역에서 인류 활동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약 4,700년~5,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발견된 유물 대부분은 가오슝 항구 주변 언덕에서 발견되었으며, 수산, 용천사, 도자원, 좌영구, 후징, 복정진, 봉비두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대분갱 문화, 우주자 문화, 대호 문화, 조송 문화 문명이 이 지역에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천사의 선사 시대 유적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그 문명은 원주민 마카타오 문명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발생했음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다른 고고학적 유적과 달리 용천사 유적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발견된 선사 시대 유물들은 고대 가오슝 항구가 원래 석호였으며, 초기 문명은 주로 수렵 채집 사회였음을 시사한다. 일부 농기구도 발견되어 일부 농업 활동도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중국 기록은 1603년에 명나라 제독 신유용(沈有容)의 함대에 속한 진제가 대만과 팽호 주변 해역의 해적을 소탕하기 위한 원정에서 작성했다. 그의 "동번지(東番記)" 보고서에서 진제는 타카우 섬을 언급했다.

## 네덜란드 통치 시대

가오슝은 명나라 말기 17세기 말에 다가우(打狗nan, Tá-káu)라고 불리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라는 이름은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된 것이다.[10] 1624년에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하였으나, 1635년에 지역 원주민들에게 패하였다. 당시 타카우(Takau)는 이미 대만 남부에서 가장 중요한 어항 중 하나였다. 네덜란드인들은 이곳을 'Tankoya'라고, 항구를 'Tancoia'라고 불렀다.[10] 네덜란드 선교사 프랑수아 발렌타인(François Valentijn)은 타카우 산(Takau Mountain)을 "Ape Berg"라고 명명했는데, 이 이름은 18세기까지 유럽 항해 차트에 등장했다.[10]

1871년 타카우 항구 사진 (John Thomson (photographer) 촬영)


이 기간 동안 대만은 5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었고, 타카우는 가장 남쪽 구역에 속했다. 1630년, 복건성(Fujian)의 기근으로 인해 대만으로의 대규모 한족(Han Chinese) 이주가 시작되었고, 중국의 상인들은 네덜란드인들로부터 사냥 허가증을 구입하거나 중국 당국을 피해 원주민 마을에 숨어들었다.

## 청나라 통치 시대

17세기 말, 가오슝은 다가우(打狗nan, Tá-káu)라 불리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는 타이완 원주민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했다. 1624년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했으나, 1635년 원주민들에게 패했다. 1662년 정씨왕국의 건립자 정성공에게 쫓겨났다.[11] 정경은 1664년 마을 이름을 만년주(萬年洲)로 바꾸었다. 1670년대 후반, 중국 본토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마을은 급격히 성장했고 이름은 다시 타카우로 돌아갔다.[11]

타카우 항 (1893)


풍산현 구성 남문 원환


1684년, 청나라는 타이완을 병합하고 대만의 일부로 여기며, 그곳을 봉산현(鳳山縣)으로 개칭하고 대만부에 포함시켰다. 봉산현은 1680년대에 처음으로 항구로 개항되었고,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번영했다.[11]

## 일본 통치 시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1895년 타이완을 할양받았다. 초기 행정 관할은 신풍산성에서 타이난 초의 풍산 지구로 이전되었다. 1901년 11월, 20개의 초(廳)가 설치되었는데, 그중 가 인근에 설치되었다. 1909년 호잔 초는 폐지되었고, 타카오는 타이난 초에 병합되었다. 1920년 덴 겐지로 총독 재임 중, 구(郡)가 폐지되고 현(縣)이 설치되면서, 타카오 현의 로서 관리되었다.

일본은 가오슝 항을 중심으로 가오슝을 항구 도시로 개발했다.[12] 남북 철도의 종착역과 연결하여 체계적으로 현대화했다.[12] 1930년대 타이페이에서 가오슝까지 남북 지역 경제 회랑을 형성하면서, 일본의 남진 정책에 따라 가오슝은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12] 가오슝 항은 1894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다.[13] 정부는 도시 계획을 수립하고, 철도 부설 및 항구 개량을 추진했다.[13] 정유, 기계, 조선, 시멘트 등 새로운 산업도 도입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타이완 농산물의 상당 부분을 일본으로 수출했으며,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에서 일본의 전쟁 작전 주요 거점 역할을 했다. 일본은 수력 발전을 기반으로 알루미늄 산업을 육성하는 등 산업 개발을 추진했다.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제38기동부대와 FEAF에 의해 도시가 심하게 폭격당했다.[14]

## 중화민국 시대

가오슝은 명나라 말기 17세기 말에 다가우(打狗, )라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는 타이완 원주민 언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했다. 1624년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했으나, 1635년 원주민에게 패했다. 1662년 정성공이 네덜란드인을 몰아냈고, 1664년 정경이 마을 이름을 만년주(萬年洲)로 고쳤다. 1670년대 후반 본토 이주민 유입으로 마을이 성장하며 타카우로 복구되었다. 1684년 청나라는 대만을 병합, 봉산현(鳳山縣)으로 개칭하고 대만부에 포함시켰다. 1680년대에 처음 개항했다.[15]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에 할양되었고, 1945년 중화민국이 통치권을 이양받았다. 가오슝(高雄) 지명은 1920년 일본이 다가우(打狗)를 다카오(}})로 고친 것을 표준 중국어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15]

1945년 10월 25일 타이완 통치권이 일본에서 중화민국 정부로 이양된 후, 가오슝시와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은 1945년 12월 25일 각각 성할과 현으로 설립되었다.[15] 당시 가오슝시는 거산구(Gushan District), 렴야구, 난자구(Nanzih District), 전진구, 전진구(Cianjhen District), 기진구, 삼민구(Sanmin District), 신성구, 염성구, 좌영구(Zuoying District) 등 10개의 구로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피해를 입었던 항구는 복구되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해역으로 항해하는 어선들의 어항이 되었다. 기후 덕에 기륭(Keelung)을 제치고 타이완 주요 항구가 되었고, 1970년대 후반 타이난을 제치고 타이완 제2의 도시가 되었다.[16] 1979년 7월 1일, 행정원(Executive Yuan)에 의해 가오슝시는 성할에서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총 11개 구가 되었다. 소강구(Siaogang District)는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의 소강진에서 편입되었다.[16]

1979년 12월 10일, 정부가 국제 인권의 날(Human Rights Day) 기념 행사를 탄압한 가오슝 사건(Kaohsiung Incident)이 발생했다. 이후 가오슝은 국민당(Kuomintang) 지지자인 타이페이(Taipei)와 대조적으로, 범녹색연합(Pan-Green Coalition) 인구의 정치 중심지로 성장했다.

2010년 12월 25일 이전과 이후의 가오슝시 지도


2010년 12월 25일, 가오슝시는 가오슝현(Kaohsiung County)과 합병하여 렴야구(Lingya District)와 풍산구(Fongshan District)에 행정 중심지를 둔 더 큰 직할시를 형성했다.[17] 2014년 7월 31일, 전진구(Cianjhen District)와 렴야구(Lingya District)에서 2014년 가오슝 가스 폭발 사고(2014 Kaohsiung gas explosions)가 발생, 31명이 사망하고 300명 이상이 부상했다. 시 중심부 근처 약 20km² 면적에서 5개의 도로가 파괴되었다. 이는 타이완 현대사에서 가장 큰 가스 폭발 사고였다.[18]

2. 1. 명칭의 유래

16세기와 17세기 동안 이 지역으로 이주한 하카 이민자들은 이 지역을 '타까우'()라고 불렀는데, 이는 "개를 때리다"라는 뜻이었다.[7] 타까우라는 이름은 원주민 시라야어에서 유래하여 "대나무 숲"으로 번역된다는 설과, 마카타오 부족의 이름에서 음운 변화를 통해 발전했다는 설이 있다.[7] 마카타오족은 시라야 부족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한다.[7]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남부 타이완 지역은 약 30년간 유럽인들에게 '탄코이아'로 알려졌다. 1662년, 네덜란드는 정성공의 명나라 충신들에 의해 세워진 동닝 왕국에 의해 축출되었고, 그의 아들 정경은 1664년 마을 이름을 '반리안치우'()로 개명했다.

1670년대 후반, 중국 본토에서 이민자가 급증하면서 '타까우'라는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고, 1895년 타이완이 일본 제국에 할양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1903년 타이완 일반사에서 포르모사 주재 미국 영사 제임스 W. 데이비슨은 "타코우"가 이미 영어로 잘 알려진 이름이었다고 전했다.[8] 1920년, 이 이름은 교토 우쿄구의 지명인 , a place in Ukyō Ward, Kyoto|lead=yes}}를 따서 로 변경되었고, 타카오 현의 관할 하에 있었다.

타이완이 중화민국에 할양된 후, 한자는 변하지 않았지만, 표준어 발음에 맞춰 조정되었으며,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는 인 가오슝이 되었는데, 이는 高雄중국어의 표준중국어 발음에 대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유래했다.

'타까우'라는 이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루카이어와 같은 타이완의 언어에서 여전히 도시의 공식 명칭으로 남아 있지만, 도시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2. 2. 초기 역사

가오슝은 명나라 말기 17세기 말에 다가우(打狗, 打狗nan, Tá-káu)라고 불리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라는 이름은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되었다. 1624년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하였으나, 1635년에 지역 원주민들에게 패하였다. 1662년 네덜란드인들은 정씨왕국의 건립자인 정성공에 의해 추방되었다. 정성공의 아들인 정경은 1664년에 마을의 이름을 만년주(萬年洲)로 개칭하였다. 1670년대 후반에 중국 본토에서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마을은 급격히 성장하였고 이름은 다시 타카우로 복구되었다. 1684년에 청나라는 대만을 병합하고 봉산현(鳳山縣)이라 개칭하여 대만부에 포함시켰다. 1680년대에 처음으로 개항하였다.

가오슝 지역에서 인류 활동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약 4,700년~5,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발견된 유물 대부분은 가오슝 항구 주변 언덕에서 발견되었으며, 수산, 용천사, 도자원, 좌영구, 후징, 복정진, 봉비두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대분갱 문화, 우주자 문화, 대호 문화, 조송 문화 문명이 이 지역에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천사의 선사 시대 유적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그 문명은 원주민 마카타오 문명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발생했음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다른 고고학적 유적과 달리 용천사 유적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발견된 선사 시대 유물들은 고대 가오슝 항구가 원래 석호였으며, 초기 문명은 주로 수렵 채집 사회였음을 시사한다. 일부 농기구도 발견되어 일부 농업 활동도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중국 기록은 1603년에 명나라 제독 신유용(沈有容)의 함대에 속한 진제가 대만과 팽호 주변 해역의 해적을 소탕하기 위한 원정에서 작성했다. 그의 "동번지(東番記)" 보고서에서 진제는 타카우 섬을 언급했다.

2. 3. 네덜란드 통치 시대

가오슝은 명나라 말기 17세기 말에 다가우(打狗nan, Tá-káu)라고 불리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라는 이름은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된 것이다.[10] 1624년에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하였으나, 1635년에 지역 원주민들에게 패하였다. 당시 타카우(Takau)는 이미 대만 남부에서 가장 중요한 어항 중 하나였다. 네덜란드인들은 이곳을 'Tankoya'라고, 항구를 'Tancoia'라고 불렀다.[10] 네덜란드 선교사 프랑수아 발렌타인(François Valentijn)은 타카우 산(Takau Mountain)을 "Ape Berg"라고 명명했는데, 이 이름은 18세기까지 유럽 항해 차트에 등장했다.[10]

이 기간 동안 대만은 5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었고, 타카우는 가장 남쪽 구역에 속했다. 1630년, 복건성(Fujian)의 기근으로 인해 대만으로의 대규모 한족(Han Chinese) 이주가 시작되었고, 중국의 상인들은 네덜란드인들로부터 사냥 허가증을 구입하거나 중국 당국을 피해 원주민 마을에 숨어들었다.

2. 4. 청나라 통치 시대

17세기 말, 가오슝은 다가우(打狗nan, Tá-káu)라 불리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는 타이완 원주민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했다. 1624년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했으나, 1635년 원주민들에게 패했다. 1662년 정씨왕국의 건립자 정성공에게 쫓겨났다.[11] 정경은 1664년 마을 이름을 만년주(萬年洲)로 바꾸었다. 1670년대 후반, 중국 본토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마을은 급격히 성장했고 이름은 다시 타카우로 돌아갔다.[11]

1684년, 청나라는 타이완을 병합하고 대만의 일부로 여기며, 그곳을 봉산현(鳳山縣)으로 개칭하고 대만부에 포함시켰다. 봉산현은 1680년대에 처음으로 항구로 개항되었고,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번영했다.[11]

2. 5. 일본 통치 시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1895년 타이완을 할양받았다. 초기 행정 관할은 신풍산성에서 타이난 초의 풍산 지구로 이전되었다. 1901년 11월, 20개의 초(廳)가 설치되었는데, 그중 가 인근에 설치되었다. 1909년 호잔 초는 폐지되었고, 타카오는 타이난 초에 병합되었다. 1920년 덴 겐지로 총독 재임 중, 구(郡)가 폐지되고 현(縣)이 설치되면서, 타카오 현의 로서 관리되었다.

일본은 가오슝 항을 중심으로 가오슝을 항구 도시로 개발했다.[12] 남북 철도의 종착역과 연결하여 체계적으로 현대화했다.[12] 1930년대 타이페이에서 가오슝까지 남북 지역 경제 회랑을 형성하면서, 일본의 남진 정책에 따라 가오슝은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12] 가오슝 항은 1894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다.[13] 정부는 도시 계획을 수립하고, 철도 부설 및 항구 개량을 추진했다.[13] 정유, 기계, 조선, 시멘트 등 새로운 산업도 도입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타이완 농산물의 상당 부분을 일본으로 수출했으며,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에서 일본의 전쟁 작전 주요 거점 역할을 했다. 일본은 수력 발전을 기반으로 알루미늄 산업을 육성하는 등 산업 개발을 추진했다.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제38기동부대와 FEAF에 의해 도시가 심하게 폭격당했다.[14]

2. 6. 중화민국 시대

가오슝은 명나라 말기 17세기 말에 다가우(打狗, )라는 마을이었다. 다가우는 타이완 원주민 언어로 '대나무 숲'을 의미하는 마카타오에서 유래했다. 1624년 네덜란드인들은 질란디아 요새를 건설했으나, 1635년 원주민에게 패했다. 1662년 정성공이 네덜란드인을 몰아냈고, 1664년 정경이 마을 이름을 만년주(萬年洲)로 고쳤다. 1670년대 후반 본토 이주민 유입으로 마을이 성장하며 타카우로 복구되었다. 1684년 청나라는 대만을 병합, 봉산현(鳳山縣)으로 개칭하고 대만부에 포함시켰다. 1680년대에 처음 개항했다.[15]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에 할양되었고, 1945년 중화민국이 통치권을 이양받았다. 가오슝(高雄) 지명은 1920년 일본이 다가우(打狗)를 다카오(}})로 고친 것을 표준 중국어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15]

1945년 10월 25일 타이완 통치권이 일본에서 중화민국 정부로 이양된 후, 가오슝시와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은 1945년 12월 25일 각각 성할과 현으로 설립되었다.[15] 당시 가오슝시는 거산구(Gushan District), 렴야구, 난자구(Nanzih District), 전진구, 전진구(Cianjhen District), 기진구, 삼민구(Sanmin District), 신성구, 염성구, 좌영구(Zuoying District) 등 10개의 구로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피해를 입었던 항구는 복구되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해역으로 항해하는 어선들의 어항이 되었다. 기후 덕에 기륭(Keelung)을 제치고 타이완 주요 항구가 되었고, 1970년대 후반 타이난을 제치고 타이완 제2의 도시가 되었다.[16] 1979년 7월 1일, 행정원(Executive Yuan)에 의해 가오슝시는 성할에서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총 11개 구가 되었다. 소강구(Siaogang District)는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의 소강진에서 편입되었다.[16]

1979년 12월 10일, 정부가 국제 인권의 날(Human Rights Day) 기념 행사를 탄압한 가오슝 사건(Kaohsiung Incident)이 발생했다. 이후 가오슝은 국민당(Kuomintang) 지지자인 타이페이(Taipei)와 대조적으로, 범녹색연합(Pan-Green Coalition) 인구의 정치 중심지로 성장했다.

2010년 12월 25일, 가오슝시는 가오슝현(Kaohsiung County)과 합병하여 렴야구(Lingya District)와 풍산구(Fongshan District)에 행정 중심지를 둔 더 큰 직할시를 형성했다.[17] 2014년 7월 31일, 전진구(Cianjhen District)와 렴야구(Lingya District)에서 2014년 가오슝 가스 폭발 사고(2014 Kaohsiung gas explosions)가 발생, 31명이 사망하고 300명 이상이 부상했다. 시 중심부 근처 약 20km² 면적에서 5개의 도로가 파괴되었다. 이는 타이완 현대사에서 가장 큰 가스 폭발 사고였다.[18]

3. 지리

가오슝시는 대만 남서쪽 해안에 위치하며 대만 해협에 면한다.[76] 중심가는 가오슝항과 항구의 자연적인 방파제 역할을 하는 치진 섬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76] 아이허가 구 시가지와 중심가를 거쳐 항구로 흐른다.[76] 쭤잉 군항이 가오슝 항과 도심의 북쪽에 놓여있다.[76] 가오슝의 자연 관광지로는 산호초가 융기해 형성된 서우산이 있다.[76]

가오슝의 위성 사진


가오슝은 북회귀선의 남쪽에 위치하여, 열대 기후, 구체적으로 사바나 기후에 속한다.[76] 평균 기온은 20.8°C ~ 30.3°C이며 평균 습도는 60~85%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810.7mm이다.[7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4.225.027.029.331.032.132.732.131.830.128.125.3
평균 최저 기온 (°C)16.217.219.722.825.226.326.726.325.924.421.617.9
평균 강수량 (mm)19.117.732.368.4202.2416.2377.2512.4224.553.425.619.2



일본 통치 이전부터 일본 통치 시대에 걸쳐 시가지는 아이허(일본 통치 시대의 高雄川) 서쪽, 서우산 산록에 위치해 있었지만, 전후 시가지는 아이허 동쪽으로 확장되었고, 가오슝역과 시 중심부도 아이허 동쪽으로 이전했다.[75]

또한, 가오슝시민정국(高雄市民政局)에 근무하던 직원 임금지(林金枝)에 의해, 중심부의 동서 방향 도로 이름이 일본식 정(町)·정목(丁目)에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일'''심로(一心路), '''이'''성로(二聖路), '''삼'''다로(三多路), '''사'''위로(四維路), '''오'''복로(五福路), '''육'''합로(六合路), '''칠'''현로(七賢路), '''팔'''덕로(八德路), '''구'''여로(九如路), '''십'''전로(十全路)와 같이 숫자를 앞에 붙인 이름으로 개명되었다.[75]

4. 인구

가오슝시의 인구는 2018년 12월 기준 2,773,533명으로, 신베이시타이중시에 이어 타이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며, 인구 밀도는 939.59명/km²이다.[4] 1985년 2,379,610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에는 2,778,918명에 달했다. 시 내에서는 펑산 구의 인구가 359,519명으로 가장 많고, 가오슝 신싱 구의 인구 밀도가 25,820명/km²로 가장 높다.[4]

가오슝시 인구의 대다수는 한족이며, 호로, 객가, 외성인으로 구성된다. 호로인과 외성인은 주로 평지나 시 중심부에, 객가인은 북동쪽 구릉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 원주민들은 부눈족, 루카이족, 사라오족, 카나카나부족 등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며, 주로 타오위안이나 나마시아 등 산간 지역에 거주한다.

2010년 12월 기준, 가오슝에는 약 2만 1천 명의 외국인 배우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중국인이 1만 2,353명, 베트남인이 4,244명이다. 2013년 4월 기준, 가오슝에는 3만 5,074명의 외국인 노동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이 인도네시아인이다.

5. 경제

가오슝시는 17세기 후반부터 정착촌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1863년 안핑 항의 부속항으로 개항하고 1864년에 세관이 설치되면서 대만 남부 해안 평야의 중요한 항구로 성장했다. 일본 점령기(1895~1945)에는 일본 본국으로의 원료 및 식량 수송을 위한 항구로 개발되었으며, 남북을 잇는 철도의 남쪽 종점이 되었다. 1904년부터 1907년까지 항구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고, 1920년에는 다카오(打狗)로 개칭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전쟁 중에는 농업 수출항이자 군사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수력 전기를 기반으로 한 알루미늄 공장이 건설되는 등 공업 개발도 진행되었다.

가오슝의 밤 스카이 라인


가오슝의 도시 풍경


가오슝항(Kaohsiung Harbor)


가오슝 시내 스카이라인


가오슝 스카이라인


1945년 중화민국 관할이 된 후에도 가오슝은 급속히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피해를 입은 항구는 곧 복구되었고, 필리핀인도네시아 해역으로 항해하는 선박들의 어항이 되었다. 기후 조건 덕분에 가오슝은 타이완의 주요 항구로서 지룽을 추월하게 되었다.

오늘날 가오슝은 대만 남서쪽의 주요 국제항이자 공업 도시로서, 총 면적 154km2의 커다란 천연 항구를 가지고 있다. 1966년부터 난쯔구에 가공 수출구가 개업하여 가공무역 공업단지와 중화학공업의 공업단지가 집적되어 대만 제일의 공업도시가 되었다. 주요 수출품은 쌀, 설탕, 바나나, 파인애플, 땅콩, 감귤류 등이다. 1970년대 중반에 완공된 린하이 공업구에는 제철소, 조선소, 석유화학단지가 있으며, 도시에는 석유 정제,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설탕 정제, 벽돌 및 타일, 제염, 제지 공장이 있다. 1970년대 후반에는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되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과일 및 생선 통조림 산업도 발달해 있다.

2020년 가오슝항의 간척 사업이 완료되어 타이베이 대안 삼림공원 16개에 해당하는 면적이 조성되었다.[29] 가오슝항무국은 매립지 49ha를 매입하여 항구의 자유무역지역에 태양광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30]

가오슝시의 명목 GDP는 약 450억 달러이고 도시권의 GDP는 90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08년 1인당 명목 GDP는 24,000달러였다. 초기 성공과 정부의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가오슝시는 타이완의 경제적 타이완 남북 격차(North–South divide in Taiwan)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여전히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있다.[31] 피어-2 아트 센터(Pier-2 Art Center), 국립가오슝예술센터(National Kaohsiung Center for the Arts), 가오슝음악센터(Kaohsiung Music Center)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관광 및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으로 지역 경제를 전환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31]

가오슝시의 주요 농작물은 채소, 과일, 쌀이며, 경작지 면적은 총 473km2로 시 전체 면적의 16%를 차지한다.[32] 가오슝시는 대만에서 구아바, 대추, 리치 생산량이 가장 많다.[32] 주요 가축은 닭, 젖소, 사슴, 오리, 거위, 돼지, 양이다. 가오슝시의 연간 농업 총수입은 241억 5천만 대만달러이다.[32]

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한 중국에서 귀환한 대만 상인들의 투자 유입 (가오슝시)
상인 수투자 금액 (10억 대만달러)일자리 창출
타오위안시 (Taoyuan City)39154.015000
타이중시 (Taichung City)35133.810000
가오슝시 (Kaohsiung City)20146.010000
타이난시 (Tainan City)23123.07500
신베이시 (New Taipei City)921.02650
타이페이시 (Taipei City)34.0600
출처:[33]



가오슝 출신의 주요 경제인으로는 신발 브랜드 La New皮鞋중국어 창립자 劉保佑중국어를 비롯하여, 陳中和중국어, 林迦중국어, 고가 사무토, 아사노 소이치로, 고구 신타로, 杉本音吉중국어, 大坪與一중국어, 吉井長平중국어, 鮫島盛중국어, 우미노 산지로, 하야시 코히코 등이 있다.

6. 문화



가오슝 시에 거주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대만어만다린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일본의 대만 식민지배 시대에 성장한 일부 노년층은 일본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젊은 세대의 대부분은 기본적인 영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국민당 정부가 1949년 대만으로 퇴각한 이후 표준 중국어가 확산되면서 객가어와 다양한 포르모사 언어는 새로운 세대에게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많은 포르모사 언어는 따라서 유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 또는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오늘날에는 메이농, 리우구이, 산린, 지아시안 구에 주로 거주하는 고령의 객가 사람들만이 객가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나마시아와 타오위안의 농촌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고령의 대만 원주민들만이 원주민 언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대만 정부는 원주민과 객가 사람들의 언어, 문화 및 소수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 위원회를 설립했다.

가오슝 메트로 가오슝 다리 역의 빛의 돔


가오슝 메트로 가오슝 다리 역의 대합실에 있는 "빛의 돔(Dome of Light)"은 세계에서 가장 큰 공공 유리 공예 작품 중 하나이다.[38] 도시에는 전진구 거리에 걸쳐 있는 도시 스포트라이트 아케이드(Urban Spotlight Arcade)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 건물 내 공연 예술 센터로 인정받는 위우잉(Weiwuying)(국립 가오슝 예술 센터)이 2018년에 개관했다. 이 센터는 메카누(Mecanoo)가 설계했다.[39]

타이완의 종교 (정부 통계, 2005)[40]

불교도교기독교일관도천도교미륵대도재래종기타 또는 무응답무종교
35.1333.93.52.21.10.82.418.7



가오슝시의 종교 인구는 주로 다섯 개의 주요 종교 집단으로 나뉜다: 불교, 도교, 이슬람교, 그리고 기독교(천주교와 개신교). 2015년 기준으로 가오슝시에는 1,481개의 사찰이 있으며, 이는 타이난 다음으로 타이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입니다. 가오슝에는 또한 306개의 교회가 있습니다.[41]

불교는 대만의 주요 종교 중 하나이며, 대만 인구의 35% 이상이 불교 신자로 신고되어 있다.[42] 이는 가오슝시(高雄市)에도 해당된다. 가오슝에는 대만에서 가장 큰 불교 사찰인 불광산사(佛光山)와 불광산불교박물관(佛光山佛陀紀念館)이 있다. 봉산용산사(鳳山龍山寺)와 홍파사(弘法寺)와 같은 다른 유명한 불교 사찰들도 있다.

대만 인구의 약 33%가 도교를 믿어 대만의 두 번째로 큰 종교가 되고 있다. 도교를 믿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동시에 불교를 믿기도 하는데, 두 종교의 차이와 경계가 항상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지역 주민들은 또한 천상성모(天上聖母) 또는 마조(媽祖, Mazu)로 알려진 바다의 여신을 숭배하는데, 마조는 도교의 신선 또는 보살 관음(觀音, Guanyin)의 화신으로 다양하게 융합되어 있다. 기진섬(Cijin Island)에 있는 기진마조사(旗津媽祖廟, Chi Jin Mazu Temple)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사원으로, 원래 대나무와 짚으로 지은 건물이 1673년에 처음 문을 열었다.[43] 이 사원 주변 지역은 도시의 초기 정착 중심지가 되었다. 그 외에도 옥황상제(Jade Emperor)를 모신 풍산천궁사(Fengshan Tiangong Temple), 보생대제(保生大帝, Baosheng Da Di)를 모신 자지궁(Cih Ji Palace), 청수조사(清水祖師, Qingshui (monk))를 모신 주자청수사(周仔清水寺, Zhouzi Qingshui Temple), 그리고 왕예(王爺, Wang Ye)를 모신 구산대천사(鼓山代天宮, Gushan Daitian Temple)와 같은 다른 유명한 도교 사찰들도 있다.

기독교는 대만에서 소수 종교이다. 17세기 네덜란드와 스페인이 대만을 식민지배할 때 처음으로 섬에 전파되었으며, 대부분 원주민들에게 전파되었다. 현재 가오슝(高雄市)에는 약 5만 6천 명의 기독교인이 거주하고 있다.

불교도와 도교도가 대다수인 가오슝에는 소수의 무슬림 인구도 있다. 중국 국공내전 당시, 대부분 군인과 공무원이었던 약 2만 명의 무슬림이 중국 본토에서 국민당 정부와 함께 타이완으로 망명했다.[44] 1980년대에는 공산당의 장악으로 윈난성을 떠난 국민당 군인의 후손들이 대부분인 미얀마와 태국 출신의 무슬림 수천 명이 더 나은 삶을 찾아 타이완으로 이주하여 타이완 내 무슬림 인구가 증가했다.[44] 최근에는 타이완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노동자의 증가로 기존 5만 3천 명의 타이완 무슬림 외에 약 8만 8천 명의 인도네시아 무슬림이 타이완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모든 인구 통계를 합치면 타이완에는 약 14만 명의 무슬림이 거주하며, 그중 약 2만 5천 명이 가오슝에 거주한다. 가오슝 모스크는 가오슝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며, 도시 내 무슬림들의 주요 집회 장소이다.


  • '''가오슝시립미술관'''(高雄市立美術館): 가오슝시 구산구 내유비 문화원구(內惟埤文化園區)에 위치한다. 어린이 미술관과 조각공원이 있다.
  • 2009년 7월, 올림픽 채택 종목 이외의 스포츠 축제인 세계게임 제8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 가오슝항 제3독(高雄港第3ドック)의 창고들을 재활용하여 만든 '''보얼예술특구'''(駁二芸術特区)는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들을 초청하여 아틀리에와 공방이 모인 창의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타이베이시(台北市)에서 열리는 동인지 판매회 판타지 프런티어(Fancy Frontier 開拓動漫祭)와 같은 주최 및 협찬으로 "보얼만화축제"(駁二動漫祭)도 매년 이곳에서 개최되며, 일본과 마찬가지로 서브컬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고첩소녀(高捷少女)도 이곳에서 인기를 얻었다. 매년 3월에는 이곳에서 "[http://www.megaportfest.com/ 대항개창(Megaport Festival)]"이 개최된다. 인접한 구 가오슝항역(高雄港駅) 터는 타구철도이야기관(打狗鉄道故事館)을 중심으로 하마싱 철도문화원구(哈瑪星鉄道文化園区)로 조성되었고, 하마싱대만철도관(哈瑪星台湾鉄道館)도 개관하여 철도 문화유산 활용이 활발하다.

6. 1. 관광

가오슝시의 주요 랜드마크로는 85층 타워(85 Sky Tower), 가오슝 드림몰(Dream Mall)의 대관람차(Ferris wheel), 가오슝 아레나(Kaohsiung Arena), 가오슝항(Port of Kaohsiung)이 있다.[34] 새롭게 개발된 이 도시는 쇼핑가(shopping streets), 정돈된 야시장(night markets), 피어-2 아트센터(Pier-2 Art Center), 이다 테마파크(E-DA Theme Park), 대도시공원, 가오슝 미술관(Kaohsiung Museum of Fine Arts), 국립 가오슝 예술센터(National Kaohsiung Center for the Arts), 타로코 공원(Taroko Park)과 같은 새롭게 조성된 레저 공원으로도 유명하다.[34]

러브강에서 바라본 85층 타워(85 Sky Tower)


도시의 자연 명소로는 (원숭이 산) 서산, 러브강(Love River), 치진섬(Cijin Island), 스즈완(Sizihwan), 다핑딩 열대 식물원(Dapingding Tropical Botanical Garden), 도시 북동쪽 끝에 있는 유산 국립공원(Yushan National Park)이 있다.[34] 가오슝시는 면적이 넓고 지리적으로 다양하여 다양한 자연 명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북동쪽으로는 중앙산맥과 접하고, 서쪽과 남서쪽으로는 따뜻한 남중국해와 접해 있기 때문이다.[34] 연중 따뜻한 기후 덕분에 가오슝항 주변 해안선을 따라 산호초가 자라고 있으며, 壽山은 산호초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작은 산이다.[34] 반면 북동쪽의 산악 지대에는 대만에서 가장 높은 산인 玉山이 있다.[34] 그 밖에 주목할 만한 자연 명소로는 반평산(Mount Banping), 연지, 현재 군사 점령으로 인해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능한 동사환 국립공원(Dongsha Atoll National Park)이 있다.[34]

타카오(高雄)의 구 영국 영사관


17세기 초에 건설된 역사적인 마을인 주잉 구시가지(Old City of Zuoying), 19세기 후반에 건설된 타카오의 구 영국 영사관(Former British Consulate at Takao), 일본 통치 시대에 건설된 다양한 설탕 및 농작물 공장과 같은 다양한 역사적 명소도 있다.[34] 17세기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18세기와 19세기 청나라 시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일본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역사 유적과 기념물이 도시에 남았다.[34] 시 정부는 다양한 유적과 기념물을 추가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해 왔으며, 1980년대 초부터 많은 곳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34] 주목할 만한 역사 유적지로는 정해군묘지(鄭海軍墓地), 봉산 용산사(鳳山龍山寺), 타카오(高雄)의 구 영국 영사관, 구 딩린쯔볜 경찰서(舊鼎林仔邊警察署), 메이농 문화창작센터(美濃文化創意中心), 구 삼합은행(舊三合銀行),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 중 하나인 가오슝 등대(高雄燈塔)가 있다.[34]

가오슝 공자묘


가오슝에는 중리허 박물관, 치진 조개 박물관, 불광산 불교 박물관, 자시아 석화 박물관, 가오슝 천문 박물관, 가오슝객가문화박물관, 가오슝 항구 박물관, 가오슝 미술관, 가오슝 역사 박물관, 가오슝 노동 박물관, 가오슝 비전 박물관, 메이농 객가 문화 박물관, 국립 과학기술 박물관, 중화민국 공군 박물관, 소야 혼합 고기 박물관, 대만 파인애플 박물관, 대만 설탕 박물관, 타카오 철도 박물관, 샤오린 평푸 문화 박물관 및 YM 해양 탐험 박물관 가오슝을 포함한 많은 박물관이 있다.[34]

대만에서 가장 큰 도시인 가오슝은 새롭게 조성된 레저 공간과 공원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34] 가오슝의 주요 공원이나 정자로는 중앙공원, 샤오강산 스카이워크 공원(Siaogangshan Skywalk Park), 불광산 사찰(Fo Guang Shan Monastery), 용호탑(Dragon and Tiger Pagodas), 춘추정(Spring and Autumn Pavilions), 러브 피어(Love Pier), 싱광 페리 부두(Singuang Ferry Wharf), 가오슝 어부 부두(Kaohsiung Fisherman's Wharf)가 있다.[34] 주요 동물원으로는 가오슝 수산 동물원(Kaohsiung City Shousan Zoo)이 있다.[34]

류허 야시장


가오슝에는 야시장이 많이 있으며, 진즈안 야시장, 류허 야시장, 루이펑 야시장, 중화거리 야시장, 카이위안 야시장 등이 있다.[34] 다른 관광 명소로는 자이진 천후궁, 가오슝 MRT 포모사 대로 역의 빛의 돔, 가오슝 모스크, 삼민구의 빛의 탑 등이 있다.[34]

전통 재래시장은 오랫동안 많은 주민들에게 육류, 생선, 농산물을 공급하는 곳이었다.[37]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서구식 슈퍼마켓이 들어오면서 이러한 시장들은 치열한 경쟁에 직면했다.[37] 1989년, 세계적인 하이퍼마켓 기업인 까르푸가 아시아에 진출하여 가오슝에 첫 매장을 열었다.[35] 대만 사업의 성공에 힘입어 이 프랑스 소매업체는 대만 전역과 아시아 전역으로 확장했다.[35] 2020년 2월 기준으로 까르푸는 대만에 137개의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을 열었다.[36] 서구식 슈퍼마켓의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대만의 전통 시장과 작은 가게들은 "많은 아시아 가정이 일상적인 식료품과 생필품을 구입할 때 가장 인기 있는 소매 형태 중 하나"로 남아 있다.[37]

커피숍은 가오슝에서 유명하고 수도 많아졌다.[34] 서구식 체인점이 들어오면서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새로운 현지 카페가 문을 열었다. 카페 혼도는 좋은 에스프레소로 유명하다.[34]

2013년 가오슝에서 전시된 러버덕


2016년에 등장한 오픈탑 2층 버스


'''국가지정문화재'''

  • 펑산룽산사(鳳山龍山寺)[81]
  • [81]
  • [81]
  • (중두탕런전요창(中都唐榮磚窯廠)) - 원래는 “자오다오련와공창(鮫島煉瓦工廠)”으로 자오다오성(鮫島盛)(자오다오상신(鮫島尚信)의 동생)이 창업하였고, 자오다오의 사후 후궁신타로(後宮信太郎)(후궁준(後宮淳)의 형)이 “대만련와(台灣煉瓦)”라는 이름으로 계승한 벽돌 공장.[81]
  • 구 해군펑산무선전신소(海軍鳳山無線電信所)[81]
  • 치후포대(旗後砲台)[81]
  • 다구영국영사관문화원구(打狗英國領事館文化園区)[81]
  • 하탄수시철교(下淡水溪鉄橋)[81]


'''시지정문화재''' [82]

  • 치후천후궁(旗後天后宮)
  • 웅진북문(雄鎮北門)
  • 치후등대(旗後灯塔)
  • 가오슝시무덕전(高雄市武德殿)
  • 가오슝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
  • 가오슝시립역사박물관(高雄市立歴史博物館)
  • 다구수도정수지(打狗水道浄水池)
  • 다구공학교(현 치진국소)(打狗公學校(現旗津國小))
  • 우송병원(友松醫院)
  • (원 수해수욕장(壽海水浴場)의 온욕장)



  • 잔적
  • 공자묘숭성사

  • 주료취수지(竹寮取水站)
  • 치산진농회(旗山鎮農會)
  • 치산천후궁(旗山天后宮)
  • 치산국소(旗山國小)
  • 치산고산국소(旗山鼓山國小)
  • 룽두장리사진관백공(龍肚庄里社真官伯公)
  • 지우슝린리사진관백공(九芎林里社真官伯公)
  • 미농장리사진관백공(瀰濃庄里社真官伯公)
  • 미농동문루(瀰濃東門樓)
  • 미농장경자정(瀰濃庄敬字亭)
  • 금과료성적정(金瓜寮聖蹟亭)
  • 명녕정왕묘(明寧靖王墓)
  • 자시엔진해군묘(甲仙鎮海軍墓)
  • 만산암조(萬山岩雕)
  • 구 강산일본해군항공대번호 A1~A16 숙소군 (락군촌)(舊岡山大日本帝國海軍航空隊編號A1~A16宿舍群(樂群村))


'''역사건축'''

  • 가오슝항역(高雄港駅)
  • 가오슝항역(高雄港駅) 북신호소
  • 가오슝항항사관(高雄港港史館)
  • 구삼화은행(舊三和銀行)
  • 시즈완터널(西子灣隧道)
  • 가오슝시충렬사(高雄市忠烈祠) (원 가오슝신사(高雄神社))


  • 장미성모성전사교좌당(玫瑰聖母聖殿司教座堂)

  • 삼신고급가사상업직업학교(三信高級家事商業職業學校) 학생활동센터, 파랑교실
  • 가오슝역(高雄駅)
  • 치아우터역(橋頭駅)
  • 치산역(旗山駅)
  • 가오슝경비부(高雄警備府) 청사



  • 85층 빌딩(東帝士85國際廣場): 자강삼로에 위치한 높이 378m의 초고층 빌딩으로, 타이베이 101이 건설되기 전까지는 중화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74층이 전망대이며, 기진과 애하를 가까이서 내려다볼 수 있다. 엘리베이터는 최고 분속 600미터이며, 최고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조명이 어두워지고 천장에 별을 비추는 연출이 있다. 입장료는 성인 1인당 180달러이며, 1층 엘리베이터 탑승구 옆 창구에서 지불한다. 가장 가까운 역은 捷運(홍선) 삼다상권역이다.
  • 통일몽시대(統一夢時代): 통일기업 그룹이 건설한 가오슝 남부 최대 규모의 쇼핑몰이다. 몰 안에는 통일시대백화점과 영화관이 있다.
  • 삼다삼로(三多三路): 가오슝 최대 번화가이다. 신광삼월, 태평양SOGO 등 일본계 백화점과 다양한 브랜드 매장이 밀집해 있다.
  • 육합야시(六合夜市): 육합이로에 위치한 가오슝 최대 규모의 야시장이다. 과일과 B급 음식, 오락거리 등 수많은 노점상이 있다.
  • 기진(旗津): 가오슝항을 둘러싼 사주로, 시내에서 페리를 타고 약 10분 정도 항해하면서 가오슝항과 85층 빌딩 등 초고층 빌딩들을 볼 수 있다. 섬에서는 해산물 요리, 과일, 아이스크림 등 노점상에서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 있다. 남동쪽은 컨테이너 항구이며, 터널로 시가지와 대만 전역과 연결되어 있다.
  • 수산(壽山): 시내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공원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가오슝 신사가 있었지만, 현재는 가오슝시 충렬사로 바뀌었다. 산기슭의 구시가지에는 역사박물관(구 가오슝시청), 구 가오슝역, 구 타구 영국영사관 등 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남아있다. 원래 "타구산(打鼓山)", "타구(打狗)(가오슝)산", 원숭이가 많이 서식한다 하여 "Ape Hill" 등으로 불렸으나, 다이쇼 12년(1927년), 동궁 시대 쇼와 천황의 행차를 기념하여 당시 대만총독전건지로가 수산(壽山)으로 개칭하였다.
  • 서자만(西子灣): 가오슝시 서쪽 끝에 있는 경승지이다.
  • 련지담(蓮池潭) 공원: 교외의 좌영에 위치하며, 7층의 이 있다.
  • 정청호(澄清湖): 가오슝 북쪽 교외에 있는 인공 호수로, 과거 장개석의 별장이 있던 곳이다. 구곡교 등이 있으며, 최근 대형 수족관이 문을 열었다.
  • 한신거단(漢神巨蛋): 가오슝 북부 번화가이다. 대만고속철도 좌영역 근처에 있으며, 지하철역(거단역)도 있다. 주변에는 가오슝에서 가장 유명한 야시장인 가 있다.
  • : 가오슝의 신생 쇼핑몰로, 대관람차와 놀이공원, 호텔이 있다. 의수대학 관련 상사인 이 건설하였다.
  • 대루각초아도(大魯閣草衙道): 일본 스즈카 서킷의 코스 레이아웃을 축소하여 재현한 카트 코스와 다양한 스포츠 오락 시설이 갖춰진 복합 쇼핑몰이다. 섬유업에서 레저업으로 전환한 대루각 그룹이 운영하며, 가오슝 국제공항 인근 가오슝 捷運公司 남기창 부지에 위치한다.
  • 불광산(佛光山): 대만 5대 종파 중 하나인 불광산의 총본산이 있다. 2011년에는 인접지에 "불타기념관"을 개관하였다.
  • 위무영 국가예술문화센터(衛武営國家芸術文化中心): 2018년에 개장한 대만 최대 규모의 국립극장(오페라하우스, 콘서트홀 등)
  • 박이예술특구(駁二芸術特区): "전위", "실험", "혁신"을 테마로 구 창고들을 리노베이션한 복합 예술 공간이다.
  • ''''''
  • 전료'''''': 악지 지형과 진흙 화산이 발달한 지역이다.
  • 가오슝시립도서관총관(高雄市立図書館総館): 식물과 환경 보호, 문화가 결합된 건축물이다.
  • '''''': 대만 남부의 팝 음악 중심지이다.
  • '''''': 대만 최초이자 아시아 최장의 수평회전교이다.
  • 삼봉궁(三鳳宮): 주신으로 중단원수 즉 나타삼태자가 모셔져 있으며, 대만 최대 규모의 삼태자 사당이다.
  • 광지궁정(光之穹頂): 미려도역 역사 내에 있는 퍼블릭 아트이다. 이탈리아 예술가 나르시소 쿠아글리아타가 4년 반에 걸쳐 완성한 스테인드글라스와 조명을 결합한 유리 예술 작품으로, "우주의 탄생", "성장", "영광과 파멸"을 표현하고 있다.
  • '''''': 기진 어항에 인접한 관광 산책로이다. 독특한 디자인의 3엽 날개 풍력발전기 7기가 설치되어 있다.

6. 2. 교통

가오슝시는 대만에서 두 번째로 큰 국제공항인 가오슝 국제공항이 샤오강 구에 위치해 있으며,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에 이어 대만에서 두 번째로 큰 국제공항이다.[55]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홋카이도, 쿠마모토, 오키나와, 서울, 부산, 싱가포르, 홍콩, 베이징, 상하이, 방콕 등을 잇는 국제선도 운항하고 있다. 그러나 공항의 규모는 비교적 작고, 건설 시기와 도심 인접 위치 때문에 다른 대만 주요 공항에 비해 활주로가 짧아 에어버스 A380과 같은 대형 항공기의 착륙이 불가능하다.[55]

가오슝 국제공항


대부분의 대만 해상 수출입품이 통과하는 주요 항구인 가오슝항은 대만에서 가장 큰 컨테이너 항만이며 세계에서 13번째로 큰 항만이다.[52] 5개의 터미널과 23개의 부두를 갖추고 있다. 2007년에는 1020만 TEU의 기록적인 무역량을 처리했다.[53] 가오슝은 대만과 중국의 식당과 상점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상어 지느러미를 수입하는 세계 최대 항구 중 하나이다.[54]

가오슝 항


허우비산 등대 언덕에서 바라본 가오슝항 북쪽


가오슝 도시철도는 2008년 3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37개 역을 포함하는 두 노선(가오슝 첩운 홍선, 가오슝 첩운 귤선)으로 구성되어 있다.[56] 가오슝 첩운 순환선 경전철은 2017년 9월부터 완전 운영되고 있다.

가오슝 첩운


가오슝 순환 경전철


첨단 스타 라이트 레일역(Cianjhen Star light rail station)에서 바라본 가오슝의 스카이라인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종관선 (다후역 - 루주역 - 강산역 - 차오터우역 - 난쯔역 - 신쭤잉역 - 쭤잉역 - 가오슝역)과 핑둥 선이 가오슝시를 지난다. 대만 고속철도는 2007년부터 쭤잉역을 통해 가오슝을 운행하고 있다.[61]

고속철도(THSR)의 쭈잉역(Zuoying Station)


고속도로는 중산 고속공로(국도 1호선)과 가오슝 지선(국도 10호선)이 있다.

가오슝시 정부 교통국의 관할 하에 민간 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시내버스 노선(가오슝시 버스)과 인접 현·시로의 접근을 담당하는 고속버스, 장거리 고속버스망인 국도객운 버스 등이 있다.

7. 정치

가오슝은 타이베이와 정치적으로 대립되는 도시로 여겨지곤 했다.[45] 1990년대 후반 이후 대만 북부는 범람연맹을, 가오슝을 포함한 대만 남부는 범록연맹을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다.[45] 민주진보당의 셰 장팅은 가오슝 시장으로 두 번 재선되었으며, 산업 도시였던 가오슝을 매력적인 현대 도시로 변모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45] 2005년 셰창팅은 행정원장직을 수락하며 시장직을 사임하였다. 2006년 지방 선거에서 천 추가 당선되어 대만 최초의 특별시 여성 시장이 되었다.[45] 그녀는 국민당 경쟁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45]

현직 가오슝 시장인 천기매(陳其邁)


2020년 6월 12일 기준으로 가오슝 시장은 천 기매이다.[45] 차이잉원 정부 시절 천쥐는 총통부 요직으로 옮겼고, 2018년 지방선거에서 한궈위가 당선되어 사상 첫 국민당 출신 가오슝 시장이 탄생하였으나, 2020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 도전에 집중하여 시정에 소홀한 문제로 2020년 파면되고, 이후 천치마이가 신임 가오슝시장으로 선출되었다.

8. 행정 구역

가오슝시는 38개의 구(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구들은 다시 리(里)로, 리는 린(鄰)으로 나뉜다.[46][47][48][49] 가오슝시에는 총 651개의 마을(里)이 있으며, 18,584개의 이웃(鄰)이 있다.

가오슝시의 행정 구역


번호이름중국어면적(km2)리(里) 수인구(2015)
1옌청구鹽埕區1.41612125,126
2구산구鼓山區14.745838136,388
3쭤잉구左營區19.388844195,870
4난쯔구楠梓區25.827637179,442
5싼민구三民區19.786688346,738
6신싱구新興區1.97643252,084
7첸진구前金區1.85732027,509
8링야구苓雅區8.152269174,818
9첸전구前鎮區19.120761193,009
10치진구旗津區1.46391328,832
11샤오강구小港區45.442638155,996
12펑산구鳳山區26.759078355,568
13린위안구林園區32.28602470,339
14다랴오구大寮區71.040025111,638
15다수구大樹區66.98111843,145
16다서구大社區26.5848934,525
17런우구仁武區36.08081682,000
18냐오쑹구鳥松區24.5927743,843
19강산구岡山區47.94213397,769
20차오터우구橋頭區25.93791737,363
21옌차오구燕巢區65.39501130,229
22톈랴오구田寮區92.6802107,526
23아롄구阿蓮區34.61641229,368
24루주구路竹區48.43482053,050
25후네이구湖內區20.16151429,567
26체딩구茄萣區15.76241530,582
27융안구永安區22.6141614,126
28미퉈구彌陀區14.77721219,689
29쯔관구梓官區11.59671536,458
30치산구旗山區94.61222137,861
31메이눙구美濃區120.03161940,931
32류구이구六龜區194.15841213,524
33자셴구甲仙區124.034076,420
34산린구杉林區104.0036712,425
35네이먼구內門區95.62241815,036
36마오린구茂林區194.000031,882
37타오위안구桃源區928.980084,228
38나마샤구那瑪夏區252.989533,144



링야구펑산구는 가오슝시의 행정 중심지이며, 링야구와 신싱구는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구이다. 가오슝시는 타이완의 다른 특별시들 중에서 구의 수가 가장 많다.

남중국해에 있는 둥사 군도(東沙群島)와 난사 군도(南沙群島)의 타이핑섬(太平島)은 가오슝시 치진구 중싱리(中興里)의 관할이다.

9. 자매 도시

가오슝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67][68][69]



가오슝에는 타이베이 미국 대표부 가오슝 지부 사무소, 일본·타이완 교류협회 가오슝 사무소, 필리핀 대표부 가오슝 지부 등 세 개의 영사관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tatdb.dgbas.[...] 2016-06-11
[2]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PDF http://www.demograph[...] Demographia 2019-12-01
[3] 웹사이트 http://dbaskmg.kcg.g[...] 2018-09-09
[4] 웹사이트 http://cabu.kcg.gov.[...] Kaoshiung City Government 2019-01-04
[5] 웹사이트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20 https://www.lboro.ac[...] Globalization and World Cities (GaWC) Research Network 2020-08-31
[6] 웹사이트 Kaohsiung Harbor volume down 1.9 percent last year https://www.taipeiti[...] 2018-01-08
[7] 웹사이트 Siraya activists slam ministry over letter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09-04-23
[8] 서적 The Island of Formosa, Past and Present: History, People, Resources, and Commercial Prospects: Tea, Camphor, Sugar, Gold, Coal, Sulphur, Economical Plants, and Other Production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5-01-20
[9] 웹사이트 Kaohsiung Celebrates 100th Anniversary - A Personal Take https://thetaiwantim[...] 2021-01-04
[10] 서적 Formosa under the Dutch: described from contemporary records, with explanatory notes and a bibliography of the island Kegan Paul
[11] 웹사이트 History of Kaohsiung http://www.hoteltrav[...] HotelTravel.com 2014-08-02
[12] 웹사이트 Taiwan's Cultural Plurality and Immigration Policy https://taiwaninsigh[...] 2019-02-09
[13] 웹사이트 Discover Kaohsiung > History http://www.kcg.gov.t[...] 2014-08-02
[14] 웹사이트 US bombing of Taiwan and Han's ignorance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19-11-12
[15] 간행물 What's in changing a name? https://archive.toda[...] 2009-05-15
[16] 뉴스 Rezoning Taiwan https://taiwantoday.[...] Taiwan Today 2011-02-01
[17] 웹사이트 Taiwan government approves merger and upgrade of Tainan City and County https://www.taiwanne[...] 2009-06-29
[18] 뉴스 Many dead in Taiwan city gas blasts http://www.taiwansne[...] Taiwan's News.Net 2014-08-02
[19] 웹사이트 Climate Kaohsiung City (Republic of China (Taiwan)) https://en.climate-d[...] 2019-02-20
[20] 웹사이트 Taiwan sea temperatures of February 2012 http://2.bp.blogspot[...] Central Weather Bureau 2014-02-20
[21] 웹사이트 Kaohsiung Average Sea Temperatures http://www.cwb.gov.t[...] Central Weather Bureau 2014-03-26
[22] 웹사이트 Liuqiu island Average Sea Temperatures http://www.cwb.gov.t[...] Central Weather Bureau 2014-03-26
[23] 웹사이트 Monthly Mean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24]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25]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26]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27]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28] 웹사이트 Climate http://www.wundergro[...] Wunderground 2013-12-07
[29] 웹사이트 Kaohsiung port project completed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20-03-09
[30] 웹사이트 Kaohsiung City to open solar energy industrial zone http://focustaiwan.t[...] Focus Taiwan News Channel 2010-06-27
[31] 웹사이트 Major Kaohsiung mayoral candidates face off i... https://www.taiwanne[...] 2018-11-20
[32] 웹사이트 Current Conditions and Theme for Agriculture https://agri-en.kcg.[...] 2019-03-29
[33] 웹사이트 https://money.udn.co[...] Universal Daily News 2019-11-21
[34] 웹사이트 Home Page - ShoushanZoo http://zoo.kcg.gov.t[...] 2019-08-08
[35] 웹사이트 Lessons from a global retailer: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Carrefour China http://www1.ximb.ac.[...] 2006-02-26
[36] 웹사이트 分店資訊 https://www.carrefou[...] 2020-02-26
[37] 논문 How do wet markets still survive in Taiwan? http://www.emeraldin[...] 2020-02-26
[38] 웹사이트 Art&Culture http://www.kcg.gov.t[...] Kaohsiung City Government 2013-07-27
[39] 뉴스 Grand vision: The world's biggest arts venue opens in Taiwan https://www.theguard[...] 2018-10-21
[40] 웹사이트 Taiwan Yearbook 2006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Information Office 2007-09-01
[41] 뉴스 Tainan has most of nation's 12,106 temples http://www.taipeitim[...] 2015-07-15
[42] 웹사이트 How Taiwanese death rituals have adapted for families living in the US http://theconversati[...] 2021-05-15
[43] 웹사이트 Official site https://web.archive.[...] Bureau of Cultural Affairs of the Kaohsiung City Government 2016-12-16
[44] 웹사이트 The Muslim Experience in Taipei https://internationa[...] 2021-05-15
[45] 뉴스 Yang to Become Acting Kaohsiung Mayor: Source https://www.taipeiti[...] 2022-10-05
[46]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stricts https://www.kcg.gov.[...] Kaohsiung City Government 2016-09-30
[47] 웹사이트 https://www.kcg.gov.[...] Kaoshiung City Government 2016-09-30
[4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Online Translation System of Geographic Name, Ministry of Interior 2011-06-16
[4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20-09-21
[50] 웹사이트 Glossary of Names for Admin Divisions https://www.webcitat[...] Ministry of Interior of the ROC 2015-03-18
[51] 웹사이트 Untitled http://www.dgbas.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2022-10-05
[52] 웹사이트 Top 50 World Container Ports {{!}} World Shipping Council http://www.worldship[...] 2019-01-04
[53] 뉴스 Kaohsiung container port hits full capacity Informa Australia 2008-01-17
[54] 웹사이트 Shark fin soup alters an ecosystem - CNN.com https://edition.cnn.[...] 2021-05-15
[55] 웹사이트 Kaohsiung airport expansion to start in 2023 as Taiwan reopens to travellers https://www.flightgl[...]
[56] 웹사이트 Introduction: Welcome to MBTU https://web.archive.[...] Mass Rapid Transit Bureau, Kaohsiung City 2014-07-10
[57] 웹사이트 A guide to the fifty most beautiful subway systems in the world http://mic-ro.com/me[...] Metrobits.org 2014-04-29
[58] 웹사이트 15 of the Most Beautiful Subway Stops in the World http://www.bootsnall[...] BootsnAll 2012-01-29
[59] 웹사이트 Kaohsiung makes public transport free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7-12-01
[60] 웹사이트 Riding Taiwan's newest transport link: the TRA Kaohsiung City Network {{!}} Taiwan News {{!}} 2018-10-17 14:25:00 https://www.taiwanne[...] 2021-05-15
[61] 웹사이트 台灣高鐵 Taiwan High Speed Rail https://en.thsrc.com[...]
[62] 웹사이트 Route of Kaohsiung – Pingtung high speed extension agreed https://www.railwayg[...]
[63] 뉴스 Baseball league welcomes sixth team https://www.taipeiti[...] The Taipei Times 2023-01-01
[64] 웹사이트 關於T1 https://t1league.bas[...] T1 League 2023-01-01
[65] 웹사이트 關於 P. League+ https://pleagueoffic[...] P. League+ 2023-01-01
[66] 웹사이트 Kaohsiung's new venue https://web.archive.[...] TTGmice 2013-01-18
[67] 웹사이트 Yancheng District of Kaohsiung and Dipolog City of Philippines http://www.bpw-taiwa[...] 2018-09-25
[68] 웹사이트 Dipolog women's group inks sisterhood agreement with Kaoshiung,Taiwan https://web.archive.[...] 2023-08-23
[69] 웹사이트 Kaohsiung, Panama City forge sister city relations – Politics – FOCUS TAIWAN – CNA ENGLISH NEWS http://focustaiwan.t[...] 2017-12-03
[70] 웹사이트 Lei Ordinária https://web.archive.[...] Rio de Janeiro 2015-05-14
[71] 뉴스 Binjakëzimi i Prishtinës me Kaohsiung të Tawanit, Rama e quan ditë historike për kryeqytetin https://telegrafi.co[...] 2024-03-22
[72] 웹사이트 台湾・高雄(たかお)市 https://www.city.hac[...] 八王子市 2016-06-29
[73] 웹사이트 府令 / 臺灣總督府令第47號 / 州、廳ノ位置、管轄區域及郡市ノ名稱、管轄區域 https://dl.ndl.go.jp[...] 官報 1920-09-07
[74] 웹사이트 中華民國 內政部戶政司 全球資訊網 https://www.ris.gov.[...] 2018-05-01
[75] 웹사이트 高雄市の道の名付け親は誰? https://jp.taiwantod[...]
[76] 웹사이트 Climate https://www.cwb.gov.[...] 中央気象局 2021-04-15
[77] 간행물 市郡の區域稱呼其所在地並街庄の稱呼等に就て 臺灣時報 1919
[78] 웹사이트 改称百年の高雄市、高層ビルに歴史写真投影 次の百年への期待込め/台湾 観光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https://japan.cna.co[...] 2020-12-13
[79] 뉴스 勃興せる打狗工業 台湾日日新報 1918-01-01
[80] 웹사이트 高雄市姉妹及び友好都市 https://secret.kcg.g[...]
[81] 웹사이트 中華民国政府文化部文化資産局 : 2019年01月現在 文化資產查詢 > 文化資產個案導覽 http://www.boch.gov.[...] 2020-06-13
[82] 웹사이트 文化資產網 > 文化資產 > 古蹟 http://heritage.khcc[...] 2020-05-16
[83] 웹인용 Monthly Mean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84]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85]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86]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87]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