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천화강편마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천화강편마암은 대한민국 봉화군과 울진군, 영양군 일대에 분포하는 편마암으로,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되었다. 이 암석은 엽편상 구조와 편리(엽리)가 발달했으며, 주변 변성퇴적암의 층리와 평행한 주향과 경사를 보인다. 분천화강편마암의 연대 측정 연구 결과 다양한 시기의 연대 값이 보고되었으며,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흑운모 등이다. 분천 형석광산은 이 암석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과거 형석을 생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지리 - 태백산
    태백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2,637종의 야생 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자연환경을 자랑하고 천제단과 망경사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 봉화군의 지리 - 송정리천
  • 울진군의 지리 - 영덕군의 지질
    영덕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암석, 트라이아스기 화성암, 쥐라기 화성암, 경상 누층군, 영해 분지, 단층, 광산 등으로 구성된다.
  • 울진군의 지리 - 울진군의 지질
    울진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부터 중생대에 걸친 다양한 시대의 암석과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변성퇴적암류, 화강편마암류, 경상 누층군, 화강암류와 함께 활성단층 및 다양한 광산들이 분포한다.
  • 변성암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변성암 - 우라늄
    우라늄은 은백색 금속 원소로, 핵분열을 일으키는 우라늄-235를 포함하며 핵무기 및 원자력 발전소 연료로 사용되고, 다양한 채굴 방법으로 채취되며 인간과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분천화강편마암
개요
울진군 금강송면 광회리 산 1-23 도로변의 분천화강편마암
울진군 금강송면 광회리 산 1-23 도로변의 분천화강편마암
이름분천화강편마암
영문명Buncheon Gneiss
이름 유래봉화군 소천면 분천리
암석 종류화강편마암
지질 시대선캄브리아기
시기~
지질학적 정보
분포 지역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울진군 금강송면,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지질 구조 구역영남 육괴

2. 지질 시대

박계헌 외(1993)는 분천화강편마암의 Pb-Pb 연대를 1920±56 Ma로 측정했다.[1] 정창식 외(2004)는 1911±170 Ma의 Rb-Sr 전암연대 및 1933±54 Ma의 Pb-Pb 연대를 보고했다.[2] 이석훈(2001)은 저어콘 CHIME 연대(1931±78 Ma)와 모나자이트 CHIME 연대(1915±26 Ma)를 제시했다.[3] 장호완 외(2003)는 저어콘 U-Pb 연대를 1963±5 Ma로 측정했다.[4]

2. 1. 연대 측정 연구

박계헌 외(1993)는 분천화강편마암의 Pb-Pb 연대를 1920±56 Ma로 측정했다.[1] 정창식 외(2004)는 1911±170 Ma의 Rb-Sr 전암연대 및 1933±54 Ma의 Pb-Pb 연대를 보고했다.[2] 이석훈(2001)은 저어콘 CHIME 연대(1931±78 Ma)와 모나자이트 CHIME 연대(1915±26 Ma)를 제시했다.[3] 장호완 외(2003)는 저어콘 U-Pb 연대를 1963±5 Ma로 측정했다.[4]

3. 지리적 분포

3. 1. 봉화군

분천화강편마암에는 엽편상 구조와 편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주변의 원남층군, 율리층군 등 변질퇴적암의 편리 또는 층리에 대체로 평행한 주향과 경사를 보인다. 전체적인 주향은 동-서 방향이며, 경사는 북쪽으로 50° 내외이다.[5]

3. 2. 울진군

울진군에서 금강송면 북부(국도 제36호선 이북)와 울진읍 북부와 북면 남서부(지방도 제917호선 남서부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주 구성 암석은 안구상(眼球狀) 편마암으로 이 암석의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흑운모 등이다.[1]
울진군 금강송면 쌍전리 산 106-3 도로변
울진군 서면 죽곡 통고산 및 대마전 등지에는 분천화강편마암이 대체로 율리통을 그 편리 방향에 따라 관입하고 있다.[1] 특히 죽곡 및 통고산 부근의 본암은 후기 거정화강암질암, 아프라이질암 및 화강암질암의 관입을 수차 받아 이들과 혼재해 있다.[1] 분천화강편마암의 지질시대는 선캄브리아기로 율리층군 이후~조선 누층군 이전이다.[1]

3. 3. 영양군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 산 19-82/울진군 금강송면 광회리 경계 지역의 지방도 제917호선 도로변의 분천 화강편마암


분천 화강편마암은 울진군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암석으로 영양군 내에서는 수비면 신암리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1]

4. 광산과 지하자원

4. 1. 분천 형석광산

분천 형석광산(汾川螢石鑛山)은 영동선 분천역에서 동북방으로 1.9 km 지점에 위치한다. 형석의 노두는 1938년에 발견되었으며 1940년 일본 경금속주식회사에서 광업권을 인수한 후 해방될 때까지 약 3,260t(CaF2 40~75%)을 생산하였다.[1] 광산 부근은 분천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고 형석 광상의 모암(母巖)을 이루는 리파라이트(liparite) 등의 암맥이 이를 관입하고 있다.[1] 이 암맥은 북서 75~80°의 주향에 거의 수직으로 섰으며 폭은 10~15 m 정도고 지표에서 1 km 이상 추적된다.[1] 이 암맥 내에는 암맥의 주향과 거의 평행하게 발달한 단층이 있으며 갱내에서의 단층 파쇄대의 폭은 1 m이다. 암석은 대체로 회색을 띤다.[1]

참조

[1] 저널 Isotopic Composition of Lead in Precambrian Granitic Rocks of the Taebaeg Area (태백산지역의 고기화강암 및 화강편마암류에 대한 납 동위원소 연구) https://www.dbpia.co[...] 1993-08
[2] 저널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cambrian basement rocks in the Jukbyeon area,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영남육괴 북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https://www.dbpia.co[...] 2004-12
[3] 저널 전자현미분석기를 이용한 저어콘 및 모나자이트의 화학적 연대 측정법 (Chemical Age Dating of Zircon and Monazite by Electron Microprobe) https://www.dbpia.co[...] 2001-12
[4] 저널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Sm-Nd-Pb isotopic constraint for Precambrian pluton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https://www.jstage.j[...] 2003
[5] 웹인용 三斤里 地質圖幅說明書 (삼근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