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천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천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영동선 철도역이다. 여우천에서 갈라지는 냇물이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데서 유래된 역명으로,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백두대간협곡열차와 동해산타열차가 운행되며, 2면 3선의 지상역 구조를 갖추고 있다. 2013년 백두대간협곡열차 운행 개시 이후 관광객이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건축물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건축물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봉화군의 교통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교통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1956년 개업한 철도역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1956년 개업한 철도역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분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汾川駅
한자 표기汾川驛
로마자 표기Buncheon
모국어 표기분천
소속 사업자한국철도공사
역 종류보통역
역 등급3급
역 구조지상역
승강장2면 3선
개업일1956년 1월 1일
소속 노선영동선
영업 거리영주 기점 59.3 km
역 코드166
위치 정보
소재지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역사 정보
이전 역현동
이전 역 간 거리6.6 km
다음 역비동
다음 역 간 거리4.2 km
기타 정보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역 건물

2. 역명 유래

여우천에서 내려오는 냇물이 갈라져 낙동강으로 흐른다 하여 부내, 분천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

3. 연혁

1956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3][1] 1957년 3월 3일 역사를 신축 준공했다. 1994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을 중지했고,[4] 1997년 3월 1일 승강장 설비를 개량했다. 1997년 9월 10일 시설관리반을 신축 준공했다. 2008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을 중지했다.[5] 2013년 4월 12일 백두대간협곡열차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을 개시했으며, 2013년 5월 23일 스위스 마테호른 고트하르트 반 체르마트 역과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2020년 8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을 중지하고, 2020년 8월 19일 동해산타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2021년 12월 31일 경북나드리열차 운행을 종료하였다.

3. 1. 개요

3. 2. 관광열차 운행

3. 3. 자매결연

3. 4. 상세 연혁

1956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3][1]

1957년 3월 3일 :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94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4]

1997년 3월 1일 : 승강장 설비를 개량하였다.

1997년 9월 10일 : 시설관리반을 신축 준공하였다.

2008년 11월 1일 : 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5]

2013년 4월 12일 : 백두대간협곡열차중부내륙순환열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3년 5월 23일 : 스위스 마테호른 고트하르트 반 체르마트 역과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

2020년 8월 3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0년 8월 19일 : 동해산타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2021년 12월 31일 : 경북나드리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

4. 역 구조

분천역은 2면 3선의 지상역 구조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 번호별 노선 및 방면 정보는 다음과 같다.


4. 1. 승강장

분천역은 2면 3선의 지상역 구조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 번호별 노선 및 방면 정보는 다음과 같다.


5. 이용객 변동

2013년 4월 12일 영동선백두대간협곡열차 운행이 개시된 이후로 관광객이 급증하여 승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6]

연도와 승하차이용 인원[6]
새마을무궁화총계
2010년승차05,6735,673
하차04,7224,722
2011년승차06,3096,309
하차05,3105,310
2012년승차06,4806,480
하차06,1056,105
2013년승차102,60122,064124,665
하차98,01821,143119,161
2014년승차99,81735,452135,269
하차95,80733,194129,001
2015년승차85,06644,642129,708
하차84,83141,156125,987
2016년승차64,95535,851100,806
하차62,92332,75195,674
2017년승차76,27938,702114,981
하차68,55034,560103,110
2018년승차50,24533,59483,839
하차43,51238,36481,876


6. 인접한 역


7. 기타

참조

[1] 간행물 교통부고시제452호 대한민국관보 1955-12-31
[2] 문서 백두대간협곡열차용 승강장
[3] 간행물 교통부고시제452호 대한민국관보 1955-12-31
[4] 간행물 철도청고시제1993-63호, 1993-64호 대한민국관보 1993-12-10
[5]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제2008-561호 대한민국관보 2008-10-17
[6] 웹사이트 KORAIL - 정부3.0 정보공개 -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