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1897년 불가리아에서 태어나,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에서 활동하며 유고슬라비아 경찰과 충돌했다. 그는 1929년 안테 파벨리치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조직인 우스타샤와 협력하여 훈련 강사로 활동했으며, 1934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유고슬라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1세를 암살했다. 체르노젬스키는 현장에서 체포 과정 중 사망했으며, 불가리아 민족주의자로 평가받아 기념되기도 하지만, 암살 행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살해된 사람 - 알레코 콘스탄티노프
    알레코 콘스탄티노프는 불가리아의 작가이자 변호사, 여행가, 사회 운동가로서, 《바이 가뇨》를 통해 불가리아 사회의 근대화 과정을 풍자하고 서유럽과 미국 여행 경험을 소개했으며, 불가리아 관광 운동을 전개하다 암살당했다.
  • 불가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보리스 3세
    보리스 3세는 소피아에서 태어나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불가리아의 차르가 되어 정치적 격변과 암살 시도 속에서 "왕의 정부" 시대를 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가담 후 히틀러와의 회담 직후 사망하여 그의 아들 시메온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불가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페르디난트 1세 (불가리아)
    페르디난트 1세는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왕가 출신으로 불가리아 공으로 선출되어 차르를 지냈으며 불가리아 독립을 선언하고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가 패전 후 퇴위하였다.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블라도 체르노젬스키
원어 이름Владо Черноземски
본명벨리치코 디미트로프 케린
로마자 표기Velichko Dimitrov Kerin
출생일1897년 10월 19일
출생지불가리아 벨린그라드 카메니차
사망일1934년 10월 9일
사망지프랑스 마르세유
직업암살자, 혁명가
활동 기간1922년–1934년
소속 단체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주요 활동알렉산다르 1세 암살 (1934년)
나움 토말레프스키 암살 (1930년)
디모 하드지디모프 암살 (1924년)
알려진 이유암살 활동
추가 정보
국적불가리아
인물 사진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사진

2. 생애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1897년 10월 19일 불가리아 벨린그라드 인근 카메니차 마을에서 농부 디미타르 케린과 리사 발타지에바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8][9][10] 그는 고향 마을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14세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어린 케린은 아버지를 도와 동생과 두 여동생을 부양해야 했다. 플로브디프에서 군 복무를 했고,[8]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공병대에서 기술자로 복무했다.[8] 전쟁 후에는 운전사와 시계 수리공으로 일했다.[8]

1919년에 결혼하여 1923년에는 딸 라틴카를 얻었으나, 1925년에 이혼하고 재혼했다.[15] 1932년까지 소피아에서 거주했다.[15] 그는 블라도 게오르기에프 체르노젬스키, 페테르 켈레멘, 블라도 운전사, 루돌프 숙,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 블라디미로프 등 여러 가명과 필명을 사용했다.[15] 두 번째 아내조차도 그의 실명이나 과거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한다.[16]

1922년 마케도니아 지방과 불가리아의 통합을 주장한 정치 단체인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약칭 IMRO)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반스코로 이주하여 보이보드 이반 바를료 부대에 합류하였고, 1923년부터 1924년까지 트라얀 라카비슈키의 체타의 일원이었다. 체르노젬스키는 IMRO 부대와 함께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지역에 진입하여 유고슬라비아 경찰과 15회 이상의 소규모 충돌에 참가했으며, 조직 내 최고의 저격수 중 한 명으로, 용기, 침착성, 그리고 규율로 유명했다.

트라얀 라카슈키 부대, 1920년경; 왼쪽에서 두 번째가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1925년, 이반 미하일로프가 새로운 IMRO 지도자가 되면서, 조직은 전 좌익 활동가들을 상대로 여러 명을 암살하는 등의 행동을 취했다. 미하일로프는 체르노젬스키에게 국회의원이자 불가리아 공산당 당원이었고 전 IMRO 당원이었던 디모 하지디모프를 암살하도록 지시했다. 체르노젬스키는 체포되어 하지디모프 암살 혐의로 교수형을 선고받았지만, 1925년 경찰 호송에서 탈출했다.

1927년, 체르노젬스키는 IMRO 중앙위원회에 파리에 있는 국제 연맹 본부 건물에 들어가 자신의 몸에 부착된 수류탄을 터뜨려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인 문제에 대한 여론을 조성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거절당했다. 1929년, IMRO 지도부는 안테 파벨리치우스타샤에게 협력을 요청했다.

1930년, 체르노젬스키는 미하일로프의 명령에 따라 IMRO의 또 다른 당원인 나움 토말레프스키와 그의 경호원을 암살했다. 토말레프스키는 IMRO의 저명한 당원이었다. 체르노젬스키는 두 번째로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1932년 사면되었다.

1929년, 안테 파벨리치가 이끌던 크로아티아파시스트 조직인 우스타샤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와 협력 관계를 수립했다. 체르노젬스키는 이탈리아 보르고발디타로헝가리 너지커니저 인근의 연커푸스터(Janka Puszta)에 위치한 우스타샤 훈련장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이는 우스타샤가 유고슬라비아 왕국알렉산다르 1세 국왕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수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체르노젬스키(중앙)와 두 명의 우스타샤, 미요 바비치(왼쪽)와 즈보니미르 포스피실(오른쪽)


1934년 10월 15일자 ''위니펙 프리 프레스'' 1면,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드르 1세 국왕 암살 언급


체르노젬스키는 우스타샤 대원 미요 크랄, 즈보니미르 포스피실, 밀란 라이츠(이반 라이치)와 함께 알렉산다르 1세 국왕 암살 계획을 수립했다. 이들은 1934년 9월 29일 프랑스 파리에 도착하여 10월 6일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체르노젬스키와 크랄은 마르세유로, 포스피실과 라이치는 첫 번째 공격 실패에 대비해 베르사유로 이동했다.

1934년 10월 9일, 프랑스를 방문한 유고슬라비아의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은 마르세유에서 루이 바르투 프랑스 외무장관을 만나 접견하고 차에 탔다. 군중 속에 숨어 있던 체르노젬스키는 국왕의 차량에 접근, 꽃다발에 숨긴 마우저 C96 반자동 권총으로 "''비브 르 루아''"(국왕 만세)를 외치며 알렉산다르 1세를 저격했다. 알렉산다르 1세는 복부와 심장에 총을 맞고 몇 분 만에 사망했고, 체르노젬스키는 현장에서 도망치려다 기병의 사브르에 맞아 기절, 이후 경찰관의 총격과 군중의 폭행으로 사망했다. 프랑스 경찰은 그의 신원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팔에 새겨진 해골과 십자가 문신과 "В.М.Р.О."(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라는 글자를 통해 신원이 밝혀졌다.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드르 1세 국왕과 프랑스 외무장관 루이 바르투의 마르세유 암살 직전과 직후 장면을 보여주는 뉴스릴

2. 1. 초기 생애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1897년 10월 19일 불가리아 벨린그라드의 카메니차 마을에서 농부 디미타르 케린과 리사 발타지에바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8][9][10] 그는 고향 마을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14세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어린 케린은 아버지를 도와 동생과 두 여동생을 부양해야 했다.[12][13][14]플로브디프에서 군 복무를 했고,[8]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에는 공병대에서 기술자로 복무했다.[8] 전쟁 후에는 운전사와 시계 수리공으로 일했다.[8]

1919년에 결혼하여 1923년에는 딸 라틴카를 얻었으나, 1925년에 이혼하고 재혼했다.[15] 1932년까지 소피아에서 거주했다.[15] 그는 블라도 게오르기에프 체르노젬스키, 페테르 켈레멘, 블라도 운전사, 루돌프 숙,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 블라디미로프 등 여러 가명과 필명을 사용했다.[15] 두 번째 아내조차도 그의 실명이나 과거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한다.[16]

2. 2.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 활동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1922년 마케도니아 지방과 불가리아의 통합을 주장한 정치 단체인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IMRO)의 회원으로 활동했다.[18] 반스코로 이주하여 보이보드 이반 바를료 부대에 합류하였고, 1923년부터 1924년까지 트라얀 라카비슈키의 체타의 일원이었다.[18] 체르노젬스키는 IMRO 부대와 함께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지역에 진입하여 유고슬라비아 경찰과 15회 이상의 소규모 충돌에 참가했으며, 조직 내 최고의 저격수 중 한 명으로, 용기, 침착성, 그리고 규율로 유명했다.[18]

1925년, 이반 미하일로프가 새로운 IMRO 지도자가 되면서, 조직은 전 좌익 활동가들을 상대로 여러 명을 암살하는 등의 행동을 취했다. 미하일로프는 체르노젬스키에게 국회의원이자 불가리아 공산당 당원이었고 전 IMRO 당원이었던 디모 하지디모프를 암살하도록 지시했다.[19] 체르노젬스키는 체포되어 하지디모프 암살 혐의로 교수형을 선고받았지만, 1925년 경찰 호송에서 탈출했다.

1927년, 체르노젬스키는 IMRO 중앙위원회에 파리에 있는 국제 연맹 본부 건물에 들어가 자신의 몸에 부착된 수류탄을 터뜨려 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인 문제에 대한 여론을 조성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거절당했다.[18][20] 1929년, IMRO 지도부는 안테 파벨리치우스타샤에게 협력을 요청했다.

1930년, 체르노젬스키는 미하일로프의 명령에 따라 IMRO의 또 다른 당원인 나움 토말레프스키와 그의 경호원을 암살했다.[19] 토말레프스키는 IMRO의 저명한 당원이었다. 체르노젬스키는 두 번째로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1932년 사면되었다.

2. 3. 우스타샤와의 협력 및 알렉산다르 1세 암살

1929년, 안테 파벨리치가 이끌던 크로아티아파시스트 조직인 우스타샤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와 협력 관계를 수립했다.[21] 체르노젬스키는 이탈리아 보르고발디타로헝가리 너지커니저 인근의 연커푸스터(Janka Puszta)에 위치한 우스타샤 훈련장에서 강사로 활동했다.[21] 이는 우스타샤가 유고슬라비아 왕국알렉산다르 1세 국왕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수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체르노젬스키는 우스타샤 대원 미요 크랄, 즈보니미르 포스피실, 밀란 라이츠(이반 라이치)와 함께 알렉산다르 1세 국왕 암살 계획을 수립했다. 이들은 1934년 9월 29일 프랑스 파리에 도착하여 10월 6일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체르노젬스키와 크랄은 마르세유로, 포스피실과 라이치는 첫 번째 공격 실패에 대비해 베르사유로 이동했다.[22]

1934년 10월 9일, 프랑스를 방문한 유고슬라비아의 알렉산다르 1세 국왕은 마르세유에서 루이 바르투 프랑스 외무장관을 만나 접견하고 차에 탔다. 군중 속에 숨어 있던 체르노젬스키는 국왕의 차량에 접근, 꽃다발에 숨긴 마우저 C96 반자동 권총으로 "''비브 르 루아''"(국왕 만세)를 외치며[23] 알렉산다르 1세를 저격했다. 알렉산다르 1세는 복부와 심장에 총을 맞고 몇 분 만에 사망했고,[24][25] 체르노젬스키는 현장에서 도망치려다 기병의 사브르에 맞아 기절, 이후 경찰관의 총격과 군중의 폭행으로 사망했다.[26] 프랑스 경찰은 그의 신원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팔에 새겨진 해골과 십자가 문신과 "В.М.Р.О."(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라는 글자를 통해 신원이 밝혀졌다.[26]

3. 암살 배경 및 과정

3. 1. 암살 배경

3. 2. 암살 계획

3. 3. 암살 실행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드르 1세 국왕 암살 계획은 헝가리 나지카니자 근처 얀카푸스타에 있는 우스타샤 캠프에서 주로 준비되었다.[21] 이 캠프에서 체르노젬스키는 국왕 암살을 위해 미요 크랄, 즈보니미르 포스피실, 이반 라이치를 훈련시켰다.[21] 1934년 10월 9일, 체르노젬스키는 마르세유에서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루이 바르투 프랑스 외무장관을 저격했다.[23][24][25]

알렉산다르 1세의 차량이 마르세유 거리를 천천히 이동할 때, 체르노젬스키는 군중 속에서 나타나 국왕의 차량에 접근, 꽃다발에 숨긴 마우저 C96 반자동 권총으로 "''비브 르 루아''"(국왕 만세)를 외치며 알렉산다르 1세를 여러 차례 쏘았다.[23] 알렉산다르 1세는 복부와 심장에 두 발을 맞고 몇 분 만에 사망했다.[24] 체르노젬스키는 그를 체포하려던 경찰관을 쏘고, 두 명의 행인을 우발적으로 살해한 후 현장에서 도망치려 했지만, 호위하던 기병의 사브르에 맞아 기절했다.[26] 이후 격분한 군중에게 구타당하고 경찰에게 연행되었으나, 심문 도중 부상으로 사망했다.[26]

프랑스 경찰은 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왼쪽 팔에 새겨진 해골과 십자가 문신과 "В.М.Р.О."(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을 의미하는 불가리아어 약자)라는 글씨, "С.И.С" 이니셜을 통해 신원을 파악했다.[26] 그는 마르세유의 묘지에 무덤 없이 매장되었다.[26] 10월 17일 불가리아 경찰은 암살자가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라고 공식 발표했다.[27] 그의 행위는 크로아티아와 마케도니아계에서 칭송받았다.[27]

4. 암살 이후

4. 1. 암살범의 신원 확인

4. 2. 국제 사회의 반응

5. 평가 및 유산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불가리아의 민족주의자이자 혁명가로 평가받는다.[28][29] 1934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마케도니아 애국 조직 지부가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셰퍼턴에 설립되었다.[28][29]

이반 미하일로프는 1971년 "체르노젬스키는 크로아티아인과 불가리아인 사이의 지속적인 우정의 상징"이라면서도, "어떤 마케도니아 민족의 상징"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체르노젬스키가 불가리아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그의 기억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30]

2000년 10월, 그는 마케도니아인 단체에 의해 마케도니아 대의를 위한 순교자로 기념되었으며, VMRO-DPMNE도 기념 행사에 참여했다.[31][32] 2005년 10월에는 VMRO-BND와 오흐리드의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 협회 "호리존티"의 지원으로 벨링그라드에 기념판이 세워졌다.[33] 불가리아에는 블라고에브그라드와 벨링그라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한편, 그의 암살 행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그의 활동을 민족 해방 투쟁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5. 1. 평가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불가리아의 민족주의자이자 혁명가로 평가받는다.[28][29] 1934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마케도니아 애국 조직 지부가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셰퍼턴에 설립되었다.[28][29]

이반 미하일로프는 1971년 "체르노젬스키는 크로아티아인과 불가리아인 사이의 지속적인 우정의 상징"이라면서도, "어떤 마케도니아 민족의 상징"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체르노젬스키가 불가리아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그의 기억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30]

2000년 10월, 그는 마케도니아인 단체에 의해 마케도니아 대의를 위한 순교자로 기념되었으며, VMRO-DPMNE도 기념 행사에 참여했다.[31][32] 2005년 10월에는 VMRO-BND와 오흐리드의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 협회 "호리존티"의 지원으로 벨링그라드에 기념판이 세워졌다.[33] 불가리아에는 블라고에브그라드와 벨링그라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한편, 그의 암살 행위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그의 활동을 민족 해방 투쟁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5. 2. 유산

블라도 체르노젬스키는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 등지에서 그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물이 존재한다.[31][32][33] 1934년에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28]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셰퍼턴[29]에 그의 이름을 딴 마케도니아 애국 조직 지부가 설립되었다. 2000년 10월에는 마케도니아인 단체에 의해 마케도니아 대의를 위한 순교자로 기념되었으며,[31] VMRO-DPMNE도 기념 행사에 참여했다.[32] 2005년 10월에는 VMRO-BND와 오흐리드의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 협회 "호리존티"(지평선)의 재정적 지원으로 벨링그라드에 그의 명예를 기리는 기념판이 세워졌다.[33] 불가리아에는 블라고에브그라드와 벨링그라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이반 미하일로프는 체르노젬스키가 크로아티아인과 불가리아인 사이의 지속적인 우정의 상징으로 남아 있지만, 마케도니아 민족의 상징은 아니라고 주장했다.[30] 그는 체르노젬스키가 불가리아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그의 기억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30]

6. 사진



참조

[1] 서적 Istoricheski pregled, Books 1-6 https://books.google[...] Bŭlgarsko istorichesko druzhestvo, Institut za istoria (Bŭlgarska akademiia na naukite)
[1] 웹사이트 Historical Politics and Historical “Masterpieces” in Macedonia before and after 1991 http://www.newbalkan[...]
[1]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 서적 Crown of thorns https://books.google[...] Madison Books
[1] 서적 Violette Nozière: a story of murder in 1930s Pari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 서적 Shadows on the Mountain: The Allies, the Resistance, and the Rivalries That Doomed WWII Yugoslav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1]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 서적 Croatian Radical Separatism and Diaspora Terrorism During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Terror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es grandes controverses de l'histoire contemporaine 1914-1945 Edito-Service Histoire Secrete de Notre Temps
[3]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емиграция в Северна Америка: поглед отвърте Илия Т. Гаджев
[4] 서적 България 20-ти век. Алманах. ИК Труд
[5] 서적 Izvestia na Natsionalnia istoricheski muzeĭ, Tomove 16–19 Natsionalen istoricheski muzeĭ, Izdatelstvo Nauka i izkustvo
[6] 서적 Предавствата и атентатите во македонската историја Издателство Макавеј
[7] 서적 Makedonska enciklopedija: M-Š MANU
[8] 서적 Съвременна българска енциклопедия, том 1 Издателство Елпис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8] 서적 Алманах на българските национални движения след 1878 г. Академично издателство "Марин Дринов", Българска академия на науките
[8] 서적 Иван Михайлов в обектива на полиция, дипломация, разузнаване и преса Университетско издателство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8] 서적 Kralj Aleksandar Karađorđević: U evropskoj politici Biblioteka Jazon, Zavod za udžbenike i nastavna sredstva
[8] 간행물 Request by the Yugoslav Government Under Article 11, Paragraph 2, of the Covenant League of Nations
[8] 서적 Trial by slander: a background to the Independent State of Croatia, and an account of the Anti-Croatian Campaign in Australia Harp Books
[8] 서적 Assassinat de Alexandre Ier et Louis Barthou: Marseille, le 9 octobre 1934 Balland
[8] 서적 La Mort d'un roi: la vérité sur l'assassinat d'Alexandre de Yougoslavie Albin Michel
[8] 서적 Петър Япов Никола Гешев, който не беше само полицай Изток-Запад
[9] 서적 Атентатът в Марсилия, Владо Черноземски. Живот, отдаден на Македония ВМРО-СМД
[9] 뉴스 Владо Черноземски и атентатът в Марсилия 1934 г. в-к "Труд”
[10] 서적 Из дневниците на митрополит Андрей Велички. Марсилският атентат - 1934 г. Изток-Запад
[11] 서적 Istoricheski pregled, tom 43, broeve 1–6 Bŭlgarsko istorichesko druzhestvo, Institut za istoriia (Bŭlgarska akademiia na naukite)
[12] 서적 Иван Михайлов: отвъд легендите Университетско издателство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13] 서적 Heroes and Assassins
[14] 서적 Иван Михайлов: отвъд легендите Университетско издателство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15] 서적 Петдесетте най-големи атентата в българската история Репортер
[16] 서적 Камбаните бият сами: Насилие и политика в България 1919-1947 "Св. Георги Победоносец"
[17] 서적 Зад завесата на големите скандали Ахат
[18] 서적 Иван Михайлов в обектива на полиция, дипломация, разузнаване и преса Издателство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1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Macedonia Rowman & Littlefield
[20] 서적 Anti-American Terrorism: From Eisenhower To Trump - A Chronicle Of The Threat And Response. Volume I World Scientific
[21] 서적 Камбаните бият сами: Насилие и политика в България 1919-1947 Георги Победоносец
[22] 서적 The Communist Party of Bulgaria; Origins and Development, 1883-1936 Columbia University Press
[23] 서적 Major Controversies of Contemporary History Pergamon Press
[24] 서적 The Assassination of Europe, 1918-1942: A Political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5] 서적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ABC-CLIO
[26] 서적 Loyal Unto Death: Trust and Terror in Revolutionary Macedonia Indiana University Press
[27] 서적 Crown of Thorns: The Reign of King Boris III of Bulgaria, 1918-1943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8] 서적 Македонски алманахъ Централенъ Комитетъ на Македонскитѣ политически организации въ Съединенитѣ щати, Канада и Австралия
[29] 서적 Македония – история и политическа съдба, Том II ИК „Знание“
[30] 웹사이트 Едно необходимо уточнение (Какъв е по народност Владо Черноземски) https://strumski.com[...]
[31] 서적 The Past in Question: Modern Macedonia and the Uncertainties of N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Historical Politics and Historical “Masterpieces” in Macedonia before and after 1991
[33] 뉴스 Във Велинград бе открита паметна плоча на Владо Черноземски https://www.plovdiv2[...] Plovdiv24.bg 2005-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