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다르 1세 (유고슬라비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다르 1세는 1888년 몬테네그로에서 태어나 세르비아 왕국의 왕세자, 섭정을 거쳐 192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이 되었다. 그는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군사적 지휘관으로 활약했으며,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를 통합하여 유고슬라비아를 건국했다. 1929년에는 독재 정치를 시작하고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변경했다. 1934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군주 - 페타르 2세
    페타르 2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아버지의 암살로 어린 나이에 왕위를 계승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하다 종전 후 폐위되었다.
  • 유고슬라비아의 군주 - 페타르 1세
    페타르 1세는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의 일원으로서 프랑스에서 교육받고 세르비아 국왕으로 즉위하여 자유주의적 개혁과 영토 확장을 추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알바니아 후퇴를 겪고 유고슬라비아 통합에 기여한 인물이다.
  • 1934년 살인 사건 - 세르게이 키로프
    세르게이 키로프는 1886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볼셰비키 혁명에 참여하고 스탈린의 측근으로 활동하다가 1934년 암살당한 소련의 정치인이다.
  • 1934년 살인 사건 - 엥겔베르트 돌푸스
    엥겔베르트 돌푸스는 대공황 시기 권위주의 통치로 오스트리아를 이끌며 오스트로파시즘 체제를 구축하고 나치 세력에 맞서 오스트리아 독립을 유지하려 했으나 암살당한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자 연방수상이었다.
알렉산다르 1세 (유고슬라비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산다르 1세
이름알렉산다르 1세
전체 이름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로마자 표기Aleksandar I Karađorđević
키릴 문자 표기Александар I Карађорђевић
발음aleksǎːndar př̩viː karadʑǒːrdʑevitɕ
로마자 표기Aleksandar Ujedinitelj
키릴 문자 표기Александар Ујединитељ
발음aleksǎːndar ujedǐniteʎ
별칭알렉산다르 통일자
통치
작위유고슬라비아 국왕
재위 기간1921년 8월 16일 – 1934년 10월 9일
전임자페타르 1세
후임자페타르 2세
작위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국왕
재위 기간1921년 8월 16일 – 1929년 10월 3일
재위 기간1929년 10월 3일 – 1934년 10월 9일
섭정페타르 1세
섭정 기간1914년 6월 24일 – 1921년 8월 16일
지위세르비아 및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섭정
생애
출생일1888년 12월 16일
출생지몬테네그로 공국, 체티녜
사망일1934년 10월 9일
사망지프랑스, 마르세유
매장 장소세르비아, 토폴라, 오플레나츠
배우자마리아 (1922년 6월 8일 결혼)
자녀페타르 2세
토미슬라브
안드레이
아버지페타르 1세
어머니류비차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가문
왕가카라조르제비치 왕가
서명
군사 경력
소속 국가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군종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복무 기간1904년 – 1921년 (현역 복무 종료)
최종 계급원수

2. 어린 시절

몬테네그로 공국체티녜에서 세르비아 왕국의 국왕 페타르 1세와 류비카(몬테네그로의 니콜라이 1세의 딸)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Alexander Karađorđević)는 1888년 12월 4일(구력 12월 16일) 몬테네그로 공국에서 태어났다. 세르비아의 페타르 1세(Peter I of Serbia,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와 그의 아내 조르카 공주(Princess Zorka) 사이에서 네 번째 자녀이자 두 번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외조부는 니콜라 1세였다.[2]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으며 통치하던 당시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공국에서 세르비아 왕국으로 변모했다. 두 경쟁 왕가 사이의 적대감은 심각하여, 1868년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Mihailo Obrenović) 왕자 암살 사건(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이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후 오브레노비치 왕조는 헌법 개정을 단행하여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세르비아 입국을 금지하고 시민권을 박탈했다.[2]

알렉산다르는 어머니 조르카 공주가 1890년 그의 남동생 안드레이(Andrej)를 출산하는 중 합병증으로 사망하면서 두 살이었고, 안드레이는 23일 후 사망했다. 알렉산다르는 몬테네그로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1894년 그의 아버지는 알렉산다르를 포함한 네 자녀를 스위스 제네바로 데려가,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마쳤다. 1910년 발진티푸스로 인해 거의 죽을 뻔하기도 했다.[2]

이후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서 황실 측근 부대에서 형인 조르제 왕세자와 함께 군사 교육을 계속했다. 영국의 역사가 로버트 세튼-왓슨(Robert Seton-Watson)은 알렉산다르가 페트로그라드 시절 러시아에 대한 친밀감을 갖게 되었고,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가 그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존경과 예우를 베푼 것에 대해 큰 감사를 느꼈다고 기술했다.

측근으로서 알렉산다르는 성실하고 단호하지만, 내성적이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외톨이"였다고 묘사된다. 카라조르제비치 가문 출신이었던 알렉산다르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의 초대로 겨울 궁전에서 만찬에 초대되어 러시아 황실의 귀빈으로 대접받았는데, 이는 폐위된 세르비아 왕족 출신 왕자에게는 큰 영광이었다. 페트로그라드 체류 중 알렉산다르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을 방문하여, 수도원장으로부터 알렉산드르 네프스키(Alexander Nevsky) 왕자의 성상을 받고 수보로프(Alexander Suvorov) 원수의 묘소를 찾았다. 수도원 방문 후 알렉산다르는 수보로프 원수나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왕자처럼 위대한 장군이 되기를 희망하며, 장성하면 대군 또는 대함대를 지휘하고 싶다고 말했다.

1903년, 조르제와 알렉산다르가 학교에 다니던 중, 세르비아 왕국에서 일련의 음모자들이 5월 혁명이라 알려진 유혈 쿠데타를 일으켜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드라가(Queen Draga) 왕비가 살해당하고 시체가 훼손되었다. 이로써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45년 만에 세르비아 왕위를 되찾았고, 알렉산다르의 58세 아버지는 세르비아 국왕이 되었다. 이에 조르제와 알렉산다르는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세르비아로 돌아왔다. 알렉산다르가 15세 생일이 지난 후, 페타르 국왕은 알렉산다르를 세르비아 왕립 육군 사병으로 입대시켰고, 그의 장교들에게는 아들이 실력을 증명할 때만 진급시키라는 지시를 내렸다. 1909년 3월 25일, 알렉산다르는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 중요한 발표가 있다는 것 외에는 다른 설명 없이 갑자기 베오그라드로 소환되었으며, 형인 조르제가 살인을 해서 왕세자에서 폐위되자 다시 세르비아로 귀국해서 왕세자가 되었다.

3.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1912년 오스만 제국과의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육군 제1사단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쿠마노포 전투와 비툴라 전투에서 승리했다.[5] 1913년 불가리아 왕국과의 제2차 발칸 전쟁에서는 브레갈니카 전투에서 군대를 이끌고 승리했다.[5]

1914년 6월 24일, 아버지 페타르 1세를 대신해 섭정태자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세르비아군 최고 사령관으로서 체르 전투와 콜루바라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대를 격파했다.[5]

그러나 1915년 독일 제국불가리아 왕국 연합군의 공세로 인해 그리스 케르키라섬몬테네그로, 알바니아 북부 지역으로 후퇴해야 했다. 이후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5]

4. 유고슬라비아 국왕

1922년 6월 8일, 알렉산다르는 루마니아의 페르디난드 1세의 딸인 루마니아의 마리아 공주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과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12] 슬하에 왕세자 페타르를 포함한 세 아들을 두었다.

1922년 알렉산다르 1세와 루마니아의 마리아 공주의 결혼식


대외 정책에서 알렉산다르는 1918~19년에 만들어진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다. 1921년 유고슬라비아는 헝가리에 대비하여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와 함께 소협상에 가입했다.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소협상의 세 국가 모두에 대해 영토적 주장을 했다.[12]

192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적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였으며, 알렉산다르는 1927년 프랑스와 동맹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를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동맹국으로 만들었다.[12]

1926년부터 스베토자르 프리비체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민주당과 스테판 라디치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연합은 유고슬라비아의 연방제를 압박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의회(스쿱슈티나, skupština)를 방해했다.[12] 1928년 6월, 몬테네그로의 한 의원이 권총을 꺼내 의원석에서 라디치를 쏘았다.[12] 이 암살은 유고슬라비아를 내전 직전으로 몰아넣었고, 알렉산다르는 연방제보다 크로아티아를 "절단"하는 것을 선호하게 만들었다.[12]

1931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하인리히 만은 밀란 수플라이의 살인자들을 기소하도록 알렉산다르에게 압력을 가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12]

1933년부터 알렉산다르는 나치 독일을 걱정하기 시작했다. 그는 독일을 이웃으로 두고 싶어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지지했다.[12] 1933년~1934년 알렉산다르는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루마니아, 튀르키예를 통합할 발칸 협정을 제안했다.[12]

4. 1.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 시기

1918년 2월 1일 알렉산다르 1세는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국가인민위원회의 위임을 맡았는데, 이것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탄생으로 여겨진다.

1921년 아버지 페타르 1세가 사망하자 그해 8월 16일 왕위를 계승하여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1929년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당수 스테판 라디치 암살을 계기로 정치적 위기에 대응하여 헌법을 폐지하고 의회를 해산함으로써 개인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국호를 변경하고, 10월 3일에는 33개의 주를 9개의 바노비나로 개편했다.

1931년에는 새 헌법을 제정하여 성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했지만, 비밀 선거에 관한 규정은 기각되었다. 이로써 모든 국가 투표는 알렉산다르 국왕의 헌법 아래에서 치러졌고, 국왕이 직접 상원 의원의 절반을 임명했으며, 법안도 국왕의 승인을 받아야만 효력을 발휘했다. 알렉산다르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왕위를 계승하여 세르비아인의 독재 체제를 구축하였고, 이는 크로아티아인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크로아티아의 저항 운동을 억누르기 위해 알렉산다르 1세는 세르비아인의 독재 권력을 더욱 강화하였다.

4. 2.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국호 변경과 독재 강화

1929년 크로아티아 농민당의 당수 스테판 라디치의 암살을 계기로 정치적 위기에 대응해 헌법 폐지와 의회 해산으로 개인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그리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국호를 변경하고 10월 3일 33개의 주를 9개의 바노비나로 개편했다.[37]

1928년 6월 20일 유고슬라비아 국회 의사당에서 크로아티아 농민당 지도자 스테판 라디치가 살해당하는 사건(Atentat u Narodnoj skupštini 1928.hr)을 계기로, 민족 갈등으로 인해 국회가 기능을 상실하자, 1929년 1월 6일 이러한 정치 위기를 이유로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 정치를 시작했으며, 10월 3일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변경했다.[37] 국토는 직할시인 베오그라드와 민족 분포가 아닌 분수령과 같은 지형에 따라 경계를 정한 9개의 주로 나뉘었고, 주 이름은 민족명이나 지역명이 아닌 그 주의 주요 하천에서 따왔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인들의 체제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졌다.

1931년에는 새 헌법을 제정해서 성인 남성에게도 참정권을 주겠다고 결정했으나 비밀 선거에 관한 규정은 기각되었다. 이로써 모든 국가 투표는 알렉산다르 국왕의 헌법 아래에 치러지고 국왕이 직접 참의원 의원의 절반을 승인했고 법안도 국왕이 승인해야 합법적으로 적용되었다.

1932년 11월 7일 크로아티아 자치파와 기타 야당이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의 완전한 자치권을 요구하는 결의를 표명하자, 1933년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세르비아계 이외의 정치 세력을 탄압했다. 많은 정치인들이 투옥, 감금, 유형, 추방되었다. 그중에는 전 농무장관 크르베치와 슬로베니아 인민당 대표이자 전 총리 안톤 코로셰츠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크로아티아인들의 반감 고조를 우려한 알렉산다르 1세는 1933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약 한 달 동안 베오그라드를 떠나 자그레브를 방문했다. 거기서 여론 완화와 자신의 평판 회복을 위해 노력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38]

4. 3. 1931년 헌법과 유고슬라비아 내 갈등

1929년 1월 6일 스테판 라디치 암살 사건을 계기로 정치적 위기가 발생하자, 알렉산다르 1세는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 정치를 시작했다.[37] 1931년에는 새 헌법을 제정하여 성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했지만, 비밀 선거에 관한 규정은 기각되었다. 이로써 모든 국가 투표는 국왕의 헌법 아래에서 치러졌고, 국왕이 직접 상원 의원의 절반을 임명했으며, 법안도 국왕의 승인을 받아야 효력이 발생했다.

1928년 6월 20일 유고슬라비아 국회 의사당에서 스테판 라디치가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민족 갈등으로 인해 국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알렉산다르 1세는 1929년 1월 6일 이러한 정치적 위기를 이유로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정치를 시작하였고,[37] 10월 3일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변경했다. 국토는 직할시인 베오그라드와, 민족 분포가 아닌 분수령과 같은 지형에 따라 경계를 정한 9개의 주로 나뉘었고, 주 이름은 민족명이나 지역명이 아닌 그 주의 주요 하천에서 따왔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인들의 체제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커졌다.

1932년 11월 7일 크로아티아 자치파와 기타 야당이 자그레브에서 크로아티아의 완전한 자치권을 요구하는 결의를 표명하자, 1933년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세르비아계 이외의 정치 세력을 탄압했다. 많은 정치인들이 투옥, 감금, 유형, 추방되었는데, 그중에는 전 농무장관 크르베치와 슬로베니아 인민당 대표이자 전 총리 안톤 코로셰츠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크로아티아인들의 반감 고조를 우려한 알렉산다르 1세는 1933년 12월부터 이듬해 1934년 1월까지 약 한 달 동안 베오그라드를 떠나 자그레브를 방문했다. 거기서 여론 완화와 자신의 평판 회복을 위해 노력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38]

5. 암살

1934년 10월 9일, 알렉산다르 1세는 프랑스 제3공화국과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마르세유를 방문했다. 그는 프랑스 외무장관 루이 바르투와 함께 차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던 중,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소속의 불가리아인 혁명가 블라도 체르노젬스키가 쏜 권총에 맞아 암살당했다.[15] 이 과정에서 바르투 역시 프랑스 경찰의 오발탄에 맞아 사망했다.

알렉산다르 국왕의 암살에 대한 필름


저격범 체르노젬스키는 현장에서 군중과 프랑스 경찰에게 구타당해 사망했다. 체르노젬스키의 배후에는 이탈리아의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와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조직 우스타샤의 수장 안테 파벨리치가 있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알렉산다르 1세의 암살은 존 F. 케네디 암살과 함께 중요한 암살 사건 기록물로 남아 있다. 암살 당시 뉴스릴 촬영자가 현장에 있었고, 암살 직전과 직후 상황이 영상에 담겼다.[19]

알렉산다르 1세 암살 이후, 유고슬라비아와 프랑스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소국가 연합과 발칸 조약은 그 중요성을 잃게 되었다.

5. 1. 암살 배후 논란

1934년 10월 9일, 마르세유를 방문한 알렉산다르 1세는 프랑스 외무장관 루이 바르투와 회담했으나, 이 자리에 매복해 있던 저격수 블라도 체르노젬스키에 의해 바르투와 함께 타고 있던 차 안에서 암살당했다.[39] 범인 체르노젬스키는 현장에서 경찰의 총에 사살되었으나, 바르투는 경찰의 총탄에 중상을 입고 응급처치가 늦어져 몇 시간 후 사망했다.

블라도 체르노젬스키


이 범행의 배후는 크로아티아의 민족주의 단체 우스타샤였다는 설과,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현재의 북마케도니아)의 불가리아 귀속을 요구하는 불가리아·북마케도니아 민족주의 단체 내부마케도니아혁명조직이었다는 설이 있지만(혹은 양측 모두 관련되었다는 설도 있음), 진상은 현재까지 불명확하다.

체르노젬스키가 헝가리에서 발행된 체코슬로바키아 여권을 소지하고 있었고, 그가 소속된 것으로 알려진 조직이 헝가리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유고슬라비아는 국제연맹에서 헝가리를 고발했다.[39] 이 고발을 프랑스가 지지하고, 유고슬라비아와 불화 중이었던 이탈리아가 헝가리를 지지함으로써 연맹 이사회는 일시적으로 긴장했다. 그러나 영국 대표였던 앤서니 이든이 "연맹 이사회는 중대한 책임을 자각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불·이 양국이 유화하여 상황은 진정되었다.[39]

6. 유산


  • - 알렉산다르 1세 사후, 과도한 크로아티아인 탄압 정책은 폐기되었고, 크로아티아인의 자치권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 문제의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의 대립이 자유주의전체주의의 대립과 복잡하게 얽히면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돌입하게 된다.


알렉산다르 1세의 세 아들은 다음과 같다.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페타르 2세1923년 9월 6일1970년 11월 3일 (47세)왕위 계승, 1남
유고슬라비아의 토미슬라브 왕자1928년 1월 19일2000년 7월 12일 (72세)3남 1녀
유고슬라비아의 안드레이 왕자1929년 6월 28일1990년 5월 7일 (60세)3남 2녀


참조

[1] harvard
[2] 웹사이트 October 9, 1934: Assassination of King Alexander of Yugoslavia https://europeanroya[...] 2023-02-24
[3] 웹사이트 HM King Peter I of Serbia - Henry Poole & Co https://henrypoole.c[...] 2024-08-17
[4] 웹사이트 Alexander I of Yugoslavia https://www.1066.co.[...] 2024-08-17
[5] 논문 Regent Alexander Karadjordjević in the First World War 2017
[6] 서적 Ethnic Cleansing in the Balkans: Nationalism and the Destruction of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https://books.google[...] Peter Lang
[8] 논문 The Balkan Wars: An Expected Opportunity for Ethnic Cleansing
[9] 논문 Allies and Enemies: The Balkan Peoples in the Bulgarian Political Propaganda During the Balkan Wars
[10] 웹사이트 Draft letter to the Tsar, written by hand Pasic https://web.archive.[...] Serbian Archive 2010-09-21
[11] 서적 King Peter I Karadjordjević http://catalog.hathi[...] Belgrade
[12] 웹사이트 Atentat O Kojem Se Nije Učilo U Školama: Moler koji je usred Beograda Zamalo Ubio Kralja https://www.istorijs[...] 2021-03-02
[13] 뉴스 Dangerous Decree https://archive.toda[...] Time 1929-10-21
[14] 논문 Memory and Forgetting on the National Periphery: Marseille and the Regicide of 1934 http://epress.lib.ut[...]
[15] 서적 Crown of Thorns: The Reign of King Boris III of Bulgaria, 1918–1943 https://books.google[...] Madison Books
[16] 웹사이트 Assassination of King Alexander – Vivid pictures from the scene of the tragedy at Marseille. http://www.britishpa[...] British Pathe 2013-07-08
[17] 서적 Les grandes controverses de l'histoire contemporaine 1914–1945 Edito-Service Histoire Secrete de Notre Temps
[18] 잡지 Kampf gegen den Terror
[19] 웹사이트 Assassination of King Alexander I of Yugoslavia & Louis Barthou (1934) | British Pathé https://www.youtube.[...] British Pathé 2024-07-07
[20] Youtube Verschollene Filmschätze 1934 Das Attentat auf König Alexander I. von Jugoslawien
[21] 논문 The assassination of King Alexander I of Yugoslavia in the light of archival press articles
[22] 간행물 New Balkan Politics, Issue 6 http://www.newbalkan[...]
[23]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4] 웹사이트 Infamous Assassinations-King Alexander http://uktv.co.uk/ye[...] 2012-06-17
[25] 논문 The Hungarian-Italian Support of the Croatian Separatism between 1928 and 1934 https://www.academia[...]
[26] 웹사이트 The Dictatorship of King Alexander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1929–1934 https://web.archive.[...] 2013-12-29
[27] 기타
[28] 웹사이트 Па шта си ти? https://www.slovo.bg[...]
[29] 웹사이트 Македонизмът и съпротивата на Македония срещу него http://www.promacedo[...] Университетско издание Св. Климент Охридски, София
[30] 웹사이트 "Aleksandar od Jugoslavije" od 15. marta na Nova S https://rs.n1info.co[...] 2021-03-08
[31]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32] 논문 Subsídio para a história das relações bilaterais entre Portugal ea Sérvia http://revistas.lis.[...] 2020-03-21
[33] 웹사이트 Ordem Militar da Torre e Espada – Processos de Estrangeiros: Príncipe Alexandre (Regente do Reino dos Sérvios, Croatas e Eslovenos) http://arquivo.presi[...] 2020-04-02
[34] 웹사이트 Romania https://web.archive.[...] 2015-02-28
[35] Pinterest https://www.pinteres[...]
[36] 서적 世界歴史大系. 第23巻 https://dl.ndl.go.jp[...] 平凡社 1935-12-25
[37] 서적 世界歴史大系. 第23巻 https://dl.ndl.go.jp[...] 平凡社 1935-12-25
[38] 서적 世界歴史大系. 第23巻 https://dl.ndl.go.jp[...] 平凡社 1935-12-25
[39] 서적 世界歴史大系. 第23巻 https://dl.ndl.go.jp[...] 平凡社 1935-12-25
[40] 서적 #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제목 정보 없음)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