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레이저는 관찰자 방향으로 상대론적 제트를 분사하는 활동 은하핵으로, 높은 밝기, 빠른 변광, 높은 편광, 초광속 운동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블레이저는 퀘이사와 도마뱀자리 BL 천체로 분류되며, 통합 모형에 따르면 변광성이 큰 퀘이사는 강력한 전파 은하와, 도마뱀자리 BL 천체는 약한 전파 은하와 관련이 있다. 블레이저 연구는 상대론적 제트, 중력 렌즈, 플라스마 물리학 등 다양한 천체물리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한국 천문학 연구에서도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레이자 - 가시광격변 퀘이사
가시광격변 퀘이사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밝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퀘이사로, 3C 279와 S5 0014+81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3C 279는 블레이저로 분류되어 은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블레이자 - 도마뱀자리 BL 천체
도마뱀자리 BL 천체는 도마뱀자리에 위치한 변광성으로, 1968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2017년에는 중성미자원으로서 확인되었고, 밝은 핵을 가진 거대한 타원 은하에 위치한다. - 블랙홀 - 초대질량 블랙홀
초대질량 블랙홀은 10만 태양 질량 이상으로 은하 중심에 위치하며 활동은하핵과 퀘이사의 에너지원으로 여겨지는 천체로, 사건 지평선 망원경을 통해 이미지가 최초로 포착되었고 형성 과정과 질량 한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블랙홀 - 중력붕괴
중력 붕괴는 천문학에서는 항성이, 지질학에서는 산체나 사면 등이 자신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천문학에 관한 - 자외선
자외선은 요한 빌헬름 리터가 발견한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인체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오존층 감소로 인해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주의가 요구된다. - 천문학에 관한 - 적외선
적외선은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780 nm에서 1 mm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로,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뉘며 군사, 의료, 산업, 과학,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블레이자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퀘이사의 일종 |
설명 | 매우 밀집된 준성 전파원 |
특징 | |
방출 특징 | 비열적 방출, 빠른 변동성, 높은 편광 |
스펙트럼 | 비열 연속체,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방출 |
제트 | 관측자 방향으로 향하는 상대론적 제트 |
분류 | |
하위 유형 | BL 라세르타 천체 광학적으로 격렬한 변광 퀘이사 (OVV 퀘이사) |
관련 현상 | |
연관 | 활동 은하핵 (AGN) |
통일 모형 | AGN 통일 모형의 일부로 설명됨 |
추가 정보 | |
연구 | 전파, 광학, X선, 감마선 천문학을 사용하여 연구됨 |
중요성 |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입자 가속기로 여겨짐 |
2. 구조
블레이자는 활동은하핵(AGN)의 일종으로, 중심부의 초대질량 블랙홀로 물질이 떨어지면서 극단적인 활동을 하는 천체이다. 이 과정에서 광자, 전자, 양전자 등 다양한 기본입자가 생성되며, 강착원반을 형성하여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블레이자의 구조는 크게 중심 블랙홀, 강착원반, 토러스, 상대론적 제트 등으로 구성된다. 중심 블랙홀 주변에는 강착원반이 형성되고, 이 강착원반에 수직 방향으로 한 쌍의 상대론적 제트가 뻗어 나와 플라스마를 방출한다. 중심 블랙홀에서 수 파섹 떨어진 곳에는 뜨거운 가스와 고밀도 영역을 포함하는 불투명한 토로이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구조들은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주로 비열적 스펙트럼 형태로 나타나며, 낮은 주파수의 전파에서부터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관측된다. 또한, 일부 주파수에서는 높은 편광 현상이 나타난다. 비열적 스펙트럼은 싱크로트론 복사와 역컴프턴 복사로 구성되며, OVV 퀘이사에서는 열적 스펙트럼과 희미한 가시광 방출선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도마뱀자리 BL 천체에서는 매우 희미하거나 나타나지 않는다.
2. 1. 강착 원반과 제트
블레이자는 모든 활동은하핵(AGN)과 마찬가지로, 모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로 물질이 유입되면서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스, 먼지, 그리고 때때로 별이 이 중앙 블랙홀로 포획되어 소용돌이치면서 뜨거운 강착 원반을 생성하고, 이는 광자, 전자, 양전자 및 기타 기본 입자 형태의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 영역은 비교적 작으며, 크기는 약 10−3 파섹이다.블랙홀에서 몇 파섹까지 뻗어 있는 더 큰 불투명한 토러스도 있으며, 고밀도 영역이 내장된 뜨거운 가스를 포함한다. 이 "구름"은 블랙홀에 더 가까운 영역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재방출할 수 있다. 지구에서는 구름이 블레이저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으로 감지된다.
강착 원반에 수직으로, 한 쌍의 상대론적 제트는 매우 고에너지 플라스마를 AGN에서 멀리 운반한다. 제트는 강착 원반과 토러스에서 발생하는 강한 자기장과 강력한 바람의 조합에 의해 준선형화된다. 제트 내부에서 고에너지 광자와 입자는 서로 및 강한 자기장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상대론적 제트는 중앙 블랙홀에서 수십 킬로파섹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영역은 매우 낮은 주파수 라디오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 감마선까지의 비열 스펙트럼 형태로 다양한 관측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부 주파수에서 높은 편광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을 보인다. 비열 스펙트럼은 라디오에서 X선 영역의 싱크로트론 복사와 X선에서 감마선 영역의 역 컴프턴 방출로 구성된다. 자외선 영역에서 피크를 이루는 열 스펙트럼과 희미한 광학 방출선도 OVV 퀘이사에서 나타나지만, BL Lac 천체에서는 희미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2. 2. 토러스
블레이자는 모든 활동은하핵(AGN)과 마찬가지로 모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로 물질이 유입되면서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스, 먼지, 그리고 때때로 별이 이 중앙 블랙홀로 포획되어 소용돌이치면서 뜨거운 강착 디스크를 생성하고, 이는 광자, 전자, 양전자 및 기타 기본 입자 형태의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 영역은 비교적 작으며, 크기는 약 10−3 파섹이다.블랙홀에서 몇 파섹까지 뻗어 있는 더 큰 불투명한 토러스도 있으며, 고밀도 영역이 내장된 뜨거운 가스를 포함한다. 이 "구름"은 블랙홀에 더 가까운 영역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재방출할 수 있다. 지구에서는 구름이 블레이저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으로 감지된다.
강착 디스크에 수직으로, 한 쌍의 상대론적 제트는 매우 고에너지 플라스마를 AGN에서 멀리 운반한다. 제트는 강착 디스크와 토러스에서 발생하는 강한 자기장과 강력한 바람의 조합에 의해 준선형화된다. 제트 내부에서 고에너지 광자와 입자는 서로 및 강한 자기장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상대론적 제트는 중앙 블랙홀에서 수십 킬로파섹까지 확장될 수 있다.
2. 3. 방출 스펙트럼
블레이저는 모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로 물질이 유입되면서 에너지를 얻는다. 가스, 먼지, 별 등이 블랙홀로 포획되어 소용돌이치면서 뜨거운 강착 원반을 생성하며, 이는 광자, 전자, 양전자 및 기타 기본 입자 형태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 영역은 약 10−3 파섹 크기로 매우 작다.블랙홀에서 몇 파섹 떨어진 곳에는 고밀도 영역이 내장된 뜨거운 가스를 포함하는 불투명한 토러스가 있다. 이 "구름"은 블랙홀 근처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재방출하며, 지구에서는 블레이저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으로 감지된다.
강착 원반에 수직으로, 한 쌍의 상대론적 제트는 매우 고에너지 플라스마를 AGN에서 멀리 운반한다. 제트는 강착 디스크와 토러스에서 발생하는 강한 자기장과 강력한 바람의 조합에 의해 준선형화된다. 제트 내부에서 고에너지 광자와 입자는 서로 및 강한 자기장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상대론적 제트는 중앙 블랙홀에서 수십 킬로파섹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영역은 매우 낮은 주파수 라디오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 감마선까지의 비열 스펙트럼 형태로 다양한 관측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부 주파수에서 높은 편광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을 보인다. 비열 스펙트럼은 라디오에서 X선 영역의 싱크로트론 복사와 X선에서 감마선 영역의 역 컴프턴 방출로 구성된다. 자외선 영역에서 피크를 이루는 열 스펙트럼과 희미한 광학 방출선도 OVV 퀘이사에서 나타나지만, BL Lac 천체에서는 희미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3. 상대론적 분사출 (Relativistic Beaming)
블레이자에서 관측되는 방출은 상대론적 효과에 의해 크게 증폭되는데, 이를 상대론적 분사출(Relativistic Beaming)이라고 한다. 제트를 구성하는 플라스마의 전체 속도는 광속의 95%~99%에 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속도란 제트 내의 전자나 양성자의 속도가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개별 입자들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의 속도를 의미한다.[1]
제트의 정지 좌표계에서 방출되는 광도와 지구에서 관측되는 광도 사이의 관계는 제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광도가 충격파면에서 발생하는지, 아니면 제트 내의 밝은 덩어리에서 발생하는지, 또는 제트 내의 자기장과 움직이는 입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진다.[1]
상대론적 분사출의 간단한 모형은 제트의 정지 좌표계에서의 광도(''S''e)와 지구에서 관측되는 광도(''S''o)를 천체 물리학에서 도플러 인자라고 불리는 ''D''를 통해 연결한다. 이때 ''S''o는 ''S''e × ''D''2에 비례한다.
상대론적 분사출은 지구를 향하지 않는 제트가 동일한 상대론적 효과로 인해 어둡게 보이게 만든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두 제트라도 상당히 비대칭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θ < 35°인 제트는 제트의 정지 좌표계에서보다 작은 광도로 지구에서 관측된다.[1]
더 나아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활동은하핵(AGN) 개체가 우주에서 제트 방향이 무작위적이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매우 비동질적인 개체처럼 보일 수 있다. θ가 매우 작은 소수의 천체는 매우 밝은 제트를 가지는 반면, 나머지는 겉보기에 상당히 약한 제트를 가진다. 90˚가 아닌 θ를 가진 AGN은 비대칭적인 제트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이는 블레이자와 전파 은하 사이에 숨겨진 본질이다. 지구에서 시선 방향에 가까운 제트를 가진 AGN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다른 AGN과 극단적으로 다르게 보일 수 있다.[1]
3. 1. 상대론적 효과
관측되는 블레이자의 방출은 제트의 상대론적 효과에 의해 크게 가속된다. 이 과정을 상대론적 분사출이라 한다. 제트를 구성하고 있는 플라스마의 전체 속도는 광속의 95~99%에 이를 수 있다. (전체 속도는 제트에서의 일반적인 전자나 양성자의 속도가 아니다. 개개의 입자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 결과 플라스마에 대한 계의 속도는 언급된 범위에서 존재하게 된다)[1]정지 좌표계의 제트에서 방출된 광도와 지구에서 관측된 광도 사이의 관계는 제트의 특징에 의존한다. 이는 제트 내의 자기장과 움직이는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충격파면으로 인해 광도가 상승한 것인지, 아니면 제트의 밝은 거품에 의한 것인지도 포함된다.[1]
기본적인 상대론적 효과를 이용한 간단한 분사출에 관한 모형은 정지 좌표계의 제트에서 방출된 광도(''S''e)와 지구에서 관측된 광도(''S''o)와 상관 있다. 이들은 천체 물리학에서 도플러 인자로 불리는 용어, ''D''와 연결된다. 여기서 ''S''o는 ''S''e × ''D''2에 비례한다.[1]
여기서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자세하게 관측할 때, 세 가지 상대론적 효과가 수반된다.[1]
- '''상대론적 수차'''는 ''D''2 요소의 원인이 된다. 수차는 정지 좌표계(이 경우, 제트)에서 등방적으로 보이는 방향에서 관찰자의 좌표계(이 경우, 지구)에서의 운동 방향 쪽으로 밀려 왜곡되어 보이게 만드는 특수 상대론적 효과의 결과이다.[1]
- '''시간지연'''은 ''D''+1 요소의 원인이 된다. 이 효과는 에너지의 겉보기 방출 속도를 높여준다. 만약 제트가 자신의 정지 좌표계에서 매분 에너지의 폭발을 일으키고 있다면, 지구에서 이 폭발은 아마 10초당 한 번의 폭발로, 정지 좌표계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는 것처럼 관측될 수 있다.[1]
- '''윈도잉'''은 ''D''-1 요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증폭량을 감소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각각의 ''D'' 인자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관측된 창 내의 보다 적은 유체 요소 ''D''가 존재하기 때문에, 변함없는 흐름에서만 일어난다. 그러나, 자유롭게 증식 중인 물질 거품에 대해서, 복사는 최대 ''D''+3까지 증폭된다.[1]
시선 방향에 대한 각도 θ = 5˚와 광속의 99.9%에 해당하는 속도의 제트를 생각해 보자. 지구에서 관측된 광도는 제트에서 방출된 광도의 70배이다. 그러나 θ가 0˚로 최솟값이라면, 제트는 지구에서 600배 밝게 보인다.[1]
또한 상대론적 분사출은 또 다른 중요한 결과이다. 지구를 향하지 않는 제트는 동일한 상대론적 효과로 인해 어둡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동일한 두 제트는 상당히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실제로, 위에 주어진 예에서 θ < 35°에 있는 어떤 제트는 제트의 정지 좌표계에서보다 작은 광도로 지구에서 관측될 것이다.[1]
더 나아간 결과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AGN 개체가 우주에서 제트 방향이 무작위적으로 향해 있음으로써 지구에서 매우 비동질적인 개체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θ가 매우 작은 소수의 천체는 아주 밝은 제트를 가지고 있을 것이고, 나머지는 겉보기에 상당히 약한 제트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90˚가 아닌 θ의 AGN은 비대칭적인 제트를 가진 것처럼 보일 것이다.[1]
이는 블레이자와 전파은하 사이에 숨은 본질이다. 지구에서 시선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놓여 있는 제트를 가진 AGN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다른 AGN과 극단적으로 다르게 보일 수 있다.[1]
3. 2. 도플러 인자
블레이자의 관측 방출은 제트의 상대론적 효과에 의해 크게 가속된다. 이 과정을 상대론적 분사출이라 한다. 제트를 구성하는 플라스마의 전체 속도는 광속의 95~99%에 이를 수 있다. (전체 속도는 제트에서의 일반적인 전자나 양성자의 속도가 아니다. 개개의 입자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 결과 플라스마에 대한 계의 속도는 언급된 범위에서 존재하게 된다.)정지 좌표계의 제트에서 방출된 광도와 지구에서 관측된 광도 사이의 관계는 제트의 특징에 의존한다. 이는 제트 내의 자기장과 움직이는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충격파면으로 인해 광도가 상승한 것인지, 아니면 제트의 밝은 거품에 의한 것인지도 포함된다.
기본적인 상대론적 효과를 이용한 간단한 분사출에 관한 모형에서 정지 좌표계의 제트에서 방출된 광도 ''S''e와 지구에서 관측된 광도 ''S''o는 천체 물리학에서 도플러 인자 ''D''와 연결되며, ''S''o는 ''S''e × ''D''2에 비례한다.
더 자세하게 관측하면 세 가지 상대론적 효과가 나타난다.
- '''상대론적 수차'''는 ''D''2 요소의 원인이 된다. 수차는 정지 좌표계(제트)에서 등방적으로 보이는 방향이 관찰자 좌표계(지구)에서의 운동 방향 쪽으로 밀려 왜곡되어 보이게 만드는 특수 상대론적 효과의 결과이다.
- '''시간 지연'''은 ''D''+1 요소의 원인이 된다. 이 효과는 에너지의 겉보기 방출 속도를 높여준다. 제트가 자신의 정지 좌표계에서 매분 에너지 폭발을 일으키면, 지구에서 이 폭발은 10초당 한 번의 폭발처럼, 즉 정지 좌표계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는 것처럼 관측될 수 있다.
- '''윈도잉'''은 ''D''-1 요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증폭량을 감소시킨다. 이는 각각의 ''D'' 인자에 의해 팽창되어 관측된 창 내에 보다 적은 유체 요소 ''D''가 존재하기 때문에 변함없는 흐름에서만 일어난다. 그러나 자유롭게 증식하는 물질 거품의 경우 복사는 최대 ''D''+3까지 증폭된다.
시선 방향에 대한 각도 θ = 5˚이고 광속의 99.9% 속도인 제트를 생각해 보자. 지구에서 관측된 광도는 제트에서 방출된 광도의 70배이다. 그러나 θ가 0˚로 최소이면, 제트는 지구에서 600배 밝게 보인다.
4. 발견
많은 밝은 블레이자들은 처음에 발견되었을 때 멀리 떨어진 강력한 은하가 아니라, 우리 은하 내의 불규칙 변광성으로 생각되었다. 이들은 특정한 패턴 없이 며칠 또는 몇 년의 주기로 밝기가 변했기 때문에, 실제 불규칙 변광성처럼 보였다.
4. 1. 전파 천문학의 역할
전파천문학의 초기 발전으로 하늘에 밝은 전파원이 많이 발견되었다. 1950년대 말, 각분해능을 개선한 전파망원경 덕분에 특정 전파원과 그에 해당하는 광학 천체를 식별할 수 있게 되면서 퀘이사가 발견되었다. 블레이저는 초기에 발견된 퀘이사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최초로 적색편이가 측정된 3C 273 역시 블레이저였다.[17]1968년, "변광성"으로 알려진 도마뱀자리 BL과 강력한 전파원 VRO 42.22.01이 동일 천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도마뱀자리 BL은 퀘이사와 유사한 특징을 많이 보였지만, 광학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적색편이 측정에 사용되는 스펙트럼 선은 발견되지 않았다. 1974년, 도마뱀자리 BL이 별이 아니라 숨겨진 은하라는 희미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1972년, 변광 광학 및 전파원을 묶어 새로운 종류의 은하인 도마뱀자리 BL형 천체로 분류하였다.
2003년 기준으로, 수백 개의 BL Lac 천체가 알려졌다.
4. 2. 도마뱀자리 BL (BL Lacertae)
많은 밝은 블레이자들은 처음에 멀리 있는 강력한 은하가 아닌, 우리 은하에 있는 불규칙 변광성으로 발견되었다. 이들 블레이자는 특정한 패턴을 가지지 않고 며칠, 몇 년의 주기로 밝기가 변해서 정말 불규칙 변광성같이 보였다.1968년 "변광성" 도마뱀자리 BL과 강력한 전파원 VRO 42.22.01[17] 사이의 유사한 연관성이 제기되었다. 도마뱀자리 BL은 많은 퀘이사의 특징을 보여주지만, 광학적 스펙트럼에서 적색편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곤 했던 스펙트럼 선이 없었다. 그러나 희미하지만 근본적으로 은하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1974년에 발견되었다.
외부 은하 도마뱀자리 BL의 본질은 놀랍지 않았다. 1972년에 도마뱀자리 BL 유형 천체(BL Lacetae-Type Object)를 포함한 극소수의 가변적인 가시광선, 라디오 전파원이 새롭게 제안된 은하의 분류로써 함께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이 용어들은 곧 "도마뱀자리 BL 천체(BL Lacertae object)", "BL Lac object" 또는 간단하게 "BL Lac"로 짧게 단축되었다. (마지막 단어는 원래의 블레이자를 의미할 수 있지만, 앞에 말한 분류의 모든 것은 아니다.)
2003년에는, 수천 개의 도마뱀자리 BL 천체가 알려졌다.
5. 통합 모형 (Unified Model)
통합 모형은 퀘이사가 본질적으로 강력한 전파 은하와 관계되고, 도마뱀자리 BL 천체는 약한 전파 은하와 관계된다고 본다. 이 둘의 차이는 블레이자의 방출선 특징으로 설명된다.[10][11]
5. 1. 전파 은하와의 관계
블레이자는 관찰자의 시선 방향으로 상대론적 제트를 분사하는 활동은하핵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제트의 특성 때문에 블레이자는 큰 밝기, 빠른 변광, 높은 편광, 초광속 운동 등의 특이한 성질을 보인다.통합 모형에 따르면, 매우 변광 폭이 큰 퀘이사는 본질적으로 강력한 전파 은하와 관계가 있고, 도마뱀자리 BL 천체는 약한 전파 은하와 관계가 있다. 이 두 연결된 개체 사이의 차이는 블레이자의 각기 다른 방출선 특징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상대론적 제트/통합 모형에 대한 대체 설명으로 마이크로 중력 렌즈와 상대론적 제트의 방출 등이 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마이크로렌즈는 스펙트럼의 모든 부분에서 기복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블레이자에서 관측되지 않는 특징이다.
블레이자의 예로는 3C 454.3, 3C 273, 도마뱀자리 BL, PKS 2155-304, 마카리안 421, 마카리안 501 등이 있다. 마카리안 421과 마카리안 501은 매우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 방출 때문에 "TeV 블레이자"라고 불린다.
5. 2. 대안적 설명
상대론적 제트/통합 모형에 대한 대안적 설명에는 마이크로 중력 렌즈와 상대론적 제트에서의 방출 등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는 블레이자의 전반적인 특징을 모두 설명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렌즈는 모든 파장에서 동일한 광도 변화를 일으키는 비색성(achromatic) 현상이지만, 블레이자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관측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과정이 특정 관측 현상이나 세부 사항을 설명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또한, 복잡한 플라스마 물리학 역시 특정 현상 ব্যাখ্যা에 기여할 수 있다.6. 블레이저 연구와 한국 천문학
현재까지 블레이저 연구는 주로 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천문학계의 직접적인 기여는 제한적이다. 그러나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IceCube Neutrino Observatory)와 같은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6. 1. TXS 0506+056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IceCube Neutrino Observatory) 프로젝트는 2018년 7월 TXS 0506+056[12]이라는 블레이저를 고에너지 중성미자의 근원으로 확인했다.[5][6][13]7. 참고: 더불어민주당과 블레이저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Unified Schemes for Radio-Loud Active Galactic Nuclei
http://iopscience.io[...]
1995-09
[2]
논문
Vignettes: Clothing and Unclothing
https://www.science.[...]
1992-10-02
[3]
논문
The Hubble Space Telescope Survey of BL Lacertae Objects. II. Host Galaxies
https://iopscience.i[...]
2000-04
[4]
뉴스
It Came From a Black Hole, and Landed in Antarctica - For the first time, astronomers followed cosmic neutrinos into the fire-spitting heart of a supermassive blazar.
https://www.nytimes.[...]
2018-07-13
[5]
웹사이트
Neutrino that struck Antarctica traced to galaxy 3.7bn light years away
https://www.theguard[...]
2018-07-12
[6]
웹사이트
Source of cosmic 'ghost' particle revealed
https://www.bbc.co.u[...]
2018-07-12
[7]
논문
BL Lac identified as a Radio Source
https://www.nature.c[...]
1968-05
[8]
웹사이트
Some Bizarre Black Holes Put On Light Shows
https://www.npr.org/[...]
2020-07-12
[9]
논문
Shedding New Light on the 3C 273 Jet with the Spitzer Space Telescope
https://iopscience.i[...]
2006-09-10
[10]
웹사이트
Black Hole 'Batteries' Keep Blazars Going and Going
http://www.nasa.gov/[...]
2015-05-31
[11]
논문
The Cosmic Evolution of Fermi BL Lacertae Objects
https://iopscience.i[...]
2013-12-13
[12]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https://simbad.u-str[...]
2018-07-13
[13]
웹사이트
IceCube Neutrinos Point to Long-Sought Cosmic Ray Accelerator
https://icecube.wisc[...]
2018-07-13
[14]
웹사이트
HUBBLE DETECTS FASTER-THAN-LIGHT MOTION IN GALAXY M87
http://www.stsci.edu[...]
Space Telecsope Science Institute
2010-10-31
[15]
간행물
BL Lac identified as radio source
1968
[16]
웹인용
HUBBLE DETECTS FASTER-THAN-LIGHT MOTION IN GALAXY M87
http://www.stsci.edu[...]
Space Telecsope Science Institute
1999-01-06
[17]
간행물
BL Lac identified as radio source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