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천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파천문학은 전파를 이용하여 우주의 천체를 관측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이다. 1930년대 칼 잰스키의 은하수 전파원 발견을 시작으로 발전했으며, 전파 망원경과 간섭계 기술을 통해 가시광선으로는 관측하기 어려운 천체들을 연구한다. 펄서, 퀘이사,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등 다양한 천체의 발견에 기여했으며, 태양, 목성, 은하 중심 등 다양한 전파원을 관측한다. 전파천문학은 싱크로트론 방사선, 열 제동 방사선 등 다양한 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전파를 분석하며, 지구 전파의 영향과 국제적인 규제를 받는다. 최근에는 고속 전파 폭발과 같은 새로운 현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파천문학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은 빅뱅 이후 남은 잔광으로 여겨지는 2.725 K의 극저온 흑체 복사이며, 미세한 온도 비등방성을 통해 초기 우주 구조 형성, 우주 팽창, 우주론 모델 검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특히 편광 측정은 우주 급팽창 이론과 원시 중력파 존재 확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전파천문학 - 스페크트르-R
스페크트르-R은 라디오아스트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사된 러시아의 우주 전파 망원경으로, 지상 망원경과 협력하여 초장기선 간섭계 기술을 통해 우주 전파를 관측하며 블랙홀, 퀘이사, 펄서 등 고에너지 천체의 구조와 활동을 연구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나 2019년 통신 두절로 종료되었다.
전파천문학 | |
---|---|
개요 | |
학문 분야 | 천문학 |
하위 분야 | 천문학 |
영어 명칭 | radio astronomy |
상세 내용 | |
설명 | 전파 영역의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이다. |
2. 역사
1940년, 그로트 레버는 직경 9m의 포물선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것은 최초의 전파 망원경이다. 레버는 파장 1.85m의 전파로 은하수를 관측하여 전파 지도를 작성했다.[41]
1942년, 영국의 제임스 헤이는 레이다에 간섭하는 정체 불명의 전파를 관측하였다. 이것은 같은 해 미국의 조지 사우스워스에 의해 태양 플레어에 의한 전파라는 것이 확인되었다.[42]
1944년, 네덜란드의 헨드릭 반 데 훌스트는 전리되지 않은 수소 원자가 파장 21cm의 전파를 방출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것은 1951년에 미국 헤럴드 유엔과 에드워드 퍼셀에 의해 확인되었다.
1965년, 아르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우드로 윌슨은 통신 기기의 소음 측정을 하는 동안 우주에서 등방성으로 오는 전파를 발견했다. 이것이 대폭발 이론에서 예측되던 우주 배경 복사로 여겨진다.
같은 해, 앤터니 휴이시와 조슬린 벨 버넬은 매우 정확한 주기로 오는 전파를 발산하는 천체를 발견했다. 이것은 펄서라고 불리고, 그 정체는 빠르게 자전하는 중성자별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 1. 전파천문학의 탄생
1930년대에 칼 잰스키가 은하수를 관측하기 전에도, 물리학자들은 천체가 전파원이 되어 그 전파를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1860년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맥스웰 방정식은 전자기파가 전기 및 자기와 관련이 있으며 어떠한 파장에서도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니콜라 테슬라, 올리버 로지 등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검출하려고 여러 번 시도하였으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번번히 실패하였다.[36]칼 잰스키는 1930년대 초반에 천문학적 전파원을 최초로, 우연히 발견하였다. 벨 전화 연구소 소속 공학자였던 그는 대서양 횡단 음성전송에 사용되는 단파 통신에 자꾸 끼어드는 잡음을 조사하고 있었다. 커다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 잰스키는 아날로그 펜과 종이 기록에 정체불명의 전파원에서 오는 반복되는 신호가 기록되고 있음을 알아차렸다. 신호가 매 24시간마다 절정에 달하였기 때문에, 잰스키는 처음에는 간섭의 원인이 자신의 지향성 안테나의 시야를 가로지르던 태양이 아닌가 추측하였다. 분석을 계속한 결과 전파원의 반복 주기는 태양을 따라가는 정확한 24시간이 아니라, 23시간 56분으로 나타났다. 잰스키는 이 영문 모를 현상을 동료인 천체물리학자이자 교사인 앨버트 멜빈 스켈렛에게 털어놓았다. 스켈렛은 23시간 56분이 1 항성시를 가리키며, 이것은 전파원이 지구가 1회 자전할 때마다 안테나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천구상에 "고정"되어 있는 천체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37] 자신의 관측 결과를 광학 천문도와 대조해 본 잰스키는 마침내 자신의 안테나가 궁수자리의 은하수가 가장 짙은 지역을 가리켰을 때 문제의 전파원이 절정에 달하였다고 결론내렸다.[38] 그는 태양(그리고 다른 항성들)이 전파 잡음을 일으킬 정도로 큰 전파원이 아니므로, 문제의 전파 간섭은 은하의 성간 가스와 먼지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고 생각했다.[37] (잰스키의 전파원은 하늘에서 가장 강력한 전파원 중 하나로, 1950년대에 궁수자리 A라고 명명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성간 "가스와 먼지"는 아니었으며, 이 구역에서 발견된 천체들이 발생시키는 강력한 자기장과 그 안의 전자에서 방출되는 것임이 밝혀졌다).[39][40]
잰스키는 자신의 발견을 1933년에 발표하였다. 그는 은하수에서 나오는 전파를 보다 상세히 조사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벨 연구소는 그를 다른 프로젝트로 전출시켰고, 이후 잰스키가 천문학 분야에 있어 다른 업적을 남긴 바는 없다. 하지만 전파천문학에 있어 그의 선구자적 업적은 선속밀도의 기본 단위 잰스키(Jy)를 그의 이름을 따 명명함으로써 기려지고 있다.
1937년, 잰스키의 연구에 영감을 받은 그로트 레버가 자기 집 뒷마당에 직경 9미터 짜리 포물면 전파망원경을 설치하였다. 잰스키의 관측을 반복하는 것으로 연구를 시작한 레버는 최초의 전파 대역 전천 탐사를 수행하였다.[41] 1942년 2월 27일에는 영국 육군 연구장교 제임스 스탠리 헤이가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최초로 검출하였다.[42]

2. 2. 발전과 주요 발견
1931년, 벨 연구소의 기술자 칼 잰스키는 공전 현상을 관측하던 중 처음으로 천체의 전파를 관측하였다. 이로써 전파를 발산하는 천체가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칼 잰스키가 발견한 것은 우리 은하의 중심 핵에서 파장 14.6m의 전파를 발산하는 천체였다.[38]1930년대에 잰스키가 은하수를 관측하기 전에도, 물리학자들은 천체가 전파원이 되어 그 전파를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1860년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의 맥스웰 방정식은 전자기파가 전기 및 자기와 관련이 있으며 어떠한 파장에서도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니콜라 테슬라, 올리버 로지 등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검출하려고 여러 번 시도하였으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번번히 실패하였다.[36]
칼 잰스키는 1930년대 초반에 천문학적 전파원을 최초로, 우연히 발견하였다. 벨 전화 연구소 소속 공학자였던 그는 대서양 횡단 음성전송에 사용되는 단파 통신에 끼어드는 잡음을 조사하고 있었다. 커다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 잰스키는 아날로그 펜과 종이 기록에 정체불명의 전파원에서 오는 반복되는 신호가 기록되고 있음을 알아차렸다. 신호가 매 24시간마다 절정에 달하였기 때문에, 잰스키는 처음에는 간섭의 원인이 자신의 지향성 안테나의 시야를 가로지르던 태양이 아닌가 추측하였다. 분석을 계속한 결과 전파원의 반복 주기는 태양을 따라가는 정확한 24시간이 아니라, 23시간 56분으로 나타났다. 잰스키는 이 현상을 동료인 천체물리학자이자 교사인 앨버트 멜빈 스켈렛에게 털어놓았다. 스켈렛은 23시간 56분이 1 항성시를 가리키며, 이것은 전파원이 지구가 1회 자전할 때마다 안테나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천구상에 "고정"되어 있는 천체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37] 자신의 관측 결과를 광학 천문도와 대조해 본 잰스키는 마침내 자신의 안테나가 궁수자리의 은하수가 가장 짙은 지역을 가리켰을 때 문제의 전파원이 절정에 달하였다고 결론내렸다.[38] 그는 태양(그리고 다른 항성들)이 전파 잡음을 일으킬 정도로 큰 전파원이 아니므로, 문제의 전파 간섭은 은하의 성간 가스와 먼지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고 생각했다.[37] (잰스키의 전파원은 하늘에서 가장 강력한 전파원 중 하나로, 1950년대에 궁수자리 A라고 명명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성간 "가스와 먼지"는 아니었으며, 이 구역에서 발견된 천체들이 발생시키는 강력한 자기장과 그 안의 전자에서 방출되는 것임이 밝혀졌다).[39][40]
잰스키는 자신의 발견을 1933년에 발표하였다. 그는 은하수에서 나오는 전파를 보다 상세히 조사하고 싶어했지만 벨 연구소는 그를 다른 프로젝트로 전출시켰고, 이후 잰스키는 천문학 분야에서 다른 업적을 남기지 않았다. 하지만 전파천문학에 있어 그의 선구자적 업적은 선속밀도의 기본 단위 잰스키(Jy)를 그의 이름을 따 명명함으로써 기려지고 있다.
1940년, 그로트 레버는 직경 9m의 포물선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것이 최초의 전파 망원경이다. 레버는 파장 1.85m의 전파로 은하수를 관측하여 전파지도를 작성했다. 1937년, 잰스키의 연구에 영감을 받은 그로트 레버는 자기 집 뒷마당에 직경 9미터 짜리 포물면 전파망원경을 설치하였다. 잰스키의 관측을 반복하는 것으로 연구를 시작한 레버는 최초의 전파 대역 전천 탐사를 수행하였다.[41]
1942년, 영국의 제임스 헤이는 레이다에 간섭하는 정체 불명의 전파를 관측하였다. 이것은 같은 해 미국의 조지 사우스워스를 통해 태양 플레어에 의한 전파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1942년 2월 27일에는 영국 육군 연구장교 제임스 스탠리 헤이가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최초로 검출하였다.[42]
1944년, 네덜란드의 헨드릭 반 데 훌스트는 전리되지 않은 수소 원자가 파장 21cm의 전파를 방출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것은 1951년에 미국 헤럴드 유엔과 에드워드 퍼셀에 의해 확인되었다.
1965년, 로버트 윌슨은 통신 기기의 소음 측정을 하는 동안 우주에서 등방성으로 오는 전파를 발견했다. 이것이 대폭발 이론에서 예측되던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이다.
같은 해에 앤터니 휴이시와 조셀린 벨 버넬은 매우 정확한 주기로 오는 전파를 발산하는 천체를 발견했다. 이것은 펄서라고 불리고, 그 정체는 빠르게 자전하는 중성자별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 3. 한국의 전파천문학
1970년대부터 전파 망원경 수신기의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전 세계의 망원경을 결합하여 초장기선 간섭계(VLBI)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각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지역 원자 시계의 타이밍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나중에 다른 안테나의 데이터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방법을 통해 지구 크기의 안테나를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매우 높은 각분해능을 달성할 수 있다.오늘날 운영되는 주요 VLBI 배열에는 초장기선 배열(북아메리카)과 유럽 VLBI 네트워크(유럽,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가 있다. 이들 배열은 때때로 함께 관측하여 감도를 높이는 글로벌 VLBI를 수행한다. 또한 호주와 뉴질랜드의 LBA(장기선 배열)와[22] 일본, 중국, 한국의 배열이 함께 관측하는 동아시아 VLBI 네트워크(EAVN)도 있다.[23]
초기에는 데이터를 하드 미디어에 기록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었지만, 현재는 전 세계적인 고대역폭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VLBI(e-VLBI)가 가능해졌다. 이 기술은 일본에서 처음 개척되었으며, 최근 호주와 유럽에서도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24]
3. 관측
전파천문학은 인류가 오랫동안 가시광선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해 온 것에서 시작되었다. 천문학은 관측에 사용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기존 천문학,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자외선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이 있다. 반대로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적외선 천문학, 그리고 가장 파장이 긴 전파를 사용하는 전파천문학 등으로 분류된다. 각 파장대에 따라 관측하기 쉬운 천체가 다르다.
전파천문학에서는 "전파 창"이라고 불리는 주파수대의 전파가 관측에 사용되어 왔다. 1980년대 이후에는 관측 장비의 위치를 고려하고 전파 망원경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노력을 통해 밀리미터 영역에서 서브밀리미터 영역의 관측도 지상에서 이루어졌다.[31] 또한,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유지하는 기술을 얻은 이후부터는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파 천문 위성에 의한 관측도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 천체의 전파 관측 외에도,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SETI)의 일환으로, 오즈마 계획 등 외계 문명으로부터의 전파 신호를 감지하려는 시도도 많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극단파를 통해 천체의 원소 조성을 관측하여,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있는 환경을 가진 천체를 찾기도 한다.
3. 1. 관측 방법
약 1mm보다 긴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이용한다. 전파천문학은 관측천문학의 다른 분야와는 달리 관측된 전파를 개개의 광자로 다루기보다는 파동으로 다룬다. 그러므로 짧은 파장 영역의 전자기파에 비해, 전파의 세기와 위상을 측정하는 데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어떤 전파는 열적 발산의 형태로 천체에 의해 생성되기도 하지만, 지구상에서 관측 가능한 대부분의 전파 방사는 싱크로트론 복사의 형태이다. 또한, 별들 사이의 가스, 특히 21 cm 수소분광선에 의해 생성된 많은 분광선들이 전파영역에서 관측 가능하다.천체의 전파는 미약하기 때문에 관측은 전파 망원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파는 파장이 길기 때문에 성간 물질에 의한 산란을 받지 않으며, 가시광선으로 관측할 수 없는 암흑 성운의 뒷쪽 등을 관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파보다 파장이 긴 (40m 이상) 전파는 전리층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지상에 닿지 않는다. 또한 파장이 짧은 (3 cm 이하) 전파는 대기 중의 물 분자와 산소 분자에 의해 흡수되므로 역시 지상에 도달하기 어렵다.[30] 따라서 그 사이 파장의 전파가 관측에 사용되고있다. 1980년대 이후에는 관측 장치의 위치를 고려하면서 전파 망원경의 집광력 등을 향상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 밀리미터 영역에서 하위 밀리미터 영역 관측도 수행하고 있다.[31]
전파 천문학자들은 전파 스펙트럼에서 물체를 관측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기기는 단순히 에너지가 높은 전파원에 설치하여 방출을 분석할 수 있다. 하늘의 특정 영역을 더 자세히 "이미징"하려면 여러 개의 겹치는 스캔을 기록하고 모자이크 이미지로 조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기기의 유형은 신호의 강도와 필요한 세부 정보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지구 표면에서의 관측은 대기를 통과할 수 있는 파장으로 제한된다. 낮은 주파수 또는 긴 파장에서는 전송이 특징적인 플라스마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반사하는 전리층에 의해 제한된다. 물의 증기는 더 높은 주파수에서 전파 천문학을 방해하므로, 시선에서 수증기 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높고 건조한 지역에 밀리미터 파장에서 관측을 수행하는 전파 관측소를 건설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구상의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전파 관측소가 외딴 지역에 건설된다.

3. 2. 관측 대상
전파천문학은 초신성, 성간 가스, 펄사, 활동은하핵 등 매우 다양한 천체를 다룬다.[25] 특히 펄서, 퀘이사, 전파 은하 등 새로운 천체들을 발견하여 천문학적 지식을 크게 넓혔다. 이는 전파 천문학이 광학 천문학으로는 볼 수 없는 것들을 관측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천체들은 우주에서 가장 극적이고 에너지가 넘치는 물리적 과정을 보여준다.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는 전파 망원경으로 처음 발견되었다. 전파 망원경은 태양과 태양 활동 관측, 태양계 행성의 레이더 지도 작성과 같이 가까운 천체를 조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다른 전파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태양
- 목성
- 궁수자리 A: 은하수의 은하 중심에 있으며, 일부는 궁수자리 A*로 전파를 방출하는 초거대 블랙홀로 추정된다.
- 활동 은하핵 및 펄서: 싱크로트론 복사를 방출하는 하전 입자 제트를 가진다.
- 병합하는 은하단: 종종 산만한 전파 방출을 보인다.[26]
- 초신성 잔해: 산만한 전파 방출을 보일 수 있다. 펄서는 매우 동기화된 방출을 보이는 초신성 잔해의 한 유형이다.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흑체 전파/마이크로파 방출이다.

4. 천체의 전파 발생 원리
천체는 특정한 전파를 발생시킨다. 여러 파장에서 관측을 수행하면, 천체에서 어떤 전파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천체의 성질을 알 수 있다.
- '''싱크로트론 복사''': 광속에 가까운 전자가 자기장 안에서 로렌츠 힘을 받아 원운동을 할 때 방출되는 전파이다. 이 원리에 의해 발신된 전파는 전파 강도의 파장 의존성이 강한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다.
- '''열 제동 복사''': 고온의 플라즈마 속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의 인력을 받아 진로가 굽혀질 때 방출되는 전파이다. 강도의 파장 의존성이 작은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빛을 방출한다.
- '''전리 원자의 재결합''': 전리된 원자와 전자가 재결합할 때 방출되는 전파이다. 이 원리에 의해 발신된 전파는 선 스펙트럼을 갖는다.
- '''수소 원자의 21cm선''': 수소 원자 속 전자의 스핀이 반전될 때 방출되는 전파이다.
- '''분자의 회전 천이''': 암흑 성운(분자 구름) 속 분자의 회전이 변화할 때 방출되는 전파이다. 이 원리에 의해 발신된 전파는 선 스펙트럼을 갖는다.
- '''우주 배경 복사''': 빅뱅 때 우주에 가득했던 빛의 흔적이라고 생각된다.
5. 전파 별
그로테 레바는 고니자리와 카시오페이아자리 근처에서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구역을 발견했다.
1946년 제임스 헤이들은 이 전파가 은하수와 다른 천체에서 나오는 전파라는 것을 확인했다. 당시 전파 망원경의 해상도로는 이 전파원의 광학적 대응 천체를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이들은 전파 별이라 불렸고 천체가 속하는 별자리와 별자리에서 전파 강도 순으로 알파벳순 부호로 호칭되었다.
전파 별은 활동 은하와 질량이 큰 별의 형성이 활발한 성운, 초신성 잔해 등으로 식별되었다.
- 궁수자리 A : 동쪽 궁수자리 A, 서쪽 궁수자리 A로 구성된다. 동쪽 궁수자리 A는 초신성 잔해로 생각되고 있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A : 1670년경에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라고 추측하고 있다.
- 황소자리 A : 게 성운 (M1)
- 오리온자리 A : 오리온 성운 (M42)
- 고니자리 A : 활동 은하 3C405
- 처녀자리 A : 활동 은하 M87
- 센타우루스자리 A : 활동 은하 NGC 5128
6. 지구 전파의 영향과 국제 규정
최근에는 고주파 사용이 늘면서 휴대 전화 등 송신 설비의 고조파 영향으로 관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관측에 사용되는 주파수 할당이 인근 주파수 이용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32]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전파 규정 제1.58조에 따르면, '''전파 천문 서비스'''는 "전파 천문학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로 정의된다.[28] 이는 천체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주파수 할당은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무선 통신 규칙(2012년판) ''제5조''에 따라 제공된다.[29] 스펙트럼 활용 조화를 위해 대부분의 서비스 할당은 국가 주파수 할당 및 활용 표에 통합되며, 1차, 2차, 배타적, 공유로 나뉜다.
- 1차 할당: 대문자 표시
- 2차 할당: 소문자 표시
- 배타적 또는 공유 사용: 행정부 책임
ITU 지역에 따라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이 ''전파 천문 서비스''에 할당된다(1차 또는 2차).
서비스 할당 | ||
---|---|---|
지역 1 | 지역 2 | 지역 3 |
13 360–13 410 kHz 고정 | ||
25 550–25 650 전파 천문 | ||
37.5–38.25 MHz 고정 | ||
322–328.6 고정 | ||
406.1–410 고정 | ||
1 400–1 427 지구 탐사 위성 (수동) | ||
1 610.6–1 613.8 | 1 610.6–1 613.8 | 1 610.6–1 613.8 |
10.6–10.68 GHz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
10.68–10.7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
14.47–14.5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
15.35–15.4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
22.21–22.5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
23.6–24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
31.3–31.5 전파 천문 및 기타 서비스 |
전파천문학은 지구에서 발신되는 인공적인 전파 때문에 방해를 받는다. 우주에서 오는 전파와 지구에서 발신된 전파를 구별하기 어렵고, 지구상의 전파가 강력하여 천체의 미약한 전파를 가리기 때문이다.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통신용 전파, 의도치 않은 전자기파 등이 문제를 일으킨다.
초광대역 무선 (UWB), 인지 무선과의 관계도 논의되며, 전력선 통신 (PLC)에서 누설되는 전파도 관측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국립 천문대 등은 신중한 대응을 요구한다.[33]
7. 연구 과제 (일본어 문서의 "研究途上の例" 번역 및 추가)
파크스 천문대에서는 2001년경부터 1000분의 1초 정도로 매우 짧은 시간에 강한 전파가 방출되는 고속 전파 폭발(Fast Radio Burst|FRB영어) 현상을 관측해 왔다. 발생원은 특정되지 않았으나, 2015년 4월에 관측된 FRB 150418의 발생원이 2016년 2월, 스윈번 공과대학교와 일본 국립천문대, 도쿄 대학 연구 그룹에 의해 큰개자리 방향으로 50억 광년 떨어진 타원 은하에서 오는 전파라는 것이 밝혀졌다. 발생 메커니즘은 아직 불명확하지만, 연성 중성자별의 합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4][35]
참조
[1]
웹사이트
Pre-History of Radio Astronomy
http://www.nrao.edu/[...]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2010-04-09
[2]
서적
World of Scientific Discovery on Karl Jansky
http://www.bookrags.[...]
2010-04-09
[3]
논문
Radio waves from outside the solar system
1933
[4]
웹사이트
Karl Jansky and the Discovery of Cosmic Radio Waves
https://aas.org/post[...]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8
[5]
논문
Electrical disturbances apparently of extraterrestrial origin
1933-10
[6]
논문
A note on the source of interstellar interference
1935-10
[7]
서적
Relativity, Astrophysics and Cosmology: Volume 1
https://books.google[...]
Wiley-VCH
[8]
서적
Viewing the Constellations with Binocula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10-06
[9]
논문
Monitoring Stellar Orbits around the Massive Black Hole in the Galactic Center
[10]
논문
Precessing jets in Sagittarius A – Gas dynamics in the central parsec of the galaxy
[11]
웹사이트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May 5, 1933: The New York Times Covers Discovery of Cosmic Radio Waves
https://www.aps.org/[...]
American Physical Society (May 2015) Volume 24, Number 5
2021-09-21
[12]
웹사이트
Grote Reber
http://www.nrao.edu/[...]
2010-04-09
[13]
서적
Radio Universe
Pergamon Press
[14]
논문
Microwave radiation from the Sun
[15]
논문
Grote Reber's Observations on Cosmic Static
1999
[16]
논문
175 MHz-Strahlung der Sonne
[17]
서적
Long Wave Solar Radiation
Department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1945
[18]
서적
Repor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Norfolk Island Effect"
Department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1945
[19]
논문
The Sun's radio energy
1946
[20]
서적
The New Astronomy: Opening the Electromagnetic Window and Expanding Our View of Planet Earth
[21]
웹사이트
Radio Astronomy
http://www.phy.cam.a[...]
Cambridge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s
[22]
웹사이트
VLBI at the ATNF
http://www.atnf.csir[...]
2016-12-07
[23]
웹사이트
East Asia VLBI Network and Asia Pacific Telescope
http://www.astro.sci[...]
[24]
웹사이트
A technological breakthrough for radio astronomy – Astronomical observations via high-speed data link
http://www.innovatio[...]
2004-01-26
[25]
논문
A brief history of AGN
http://ned.ipac.calt[...]
1999
[26]
웹사이트
Conclusion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The Earth is a Strong Radio Source even without Man's Tinkering
https://www.gi.alask[...]
1983-06-23
[28]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58, definition: radio astronomy service / radio astronomy radiocommunication service
[29]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CHAPTER II – Frequencies, ARTICLE 5 Frequency allocations, Section IV – Table of Frequency Allocations
[30]
문서
例えば、電子レンジがマイクロ波を使って水を含んだ物体を温められる理由は、水分子などがマイクロ波を吸収するためである。
[31]
문서
電波望遠鏡は、例えば、巨大なアンテナを用いる方法や、複数のアンテナを組み合わせる方法で、電波の感度を高められる。
[32]
웹사이트
Rogue Microwave Ovens Are the Culprits Behind Mysterious Radio Signals
http://phenomena.nat[...]
National Geographics
2015-04-10
[33]
웹사이트
【最終局面を迎えた電力線通信・実用化「再」論争の真実】(4)「学術研究の妨げになる」(国立天文台・近田義広教授)
http://itpro.nikkeib[...]
2005-08-25
[34]
논문
The host galaxy of a fast radio burst
http://www.nature.co[...]
Nature
2015-02-25
[35]
뉴스
謎の正体は50億光年先の大爆発
http://this.kiji.is/[...]
共同通信
2016-02-25
[36]
웹인용
Pre-History of Radio Astronomy
http://www.nrao.edu/[...]
2010-04-09
[37]
웹인용
World of Scientific Discovery on Karl Jansky
http://www.bookrags.[...]
2010-04-09
[38]
논문
Radio waves from outside the solar system
[39]
서적
Relativity, astrophysics and cosmology: Volume 1
https://archive.org/[...]
[40]
서적
Viewing the Constellations with Binoculars
http://books.google.[...]
[41]
웹인용
Grote Reber
http://www.nrao.edu/[...]
2010-04-09
[42]
서적
The Radio Universe
Pergamon Press, Oxford-New Y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