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의 바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의 바다는 달 표면에 있는 거대한 충돌 분지로, 지름 1145km로 달의 바다 중 두 번째로 크다. 후기 대폭격 시기에 소행성과의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약 39억 2200만 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임브리움 분지는 세 개의 동심원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가장 바깥쪽 산맥은 지름 1300km에 달한다. 비의 바다는 과거 여러 탐사선의 착륙 지점이었으며, 1970년 루나 17호, 1971년 아폴로 15호, 2013년 창어 3호가 이곳에 착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의 바다 - 뱀의 바다
    뱀의 바다는 아직 내용이 작성되지 않은 문서이며, 추후 내용이 채워질 경우 뱀의 바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달의 바다 - 섬의 바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비의 바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비의 바다
라틴어 이름Mare Imbrium
영어 이름Sea of Rains
다른 이름'쇼어의 바다' 또는 '비의 바다'
좌표북위 32.8°, 서경 15.6°
지름1,146 km
면적830,000 km²
지질학적 특징
특징거대한 달의 바다
위치달의 지구 쪽 반구
형성 원인거대한 충돌로 인해 형성된 분화구를 현무암이 채움
기타 정보
분류달의 바다
이미지
비의 바다 위치 지도

2. 형성

비의 바다는 후기 대폭격 시기에 소행성대에서 온 원시행성이 달과 충돌하면서 형성되었다.[3]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 기법에 따르면 이 충돌은 약 39억 2200만 년 ±1200만 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출물은 달의 근지점 넓은 지역을 덮고 있다.[4][5]

3. 지형적 특징

폭풍의 바다 다음으로 큰 바다인 비의 바다는 지름이 1145km이다.

3. 1. 동심원 산맥

임브리움 분지는 거대한 충돌 사건으로 인해 융기된 세 개의 동심원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장 바깥쪽 산맥의 지름은 1300km이며, 카르파티아 산맥(남쪽), 아펜니누스 산맥(남동쪽), 카우카수스 산맥(동쪽) 등 여러 산맥으로 나뉜다. 바깥쪽 산맥은 가장 높은 곳에서 비의 바다 표면 위로 5km 이상 솟아 있다.[6] 북쪽과 서쪽에서는 산맥이 잘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임브리움 충돌로 인해 이 지역에서 산맥이 그다지 높이 솟아오르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간 산맥은 알프스 산맥과 아르키메데스 산맥을 형성한다.

지름 650km의 가장 안쪽 고리는 직선 산맥, 테네리페 산맥, 스피츠베르겐 산맥으로 구성된다. 이 고리의 대부분은 바다의 현무암 아래에 잠겨 있어, 피코 산과 라 히르 산과 같이 일부 지역에서만 고립된 봉우리가 남아 있다.

비의 바다의 셀레노크로매틱 영상(Si)

3. 2. 깊이

비의 바다 물질의 깊이는 중력, 지진 및 레이더 데이터 분석, 현무암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분화구와 바다를 완전히 통과한 분화구 연구, 바다 퇴적물로 채워진 달 분지와 채워지지 않은 분지 비교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바다 중앙 부분의 깊이는 2km[7]에서 5km[8]로 추정되었다. 임브리움 충돌로 인해 생긴 원래 분화구는 깊이가 최대 100km였지만, 충돌 직후 분화구 바닥이 위쪽으로 다시 튀어 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3. 3. 임브리움 조각

임브리움 분지는 거대한 충돌 사건으로 인해 융기된 세 개의 동심원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장 바깥쪽 산맥은 지름이 1300km이며, 여러 산맥으로 나뉜다. 남쪽에는 카르파티아 산맥, 남동쪽에는 아펜니누스 산맥, 동쪽에는 카우카수스 산맥이 있다. 가장 높은 곳에서는 바깥쪽 산맥이 비의 바다 표면 위로 5km 이상 솟아 있다.[6] 북쪽과 서쪽에서는 산맥이 잘 발달되지 않았는데, 이는 임브리움 충돌로 인해 이 지역에서 산맥이 그다지 높이 솟아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간 산맥은 알프스 산맥과 아르키메데스 산맥을 형성한다.

지름 650km의 가장 안쪽 고리는 직선 산맥, 테네리페 산맥, 그리고 아마도 스피츠베르겐 산맥에 의해 정의된다. 이 고리의 대부분은 바다의 현무암 아래에 잠겨 있어, 피코 산과 라 히르 산과 같이 일부 지역에서만 고립된 봉우리가 남아 있다.

우케르트 분화구가 중앙 오른쪽에 있는 임브리움 조각의 사선 보기


임브리움 분지 주변에는 충돌로 인한 이젝타로 덮인 지역이 약 800km까지 뻗어 있다. 또한 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방사형 홈 패턴인 "임브리움 조각"이 있는데, 이것은 낮은 각도로 분지에서 폭발한 큰 발사체가 달 표면을 스치면서 이러한 특징을 갈아내면서 생긴 홈으로 해석된다. 이 조각 패턴은 1893년 그로브 칼 길버트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다.[9] 임브리움 분지에 대해 방사형과 동심원으로 이어지는 달 전체의 단층 패턴은 임브리움 충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건은 달의 전체 암석권을 산산조각 냈다. 임브리움 분지와 정확히 반대편 달 표면에는 혼돈 지형(분화구 반 데 그래프)이 있는데, 이것은 충돌의 지진파가 달 내부를 통과한 후 그곳에 집중되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3. 4. 질량 집중 (매스콘)

1968년 다섯 대의 달 궤도선 우주선의 도플러 추적을 통해 비의 바다 중앙에서 질량 집중(매스콘) 또는 중력 고도가 확인되었다.[10] 임브리움 매스콘은 달에서 가장 크다. 이것은 달 탐사선과 GRAIL과 같은 후속 궤도선을 통해 더 높은 해상도로 확인 및 매핑되었다.

4. 명칭

달의 다른 많은 바다들처럼, 비의 바다는 1651년 그의 명명 시스템이 표준이 된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에 의해 명명되었다.[11]

비의 바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이름은 "헤카테의 신전"일 수 있다. 플루타르코스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달에 있는 가장 큰 "움푹 들어간 곳과 깊은 곳"에 이 이름을 붙였으며, 그곳이 죽은 자들의 영혼이 고통받는 곳이라고 믿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웬 A. 위태커는 이것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밝은 부분이 없는 가장 큰 규칙적인 어두운 지역"인 비의 바다를 가리키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12]

1600년경 윌리엄 길버트는 달의 지도를 만들어 비의 바다를 "Regio Magna Orientalis"(동쪽 대지역)라고 명명했다. 미카엘 판 랑그렌의 1645년 지도에서는 "Mare Austriacum"(오스트리아 바다)라고 명명했다.[13]

5. 관측 및 탐사

비의 바다는 지구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다. 서양 민담에서 달에 보이는 '달의 인면' 이미지에서 비의 바다는 그 남자의 오른쪽 눈을 이룬다.[14]

5. 1. [[루나 17호]]

1970년 11월 17일 협정 세계시 3시 47분, 소련의 우주선 루나 17호가 북위 38.28°, 서경 35.00°의 달의 바다에 연착륙했다. 루나 17호는 달 또는 다른 외계 천체에 배치된 최초의 로봇 로버인 루노호드 1호를 탑재했다. 원격 조종 로버인 루노호드 1호는 성공적으로 배치되었고, 수개월 동안 임무를 수행했다.

5. 2. [[아폴로 15호]]

1971년, 유인 아폴로 15호 임무는 하들리 계곡과 아펜니누스 산맥 사이에 있는 비의 바다 남동쪽 지역에 착륙했다. 데이비드 스콧 선장과 달 착륙선 조종사 제임스 어윈은 달 표면에서 3일 동안 머물렀으며, 이 중 18시간 30분은 우주선 밖에서 달 우주 유영 활동을 수행했다. 사령선 조종사 알프레드 워든은 궤도에 남아 비의 바다(그리고 달의 다른 지역)의 수백 장의 고해상도 사진과 기타 여러 유형의 과학 데이터를 획득했다. 표면에 있는 승무원들은 최초의 달 탐사차를 이용하여 이 지역을 탐험했고, 약 77kg의 달 표면 물질을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했다.[15] 몬스 하들리 델타에서 채취된 샘플에는 "제네시스 암석"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곳은 임브리안 이전(넥타리안 또는 넥타리안 이전) 달 지각의 단층암체로 여겨진다. 이 임무는 달 계곡을 방문하고 계곡 벽에서 보이는 달 기반암의 노두를 관찰한 유일한 아폴로 임무이기도 했다.[15]

5. 3. 2013년 충돌

2013년 3월 17일, 한 물체가 비의 바다에 있는 달 표면에 충돌하여 겉보기 등급 4의 섬광을 내며 폭발했다.[16] 그 결과 생성된 크레이터는 지름 18m였다.[17] 이는 NASA의 달 충돌 감시팀이 2005년 감시를 시작한 이후로 기록된 가장 밝은 충돌이었다.

5. 4. [[창어 3호]]

창어 3호의 계획된 착륙 지점은 비의 바다였으나, 실제 착륙은 폭풍의 바다에서 이루어졌다.


창어 3호는 2013년 12월 14일 폭풍의 바다에 착륙했으며, 지름 6km의 라플라스 F 크레이터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북위 44.1260°, 서경 19.5014° 지점이다.[18][19][20][21] 착륙선은 7시간 24분 후에 옥토끼호 로버를 배치했다.[22] 창어 3호 임무는 최대 30m 깊이까지 달 토양의 구조와 깊이를 직접 측정하고 수백 미터 깊이까지 달 지각 구조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3] 로버의 지중 레이더는 최소 9개의 별개의 암석층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는데, 이는 이 지역이 놀라울 정도로 복잡한 지질학적 과정을 거쳤으며 아폴로루나 착륙 지점과 조성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24][25]

참조

[1] gpn
[2] 논문 Origin and implications of non-radial Imbrium Sculpture on the Moon 2016
[3] 논문 High resolution U-Pb ages of Ca-phosphates in Apollo 14 breccias: Implications for the age of the Imbrium impact 2014
[4] 논문 Ages of lunar impact breccias: Limits for timing of the Imbrium impact 2021-04-01
[5] 논문 Imbrium Age for Zircons in Apollo 17 South Massif Impact Melt Breccia 73155 https://onlinelibrar[...] 2019-12
[6] 웹사이트 The Moon's Highs and Lows https://moonsummits.[...]
[7] 논문 A new technique for estimating the thickness of mare basalts in Imbrium Basin https://doi.org/10.1[...] 2009
[8] 논문 The Depth-Diameter relationship for large lunar impact basins and the implications for mare basalt thickness https://www.hou.usra[...] 2015
[9] 서적 The Moon's face, a study of the origin of its features https://catalog.hath[...] Philosophical Society of Washington 1893
[10] 논문 Mascons: Lunar Mass Concentrations 1968
[11] 서적 Mapping and Naming the Mo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2] 서적 Mapping and Naming the Mo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3] 서적 Mapping and Naming the Mo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4] 서적 Mapping and Naming the Mo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5] 간행물 Apollo 15 Preliminary Science Report https://www.hq.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1972
[16] 웹사이트 Bright Explosion on the Moon https://science.nasa[...] Science@NASA 2013-05-19
[17] 웹사이트 New Craters on the Moon https://svs.gsfc.nas[...] Goddard Media Studios 2022-05-13
[18] 웹사이트 Chang'e 3 landing coordinates http://planetary.s3.[...] China News (CN) 2013-12-15
[19] 뉴스 Chang'e 3 has successfully landed on the Moon!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3-12-15
[20] 웹사이트 China successfully lands robotic rover on the moon http://www.spaceflig[...]
[21] 웹사이트 Landing map of Chang'e 3 http://ww2.sinaimg.c[...]
[22] 뉴스 China's Rover Rolls! Yutu Begins Moon Mission http://news.discover[...] CCTV 2013-12-15
[23] 뉴스 欧阳自远:嫦娥三号明年发射将实现着陆器与月球车联合探测 http://news.xinhuane[...] Xinhua 2013-07-23
[24] 뉴스 The Moon's History Is Surprisingly Complex, Chinese Rover Finds http://www.space.com[...] Space.com 2015-03-13
[25] 논문 A young multilayered terrane of the northern Mare Imbrium revealed by Chang'E-3 mission 2015-03-13
[26] 웹사이트 Moon Mare/Maria http://planetaryname[...] USGS Astrogeology 2010-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