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는 이탈리아의 예수회 사제이자 천문학자이다. 그는 1651년 저서 《새로운 알마게스트》를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달의 지형에 대한 명명법을 정립했다. 리치올리는 중력에 의한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중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과학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지구의 자전에 대한 논쟁에 참여하여 코리올리 효과를 예측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자 - 원 혜종
    원 혜종은 원나라의 제11대 황제이자 북원의 초대 대칸으로, 권신들의 발호와 홍건적의 난으로 국력이 쇠퇴하여 명나라에 의해 대도를 빼앗기고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하다 사망했으며, 고려 출신 기황후와의 사이에서 아들 아유르시리다르를 낳았다.
  • 천문학자 - 요한 게오르크 폰 졸트너
    요한 게오르크 폰 졸트너는 독일의 천문학자, 물리학자, 수학자, 측지학자로서 바이에른 왕국의 토지 측량에 기여하고 보겐하우젠 천문대장으로서 천문대 건설을 지휘했으며 졸트너 도법 개발과 빛의 굴절 연구, 그리고 졸트너 좌표계 고안으로 알려져 있다.
  • 예수회 과학자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예수회 과학자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강희제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치고 외교 사절 역할을 수행하며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라이프니츠에게 이진법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례 논쟁에 참여하고 『강희제전』을 저술했다.
  • 1671년 사망 - 레 현종 (20대)
    레 현종은 후 레 왕조의 20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의 영향력 아래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 수립, 기독교 금지, 도량형 제정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 1671년 사망 - 앤 하이드
    앤 하이드는 평민 출신으로 요크 공 제임스의 첫 번째 부인이 되어 메리 2세와 앤 여왕을 낳았고, 가톨릭으로 개종 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요한 가브리엘 도펠마이어의 1742년 《천상 지도(Atlas Coelestis)》(판 3)에 묘사된 리치올리


리치올리는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태어났다.[59][1] 1614년 10월 6일 예수회에 입회하였다. 수련 기간을 마친 후 1616년부터 인문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페라라와 피아첸자에서 공부하였다.

1620년부터 1628년까지 파르마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파르마 예수회는 교육 과정에 자유 낙하 물체에 대한 실험을 포함하는 실험 프로그램을 강하게 진행하였다. 리치올리가 입학하였을 때 당시 가장 유명한 이탈리아 예수회 신부 중 한 사람인 주세페 비앙카니(1565~1624)가 파르마에서 가르치고 있었다. 비앙카니는 월면에 산이 있다는 것, 하늘의 유동성과 같은 새로운 천문학 사상을 받아들였고, 예수회 천문학자 크리스토프 샤이너(1573~1650)와 함께 태양의 흑점을 관측하였다. 리치올리는 비앙카니를 감사와 존경심으로 언급했다.[60][2]

1628년에 리치올리의 공부가 끝나자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는 선교 활동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대신 파르마에서 가르치게 되었다. 1629년부터 1632년까지 논리학, 물리학, 형이상학을 가르쳤고, 떨어지는 물체와 진자에 대한 몇 가지 실험을 하였다. 1632년 젊은이들로 이루어진 예수회 결성의 책임을 맡고 있는 집단의 일원이 되었으며, 그중에 다니엘로 바르톨리도 있었다.[61][3] 1633-1634년은 만토바에서 보냈는데 거기서 니콜로 카베오(1576~1650)와 함께 진자에 대한 연구를 더 하였다. 1635년 파르마로 돌아와 신학을 가르쳤으며 달에 대한 첫 번째 중요한 관찰도 수행했다. 1636년 볼로냐로 파견되어 신학을 가르쳤다.

리치올리는 자신이 신학자라고 생각하였지만 비앙카니 밑에서 공부하던 학생 시절부터 천문학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많은 예수회 회원들이 신학자이지만 천문학자들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마음속에 천문학에 대한 열정이 일어나면 그것을 결코 주체할 수 없어서 신학보다는 천문학에 더 전념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결국 예수회의 상관들은 공식적으로 그에게 천문학 연구를 허락하였다. 그러나 신학 집필도 계속 하였다.

리치올리는 볼로냐의 성 루시아 대학에 천문대를 세우고, 망원경, 사분의, 육분의 같은 전통적인 천문 관측 기구들을 마련하였다. 리치올리는 천문학뿐만 아니라 물리학, 산수, 기하학, 광학, 해시계, 지리학, 연대기까지 다루었다. 그는 다른 예수회 회원, 특히 볼로냐에서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1618–1663)와 협력하였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아타나시우스 키르허와 같은 사람들과 서신 왕래를 하였다. 그는 활동과 당시 문화에 대한 관련성을 인정받아 루이 14세로부터 상을 받았다. 리치올리는 죽을 때까지 천문학과 신학에 대한 저술을 계속하였다. 볼로냐에서 73세의 나이로 죽었다.[62][4]

3. 과학 업적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는 천문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651년 방대한 분량의 백과사전적인 저서 《새로운 알마게스트》를 저술하여 당시 천문학 지식을 집대성했다.[63] 이 책은 유럽 전역의 천문학자들에게 표준 참고서로 활용되었으며,[64] 17세기 예수회의 가장 중요한 문헌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65]

리치올리는 진자를 이용한 시간 측정과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에 대한 정밀한 실험을 수행했다.[66] 진자의 주기가 진폭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하고,[67] 1초 진자를 개발하여 시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했다. 낙하하는 물체의 이동 거리가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갈릴레오의 법칙을 실험적으로 증명했으며,[68] 물체의 무게, 크기, 밀도에 따라 낙하 속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냈다.[71]

그리말디와 함께 달을 관측하고 상세한 달 지도를 제작했으며,[77] 달 표면의 지형에 이름을 붙이는 현대적인 달 지형 명명법의 기초를 확립했다.[78] 고요의 바다와 같은 지명은 리치올리가 붙인 이름이다.

1665년 《개혁 천문학》을 저술하여 《새로운 알마게스트》의 내용을 보완하고, 요하네스 케플러의 타원 궤도 이론을 일부 수용했다.[105] 목성의 대적점에 대한 초기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102]

리치올리는 미자르가 쌍성임을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1644년부터 1656년까지 지구 둘레와 육지 대 바다의 비율을 측정하기 위한 지형 측량을 수행했지만, 부정확한 방법으로 인해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107][54] 그는 세계 인구를 10억 명으로 추정하기도 했다.[55]

3. 1. 《새로운 알마게스트(Almagestum Novum)》 (1651)

1651년에 저술된 《새로운 알마게스트(''Almagestum Novum'')》[63]는 1500쪽이 넘는 분량에 본문, 표, 그림으로 가득 찬 백과사전적인 작품이다. 이 책은 유럽 전역의 천문학자들에게 표준적인 참고서가 되었다. 영국 최초의 천문학자 존 플램스티드는 그레샴 강의에서 이 책을 사용했고, 파리 천문대제롬 랄랑드는 이 책이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하게 인용했다.[64] 1912년에 간행된 《가톨릭 백과사전》에서는 이 책을 17세기 예수회의 가장 중요한 문헌이라고 소개하였다.[65]



이 책에는 당시의 천문학 및 관련 주제에 대한 10개의 "책"이 수록되어 있었다.

순서내용
1천체 및 천체 운동, 적도, 황도, 황도 12궁 등
2지구와 크기, 중력, 진자 운동 등
3태양의 크기, 거리, 움직임, 관측 등
4달의 위상, 크기 및 거리 등(망원경을 통해 본 달의 세부 지도가 포함됨)
5일식과 월식
6항성
7행성과 행성의 움직임 등(망원경으로 본 각 행성의 표현이 포함됨)
8혜성과 신성("새로운 별")
9우주의 구조: 태양중심설지구중심설
10천문학 관련 계산



리치올리는 세 권짜리 《새로운 알마게스트》를 계획하였지만, 첫 권(1500쪽이라서 두 부분으로 분할됨)만 완성하였다.

3. 1. 1. 진자와 낙하하는 물체

리치올리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 최초의 사람으로 인정받는다.[66] 그는 저서 《새로운 알마게스트》 2권과 9권에 낙하하는 물체와 진자의 움직임에 대한 중요하고 광범위한 실험 보고서를 담았다.

그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로 진자에 관심을 가졌다. 리치올리는 별이 움직이는 동안 진자가 흔들리는 횟수를 세어, 작은 진폭으로 흔들리는 진자의 주기가 일정하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그는 3212번의 진동 동안 2번의 오차(0.062%)를 확인했다. 또한 진폭을 40도로 늘리면 진자의 주기가 늘어난다고 보고했다. 그는 주기가 1초인 진자를 개발하고자 했으며, 이는 24시간 동안 86,400번 진동하는 것이다. 그는 별을 이용해 시간을 표시하고, 9명의 예수회 동료로 팀을 조직하여 24시간 동안 진자의 흔들림을 세고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실험을 직접 두 번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 진자의 주기는 1.85% 이내로 1초에 근접했고, 다른 진자는 0.69%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리치올리는 이 값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다. 그 후 1초 진자는 다른 주기를 가진 진자를 교정하기 위한 표준이 되었다. 리치올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데 있어 진자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다른 방법에 비해 매우 신뢰할 수 있는 도구라고 언급했다.[67]

리치올리는 진자를 사용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때로는 진자와 함께 청각적으로 시간을 알리기 위해 예수회 합창단의 노래를 추가했다), 볼로냐의 아시넬리 탑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물체에 대한 정밀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그는 낙하하는 물체가 갈릴레오의 "홀수 규칙"을 따른다는 것을 증명했는데, 이는 낙하하는 물체의 이동 거리가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속도가 일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68] 리치올리에 따르면 정지 상태에서 떨어지는 물체는 1초에 15 로마 피트(29.57cm), 2초에 60피트, 3초에 135피트 등을 이동한다.[69] 그러나 예수회의 몇몇 회원들은 이 규칙이 엄격하게 증명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70] 리치올리는 일반적으로 낙하하는 물체가 일정한 가속도를 가지지만, 이 가속도는 물체의 무게, 크기, 밀도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무게가 다른 두 개의 무거운 물체를 같은 높이에서 동시에 떨어뜨리면 무거운 물체가 (밀도가 같거나 더 크다면) 더 빨리 떨어지고, 두 물체가 같은 무게라면 밀도가 큰 물체가 더 빨리 떨어진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리치올리는 무게가 같은(2.5 온스) 나무 공과 납 공을 동시에 떨어뜨리는 실험을 통해 납 공이 280 로마 피트를 떨어지는 동안 나무 공은 240 로마 피트를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새로운 알마게스트》에는 이러한 실험 자료가 21개 실려있다.) 그는 이러한 차이가 공기 때문이라고 보고, 떨어지는 물체를 다룰 때는 공기의 밀도를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71] 그는 누구나 실험을 재현할 수 있도록[72] 실험 방법을 자세히 제공했으며, 아시넬리 탑의 높이와 실험 장소를 보여주는 도표도 포함했다.[73]

리치올리의 주장은 무게가 다른 공들이 같은 비율로 떨어진다는 갈릴레오의 주장과 모순되지만, 갈릴레오가 같은 재료이지만 다른 크기의 물체를 추락시켰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경우 두 공 사이의 낙하 시간 차이는 다른 재료로 같은 크기인 공 또는 같은 무게이며 다른 크기의 공일 때보다 차이가 훨씬 작으며, 매우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지 않은 한 그 차이는 분명하지 않다.[74] 당시 여러 사람들은 낙하하는 물체에 대한 갈릴레오의 생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갈릴레오의 생각을 검증하기 위해 거리나 시간의 작은 차이를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거나, 실험이 갈릴레오의 예측에 부합하지 않았다고 보고하거나, 갈릴레오의 생각을 완전하게 검증할 수 있는 적당한 건물이 없다고 불평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리치올리는 이상적인 장소에서 반복적으로 일관성 있게 정밀한 실험을 수행하였음을 보여주었다.[75]

미국 인디애나 대학의 역사학자 멜리(Domenico Bertoloni Meli)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 리치올리의 정확한 실험은 [17세기] 후반에 널리 알려졌으며 갈릴레오 업적 중 일부분 특히 홀수 법칙과 무거운 물체들이 비슷한 가속도로 떨어지며 속력이 무게에 비례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대한 실험적 타당성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갈릴레오와의 제한된 일치는 의미심장한데 그것은 마치 갈릴레오를 비난하는 글을 자신의 출판물에 실었던 매정한 독자에게서 나온 것처럼 보인다.[76]

3. 1. 2. 달 연구와 달 지형 명명법

리치올리는 그리말디와 함께 달을 광범위하게 연구했다. 그리말디는 달의 지도를 그렸는데, 이 지도는 《새로운 알마게스트》 4책에 수록되었다.[77] 이 지도는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와 마이클 반 랑그렌이 먼저 그린 지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리치올리는 이 지도들 중 하나에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달 지형 명명법의 기초가 되는 달의 장소 이름을 지었다. 예를 들어, 아폴로 11호의 착륙 지점인 고요의 바다는 리치올리가 지은 이름이다. 리치올리는 달의 넓은 지역에 '비의 바다', '구름의 바다'처럼 날씨에 따른 이름을 붙였다. 또한, 구덩이(crater)에는 유명한 천문학자의 이름을 붙였는데, 철학이나 시대별로 묶었다.[78]

《신 알마게스트》에 실린 달 지도


리치올리는 코페르니쿠스 이론을 거부했지만, 큰 구덩이에 "코페르니쿠스"라는 이름을 붙이고, 다른 중요한 구덩이에 케플러, 갈릴레오, 란스베르기우스와 같은 코페르니쿠스 지지자들의 이름을 붙였다. 자신과 그리말디의 이름이 붙은 리치올리와 그리말디 구덩이는 코페르니쿠스 근처에 두었지만, 다른 예수회 천문학자들의 이름이 붙은 구덩이는 튀코 브라헤 구덩이 근처에 두었다. 이러한 이유로 리치올리의 달 명명법은 예수회 회원으로서 공개적으로 지지할 수 없었던 코페르니쿠스 이론에 대한 암묵적 동조라고 여겨지기도 한다.[79] 그러나 리치올리는 모든 코페르니쿠스 지지자들을 폭풍의 대양에 빠뜨렸다고 말했다.[80]

이 지도에서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특징은 리치올리가 달에 사람이 살지 않는다고 직접 진술한 점이다. 이는 쿠사의 니콜라스, 조르다노 브루노, 심지어 케플러의 저술에 나타나고, 나중에는 퐁트넬윌리엄 허셜의 저술에 계속 나타나는 달에 사람이 살 것이라는 추측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81][82]

3. 1. 3. 지구의 움직임에 관한 논쟁

리치올리는 《새로운 알마게스트》에서 우주가 지구 중심인지 태양 중심인지, 지구가 움직이는지 정지해 있는지 등 세계 체계에 대한 질문을 광범위하게 다루었다. 그는 이 문제에 대해 126가지 주장을 제시했는데, 49개는 지구의 움직임에 찬성, 77개는 반대하는 것이었다.[83][84] 리치올리는 망원경 관측 결과 프톨레마이오스 체계는 이미 무너졌다고 보았으며,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 체계와 튀코 브라헤의 지구-태양 중심 체계(태양, 달, 별은 고정된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다른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도는 체계) 사이의 문제가 논쟁의 핵심이라고 생각했다.[85] 그는 튀코 브라헤의 체계를 수정하여 토성과 목성의 중심을 태양이 아닌 지구로 보았다.[85]

리치올리의 126가지 주장 중 현대에 번역과 토론이 이루어진 것은 다음 세 가지이다.[86]

  • 물리-수학적 논의: 리치올리는 갈릴레오가 《두 가지 주요 세계관에 관한 대화》에서 제시한 추측, 즉 탑에서 떨어지는 돌의 겉보기 직선 가속 운동이 지구 자전과 돌 자체의 원운동이 합쳐진 결과라는 추측에 대해 논했다.[87][88] 그는 이 추측이 극지방에서는 지구 자전의 영향이 적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적도 지방에서도 그 효과가 매우 작다고 주장했다.[89]

  • 코리올리 효과: 리치올리는 지구 자전으로 인해 위도에 따라 지표면의 속력이 달라지므로, 포물체의 운동을 통해 지구 자전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쪽으로 포탄을 발사하면 지구 자전 때문에 포탄이 목표물의 동쪽에 떨어진다고 설명했다.[91] 이는 오늘날 코리올리의 이름을 따 코리올리 효과로 알려져 있다.[93] 리치올리는 이러한 편향 효과가 관측되지 않는 것은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는 증거라고 주장했지만, 당시의 포병 기술로는 이 효과를 탐지하기 어려웠다.[93]

  • 망원경으로 본 별의 모습: 리치올리는 당시 망원경으로 관측된 별의 모습이 실제 모습이 아니라 빛의 회절 때문에 나타나는 에어리 원반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96] 그는 망원경으로 보이는 별의 크기를 측정하고, 코페르니쿠스 이론에서 연주 시차가 나타나지 않으려면 별들이 매우 멀리 있어야 하며, 그 결과 별들의 크기가 엄청나게 커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97] 이는 코페르니쿠스 이론에 대한 반박으로 이어졌다.


리치올리는 코페르니쿠스 체계에 강하게 반대했지만, 일부 반코페르니쿠스 주장에 대해서는 코페르니쿠스파의 반론을 들어 반박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지구가 자전하면 우리가 그것을 느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수학적으로 꼭 그렇게 느껴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99] 이러한 이유로 리치올리가 사실은 코페르니쿠스의 숨은 지지자였다는 주장도 있다.[100]

3. 2. 《개혁 천문학(Astronomia Reformata)》 (1665)

리치올리의 또 다른 중요한 천문학 저술은 1665년에 간행된 《개혁 천문학》이다. 《새로운 알마게스트》에 비하면 절반 정도 분량이지만, 여전히 두꺼운 책이다. 두 책의 내용은 상당히 중복되며, 《개혁 천문학》은 《새로운 알마게스트》의 개정판으로 생각될 수 있다.



《개혁 천문학》에서 리치올리는 토성의 모양 변화를 자세하게 보고하였다.[101] 목성 부분에는 1632년 말 두니스버그의 수도원장이며 좋은 망원경을 가지고 있던 레안데르 밴디우스가 관측한 목성의 대적점에 대한 (최초는 아니지만) 이른 기록이 있다.[102] 또한 이 부분에서 리치올리는 시간에 따라 출몰하는 목성 구름 띠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48]

《개혁 천문학》의 물리-수학적 논의는 스테파노 델리 안젤리(Stefano degli Angeli, 1623~1697)가 리치올리의 논의에 대해 "예상치 못한, 다소 무례하고 때로는 경솔한 공격"을 감행하는 계기가 되었다.[103] 제임스 그레고리(James Gregory)는 떨어지는 물체에 대한 공적 또는 사적인 논쟁에 대한 보고서를 1668년 영국에서 발표했다. 이것은 로버트 훅(1635~1703)이 아이작 뉴턴(1642~1727)을 끌어들여 왕립학회와의 과학적인 서신을 재개하고, 곧 이어서 낙하 물체의 궤도에 관한 논쟁을 벌이면서 "뉴턴이 다른 일은 제쳐두고 지상과 하늘에서의 역학 연구로 되돌아가게 하는" 전주곡이었다.[104]

《개혁 천문학》은 요하네스 케플러의 타원 천체 역학에 유리하도록 축적된 관측 증거를 반영하였다. 이 책에서는 지구-태양 중심의 튀코 브라헤 이론에 타원 궤도를 결합시켰다.[105] 리치올리는 케플러의 생각을 받아들였지만, 태양 중심 이론에는 반대 입장을 견지하였다. 실제로 안젤리와의 논쟁 후에 태양 중심설에 대한 리치올리의 태도가 굳어졌다.[106]

3. 3. 기타 업적

1644년부터 1656년까지 리치올리는 그리말디와 함께 지구 둘레와 육지 대 바다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지형 측량에 매달렸다.[107][54] 그러나 사용한 방법이 부정확하여 자오선 호 각도에 대한 값은 스넬리우스가 측정한 값보다 오차가 컸다. 스넬리우스는 약 4,000미터의 오차를 보였지만, 리치올리는 10,000미터 이상의 오차를 냈다.[107][54] 리치올리는 고대 로마의 위도 1도 거리가 항상 75밀리아 또는 375,000 페데스였음에도 불구하고 373,000 페데스라는 값을 얻었다.

그는 망원경으로 미자르를 관측하고 이것이 쌍성임을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지만, 카스텔리와 갈릴레오가 훨씬 이전에 관측했다.

알프레도 디니스에 따르면, 리치올리는 이탈리아와 해외에서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우주론, 관측 천문학 및 지리학의 모든 관련 문제를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는 인물로 큰 명성과 반대를 동시에 받았다.[108][55]

그는 저서 『Geographiae et hydrographiae reformatae libri』(지리와 수문학 개혁에 관한 책)에서 최초로 세계 인구 추계를 시도했다. 유럽 인구를 기준으로 대륙별로 대략적인 수치를 할당하여 당시(1661년) 세계 인구를 10억 명으로 추정했다.

대륙인구
유럽1억 명
아프리카1억 명
아시아5억 명
아메리카2억 명
오세아니아1억 명


4. 저서

리치올리는 라틴어로 책을 저술하였다.

''Geographicae crucis fabrica et usus ad repraesentandam mira facilitate omnem dierum noctiumque ortuum solis et occasum, horarumque omnium varietatem'', 1643년판


제목출판 연도출판 장소기타
Geographicae crucis fabrica et usus ad repraesentandam ... omnem dierum noctiumque ortuum solis et occasumla1643년페로니세계 지도 (갈리카)
Almagestum novum astronomiam veterem novamque complectens observationibus aliorum et propriis novisque theorematibus, problematibus ac tabulis promotamla1651년제1권~제3권
Geographiæ et hydrographiæ reformatæ libri duodecimla1661년볼로냐
Geographiæ et hydrographiæ reformatæ: nuper recognitæ & auctæ libri duodecimla1672년베네치아제2판
Astronomia reformatala1665년제1권~제2권
Vindiciae calendarii Gregoriani adversus Franciscum Leveramla1666년
Apologia R.P. Io. Bapt. Riccioli Societatis Iesu pro argumento physicomathematico contra systema Copernicanumla1669년
Chronologiae reformatae et ad certas conclusiones redactae ...la1669년제1권~제4권
Tabula latitudinum et longitudinumla1689년
Evangelium unicum Domini nostri Jesu Christi ex verbis ipsis quatuor Evangelistarum conflatum et in meditationes distributumla1667년볼로냐
Immunitas ab errore tam speculativo quam practico definitionum s. Sedis apostolicae in canonizatione sanctorum, in festorum ecclesiasticorum institutione et in decisione dogmatum, quae in verbo Dei scripto, traditove implicite tantum continentur, aut ex alterutro sufficienter deducunturla1668년볼로냐1669년 금서 목록에 등재됨[109]
De distinctionibus entium in Deo et in creaturis tractatus philosophicus ac theologicusla1669년



리치올리의 운율학에 대한 책들은 여러 번 개정되었고 여러 판본이 있다.

제목출판 연도출판 장소기타
Prosodia Bonnoniensis reformatala1655년볼로냐
Prosodia Bononiensis reformatala1714년파두아두 권이 한 권으로 합쳐짐



『신 알마게스트』 이외의 저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Geographiae et hydrographiae reformatae libri''la (1661)
  • ''Astronomia reformata''la (1665)
  • ''Chronologia reformata''la (1669)
  • ''Tabula latitudinum et longitudinum''la (1689)

참조

[1] 문서 Riccioli of Ferrara
[2] 문서 a lunar crater after Biancani
[3] 웹사이트 Bartoli Riccioli 1669, IV, p. 218 (under D for Daniel Bartholus Ferrariensis) https://books.google[...]
[4] 문서 Biography section
[5] 웹사이트 Riccioli 1651 http://www.e-rara.ch[...]
[6] 문서 Almagest
[7] 문서 Lalande citing Riccioli
[8]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9]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0]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1] 문서 odd-number rule and distance increasing as the square of time
[12]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3]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4]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5]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6]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7]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8]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19]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0] 웹사이트 Riccioli 1651 http://www.e-rara.ch[...]
[21]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2]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3]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4]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5] 웹사이트 Trois cent cinquante années de noms lunaires https://www.lemonde.[...]
[26]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7] 문서 TOF Spot
[28]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29] 웹사이트 New Almagest http://www.e-rara.ch[...]
[30] 문서 126 arguments
[31]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32]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33]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34] 문서 Giovanni Battista Riccioli
[35] 웹사이트 Riccioli 1651 http://www.e-rara.ch[...]
[36] 서적 Graney 2011
[37] 문서 (in the northern hemisphere)
[38] 논문 Grant 1984; New Scientist 2011; Discovery News 2011
[39] 문서 (in the northern hemisphere)
[40] 웹사이트 Wikipedia: Coriolis Effect
[41] 서적 Graney & Grayson 2011
[42] 서적 Graney 2010a
[43] 논문 Grant 1984; arXiv:1103.2057v2
[44] 논문 Grant 1984; arXiv:1103.2057v2
[45] 서적 Grant 1984; Dinis 2002
[46] 서적 Riccioli 1665 http://www.e-rara.ch[...]
[47] 서적 Riccioli 1665 http://www.e-rara.ch[...]
[48] 서적 Comins and Kaufmann 2009
[49] 뉴스 New Scientist 2010; BBC News 2010
[50] 서적 Koyré 1955
[51] 서적 Koyré 1955
[52] 서적 Heilbron 1999
[53] 서적 Dinis 2003
[54] 서적 Hoefer 1873
[55] 서적 Dinis 2003
[56] 웹사이트 Index Librorum Prohibitorum, 1949 http://www.cvm.qc.ca[...] 2015-10-10
[57] 웹사이트 Giovanni Battista Riccioli
[58] 문서 Also "Giambattista" and "Giovambattista"
[59] 문서 그의 책에서 어떤 때는 "Ricciolus Ferrariensis" (페라라의 리치올리)라고 하기도 한다.
[60] 문서 달의 Blancanus 분화구는 비앙카니의 라틴 이름을 딴 것이다.
[61] 서적 Riccioli 1669
[62] 서적 Dinis 2003; Dinis 2002; Catholic Encyclopedia: Giovanni Battista Riccioli
[63] 문서 오래된 알마게스트는 2세기 프톨레미의 책이다.
[64] 서적 Galloway 1842
[65] 서적 Van Helden 1984; Raphael 2011; Campbell 1921; Catholic Encyclopedia: Giovanni Battista Riccioli
[66] 서적 Koyré 1955; Graney 2012
[67] 서적 Meli 2006; Heilbron 1999
[68] 문서 수식을 사용하지 않고 낙하하는 물체의 이동거리는 시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홀수 규칙"의 설명 : 어떤 물체가 정지상태에서 출발하여 일정하게 가속된다. 그래서 매초 2 ft/s씩 증가한다고 하자. 1 초후에 2 ft/s가 된다. 0과 2 ft/s의 평균 속도는 1 ft/s이므로 1 초후에는 1 ft 이동한다. 2초 후 물체는 4 ft/s로 움직이고 (0과 4의 평균은 2이므로) 평균 속도는 2 ft/s이다. 평균 2 ft/s로 2초 움직이므로 2초 동안 4 ft 움직인다. 3초 후 물체는 6 ft/s로 움직이고 (0과 6의 평균은 3이므로) 평균속도는 3 ft/s이다. 평균 속도 3 ft/s으로 3 초 움직이면 9 ft 움직인다. 4초 후는 16 ft를 움직일 것이다. 따라서 물체가 이동하는 거리는 경과된 시간의 제곱에 따라 증가한다. (1초, 1 ft), (2초, 4 ft), (3초, 9 ft), (4초, 16 ft)... 더욱이 처음 1초 동안 물체는 1 ft를 이동하며, 그 다음 1초 동안에는 4 -1= 3 ft를 이동하며, 세 번째 1초 동안에는 9-4 = 5 ft, 네 번째 1초 동안에는 16 – 9 = 7 ft를 이동한다. 그러므로 1초 동안 물체의 이동 거리는 "홀수 규칙"을 따른다. 즉 1 ft, 3 ft, 5 ft, 7 ft 등등.
[69] 서적 Meli 2006; Heilbron 1999; Koyré 1955
[70] 서적 Meli 2006
[71] 서적 Meli 2006
[72] 서적 Meli 2006
[73] 서적 Raphael 2011
[74] 서적 Koyré 1955
[75] 서적 Raphael 2011
[76] 서적 Meli 2006
[77] 서적 Riccioli 1651
[78] 서적 Bolt 2007
[79] 서적 Whitaker 1999
[80] 서적 Bolt 2007
[81] 서적 Crowe 2008
[82] 문서 Trois cent cinquante années de noms lunaires
[83] 서적 Grant 1996
[84] 문서 The TOF Spot
[85] 서적 새로운 알마게스트
[86] 서적 Delambre 1821
[86] 논문 arXiv:1103.2057v2 2011
[87] 서적 Dinis 2002
[87] 논문 arXiv:1103.2057v2
[88] 서적 Dialogue 2001
[89] 서적 Koyré 1955
[90] 서적 Dinis 2002
[90] 서적 Koyré 1955
[90] 논문 arXiv:1103.2057v2 2011
[91] 서적 Graney 2011
[93] 서적 Grant 1984
[93] 서적 Graney 2011
[93] 뉴스 New Scientist 2011
[93] 뉴스 Discovery News 2011
[96] 서적 Graney & Grayson 2011
[97] 서적 Graney 2010a
[98] 서적 Grant 1984
[98] 논문 arXiv:1103.2057v2
[99] 서적 Grant 1984
[99] 논문 arXiv:1103.2057v2
[100] 서적 Grant 1984
[100] 서적 Dinis 2002
[101] 서적 Riccioli 1665
[102] 서적 Graney 2010b
[102] 뉴스 New Scientist 2010
[102] 뉴스 BBC News 2010
[103] 서적 Koyré 1955
[104] 서적 Koyré 1955
[105] 서적 Heilbron 1999
[106] 서적 Dinis 2003
[107] 서적 Hoefer 1873
[108] 서적 Dinis 2003
[10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vm.qc.ca[...] 2015-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