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카밤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카밤바는 안데스 산맥 북동쪽의 험준한 산악 지대에 위치한 지역으로, 잉카 제국의 마지막 저항 거점이었다. 1450년대 잉카인들이 점령하여 마추픽추와 같은 도시들을 건설했고,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망코 잉카 유팡키가 수도를 비트코스로 옮긴 후, 빌카밤바를 요새화하여 최후의 항전지로 삼았다. 1572년 스페인 군대에 함락되었고, 투팍 아마루가 처형된 후, '신 빌카밤바'가 건설되었으나, 은광 고갈 후 잊혀졌다. 1911년 하이럼 빙엄에 의해 재발견되었으며, 현재는 잉카 제국의 역사적 유적지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2년 설립 - 경주 옥산서원
    경주 옥산서원은 이언적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영남학파 성리학에 영향을 미쳤고,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대표적인 서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빌카밤바
개요
에스피리투 팜파 유적지의 무성한 집
에스피리투 팜파 유적
공식 명칭Willkapampa
다른 이름Vilcabamba la Vieja
Espiritu Pampa
위치라콘벤시온 주
지역쿠스코 주
고도1458m
유형정착지
건설 시기1539년
폐기 시기1572년
문화신 잉카 국가
건설 주체망코 잉카 유판키

2. 역사

빙엄의 빌카밤바 지도. 중요한 장소들이 원으로 표시되어 있음. 에스피리투 팜파는 잉카 빌카밤바임.


빌카밤바는 안데스산맥 북동쪽의 험준한 산악 지대에 위치하여 스페인 군대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었고, 잉카 제국의 마지막 거점이 되었다. 1450년대에 잉카인들은 이 지역에 마추픽추 등 주요 도시를 건설했다. 1537년 망코 잉카 유팡키는 올란타이탐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쿠스코와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비트코스로 수도를 옮겼다. 스페인 군대는 비트코스를 함락시켰지만, 망코 잉카는 탈출하여 곤잘로 피사로와의 전투 후 빌카밤바에 정착했다.

몇 십 년간 불안정한 평화가 유지되었으나, 1572년 스페인 사절이 살해되자 프란시스코 데 톨레도는 원정대를 파견했다. 보병으로 구성된 스페인 군대는 빌카밤바를 함락시키고, 마지막 황제 투팍 아마루를 처형했다.

1572년 빌카밤바 점령 후, '신 빌카밤바'가 건설되었으나 원주민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은 광산이 발견되었지만 곧 고갈되었고, 스페인은 관심을 잃었다. 1911년 하이럼 빙엄이 옛 빌카밤바 유적을 발견했다.

17세기에 빌카밤바의 위치는 잊혀졌으나, 1911년 하이럼 빙엄이 에스피리투 팜파를 발견하고 마추픽추가 빌카밤바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1964년 진 사보이 등이 에스피리투 팜파에서 더 많은 유적을 발견하면서 이 주장은 힘을 잃었다. 이후 연구를 통해 에스피리투 팜파가 빌카밤바라는 것이 정설로 자리 잡았다.

하이럼 빙엄 3세 (오른쪽 위)가 1911년 빌카밤바의 정글 다리에서 현지 안내원과 함께 찍은 손으로 채색한 유리 슬라이드

2. 1. 잉카 제국의 최후 거점

빌카밤바가 위치한 라 콘벤시온(La Convención) 주는 안데스산맥의 북동쪽 산줄기에 자리 잡고 있으며, 매우 험준한 산간 지대이다. 눈 덮인 산, 숲, 분지, 깊은 계곡을 가로지르는 강 등 다양한 환경이 공존한다. 이러한 험한 환경은 스페인 군대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였고, 잉카 제국의 마지막 잔존 세력들이 이곳에 모여 항쟁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잉카인들은 1450년대에 빌카밤바 지역을 차지하고 마추 픽추, 초케키라오, 비트코스 등 주요 도시들을 건설했다.[9] 잉카 제국의 황금기에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낮았지만, 스페인 군대가 침략하고 제국이 쇠퇴하면서 빌카밤바의 중요성은 급격히 커졌다. 잉카 제국의 황제 망코 잉카 유팡키는 올란타이탐보 전투에서 스페인 군대에 승리한 후, 올란타이탐보가 스페인 군대와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수도를 잉카 제국의 서부 요충지였던 비트코스로 옮겼다. 이후 스페인은 300여 명의 군사와 원주민 동맹군을 보내 비트코스를 공격했고, 비트코스는 함락되어 약탈당했다. 하지만 망코 잉카 유팡키는 탈출에 성공했다.

망코 잉카는 우아이나 푸카라 요새로 도망쳐 곤잘로 피사로와 전투를 벌였다. 이 곳이 함락된 후에도 망코 잉카는 다시 탈출했고, 곤잘로 피사로는 2달 가까이 수색했지만 그를 찾지 못했다. 다만 곤잘로 피사로는 망코 잉카의 아내 '쿠라 오클로'를 사로잡아 잔혹하게 살해했다. 스페인 군대는 철저한 예비 작업과 막대한 군 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수색을 중단하고 후퇴했다. 1572년까지 스페인 군대는 빌카밤바 지역에 대규모 원정대를 파견하지 않았다. 망코 잉카는 빌카밤바로 피신하여 이곳을 요새화하고 잉카 제국의 마지막 항전지로 삼았다.[10]

이후 몇 십 년 동안 스페인 군대와 빌카밤바 세력은 불안정한 교착, 평화 상태를 유지했다. 쿠스코와 빌카밤바 사이를 사절들이 왕래했고, 가끔씩 소규모 격전이 벌어졌다. 1572년, 신잉카국 군대가 스페인 사절을 몰살시키자 페루 부왕 프란시스코 데 톨레도는 대규모 원정대를 꾸렸다. 1572년 6월 24일, 스페인 군대는 잉카 제국의 잔존 세력들을 완전히 소탕하기 위해 출정했다. 빌카밤바는 외지고 험한 정글 산지 지대에 위치해 말들이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보병으로만 원정대를 구성했다. 그들은 빌카밤바에서 수천 명의 잉카 전사들과 노약자, 어린이, 그리고 400여 마리의 말을 발견했다.[11]

빌카밤바가 함락된 후, 스페인 군대는 잉카의 마지막 황제 투팍 아마루를 붙잡아 쿠스코로 데려와 교수형을 집행했다.[12]

2. 2. 스페인의 침략과 멸망

안데스산맥의 북동쪽에 있는 산줄기에 자리잡고 있는 빌카밤바는 매우 험한 산간 지대이다. 맨 위쪽에는 눈이 덮여있고, 정글, 분지, 깊은 계곡을 가로지르는 강 등 다양한 환경들이 서로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험한 환경 때문에, 스페인 군대들도 함부로 이 곳 안으로 들어올 생각을 하지 못하였고, 잉카 제국의 마지막 잔존 세력들이 이 곳에 모여 결사 항쟁을 벌일 수 있었다.

잉카인들은 빌카밤바 지역을 약 1450년대에 차지하였고, 마추 픽추와 같은 주요 도시들을 세워 거주하였다. 잉카 제국의 황금기 시대에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떨어졌던 빌카밤바는, 스페인 군대가 쳐들어오고 제국이 기울어가기 시작하며 그 중요성이 커졌다. 잉카 제국의 황제였던 망코 잉카 유팡키는 올란타이탐보 전투에서 스페인 군대와 맞서 싸워 승리한 후, 올란타이탐보가 전쟁을 계속하기에는 스페인 군대와 너무 가까이 위치한다는 이유로 수도를 비트코스로 이동한다. 이후 스페인은 300여 명의 군사와 원주민 동맹들을 보내 비트코스를 공략하도록 하였고, 결국 비트코스는 함락되어 약탈된다. 비트코스가 함락된 직후, 수많은 잉카 귀족들이 학살당하고 사로잡혔지만, 망코 잉카 유팡키는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한다.

망코 잉카는 우아이나 푸카라라는 요새로 도망쳤고, 그를 추격해온 곤잘로 피사로와 전투를 벌인다. 이 곳이 함락되자, 망코 잉카는 또다시 탈출하였고 곤잘로 피사로는 2달에 가까운 시간 동안 그를 수색하였지만 찾지 못했다. 다만 그는 망코 잉카의 아내 '쿠라 오클로'를 사로잡았고, 그녀를 잔혹하게 살해하였다. 이후 스페인 군대는 이 지방을 완전히 수색하고 정복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예비 작업과 막대한 군 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더이상의 수색 작업을 중단하고 후퇴하였다. 결국 1572년 전까지, 스페인 군대는 더 이상 빌카밤바 지역에 대규모 원정대를 파견하는 일을 중단하였다. 망코 잉카는 빌카밤바로 피신하였고, 이 곳을 요새화하여 잉카 제국의 마지막 항전지로 삼는다.

스페인 군대와 빌카밤바의 세력은 몇 십년 동안 불안정한 교착, 평화 상태를 유지한다. 사절들이 쿠스코와 빌카밤바 사이를 왕래했고, 가끔씩 소규모 격전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1572년 신잉카국 군대가 스페인 사절을 몰살시키자, 당시 스페인 총독이었던 프란시스코 데 톨레도는 더 이상 빌카밤바를 가만히 놔둘 수 없다는 판단 하에 대규모 원정대를 꾸리기 시작했다. 1572년 6월 24일에 보병으로 이루어진 스페인 군대가 잉카 제국의 잔존 세력들을 완전히 쓸어내기 위해 출정하였다. 당시 원정대를 보병으로만 꾸린 이유는, 빌카밤바가 워낙 외지고 험한 정글 산지 지대에 위치해 있기에 말들이 도저히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빌카밤바에 도착한 이후, 그 곳에 수 천명의 잉카 전사들, 그 외 노약자, 어린이들, 그리고 400여 마리에 달하는 말들이 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11]

빌카밤바가 함락된 이후, 스페인 군대는 잉카의 마지막 황제였던 투팍 아마루를 붙잡았고, 그를 쿠스코로 데려와 교수형을 집행, 사형시켰다.[12]

2. 3.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72년에 빌카밤바가 점령당한 이후, 프란시스코 총독은 그 근처에 새로운 마을을 짓고, 이를 '신 빌카밤바'라고 명명했다. 이후 이 마을을 지배한 관리는 원주민들에게 혹독한 대우를 하였고, 스페인 군인들이 원주민들을 함부로 대하는 것을 묵인하였으며, 원주민들을 노예로 만들어 강제로 노동력을 탈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원주민들이 죽었고, 다른 곳으로 도망쳐나갔다. 이후 인근 지역에서 소규모 은 광산이 발견되어 잠시 동안 이목을 끌었으나, 이후 광맥이 고갈되어 버리고 난 후에는 스페인은 더 이상 이 곳에 특별한 관심을 갖지 않았다. 이후 고고학자 하이럼 빙엄이 1911년 이 마을의 주민들에게 정보를 얻어 옛 빌카밤바의 유적을 발견한다.[13]

1572년, 빌카밤바를 정복하고 통치했던 마르틴 우르타도 데 아르비에토는 비트코스에서 서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산 프란시스코 데 라 빅토리아 데 빌카밤바(Vilcabamba la Nueva, "새로운 빌카밤바"라고도 함)를 세웠다. 이곳은 우루밤바 강의 지류인 빌카밤바 강의 지류인 팜파코나스 강에 위치해 있다.

우르타도는 잔혹한 행정가였으며, 스페인 병사들에게 엔코미엔다를 제공하고, 현지 원주민들을 사실상 노예로 만들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집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도망쳤다. 근처에서 은광이 발견되어 마을은 짧은 번영을 누렸지만, 광산 생산량은 미미했고, 17세기 초가 되자 빌카밤바 라 누에바와 빌카밤바 지역은 더 이상 스페인 사람들에게 큰 관심사가 아니었다. 하이럼 빙엄은 1911년에 마을을 방문하여 "잉카 시대의 벽이나 폐허 대신, 빌카밤바에는 튼튼하게 지어진 스페인 가옥 60여 채가 있다...투팍 아마루가 죽은 후 접근 가능해진 석영 광산을 채굴하기 위해 온 금광 채굴업자들의 번영 덕분이다."라고 언급했다. 가톨릭 성직자들은 마을에 교회와 수도원을 지었다.[14]

2. 4. 잃어버린 도시와 재발견

1572년 빌카밤바가 점령된 후, 프란치스코 총독은 근처에 '신 빌카밤바'라는 새 마을을 건설했다. 이 마을의 관리는 원주민들을 혹독하게 대우했고, 스페인 군인들은 원주민들을 노예로 만들어 강제 노동을 시켰다. 이 과정에서 많은 원주민들이 죽거나 도망쳤다. 이후 은 광산이 발견되어 잠시 주목받았으나, 광맥이 고갈되자 스페인은 관심을 잃었다. 1911년, 고고학자 하이럼 빙엄이 주민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옛 빌카밤바 유적을 발견했다.

17세기 동안 빌카밤바의 위치는 잊혀졌다. 1710년, 탐험가 아리아스 디아즈가 초케키라오를 발견하고 빌카밤바라고 주장했다. 1909년, 고고학자 로메오는 스페인 원정대 기록을 바탕으로 이곳이 빌카밤바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1911년, 하이럼 빙엄은 빌카밤바 조사에 착수했다. 그는 원주민들의 이야기, 즉 정글 속에 잉카 유적이 있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탐험에 나섰다. 3일간의 탐험 끝에 원주민 부락을 발견하고, 주민들의 도움으로 '에스피리투 팜파'를 찾아냈다. 빙엄은 석조 테라스, 59m 길이의 돌집, 분수, 도자기, 석조 다리 등을 발견했다. 하지만 물자 부족으로 오래 머물지 못하고 귀환했다. 빙엄은 마추픽추가 빌카밤바라고 주장했고, 이는 50여 년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1964년, 페루 고고학자 안토니오 카셀리가 에스피리투 팜파를 방문하여 이곳이 옛 빌카밤바임을 증명했다. 같은 해, 미국 탐험가 진 사보이는 빙엄이 본 것은 유적의 일부에 불과하며, 주요 유적은 약 640m 떨어져 있음을 밝혀냈다. 사보이는 300여 개의 가옥을 찾아내고 이곳이 빌카밤바임을 확인했다. 이후 에스피리투 팜파가 진짜 빌카밤바라는 것이 학계 정설이 되었다.

1976년, 에드문도 기예 교수를 비롯한 폴란드 탐험가들은 에스피리투 팜파 유적을 탐험했다. 세비야의 박물관에서 발견된 스페인 사람들의 편지에는 침략 진행 상황과 빌카밤바에 대한 묘사가 담겨 있었다. 편지 내용과 유적 비교 결과, 에스피리투 팜파가 빌카밤바라는 추가 증거가 제공되었다.

1981년, 미국 탐험가 그레고리 데이러먼전 일행은 유적지 일부에 도달하여 사진을 찍고, 유적과 역사에 관한 기사를 작성했다.

이후 빈센트 리의 고고학적 연구, 특히 2000년 저서 ''잊혀진 빌카밤바''는 에스피리투 팜파가 역사적 빌카밤바임을 더욱 확인시켜 주었다.

2006년, 쿠스코의 박물관은 1976년 빌카밤바 발견 30주년을 기념하는 현판을 공개했다.[18]

2011년, 에스피리투 팜파에서 와리 시대의 왕릉이 발견되었다. 이는 빌카밤바 유적이 고대부터 거주되었으며, 저지대 정글과 안데스 고원 주민들 간 교류 중심지였음을 증명한다.[19]

케추아어 "Willkapampa"는 "Espíritu Pampa (es. 에스피리투 팜파, 뜻: 잉카의 이 깃든 평원)"을 가리킨다.

도시가 버려지고 잊혀지면서 빌카밤바의 유적에는 잉카 제국의 보물이 남아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빌카밤바의 보물을 손에 넣으려는 모험가와 탐험가들이 유적의 발견을 목표로 했다[21]

마추픽추를 발견한 탐험가 하이럼 빙엄은 마추픽추가 바로 빌카밤바일 것이라고 믿었지만, 현지 페루의 역사학자는 폴란드의 역사학자 및 과 함께 빌카밤바 정복에 종사한 병사의 기록을 발견했다. 그 기록을 참고하여 빌카밤바의 위치를 생각한 결과, 에스피리투 팜파라는 유적이 병사의 기록과 일치했다. 그래서 그는 현지에 가서, 에스피리투 팜파가 진정한 빌카밤바임을 확인했다.

1977년에는 가노 치아키가 이끄는 일본인 조사단이 에스피리투 팜파가 빌카밤바임을 고고학적으로 검증했다.

3. 빌카밤바와 관련된 잉카 황제

망코 잉카 유팡키는 올란타이탐보 전투에서 스페인 군대와 맞서 싸워 승리했지만, 올란타이탐보가 스페인 군대와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수도를 비트코스로 옮겼다. 이후 스페인의 공격으로 비트코스가 함락되자, 망코 잉카 유팡키는 우아이나 푸카라 요새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곤잘로 피사로와 전투를 벌였다. 이 요새마저 함락되자 그는 다시 탈출했고, 결국 빌카밤바로 피신하여 잉카 제국의 마지막 항전지로 삼았다.

이후 스페인 군대와 빌카밤바 세력은 불안정한 교착 상태를 유지했다. 1572년, 신잉카국 군대가 스페인 사절을 몰살시키자 스페인 총독 프란치스코 데 톨레도는 대규모 원정대를 꾸렸다. 결국 빌카밤바가 함락된 후, 스페인 군대는 잉카의 마지막 황제였던 투팍 아마루를 붙잡아 쿠스코에서 처형했다.

빌카밤바와 관련된 잉카 황제는 망코 잉카 유팡키, 투팍 아마루이다.

4. 대중문화 속 빌카밤바

빌카밤바는 교육용 컴퓨터 게임 시리즈 ''아마존 트레일'', 액션 어드벤처 비디오 게임 ''툼 레이더'',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섀도 하츠: 프롬 더 뉴 월드''에 등장하는 장소이다. 또한, 영국 스릴러 작가 앤서니 호로비츠의 저서 ''이블 스타''와 ''네크로폴리스''에도 등장한다.

이 도시는 영국 작가 콜린 서브론의 2002년 소설 ''마지막 도시로''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 소설은 맨 부커 상 후보에 올랐다. 소설은 잉카 도시의 유적을 탐험하기 위해 떠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마르케스적 배경" 속의 "어둠의 심장부 서사"로 묘사되었다.[20]

해리 터틀도브의 SF 단편 "빌카밤바"(2010)는 22세기를 배경으로 외계인 침공 이야기를 다루며, 빌카밤바를 자기 지시적인 우화로 그리고 있다.

TV 시리즈 ''인 서치 오브...''(1976-1982)의 "잉카의 보물" 에피소드에서는 에드문도 기옌 교수가 빌카밤바 유적을 탐험하기 위해 떠난 탐험을 조명한다.

마이클 우드의 2000년 다큐멘터리 시리즈 ''정복자''의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잉카 제국의 멸망과 마지막 생존자 만코와 그의 추종자들이 이 외딴 지역으로 후퇴하는 이야기를 다루면서 빌카밤바 유적지를 방문한다.

5. 갤러리

참조

[1] 서적 Transcripción del vocabulario de la lengua aymara (Spanish-Aymara dictionary)
[2] 서적 Diccionario Bilingüe Iskay simipi yuyayk'ancha La Paz 2007
[3] 서적 Diccionario Quechua - Español - Quechua Academía Mayor de la Lengua Quechua, Gobierno Regional Cusco, Cusco 2005
[4] 서적 Shamanism: An Encyclopedia of World Beliefs, Practices, and Culture
[5] 서적 The Lost City of the Incas Sterling Publ. Co. 2002
[6] 웹사이트 Mapa https://www.quillaba[...] 2019-07-16
[7] 문서 Google Earth
[8] 간행물 Dating the Wari Remains at Espiritu Pampa (Vilcabamba, Cusco) https://digitalcommo[...] 2019-07-02
[9] 서적 Voices from Vilcabamba: Accounts Chronicling the Fall of the Inca Empire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13
[10] 서적 2013
[11] 문서
[12] 서적 2013
[13] 서적 The White Rock. An Exploration of the Inca Heartland Orion Books Ltd. 2001
[14] 문서
[15] 뉴스 Ethan Todras-Whitehill in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16] 문서
[17] 서적 Vilcabamba and the Archaeology of Inca Resistance LLC 2014
[18] 웹사이트 Museo Inka - UNSAAC https://museoinka.un[...] 2017-02-14
[19] 웹사이트 The lost kingdom of Vilcabamba • Neperos https://www.neperos.[...] 2023-12-05
[20] 뉴스 Back to the heart of darkness https://books.guardi[...] 2010-05-27
[21] 서적 謎学・失われた財宝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