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옥산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옥산서원은 1572년 경주부윤 이제민이 이언적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고, 이듬해 ‘옥산’이라는 사액을 받은 서원이다. 이언적이 거처했던 독락당 근처에 세워졌으며, 이언적의 학문은 영남학파 성리학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대표적인 서원이며, 많은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서 제외되었고, 2010년 양동마을의 일부로, 2019년에는 한국의 서원으로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2년 개교 - 해로우 스쿨
해로우 스쿨은 1572년 존 라온이 설립한 런던 소재 명문 사립 기숙학교로, 남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윈스턴 처칠을 포함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고, 이튼 칼리지와의 크리켓 경기를 포함한 오랜 전통과 영국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 1572년 설립 - 빌카밤바
빌카밤바는 잉카인들이 건설한 안데스산맥의 지역이자, 스페인 침략 후 잉카 저항군의 마지막 거점이었으나, 20세기에 에스피리투 팜파 유적을 통해 그 위치가 밝혀졌다. - 한국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안향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서원으로,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한국의 서원 - 장성 필암서원
장성 필암서원은 1590년 김인후를 기리기 위해 창건되어 여러 차례 이건과 사액을 거쳐 1672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되어 1975년 사적으로 지정되고 201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호남 유학의 중심지이다.
경주 옥산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주 옥산서원 |
한글 | 옥산서원 |
한자 | 玉山書院 |
로마자 표기 | Oksan Seowon |
영문명 | Oksan Seowon Confucian Academy |
종류 | 서원 |
지정 번호 (사적) | 154 |
지정일 (사적) | 1967년 3월 8일 |
지정 번호 (세계 유산) | 1498-003 |
세계 유산 등재 기준 | (iii) |
세계 유산 등재 연도 | 2019년 |
면적 | 6.44 헥타르 |
완충 구역 | 80.83 헥타르 |
소속 | 하회와 양동의 역사 마을, 양동 클러스터: 옥산서원, 동락당 가옥 |
위치 |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옥산리) |
이미지 | |
![]() | |
![]() |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사적 |
2. 역사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이 조선시대 성리학자 회재 이언적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처음 세웠고, 1573년에 선조로부터 ‘옥산’이라 사액이 내려졌다.[5] 공부하는 장소인 구인당이 앞에 있고, 제사를 지내는 체인묘가 뒤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체인묘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하고 있는 맞배집이다. 안에는 이언적의 위패를 모셔 놓았다. 구인당은 앞면 5칸·옆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839년(헌종 5)에 화재로 사라졌다가 다시 지어진 건물이다. 그 외에도 정문인 역락문, 2층 건물인 무변루, 유생들이 공부하며 거처하던 동재 민구재, 서재 암수재 등 여러 건물이 있다.[5]
회재 이언적은 관직을 그만두고 자신의 종가가 있는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의 근처 경주시 안강읍 옥산의 한 시냇가에 거주처로 안채를 짓고 사랑채 독락당(獨樂堂)과 정자 계정(溪亭)을 경영하고 약 6년간 성리학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그런 연유로 회재가 세상을 떠난 후 독락당에서 가까운 곳에 옥산서원을 세웠다.[6]
옥산서원은 회재가 독락당 주변 청절(淸絶)한 냇물을 끼고 있는 바위 다섯 곳에 각각 관어대(觀魚臺)·탁영대(濯纓臺)·세심대(洗心臺)·징심대(澄心臺)·영귀대(詠歸臺)라 이름한 오대(五臺) 중 세심대에 있으며, 세심대에 흐르는 계곡물은 상중하 폭포로 용추를 이루며 서원 오른쪽인 북쪽에서 남쪽으로 감돌아 흘러나간다. 세심대는 용추에서 떨어지는 물로 마음을 씻고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구하는 곳이라는 뜻이 있다.[7]
이언적의 학문은 퇴계 이황에게 이어져 영남학파 성리학의 선구가 되었다.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이언적을 모신 서원인 만큼 안동의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양대(兩大) 서원 역할을 했고, 나아가 한국 성리학의 연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서원 중 하나로 한석봉, 김정희, 이산해 등 당대 명인의 친필 현판이 남아있다.
서원 동남쪽에 1972년 후손들이 세운 청분각이 있는데, 이언적의 『수필고본』(보물 제586호)과 김부식의 『삼국사기』완본 9권 등 많은 서적이 보관되어 있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서 제외된 47개의 서원에 당연히 포함되었다.
2. 1. 건립 배경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이 조선시대 성리학자 회재 이언적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처음 세웠고, 1573년 선조로부터 ‘옥산’이라는 사액을 받았다.[5]회재 이언적은 관직을 그만두고 자신의 종가가 있는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 근처 경주시 안강읍 옥산의 한 시냇가에 거처로 안채를 짓고 사랑채 독락당(獨樂堂)과 정자 계정(溪亭)을 경영하고 약 6년간 성리학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그런 연유로 회재가 세상을 떠난 후 독락당에서 가까운 곳에 옥산서원을 세웠다.[6]
옥산서원은 회재가 독락당 주변 청절(淸絶)한 냇물을 끼고 있는 바위 다섯 곳에 각각 관어대(觀魚臺)·탁영대(濯纓臺)·세심대(洗心臺)·징심대(澄心臺)·영귀대(詠歸臺)라 이름한 오대(五臺) 중 세심대에 있으며, 세심대에 흐르는 계곡물은 상중하 폭포로 용추를 이루며 서원 오른쪽인 북쪽에서 남쪽으로 감돌아 흘러나간다. 세심대는 용추에서 떨어지는 물로 마음을 씻고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구하는 곳이라는 뜻이 있다.[7]
이언적의 학문은 퇴계 이황에게 이어져 영남학파 성리학의 선구가 되었다.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이언적을 모신 서원인 만큼 안동의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양대(兩大) 서원 역할을 했고, 나아가 한국 성리학의 연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2. 2. 건립과 사액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이 조선시대 성리학자 회재 이언적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처음 세웠고, 1573년에 선조로부터 ‘옥산’이라 사액이 내려졌다.[5] 공부하는 장소인 구인당이 앞에 있고, 제사를 지내는 체인묘가 뒤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체인묘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하고 있는 맞배집이다. 안에는 이언적의 위패를 모셔 놓았다. 구인당은 앞면 5칸·옆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839년(헌종 5)에 화재로 사라졌다가 다시 지어진 건물이다. 그 외에도 정문인 역락문, 2층 건물인 무변루, 유생들이 공부하며 거처하던 동재 민구재, 서재 암수재 등 여러 건물이 있다.[5]회재 이언적은 관직을 그만두고 자신의 종가가 있는 경주 양동마을 무첨당의 근처 경주시 안강읍 옥산의 한 시냇가에 거주처로 안채를 짓고 사랑채 독락당(獨樂堂)과 정자 계정(溪亭)을 경영하고 약 6년간 성리학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그런 연유로 회재가 세상을 떠난 후 독락당에서 가까운 곳에 옥산서원을 세웠다.[6]
옥산서원은 회재가 독락당 주변 청절(淸絶)한 냇물을 끼고 있는 바위 다섯 곳에 각각 관어대(觀魚臺)·탁영대(濯纓臺)·세심대(洗心臺)·징심대(澄心臺)·영귀대(詠歸臺)라 이름한 오대(五臺) 중 세심대에 있으며, 세심대에 흐르는 계곡물은 상중하 폭포로 용추를 이루며 서원 오른쪽인 북쪽에서 남쪽으로 감돌아 흘러나간다. 세심대는 용추에서 떨어지는 물로 마음을 씻고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구하는 곳이라는 뜻이 있다.[7]
이언적의 학문은 퇴계 이황에게 이어져 영남학파 성리학의 선구가 되었다.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이언적을 모신 서원인 만큼 안동의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양대(兩大) 서원 역할을 했고, 나아가 한국 성리학의 연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서원 중 하나로 한석봉, 김정희, 이산해 등 당대 명인의 친필 현판이 남아있다.
서원 동남쪽에 1972년 후손들이 세운 청분각이 있는데, 이언적의 『수필고본』(보물 제586호)과 김부식의 『삼국사기』완본 9권 등 많은 서적이 보관되어 있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서 제외된 47개의 서원에 당연히 포함되었다.
2. 3. 서원 철폐령과 보존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서 제외된 47개의 서원중 하나이다.[5] 이언적의 학문은 이황에게 이어져 영남학파 성리학의 선구가 되었다.[6] 영남학파의 선구자인 이언적을 모신 서원인 만큼 안동의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양대(兩大) 서원 역할을 했고, 나아가 한국 성리학의 연총으로 자리매김 하였다.3. 건축 및 배치
3. 1. 전학후묘 구조
3. 2. 주요 건물
3. 3. 세심대와 오대
4. 문화재 및 유산
4. 1. 도서 및 유물
4. 2. 청분각
4. 3.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010년 8월 1일 양동마을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2019년 7월 10일 한국의 서원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재차 등재되어 2관왕이 되었다.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eowon, Confucian Academies of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2022-06-16
[2]
서적
Kore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7
[3]
웹사이트
옥산서원 玉山書院
http://100.nate.com/[...]
[4]
웹사이트
Oksan Seowon
http://terms.naver.c[...]
[5]
웹인용
경주옥산서원(慶州玉山書院)
http://encykorea.aks[...]
2018-06-17
[6]
뉴스
옥산서원
https://terms.naver.[...]
2018-03-16
[7]
뉴스
옥산서원
https://terms.naver.[...]
2018-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