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글리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글리제는 독일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1957년과 1969년에 출판된 근거리 항성 목록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목록은 태양계 근처의 별들을 정리한 것이다. 글리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징집되어 동부 전선에 참전했고, 전쟁 포로로도 수감되었으나, 전쟁 후 연구를 재개했다. 그는 천문계산연구소에서 일하며 기본별목록 편집에 참여했고, 소행성 1823 글리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천문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독일의 천문학자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발견하여 근대 천문학과 과학 발전에 혁명적인 기여를 한 독일의 천문학자, 수학자, 점성술사이다. - 20세기 천문학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20세기 천문학자 - 솔 펄머터
솔 펄머터는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를 이끌며 우주의 가속 팽창을 발견하여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며, Ia형 초신성을 이용한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증거를 제시하고 암흑 에너지 존재를 시사하는 데 기여했다. - 1993년 사망 - 황인철 (1940년)
황인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호사, 사회운동가로서, 판사 출신으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민청학련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대표 등 사회운동에도 참여했다. - 1993년 사망 - 백두진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으로, 조선은행 이사장,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빌헬름 글리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빌헬름 글리제 |
로마자 표기 | Wilhelm Gliese |
출생일 | 1915년 6월 21일 |
출생지 | 폴란드 돌노실롱스크주 즈워토리야, 독일 슐레지엔 골드베르크 |
사망일 | 1993년 6월 12일 |
사망지 | 독일 하이델베르크 |
국적 | 독일 |
학문 | |
분야 | 천문학 |
소속 | 천문 계산 연구소 |
모교 | 베를린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아우구스트 코프 |
주요 업적 | 글리제 근접 항성 목록 작성 |
기타 | |
발음 (독일어) | /ˈɡliːzə/ |
발음 (한국어) | GLEE|zə |
2. 생애
빌헬름 글리제는 현재 폴란드 실레시아 지역에 있는 주로토리아(Goldberg)에서 판사의 아들로 태어났다.[5] 그는 브로츠와프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천문학, 수학, 물리학을 공부했으며, 베를린의 천문계산연구소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시작했다.[5] 학생 시절 네덜란드 천문학자 피터 판 데 캄프의 격려로 근접 항성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그의 평생 연구 주제가 되었다.[5]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베어마흐트에 징집되어 동부 전선에 참전했으며,[5] 1945년 소련군에게 포로로 잡혀 1949년까지 포로 생활을 했다.[5] 이 시기에도 그는 과학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전쟁 후 귀환한 글리제는 미국 육군에 의해 하이델베르크로 이전된 천문계산연구소에 복귀하여 연구 활동을 재개했다.[5] 연구소에서 기본별목록(FK4, FK5) 편집 등 중요한 작업에 참여하며 경력을 쌓았다. 특히 피터 판 데 캄프의 제안으로 시작한 글리제 근접 항성 목록 편찬은 그의 대표적인 업적이다. 이 목록은 1957년 초판, 1969년 확장판이 출판되어 근접 항성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글리제는 1980년에 공식적으로 은퇴했지만, 1993년 사망할 때까지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5] 그의 천문학에 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소행성 (1823)글리제가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6]
2. 1. 유년기와 교육
빌헬름 글리제는 현재 폴란드 실레시아 지역에 있는 주로토리아(Goldberg)에서 판사 빌헬름 글리제의 아들로 태어났다.[5] 1933년부터 브로츠와프 대학교에서 천문학, 수학, 물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학생 시절, 그는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피터 판 데 캄프의 격려를 받아 근접 항성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평생의 연구 주제가 되었다.[5]그는 천문계산연구소에서 일했는데, 처음에는 베를린에서 근무했다.[5] 그러나 그의 천문학 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3월 23일, 독일 베어마흐트(독일 국방군)에 징집되어 동부 전선으로 파병되면서 중단되었다.[5] 1945년 2월 16일, 포즈난 북쪽에서 소련군에 포로로 잡혔고, 1949년 9월 11일에야 석방될 수 있었다.[5] 약 10년간의 공백기 동안 과학자로서 활동할 수는 없었지만, 과학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았다. 포로 생활 중에도 동료들에게 과학 강의를 하고, 특별한 도구 없이 변광성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기도 했다. 그는 관측 기록을 담배갑에 적어 몰래 보관했다가 귀국 후 1950년에 독일 천문학 잡지 'Die Sterne'에 발표했다.
전쟁이 끝난 후, 글리제는 1949년 10월 미군에 의해 하이델베르크로 이전된 천문계산연구소에 복귀하여 연구 활동을 재개했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글리제의 천문학 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단되었다. 그는 1940년 베를린 육군 사무소에서 탄도 계산 전문가로 일하고 있었으며, 1942년 3월 23일 베어마흐트에 징집되어 동부 전선으로 파병되었다. 이로 인해 기본별목록 제3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태양의 고유 운동 및 은하 회전 연구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1945년 2월 16일, 글리제는 폴란드 포즈난 북쪽에서 소련군에 포로로 잡혔고, 1949년 9월 11일에야 석방되어 귀환할 수 있었다. 약 4년 반의 포로 생활 동안 그는 과학자로서 활동할 수 없었지만, 과학에 대한 열정은 잃지 않았다. 포로 수용소에서 동료 포로들에게 과학 강의를 하고, 특별한 도구 없이 변광성의 광도 변화를 관측하기도 했다. 그는 관측 기록을 담배갑 종이에 적어 몰래 간직했고, 귀환 후인 1950년 독일 천문학 잡지 《디 슈테르네》(Die Sterne)에 발표했다.
전쟁이 끝나고 귀환한 글리제는 1949년 10월, 미군에 의해 하이델베르크로 이전된 천문계산연구소에서 연구 조수로 다시 일하기 시작하며 천문학 연구를 재개했다.[5]
2. 3. 천문학 연구 및 목록 편찬
글리제는 브로츠와프 대학교에서 천문학, 수학, 물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연구를 이어갔다. 그는 천문계산연구소에서 일했는데, 처음에는 베를린에 있다가 나중에는 하이델베르크로 옮겨 근무했다. 학생 시절, 네덜란드 천문학자 피터 판 데 캄프의 격려로 가까운 별들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는 평생의 연구 주제가 되었다.1940년대 초, 글리제는 베를린 육군 사무소에서 탄도 계산 전문가로 일하기도 했다. 그의 천문학 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독일 국방군(베어마흐트)에 징집되어 동부 전선으로 파병되면서 중단되었다.[5] 1945년 2월 포즈난 근처에서 소련군에게 포로로 잡혔고, 1949년 9월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포로 생활 중에도 과학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동료 포로들에게 과학 강의를 하거나, 도구 없이 변광성 관측을 수행하기도 했다. 그는 관측 기록을 담배갑에 적어 몰래 가지고 돌아와 1950년에 발표했다.
전쟁 후, 글리제는 미국 육군에 의해 하이델베르크로 이전된 천문계산연구소에서 연구를 재개했다. 1949년 10월 관측 조수로 재고용되었고, 1957년에는 관측자, 1965년에는 주임 관측자가 되었다. 그는 1954년까지 천문력 편집에 참여했으며, 1957년부터 1980년 은퇴할 때까지 기본별목록(FK4, FK5) 편집 작업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51년, 피터 판 데 캄프의 제안을 받아 태양계 근방 항성 목록 작성에 착수했다. 이 작업의 결과물이 바로 ''근거리 항성 목록''(Gliese Catalogue of Nearby Stars)이다. 첫 목록은 1957년에 출판되었으며[1], 태양계로부터 20파섹까지의 항성 1,000개 이상을 담았다. 1969년에는[2] 목록을 22파섹까지 확장하여 약 2,000개의 천체를 수록했다. 글리제 목록에 포함된 항성들(글리제 581, 글리제 710 등)은 지구와 가깝고 고유 운동이 크기 때문에 천문학 연구에서 자주 대상이 된다.
글리제는 하르트무트 야라이스(Hartmut Jahreiß)와 협력하여 1979년[3]과 1991년[4]에 이 목록의 보충판을 출판했다. 그는 1980년에 공식적으로 은퇴했지만, 1993년 사망할 때까지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5]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소행성 (1823)글리제가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6]
3. 업적 및 영향
1951년 천문학자 카를 라인무트(Karl Reinmuth)가 발견한 소행성 1823 글리제(Gliese)는 빌헬름 글리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기본별목록 편집 참여
그는 1957년에 처음 출판되고[1] 1969년에 다시 출판된[2] ''근거리 항성 목록''(Gliese Catalogue of Nearby Stars)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글리제 581과 글리제 710과 같이 일부 항성은 그가 부여한 목록 번호로 주로 알려져 있다. 글리제 목록에 포함된 항성들은 높은 고유 운동을 보이는 등 지구와 가깝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글리제는 하르트무트 야라이스(Hartmut Jahreiß)와 공동으로 1979년[3]과 1991년[4]에 이 목록의 보충판을 출판했다. 야라이스는 1993년 글리제가 사망했을 때 그의 부고를 작성했다.[5]참조
[1]
논문
Katalog der Sterne näher ALS 20 Parsek für 1950.0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1957
[2]
논문
Catalogue of Nearby Stars. Edition 1969
http://www.ari.uni-h[...]
1969
[3]
논문
Nearby Star Data Published 1969-1978
1979
[4]
서적
Preliminary Version of the Third Catalogue of Nearby Stars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1991
[5]
논문
Nachrufe : Wilhelm Gliese
http://adsbit.harvar[...]
1994
[6]
웹사이트
(1823) Gliese = 1944 MC = 1948 VH = 1950 BL = 1950 DR = 1950 EF = 1951 RD = 1954 NE = 1970 EU2 = 1971 SE1
https://minorplanetc[...]
MPC
2021-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