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두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이다. 황해도 신천에서 태어나 경성 휘문고보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상과대학에서 상학 학위를 받았다. 조선은행 이사,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4·19 혁명 이후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민주공화당 활동,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현실 순응주의자라는 비판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은행 관련자 - 김정렴
    김정렴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은행과 정부 요직을 거쳐 박정희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최장수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일본 대사를 지냈다.
  • 신천군 출신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신천군 출신 - 김형욱
    김형욱은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장을 지내며 권력 핵심으로 활동했으나, 미국 망명 후 정권 비판 활동을 하다 프랑스 파리에서 실종되었고, 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는 그의 죽음을 중앙정보부의 살해로 결론지었다.
  • 휘문고등보통학교 동문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휘문고등보통학교 동문 - 이정재 (1917년)
    이정재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폭력배이자 정치 깡패로, 경찰 출신으로 동대문 상인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며 자유당과의 유착을 통해 정치 테러에 가담했으나,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을 거치며 사형당해 권력과 배신의 삶을 마감했다.
백두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백두진
백두진
이름백두진
한자白斗鎭
로마자 표기Baek Dujin
문화어 표기Paek Tujin
아명백두진
소계(小溪)
직책
대한민국 국무총리제4대 국무총리 (1952년 10월 9일 ~ 1954년 6월 17일)

제14대 국무총리 (1970년 12월 21일 ~ 1971년 6월 3일)
초대 임시외자관리청 청장1949년 12월 19일 ~ 1950년 10월 13일
정치 경력
정당민주당 당무위원
무소속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민주정의당 최고위원
한국국민당 고문 겸 최고위원
신민주공화당 고문
국회의원무소속
개인 정보
출생일1908년 10월 7일
출생지대한제국 황해도 신천군
사망일1993년 9월 5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배우자허명재
친인척허영숙(처고모)
종교유교(성리학)
학력
대학교도쿄상과대학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수상
외부 링크

2. 일생

황해도 신천 출신으로 휘문고보와 도쿄 상과대학(현 히토쓰바시 대학)을 졸업한 후 조선은행, 조흥은행 등 금융계에서 활동했다. 광복 이후에는 한국은행 이사, 임시외자관리청장, 식산은행장 등을 역임했다.

1951년 재무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재임 중 중석불 사건에 연루되어 야당의 추궁을 받기도 했다. 1952년 재무부 장관 겸 국무총리 서리를 지냈고, 1953년 4월 24일부터 1954년 6월 17일까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4·19 혁명 이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나, 곧 5·16 군사 쿠데타가 발생했다. 이후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제7대, 제8대, 제9대(유신정우회),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68년에는 한일협력위원회 한국측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일본측 위원장은 기시 노부스케[6]).

1970년 12월 21일부터 1971년 6월 3일까지 다시 국무총리를 지냈고, 제8대 국회(1971년)와 제10대 국회(1979년)에서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유신 체제 수립 후인 1973년에는 유신정우회 의장(위원장)에 취임하여 유신 체제 확립에 적극 협력하였다.[8]

1979년 10.26 사태가 발생하자 국회의장직에서 사퇴하였다. 전두환 정권 하에서는 공직에 오르지 않았으며, 이후 신민주공화당이 창당되자 동당 상임고문을 맡았다.

2. 1. 생애 초기 (1908년 ~ 1934년)

1908년 10월 31일 황해도 신천군의 중농가에서 태어났다. 이후 한성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나 1910년 2월, 일가족과 함께 황해도 신천 향리로 다시 돌아갔다. 그 후 휘문고등보통학교 진학을 위해 경성부로 유학하였다. 1927년 휘문고등보통학교졸업하고 고향인 황해도 신천에서 3년 동안 농업에 종사하다가 1930년 일본으로 유학하였다. 1934년 도쿄 상과대학(현 히토쓰바시 대학)에서 상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9]

2. 2. 금융인 활동 (1934년 ~ 1951년)

1934년 도쿄 상과대학(현재의 히토츠바시 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은행에 입행하였다.[5] 대학 선배인 구용서의 추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일제 강점기 동안 1943년 조선은행 상무이사, 1944년 조흥은행 전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광복 이후 1945년에는 조흥은행 이사장을 지냈으며, 같은 해 11월 한국은행 이사장(理事長)으로 발탁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인 1949년에는 재무부 임시외자행정총국 국장, 임시외자관리청 청장, 식산은행장(殖産銀行長) 등을 차례로 맡으며 금융 및 외자 관리 분야에서 활동했다. 1950년에는 모교인 휘문의숙의 재단 이사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한국 전쟁이 발발한 이듬해인 1951년에는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재임 중 중석불 사건(중석달러 사건)에 연루되어 당시 야당으로부터 정치적 공세를 받기도 했다.

2. 3. 재무부 장관 및 국무총리 서리 (1951년 ~ 1953년)

6.25 전쟁 중인 1951년 재무부 장관에 발탁되었다. 재무부 장관 재직 시 중석달러 사건에 연루되어 야당의 추궁을 받기도 했으나 이를 극복하였다.[5] 1952년 10월, 국무총리 장택상이 사퇴하고 국무총리 서리 이윤영이 국회 인준을 받지 못하자, 10월 9일 국무총리 서리에 임명되었다.

1952년 재무부 장관 겸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하며 동시에 한미합동경제위원회 대표를 맡았다.[9] 1953년 6월에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에 대한민국 사절단 대표로 참석하였다.[10]

UNKRA의 원조 협정 조인식 석상의 콜터 UNKRA 단장과 백두진 국무총리 (1953)


6.25 전쟁 휴전 이후인 1953년 국회에서 국무총리로 정식 인준되었다.

2. 4. 제1차 국무총리 재임 (1953년 ~ 1954년)

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10월, 장택상 국무총리가 사퇴하고 후임 서리로 지명된 이윤영마저 국회 인준을 받지 못하자, 백두진은 10월 9일 국무총리 서리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한미합동경제위원회 대표로도 선발되었다.[9]

1953년 4월 24일 정식으로 국무총리에 임명되었고, 이후 국회 인준을 통과하여 1954년 6월 17일까지 재임했다. 재임 중이던 1953년 6월에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에 대한민국 사절단 대표로 참석하였다.[10]

3. 정치 활동

일제강점기 조선은행 간부 경력을 바탕으로 해방 후에도 한국은행 이사를 지냈으며, 대학 선배 구용서의 추천으로[5] 정관계에 진출했다. 1948년 외자청장관, 1949년 임시외자관리청장과 식산은행 행장을 거쳐 1951년 재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재무부 장관 재직 중 중석달러 사건에 연루되어 야당의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자리를 지켰다. 1952년에는 재무부 장관 겸 국무총리 서리를 맡았고, 미한 합동 경제 위원회 대표로 활동했다. 이듬해인 1953년 4월 24일 정식 국무총리로 취임하여 1954년 6월 17일까지 재임했다.

4·19 혁명 이후 1961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당선되어 정계에 본격적으로 입문했으나, 곧이어 발생한 5·16 군사 쿠데타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이후 박정희 정권 하에서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하며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70년 다시 국무총리에 임명되어 약 6개월간 재임했다.

1971년 제8대 국회 국회의장에 선출되었고, 유신 체제 하에서는 1973년 유신정우회 의장을 맡아 체제 유지에 적극 협력했다.[8] 1979년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제10대 국회 국회의장에 다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10.26 사태가 발생하자 사퇴했다. 전두환 정권 시기에는 공직을 맡지 않았으며, 1987년 김종필이 창당한 신민주공화당에 참여하여 상임고문을 지냈다.

3. 1. 국회의원 및 민주공화당 활동 (1961년 ~ 1970년)

1961년 경기도 이천군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으나, 같은 해 5.16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면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1967년에는 민주공화당 상임고문 겸 당 총재 상담역을 맡았다. 같은 해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7대 국회의원이던 1968년 8월, 백두진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버마를 친선 방문하였다.[11] 또한 1968년 한일협력위원회 한국측 위원장을 역임했는데, 이때 일본측 위원장은 A급 전범 용의자였던 기시 노부스케였다.[6]

1970년 12월 21일부터 다시 국무총리를 맡아 1971년 6월 3일까지 재임하였다.

3. 2. 제2차 국무총리 재임 (1970년 ~ 1971년)

1970년 12월 21일 다시 국무총리에 임명되었다. 그의 두 번째 국무총리 임기는 1971년 6월 3일까지 이어졌다. 1971년 국회의장에 선출되면서 같은 해 6월 3일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났다.

3. 3. 국회의장 및 유신정우회 활동 (1971년 ~ 1979년)

1971년 제8대 국회에서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유신 체제 성립 후인 1973년부터 1980년까지는 유신정우회 소속 국회의원이었으며, 1973년에는 유신정우회 의장을 맡아 유신 체제 확립에 기여하였다.[8] 국회의장 재임 중 아시아의원연맹(APU) 한국위원장 및 위원장을 겸임했다.

1979년 제10대 국회에서는 야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다시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26일 10.26 사태가 일어나자 국회의장직에서 사퇴하였다.

3. 4. 생애 후반 (1979년 ~ 1993년)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회의장에 다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26일 발생한 10.26 사태로 인해 국회의장직에서 물러났다.[8] 1980년까지 유신정우회 소속 의원으로 활동했다.

1984년 국토통일원 고문직을 사퇴한 이후, 5공화국 시기에는 특별한 공직을 맡거나 직접적인 정치 활동을 하지는 않았다. 1985년 민족중흥동지회 고문에 위촉되었고, 1987년 신민주공화당이 창당되자 입당하여 상임고문을 지냈다.

말년에는 1991년 대한민국헌정회 고문, 1992년 안중근 의사 여순순국유적 성역화사업 추진위원회 고문 등을 지냈다. 저서로 《백두진회고록》(전·후편), 《대한민국현대인물사》 등이 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은행 근무 경력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최종 명단에는 오르지 않았다. 2008년 8월에는 한 학술지에 의해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 중 경제 부문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12]

4. 학력

4. 1. 명예 박사 학위

연도수여 기관학위 구분비고
1970년경희대학교명예 경제학 박사
1971년한국외국어대학교명예 문학박사
1972년필리핀 국립대학교명예 법학박사필리핀
1980년루이스 앤드 클라크 대학교명예 정치학 박사미국


5. 상훈

연도훈장명수여 국가/기관
1970년수교훈장 광화장대한민국
1971년훈일등 욱일대수장일본
1972년외교훈장필리핀
1972년특종대수 경성훈장중화민국

[4]

6. 평가와 비판

1973년부터 1980년까지 유신정우회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1973년에는 유신정우회 의장을 맡아 유신체제에 적극 협력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8] 이러한 행보와 관련하여 현실순응주의자, 대세순응주의자라는 비판과 함께 처세술에 능하다는 지적이 있다.

7. 저서


  • 《백두진 회고록》 (전편), 1975
  • 《백두진 회고록》 (후편), 1981
  • 《대한민국 현대인물사》, 1989

8. 기타

친일 소설 작가 춘원 이광수는 백두진(전직 초대 대한민국 임시외자관리청 청장)의 부인 허명재 여사의 친정 고모 허영숙 여사와 재혼했다가 이혼한 전력이 있다.

참조

[1] 서적 Official Records UN
[2] 웹사이트 야후! 백과사전 Yahoo! Encyclopedia https://archive.toda[...] 2012-07-09
[3] 웹사이트 「白斗鎮」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2-08-11
[4] 웹사이트 백두진(白斗鎭) https://encykorea.ak[...] 2023-08-14
[5] 웹사이트 중앙은행 오디세이 <23> 선망과 좌절의 일터 식민지 조선은행 직원들-‘조센징’ 차별 딛고 대한민국 기둥으로 https://www.bok.or.k[...] 한국은행
[6] 간행물 新国策 1977-06-05
[7] 웹사이트 백두진:타계한 인물:세계 연감 1996 http://preview.brita[...] 국무총리실, 한국 브리태니커 2004-08-23
[8] 웹인용 백두진 http://preview.brita[...] 한국 브리테니커 2007-11-01
[9] 웹사이트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10] 뉴스 英女王戴冠式參席 韓國特使一行決定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3-05-21
[11] 서적 미얀마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2] 뉴스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