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빗살무늬토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빗살무늬토기는 신석기 시대에 사용된 토기로, 한반도 및 유라시아 북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한국에서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빗살무늬토기가 사용되었으며, 서울 암사동, 평양, 김해 가리 등에서 유적지가 발견된다. 빗살무늬토기는 수작업으로 제작되었으며, 노천 가마에서 소성되었다.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유럽 북동부, 한국 등을 포함하며, 핀란드, 발트해, 러시아 지역의 피트콤 항아리 문화도 이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고문화 - 아파나시에보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2500년경까지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준가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로서,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얌나야 문화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초기 목축 및 구리, 청동 야금술을 사용했으며 쿠르간 문화와의 연관성을 통해 초기 인도유럽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된다.
  • 중국의 고고문화 - 판석묘 문화
    판석묘 문화는 기원전 1300년경 자바이칼에서 시작하여 몽골, 중국 북부,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판석으로 둘러싸인 무덤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이다.
  • 한국의 고고문화 - 원삼국 시대
    원삼국 시대는 고고학계에서 삼국 시대 초기 국가 성립 이전 시기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기원전 108년 고조선 멸망 이후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여러 국가가 등장하고 철기 문화가 확산되었으며 중국 등과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 한국의 고고문화 - 비파형동검
    비파형동검은 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악기 비파 모양의 유물로, 랴오닝 지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로 전파되었으며 고조선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 유럽의 신석기 문화 -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는 기원전 58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몰도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번성했던 신석기 시대 후기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의 문화로, 독특한 정착지와 정교한 도자기, 인형 조각상으로 특징지어지며, 자급자족 농경 사회를 이루었다.
  • 유럽의 신석기 문화 - 빗살무늬토기 문화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기원전 5600년에서 기원전 2300년 사이 북유럽, 동유럽에 걸쳐 나타난 신석기 시대의 문화로, 빗살무늬 토기가 특징이며 수렵 채집을 기반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의 흔적이 발견되고 시베리아, 중국 북동부 지역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빗살무늬토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토기
모양빗살무늬
시기신석기 시대
주요 발견 지역한국, 일본, 러시아 극동 지역
특징
기법덧무늬 기법
장식주로 선각 기법으로 빗살무늬, 평행선, 점선 등을 새김
제작 도구빗살무늬 도구
특징밑이 뾰족하거나 둥근 형태
재료점토
문화적 의미
의미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관련 문화빗살무늬토기 문화
한국에서의 분포
발견 지역한반도 전역
주요 유적암사동 유적
일본에서의 분포
명칭죠몬 토기 (縄文土器)
특징다양한 문양과 형태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의 분포
특징빗살무늬 외에 다른 문양도 발견됨
관련 문화오호츠크 문화

2. 역사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기장과 기타 곡물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정착하여 씨족 사회를 형성했다. 그들은 돌을 갈아서 다양한 연삭도구를 만들었는데, 그중 신석기 시대의 특징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빗살무늬토기이다. 서울암사동, 평양남경, 김해수가리 등이 대표적인 빗살무늬토기 유적지이다.[18]

2. 1. 한국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기장과 기타 곡물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정착하여 씨족 사회를 형성했다. 그들은 돌을 갈아서 다양한 연삭도구를 만들었는데, 그중 신석기 시대의 특징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빗살무늬토기이다. 서울암사동, 평양남경, 김해수가리 등이 대표적인 빗살무늬토기 유적지이다.[18]

2. 1. 1. 빗살무늬토기 연구사

한반도에서 빗살무늬토기에 대한 최초의 지식은 1916년 도리이 류코(鳥井龍子)가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일대에서 조사한 석기시대 유적지와 유물에서 시작되었다.[18] 이후 후지타 료사쿠는 한반도의 융기문토기 문화와 북유라시아의 신석기 토기 문화를 연결하는 북방계통설을 제시하였다. 그의 북방계통설은 8·15 광복 이후 남북 학계의 신석기 토기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유적 발굴과 연구를 통해 그 설은 반박되었다.

3. 생산 방식

빗살무늬토기는 삼국시대의 토기와 달리 물을 이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제작하였으며, 주로 원형의 점토띠를 쌓는 압연법을 사용하고 다양한 성형법, 회전법 등을 이용하였다.[19]

빗살무늬토기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구조 없이 노천 가마에서 소성된다. 다만 평양 포대터, 김천 진조리터, 진주 평미동터 등에서 특정 구조의 가마가 발견되고 있어 신석기시대 중기부터 보다 발전된 가마 시설이 이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빗살무늬토기는 산화염 상태에서 약 600°C~700°C의 온도에서 소성되는데, 대부분의 빗살무늬토기는 적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5]

4. 빗살무늬토기 문화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신석기 시대 유라시아 북부에서 빗살무늬토기가 사용된 문화를 말한다.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에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기장과 같은 곡물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씨족 사회를 형성하였다. 그들은 돌을 갈아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중 신석기 시대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빗살무늬토기이며, 서울 암사동, 평양, 김해 등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된다.[18]

4. 1. 동북아시아

한반도에서 빗살무늬토기에 대한 최초의 지식은 1916년 도리이 류조(鳥井龍蔵)가 조사한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일대에서 발견된 석기시대 유적지와 유물에서 시작됐다.[18] 이후 후지타 료사쿠는 한반도의 융단토기문화와 북유라시아의 신석기토기문화를 연결하는 북방체제론을 제시하였다.[18] 그의 북방계보론은 8·15 해방 이후 남북 학계의 신석기토기 인식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1980년대 이후 새로운 유적지 발굴과 연구를 통해 반박되고 있다.[18]

4. 2. 유럽

러시아핀란드를 포함한 유럽 북동부 지역의 빗살무늬토기 문화에 대해서는 빗살무늬토기 문화 (유럽)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빗살무늬토기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櫛目文土器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3]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http://www.ipc.tohok[...] 2015-02-21
[4] 논문 Archaeological research on neolithic China https://www.journals[...]
[5] 웹사이트 历史的开端(史前时期-古朝鲜)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chinese.kore[...] 2023-12-05
[6] 웹사이트 コトバンク「櫛目文土器」 https://kotobank.jp/[...]
[7] 웹사이트 ロシア極東新石器時代研究の新展開 http://21coe.kokugak[...]
[8] 논문 オホーツク海北岸地域とサハリンの交通路 : 櫛目文土器の出土と関連して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総合博物館
[9] 서적 Древние приморские культуры Северо-Западного Приохотья Ленинград
[10]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http://www.ipc.tohok[...] 2015-02-21
[11]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12]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s://doi.org/10.1[...]
[13] 서적 Archaeology of lake settlements IV-II mill. BC https://www.academia[...]
[14] 논문 日本農耕文化生成の研究 https://hdl.handle.n[...] 明治大学人文科学研究所
[15] 웹인용 빗살무늬토기 http://encykorea.aks[...]
[16]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http://www.ipc.tohok[...] 2015-02-21
[17] 논문 Archaeological research on neolithic China https://www.journals[...]
[18] 웹인용 历史的开端(史前时期-古朝鲜)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chinese.kore[...] 2023-12-05
[19] 웹인용 历史的开端(史前时期-古朝鲜)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chinese.kore[...] 2023-12-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