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억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고 억제는 의식적으로 특정 생각을 억누르려는 시도를 의미하며, 1980년대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와 역설적인 결과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특정 대상을 생각하지 않도록 한 실험에서 사고 억제를 시도한 그룹이 오히려 그 대상을 더 자주 떠올리는 '반동 효과'가 나타났다. 1990년대에는 불안, 우울과 같은 정서적 사고 억제가 반동 효과를 유발한다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개인차와 자기 보고 방식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사고 억제는 고정관념 억제와 같은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인지 부하가 높을수록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사고 억제는 목록 방법과 항목 방법 등 다양한 방법론으로 연구되었으며, 사고/비사고 패러다임을 통해 억제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 사고 억제는 꿈에도 영향을 미쳐, 억제된 생각이 꿈에서 나타나는 '꿈 반동' 현상을 보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억장애 - 기억상실
기억상실은 뇌 손상, 심리적 충격, 약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실하는 상태로, 상실된 기억의 시점과 내용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원인에 따라 인지 치료, 작업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하고 사회적 지원과 기술 활용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 기억장애 - 코르사코프 증후군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티아민 결핍으로 발생하는 신경정신 질환으로, 심각한 기억 상실과 작화를 보이며, 알코올 중독이나 영양실조가 원인이고, 티아민 보충과 재활 치료로 증상 완화 및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알코올 중독 예방과 균형 잡힌 식단 유지가 중요하다. - 기억 과정 - 신경가소성
신경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경험, 학습, 손상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며, 시냅스 가소성, 구조적 가소성으로 나뉘어 뇌졸중, 학습 장애 등의 치료와 재활, 명상,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기억 과정 - 스티븐 윌트셔
스티븐 윌트셔는 자폐증을 가진 영국의 예술가로, 한 번 본 도시의 풍경을 기억만으로 상세하게 그려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 각 도시의 파노라마를 그려 전시했다. - 인지 - 이해
이해는 지식에 기반하여 대상이나 현상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비유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연구되는 개념이다. - 인지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 사고 억제 | |
|---|---|
| 개요 | |
| 정의 | 생각 억제는 의식적으로 어떤 생각을 중단하려는 노력임 |
| 관련 용어 | 사고 방해 |
| 심리학적 모델 | |
| 주요 모델 | 억압 의도적 억제 |
| 인지 및 신경생물학적 모델 | |
| 연구 분야 | 동기 부여된 망각 |
| 관련 연구 | |
| 주요 저서 | 흰곰과 다른 원치 않는 생각들: 억제, 강박, 정신 통제의 심리학 (Daniel M. Wegner, 1989) |
2. 1980년대 실험 연구
사고 억제와 그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마음속에서 진행되는 과정을 기록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다니엘 웨그너, 데이비드 슈나이더, S.R. 카터, T.L. 화이트는 이러한 목적을 가진 실험을 수행하였다.[44] 이 실험은 이후 '흰곰 실험'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참가자들에게 특정 대상을 생각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만약 그 대상이 떠오르면 벨을 누르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실험을 통해 '반동 효과'가 발견되었다.[45] 이 효과는 '초록 토끼'와 같이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대상을 떠올리지 않으려 할 때도 나타났다.[46] 웨그너는[47]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역설 과정 이론을 개발하였다.
2. 1. 흰곰 실험
웨그너, 슈나이더, 카터, 화이트는 사고 억제 연구를 위해 실험을 설계하였다.[44] 이들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5분 동안 흰곰(white bear)을 생각하지 말라고 지시하고, 흰곰 생각이 날 경우 벨을 울리도록 하였다. 이후 5분 동안은 흰곰에 대해 생각하도록 지시하였다. 실험 결과, 사고 억제를 사용한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흰곰 생각을 더 자주 떠올렸다. 또한, 두 번째 단계에서 사고 억제를 사용한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에 비해 흰곰 생각을 더 많이 하는 '반동 효과(rebound effect)'를 보였다.[45] 이 효과는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초록 토끼(green rabbit)'와 같이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대상을 떠올리지 않으려 할 때도 나타났다.[46] 웨그너는[47]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역설 과정 이론을 발전시켰다.2. 2. 반동 효과
웨그너, 슈나이더, 카터, 화이트는 사고 억제 연구를 위해 실험을 설계하였다.[44] 이들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5분 동안 흰곰과 같은 특정 대상을 생각하지 않도록 요청하고, 생각이 날 경우 벨을 울리도록 하였다. 이후 5분 동안은 그 대상을 생각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사고 억제를 사용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원치 않는 생각을 더 자주 떠올렸다. 또한, 두 번째 단계에서 사고 억제를 사용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대상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떠올렸다. 이는 '반동 효과(rebound effect)'라고 명명되었다.[45] 이 효과는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초록 토끼'와 같이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대상을 억제하려 할 때도 나타났다.[46] 웨그너는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역설 과정 이론을 개발하였다.[47]3. 1990년대 방법론 개선
사고 억제 연구 결과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1990년대에는 대상 사고 변경, 개인차 고려 등 다양한 방법론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기 보고 방식의 데이터 수집은 여전히 한계로 남아있다. 자기 보고는 답변 왜곡이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4]
3. 1. 불안 및 우울 사고 억제
로머(Roemer)와 보르코베치(Borkovec)[45]는 불안하거나 우울한 생각을 억제한 참가자들이 유의미한 반동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벤즐라프(R.M. Wenzlaff), 웨그너(D.M. Wegner), 로퍼(D. Roper)[48]는 불안하거나 우울한 피험자들은 부정적이거나 원치 않는 사고를 억제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보여줬다. 라신(E. Rassin), 메르켈바흐(H. Merkelbach), 무리스(P. Muris)[49]는 이러한 발견이 문헌 내에서는 다소 강경하다고 하지만, 일부 연구들은 결과들을 되풀이할 수 없었다.[50][51][52] 그러나 이는 개인차를 고려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최근 연구에서는 불안 수준이 낮고 바람직한 특성이 높은 개인(억제자)의 경우, 억제된 불안한 자전적 사건이 다른 그룹(낮음, 높음, 방어적 불안 높음 그룹)보다 초기에는 침투 횟수가 적었다. 그러나 7일 후 억제자가 다른 그룹보다 그러한 불안한 자전적 사건에 대한 침투적 사고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억제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입증했다.[58] 이러한 대처 방식의 차이가 문헌 내의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설적 효과의 원인이 사용된 사고 측정 방법(예: 벨 울림)에 있을 수 있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브라운(1990)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이 빈도 정보에 매우 민감하다는 증거가 제시되자 클라크, 볼, 페이프는 참가자들에게 침투적인 대상 사고의 횟수에 대한 사후 추정치를 얻었고 동일한 역설적 결과 패턴을 발견했다.[46]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문제를 극복하는 것처럼 보임에도, 그것과 다른 모든 방법론은 자기 보고를 데이터 수집의 주요 형태로 사용한다. 이는 자기 보고의 왜곡이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다.[14]
3. 2. 개인차 연구
사고 억제 연구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로머(Roemer)와 보르코베치(Borkovec)는 불안하거나 우울한 생각을 억제한 참가자들이 유의미한 반동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45] 벤즐라프(R.M. Wenzlaff), 웨그너(D.M. Wegner), 로퍼(D. Roper)는 불안하거나 우울한 사람들이 부정적인 생각을 억제하기 더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8]이러한 발견은 개인차를 고려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라신(E. Rassin), 메르켈바흐(H. Merkelbach), 무리스(P. Muris)는 이러한 발견이 문헌 내에서 어느 정도 강력하다고 보고했지만,[49] 일부 연구에서는 결과를 재현할 수 없었다.[50][51][52]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불안 수준이 낮고 바람직함이라는 특질(desirability trait)이 높은 억제자(repressor)는 억제된 불안한 자서전적 사건이 초기에는 덜 침투했지만, 1주일 후에는 더 자주 침투하는 경향을 보였다.[58] 이는 억제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지속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대처 양식의 차이는 연구 문헌 간의 격차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벨 울리기와 같은 사고 측정 방법에 모순적 효과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참가자들은 빈도 정보에 매우 민감하며, 클라크(Clarke), 볼(Ball), 페이프(Pape)는 침투적 타겟 사고 횟수에 대한 참가자들의 사후 추정치를 얻었고, 동일한 패턴의 모순적 결과를 발견했다.[46]
이러한 방법론은 자기 보고를 주요 데이터 수집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기 보고 특유의 왜곡이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3. 3. 자기보고 문제점
사고 억제 연구는 자기 보고 방식의 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자기 보고는 답변 왜곡이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4] 브라운(Brown)의 1990년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빈도 정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인다.[46] 클라크(Clarke), 볼(Ball), 페이프(Pape)는 참가자들에게 침투적 타겟 사고 횟수에 대한 사후 추정치를 얻는 방식을 사용했지만, 이 역시 자기 보고 방식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46]4. 행동 영역
사고 억제는 인간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마크래(Macrae), 보덴하우젠(Bodenhausen), 밀네(Milne), 예텐(Jetten)의 연구에 따르면, 특정 집단(예: 스킨헤드)에 대한 고정관념을 억제하라는 요청을 받은 사람들은 그 집단 구성원의 일상에 대해 덜 고정관념적인 설명을 작성했다.[53] 그러나 이들에게 방금 작성한 사람을 만날 것이라고 이야기하면, 억제 집단 사람들은 스킨헤드의 옷차림만 보고도 이들과 멀리 떨어져 앉는 행동을 보였다. 이는 글을 쓸 때는 고정관념을 억제했지만, 행동에서는 그렇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54] 1993년의 한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인지적으로 어려운 과제가 주어졌을 때, 대조군에 비해 타겟 사고 빈도가 역설적으로 높았다.[55][56] 그러나 다른 통제된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웬즐라프와 베이츠는 긍정적인 과제에 집중하는 피실험자들은 인지 부하를 겪더라도 역설적인 효과나 반동 효과를 경험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43]
일부 연구에서는 피실험자가 웨그너가 말한 '인지 부하(다양한 외적 사고분산 거리를 사용하여 타겟 사고를 억누르고자 하는 것)'에 처했을 때, 사고 억제 효용성은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사고분산 거리에 집중하면 장기적 효용성은 증가한다고 밝혔다. 즉, 억제가 제대로 작동하면 사고분산 거리가 덜 간여한다는 것이다. 1987년 웨그너, 슈나이더, 카터, 화이트의 연구에서, '빨간 폭스바겐'과 같은 사고분산 거리를 미리 하나 마련한다면, 실험 후 모순 효과를 없애기 충분하다고 하였다.[44] 1996년 보워스(K.S. Bowers)와 우디(E.Z. Woody)의 연구[57]는 최면에 걸린 사람은 모순 효과가 없다는 발견을 증명하였다. 이는 최면에서는 고의적인 '주의분산 활동(distracter activity)'을 건너뛴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4. 1. 고정관념 억제와 행동
마크래(Macrae), 보덴하우젠(Bodenhausen), 밀네(Milne), 예텐(Jetten)의 연구에 따르면, 특정 집단(예: 스킨헤드)에 대한 고정관념을 억제하라는 요청을 받은 사람들은 글쓰기에서는 고정관념을 덜 표현했다.[53] 그러나, 이전에 작성한 그 사람을 만날 것이라고 들었을 때, 이들은 스킨헤드의 옷차림만 보고도 더 멀리 떨어져 앉는 행동을 보였다.[15] 이는 고정관념을 억제하려는 시도가 글쓰기에서는 효과가 있었지만, 실제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즉, 고정관념은 글로 표현할 때는 억제할 수 있지만, 행동에서는 억제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4. 2. 인지 부하와 행동
사고 억제는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예: 스킨헤드)에 대한 선입견을 생각하지 않도록 요청받은 사람들은 그 집단 구성원의 일상에 대해 덜 선입견적인 설명을 작성한다.[53] 그러나 이들에게 방금 작성한 사람을 만날 것이라고 이야기하면, 억제 집단 사람들은 스킨헤드의 옷차림을 본 것만으로도 이들과 멀리 떨어져 앉게 된다. 이는 참가자들이 글을 쓸 때는 선입견을 억제했지만, 행동에서는 그렇지 않았음을 보여준다.인지 부하가 높은 상황에서는 사고 억제의 효과가 감소한다. 1993년의 한 연구에서, 참가자들에게 인지적으로 어려운 과제가 주어졌을 때, 대조군에 비해 타겟 사고 빈도가 역설적으로 높았다.[55][56]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웬즐라프와 베이츠는 긍정적인 과제에 집중하는 피실험자들은 인지 부하를 겪더라도 역설적인 효과나 반동 효과를 경험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43]
일부 연구에서는 피실험자가 웨그너가 말한 '인지 부하(다양한 외적 사고분산 거리를 사용하여 타겟 사고를 억누르고자 하는 것)'에 처했을 때, 사고 억제 효용성은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사고분산 거리에 집중하면 장기적 효용성은 증가한다는 것을 밝혔다. 즉 억제가 제대로 작동하면 사고분산 거리가 덜 간여한다는 것이다. 1987년 웨그너, 슈나이더, 카터, 화이트의 연구에서, '빨간 폭스바겐'과 같은 사고분산 거리를 미리 하나 마련한다면, 실험 후 모순 효과를 없애기 충분하다고 하였다.[44]
5. 인지 역학
사고 억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마음속에서 진행되는 과정을 기록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웨그너, 슈나이더, 카터, 화이트는 이 목적으로 실험을 설계했다.[5] 이들은 참가자들에게 특정 대상(예: 하얀 곰)에 대해 5분 동안 생각하지 않도록 요청하고, 만약 생각하게 되면 벨을 울리도록 지시했다. 이후 참가자들은 다음 5분 동안 그 대상에 대해 생각하도록 지시받았다. 그 결과, 사고 억제를 사용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원치 않는 생각이 더 자주 발생했다. 또한 두 번째 단계에서 사고 억제를 사용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대상에 대한 생각을 더 자주 하는 '반동 효과'가 나타났다.[6] 이 효과는 '녹색 토끼'와 같이 믿기 어려운 대상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났다.[7] 웨그너는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역설 과정 이론을 발전시켰다.[8]
개인차는 역설적 사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0]
사고 억제는 경험 회피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경험 회피는 개인이 원치 않는 내면적 경험(사고, 감정, 신체 감각, 기억 등)을 억제, 변경, 제어하려는 것을 말한다.[21][22] 이러한 사고 방식은 관계 프레임 이론을 뒷받침한다.
5. 1. 인지 부하와 사고 억제
인지 부하가 증가하면 사고 억제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떨어진다. 예를 들어, 흰곰 실험에서 주변의 램프, 전구, 책상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해 요인들은 나중에 억제하려는 대상을 떠올리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자유사고분산'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면 상태의 사람에게는 집중할 수 있는 주의분산 거리가 하나 주어져도 감정적 사고에 있어서의 자유사고분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5]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이론가들은 다양한 사고 억제 인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1989년 웨그너는 주변 환경에 있는 물품을 이용하여 주의를 분산시킨다고 제안하였다. 이후 이러한 물품들은 사고 억제 시도에 있어 복구 단서가 된다.[45] 이를 '환경적 단서 이론'이라고 한다. 이러한 반복 절차는 복구 단서들에 둘러싸이게 하여, 종국에는 반동 효과를 낳는다. 웨그너는 정련되지 않은 여러 복구 단서들은 주의분산 거리에 집중하는 것(즉 정신 부하의 감소)의 효용성을 일부 뒷받침한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는 두 과정 간의 이상적 균형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지적 요구가 너무 무겁지 않다면, 감시 과정들은 이를 밀어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5. 2. 환경적 단서 이론
인지 부하가 증가하면 사고 억제는 일반적으로 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흰곰 실험에서 주변의 램프, 전구, 책상 등은 억제하려는 대상을 떠올리게 하는 '자유사고분산'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1989년 웨그너는 주변 환경의 물품이 주의를 분산시키지만, 나중에는 억제하려는 사고에 대한 복구 단서가 된다는 '환경적 단서 이론'을 제안했다.[45] 이 과정이 반복되면 복구 단서에 둘러싸여 반동 효과를 일으킨다. 웨그너는 여러 복구 단서가 생성되지 않으면 집중된 방해(정신적 부하 감소)가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인지적 요구가 너무 크지 않으면 감시 과정이 이를 대체하지 않기 때문이다.5. 3. 개인차와 역설적 사고 과정
개인차는 사고 억제의 역설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8]사고 억제는 경험회피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 왔다. 경험회피는 개인이 원치 않는 내면적 경험(사고, 감정, 신체 감각, 기억 등)을 억제, 변경 또는 제어하려는 것을 말한다.[59][60] 이러한 사고 방식은 관계구성틀이론을 뒷받침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불안 수준이 낮고 바람직한 특성이 높은 개인(억제자)은 억제된 불안한 자전적 사건에 대한 침투적 사고 횟수가 초기에는 다른 그룹(낮음, 높음, 방어적 불안 높음 그룹)보다 적었다. 그러나 7일 후에는 억제자가 다른 그룹보다 그러한 불안한 자전적 사건에 대한 침투적 사고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억제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음을 입증했다.[20]
6. 기타 방법론
사고 억제와 기억 억제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있다.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목록 방법과 항목 방법이 있지만,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목록 방법과 항목 방법"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목록 방법과 항목 방법
사고 억제는 억제의 원인으로 여겨져 왔으며, 이를 연구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으로 목록 방법과 항목 방법이 있다.[61]목록 방법은 참가자들이 두 개의 단어 목록을 순서대로 학습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목록 학습 후, 일부 참가자에게는 방금 학습한 내용을 잊으라고 지시하고, 다른 참가자에게는 이러한 지시를 하지 않는다. 두 목록을 모두 학습한 후에는 모든 참가자에게 두 목록의 단어를 모두 회상하도록 한다. 이 실험에서 첫 번째 목록을 잊으라고 지시받은 참가자들은 해당 목록의 단어를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잊으라는 지시가 억제를 유발했음을 시사한다.[46][62]
항목 방법은 참가자들이 목록이 아닌 개별 단어를 학습하는 방식이다. 각 단어가 제시된 후, 참가자들은 해당 단어를 기억하거나 잊으라는 지시를 받는다. 목록 방법과 유사하게, 항목 방법 실험에서도 잊으라는 지시를 받은 단어는 기억하기 어렵다.[61]
일부 연구자들은 목록 방법과 항목 방법이 서로 다른 유형의 망각을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에 따르면 목록 방법은 잊으라고 지시받은 단어의 억제를 유발하지만,[63] 항목 방법은 망각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일부 단어가 다른 단어보다 더 잘 기억되도록 만든다.[62]
6. 2. 사고/비사고 패러다임
사고 억제는 억제가 금지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 이를 연구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사고/비사고 패러다임(think/no-think paradigm)이 있다.[64]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바퀴벌레-시련(roach-ordeal)'과 같은 단어 쌍을 학습한다.[65] 이후 첫 번째 단어를 보고 두 번째 단어를 떠올리는 '사고' 단계와 떠올리지 않는 '비사고' 단계를 거친다. 비사고 단계에서 억제가 일어나며, 일부 단어 쌍은 제시되지 않아 대조군 역할을 한다. 실험 후, 참가자들은 첫 번째 단어를 바탕으로 모든 단어 쌍을 기억해내려고 노력한다. '독립 탐사 방법(independent probe method)'을 통해 단어 쌍의 두 번째 단어 범주와 첫 글자를 제시하기도 한다.[61]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비사고 단계는 사고 단계보다 기억력이 나빠지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억제가 기억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61][66][65] 이 방법은 단어 쌍 외에도 그림[67]이나 자전적 기억[68]을 자극으로 사용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사고/비사고 과제와 동시에 어려운 계산 과제를 수행하면 비사고 조건에서 망각이 덜 일어난다.[69] 이는 억제가 성공하려면 정신적 에너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단어 학습 중 뇌 활성화가 중간 정도일 때 비사고 단계에서 망각이 가장 잘 일어난다. 뇌 활성화가 너무 낮으면 단어 자체가 학습되지 않고, 너무 높으면 단어 간 연결이 강해져 억제가 어렵기 때문이다.[70]
6. 2. 1. fMRI 연구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 연구는 사고 억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동에서 두 가지 뚜렷한 패턴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는 기억 형성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해마의 활동이 감소한다는 것이다.[71] 두 번째는 배외측전전두피질의 뇌 활동이 증가한다는 것인데, 특히 억제가 더 강하게 일어나는 경우에 그러하다.[66] 연구자들은 배외측전전두피질이 해마의 작동을 억제하여 기억 형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다.[66]6. 2. 2. 사고 대체
사고 대체는 사고/비사고 과제에서 참가자에게 억제해야 할 단어 대신 다른 단어를 떠올리도록 지시하는 방식으로 연구될 수 있다.[72] 이 연구는 사고 대체가 사고 대체 지시가 없는 억제보다 더 높은 수준의 망각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72] 또한, 사고 대체가 비사고 단계에서 억제 전략으로 사용될 때 억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73] 일부 연구자들은 비사고 단계에서 다른 대상을 생각하는 것은 원래 단어 쌍보다 첫 단어와 새로운 연관성을 형성하게 하여, 단순히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금지와는 다른 간섭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73]7. 꿈 영향
꿈은 주로 급속 안구 운동 수면(REM sleep) 중에 일어나며, 이미지, 생각, 감정, 감각으로 구성된다. 이 주제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꿈은 무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사고 억제는 무의식적 주제에 영향을 미치며, 특정 사고를 억제하려고 하면 그것이 꿈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7. 1. 역설적 통제 이론
억제 사고의 역설적 과정 이론(ironic process theory)이라고도 불리는 역설적 통제 이론은 사고 억제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억압된 내용의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설명한다.[74] 특정 주제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꿈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억제 경향이 높은 사람들은 침투적 사고, 우울증, 불안, 강박사고 등 정신병리학적 반응을 보이기 쉽다.[75] 이들은 사고 억제 빈도가 높아 꿈 반동(dream rebound)을 자주 겪는다.인지 부하 또한 역설적 통제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인지 부하가 클수록 꿈 반동 발생률이 높아진다. 즉, 잠들기 전 정보 부하가 무거워지면 꿈에서 정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76] 인지 부하가 없는 사람과 달리, 인지 부하가 높은 사람일 수록 꿈 반동의 정도가 더 커진다. 인지 부하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통해 역설적 통제 이론은 사고 억제가 쉽게 발생하고 꿈 반동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7. 2. 꿈 반동
꿈 반동은 억제된 생각이 꿈에서 다시 나타나는 현상이다.[77] 자기통제는 사고 억제의 한 유형으로, 꿈을 꿀 때 억제된 내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금연 중인 사람은 흡연하는 꿈을 꿀 수 있다.[77] 감정 억제 역시 꿈 반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감정적 경험의 재발은 수면 전 암시로 작용하여, 억제된 사고가 꿈에 나타나게 된다.[77]꿈 반동의 효과적인 인자 중 하나는 렘 수면 동안 전전두엽의 변화이다. 렘 수면 동안에는 억제된 사고가 더 쉽게 떠오르며, 이는 유효성이 감소한 작업 과정의 결과이다. 이로 인해 억제된 사고를 찾는 활동이 증가하고 수면 전 사고가 더 쉽게 접근 가능해진다.[75] 렘 수면과 꿈 반동에 관한 다른 가설도 있다. 예를 들어, 약한 의미론적 연관성, 포스트 렘 수면은 약한 역설적 감시 절차가 강력해짐으로써 다른 때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77] 그러나 꿈 반동에 대한 연구는 더 많이 진행되어야 한다.
참조
[1]
서적
True and False Recovered Memories
Springer, New York, NY
2012
[2]
서적
White bears and other unwanted thoughts: Suppression, obsession, and the psychology of mental control
The Guilford Press
[3]
논문
Empirical investigations of thought suppression in OCD
2014-04-08
[4]
논문
The Relative Efficacy of Concentration and Suppression Strategies of Mental Control
2000-10
[5]
논문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s suppression
1987
[6]
논문
Effects of suppressing thoughts about emotional material
1994
[7]
논문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ought suppression
1991
[8]
논문
Ironic processes of mental control
1994
[9]
논문
Depression and mental control: The resurgence of unwanted negative thoughts
1988
[10]
논문
Paradoxical and less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 critical review
2000
[11]
논문
Thought suppression and obsession-compulsion
1994
[12]
논문
Effects of suppression of personal intrusive thoughts
1994
[13]
논문
Memories out of order: Thought suppression and the disassembly of remembered experience
1996
[14]
간행물
Simine Vazire Defines Self-Report
http://dx.doi.org/10[...]
2016
[15]
논문
Out of mind but back in sight: Stereotypes on the rebound
1994
[16]
논문
Delayed costs of suppressed pain
1993
[17]
논문
Ironic processes in the mental control of mood and mood-related thought
1993
[18]
논문
The hyperaccessibility of suppressed thoughts
1992
[19]
논문
Hypnotic amnesia and the paradox of intentional forgetting
1996
[20]
논문
Long term consequences of suppression of intrusive anxious thoughts and repressive coping
2006
[21]
논문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1996
[22]
논문
Experiential avoidance as a generalize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Comparisons with coping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2006
[23]
서적
Handbook of Neuroscience for the Behavioral Sciences
John Wiley & Sons, Inc.
2009
[24]
논문
Directed forgetting i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tests: A comparison of methods.
1993
[25]
논문
Disrupted retrieval in directed forgetting: A link with posthypnotic amnesia.
1983
[26]
서적
Handbook of Neuroscience for the Behavioral Sciences
John Wiley & Sons, Inc.
2009
[27]
논문
Suppressing unwanted memories by executive control
2001
[28]
서적
Memory :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Sage
[29]
논문
Direct suppression as a mechanism for controlling unpleasant memories in daily life.
2014
[30]
논문
It's all in the detail: Intentional forgetting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using the autobiographical think/no-think task.
2013
[31]
논문
The Role of Cognitive Load in Intentional Forgetting Using the Think/No-Think Task
2017-02-20
[32]
논문
Moderate levels of activation lead to forgetting in the think/no-think paradigm
2013
[33]
논문
Neural Systems Underlying the Suppression of Unwanted Memories
2004-01-09
[34]
논문
Intentional forgetting benefits from thought substitution
2005-06-01
[35]
논문
Inhibition and interference in the think/no-think task
2012-02-01
[36]
논문
The effects of suppressing intrusive thoughts on dream content, dream distress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2013
[37]
논문
The tendency to suppress, inhibiting thoughts, and dream rebound
2007
[38]
논문
Dream rebound of suppressed emotional thoughts; The influence of cognitive load
2009
[39]
논문
Dream rebound: The return of suppressed thought and dream
2004
[40]
서적
True and False Recovered Memories
Springer, New York, NY
2012
[41]
서적
White bears and other unwanted thoughts: Suppression, obsession, and the psychology of mental control
The Guilford Press
1989
[42]
논문
Empirical investigations of thought suppression in OCD
2004
[43]
논문
The Relative Efficacy of Concentration and Suppression Strategies of Mental Control
2000-10
[44]
논문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s suppression
1987
[45]
논문
Effects of suppressing thoughts about emotional material
1994
[46]
논문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ought suppression
1991
[47]
논문
Ironic processes of mental control
1994
[48]
논문
Depression and mental control: The resurgence of unwanted negative thoughts
1988
[49]
논문
Paradoxical and less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 critical review
2000
[50]
논문
Thought suppression and obsession-compulsion
1994
[51]
논문
Effects of suppression of personal intrusive thoughts
1994
[52]
논문
Memories out of order: Thought suppression and the disassembly of remembered experience
1996
[53]
논문
Out of mind but back in sight: Stereotypes on the rebound
1994
[54]
논문
Delayed costs of suppressed pain
1993
[55]
논문
Ironic processes in the mental control of mood and mood-related thought
1993
[56]
논문
The hyperaccessibility of suppressed thoughts
1992
[57]
논문
Hypnotic amnesia and the paradox of intentional forgetting
1996
[58]
논문
Long term consequences of suppression of intrusive anxious thoughts and repressive coping
2006
[59]
논문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1996
[60]
논문
Experiential avoidance as a generalize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Comparisons with coping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2006
[61]
서적
Handbook of Neuroscience for the Behavioral Sciences
John Wiley & Sons, Inc.
2009
[62]
저널
Directed forgetting i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tests: A comparison of methods.
1993
[63]
저널
Disrupted retrieval in directed forgetting: A link with posthypnotic amnesia.
https://archive.org/[...]
1983
[64]
서적
Handbook of Neuroscience for the Behavioral Sciences
John Wiley & Sons, Inc.
2009
[65]
저널
Suppressing unwanted memories by executive control
2001
[66]
서적
Memory :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Sage
2018
[67]
저널
Direct suppression as a mechanism for controlling unpleasant memories in daily life.
https://archive.org/[...]
2014
[68]
저널
It's all in the detail: Intentional forgetting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using the autobiographical think/no-think task.
2013
[69]
저널
The Role of Cognitive Load in Intentional Forgetting Using the Think/No-Think Task
2017-02-20
[70]
저널
Moderate levels of activation lead to forgetting in the think/no-think paradigm
2013
[71]
저널
Neural Systems Underlying the Suppression of Unwanted Memories
2004-01-09
[72]
저널
Intentional forgetting benefits from thought substitution
2005-06-01
[73]
저널
Inhibition and interference in the think/no-think task
https://archive.org/[...]
2012-02-01
[74]
간행물
The effects of suppressing intrusive thoughts on dream content, dream distress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2013
[75]
간행물
The tendency to suppress, inhibiting thoughts, and dream rebound
2007
[76]
간행물
Dream rebound of suppressed emotional thoughts; The influence of cognitive load
2009
[77]
간행물
Dream rebound: The return of suppressed thought and dream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