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방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방지는 조선 시대에 요도하열을 가지고 태어나 여성의 성 역할을 하며 성장한 인물이다. 1462년 사헌부에서 간통 혐의로 취조받았고, 승정원 확인 결과 남녀한몸임이 밝혀졌다. 세조는 그를 신창현으로 이주시켰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관련 인물들이 불이익을 겪었다. 사방지를 소재로 한 영화와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성인 -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는 스텔라 월시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폴란드 태생의 육상 선수로, 단거리 육상에서 활약하며 올림픽 메달과 다수의 국내외 기록을 수립했으나, 사망 후 부검 과정에서 간성임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 간성인 - 임성구지
조선 시대 인물 임성구지는 남녀 성별을 모두 가진 채 태어나 여성으로 양육되었으나, 결혼 후 남녀 복장을 모두 착용했다는 기록과 사회를 어지럽힌다는 이유로 유배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한국의 성소수자 인물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 한국의 성소수자 인물 - 혜공왕
혜공왕은 신라 36대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잦은 반란과 정치적 혼란을 겪었으며 김지정의 난으로 살해당해 무열왕계 직계 왕통이 단절되었다.
| 사방지 | |
|---|---|
| 기본 정보 | |
| 한글 | 사방지 |
| 한자 | 舍方知 |
| 인물 정보 | |
| 성별 | 간성 |
| 활동 시기 | 15세기 |
| 출신 | 경상도 |
| 기타 | |
| 관련 영화 | 사방지 |
2. 생애
사방지는 요도하열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여성으로서의 성 역할을 하며 성장했다. 어머니에게서 바느질을 배웠고, 과부, 비구니들과 성관계를 가졌다.[1] 1462년 조선왕조실록에는 노비였던 사방지가 양반 과부와 간통했다는 기록이 있다.[2]
2. 1. 초기 생애
사방지는 요도하열을 갖고 태어났으며, 여성으로서의 성 역할을 하며 성장했다. 사방지는 어머니에게서 바느질을 배웠다. 사방지는 과부, 비구니들과 성관계를 가졌다.[1] 1462년, 조선왕조실록에는 노비였던 사방지가 양반 과부와 간통했다는 기록이 있다.[2]2. 2. 사헌부 취조와 세조의 판결
1462년 사헌부에서 여장을 하고 이순지의 딸이자 김구석의 아내인 이씨와 간통한 사방지를 취조하였는데, 승정원에서 확인한 결과 그가 요도밑열림증으로 남녀한몸인 것이 밝혀졌다.[4] 세조는 그가 "병자"인 것을 참작하여 따로 국문하지 않았지만, 이 일로 인해 파직된 이순지의 집으로 보내졌다. 1467년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자, 세조는 "이 사람은 인류(人類)가 아니다. 마땅히 모든 원예(遠裔)와 떨어지고 나라 안에서 함께 할 수가 없으니..."라고 말하며 사방지를 신창현(新昌縣)으로 옮겼다.이씨의 아들 김유악은 이 사건으로 인해 경상도 도사에서 개차(改差)되는 등 불이익을 겪었다.
2. 3. 반복된 사건과 신창현 이주
1462년 사헌부에서 여장을 하고 이순지의 딸이자 김구석의 아내인 이씨와 간통한 사방지를 취조하였는데, 승정원에서 확인한 결과 그가 요도밑열림증으로 이의(二儀, 남녀한몸)인 것이 밝혀졌다. 세조는 그가 "병자"인 것을 참작하여[4] 따로 국문하지 않았지만, 이 일로 인해 파직된 이순지의 집으로 보내졌다. 1467년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자, 세조는 사방지를 신창현(新昌縣)으로 옮겼다.이씨의 아들 김유악은 이 사건으로 인해 경상도 도사에서 개차(改差)되는 등 불이익을 겪었다.
2. 4. 관련 인물과 영향
1462년 사헌부에서 여장을 하고 이순지의 딸이자 김구석의 아내인 이씨와 간통한 사방지를 취조하였는데, 승정원에서 확인한 결과 그가 요도밑열림증으로 이의(二儀, 남녀한몸)인 것이 밝혀졌다.[4] 세조는 그가 "병자"인 것을 참작하여 따로 국문하지 않았지만, 이 일로 인해 파직된 이순지의 집으로 보내졌다. 1467년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자, 세조는 "이 사람은 인류(人類)가 아니다. 마땅히 모든 원예(遠裔)와 떨어지고 나라 안에서 함께 할 수가 없으니..."라고 말하며 사방지를 신창현(新昌縣)으로 옮겼다.이씨의 아들 김유악은 이 사건으로 인해 경상도 도사에서 개차(改差)되는 등 불이익을 겪었다.
사방지는 요도하열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여성의 성 역할을 하며 성장했다. 어머니에게서 바느질을 배웠으며, 과부와 비구니들과 성관계를 가졌다.[1] 1462년, 조선왕조실록에는 노비였던 사방지가 과부인 양반과 간통했다는 기록이 있다.[2]
3. 관련 작품
1988년 대한민국에서 이혜영이 주연한 영화 사방지가 제작되었다.[3]
3. 1. 드라마
1983년부터 1984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 배우 이미영이 사방지 역을 연기했다.3. 2. 영화
이혜영이 주연한 영화 사방지가 1988년 대한민국에서 제작되었다.[3]참조
[1]
뉴스
반음양 인간 '사방지'의 비밀 밝혀질까
http://www.scienceti[...]
[2]
서적
Straight Korean female fans and their gay fantasie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Iowa Press
2019-02-15
[3]
서적
Straight Korean Female Fans and Their Gay Fantasies
University of Iowa Press
[4]
문헌
세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