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신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토 신지는 야마구치현 출신의 정치인으로, 게이오기주쿠 대학을 졸업하고 일본강관에 입사했다. 1974년 참의원 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오키나와 개발청 정무차관을 역임했으며, 1979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된 후 운수대신, 통상산업대신을 지냈다. 1996년 중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나, 2000년과 2003년 선거에서 연패 후 비례대표로 부활했다. 2005년 정계를 은퇴했으며, 2016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정계 은퇴 후에는 대만과의 우호 증진에 기여하여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오키나와 반환 관련 비밀 합의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사토 신지는 사토 에이사쿠의 차남이며, 아베 신조의 처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부세 사토가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다부세 사토가 - 기시 노부스케
일본의 정치가이자 관료인 기시 노부스케는 만주국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도조 히데키 내각의 상공대신을 거쳐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을 추진했으나 안보투쟁으로 사임했고, "쇼와의 요괴"라는 이명과 함께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사토 에이사쿠 - 비핵 3원칙
비핵 3원칙은 일본이 핵무기를 생산, 보유, 반입하지 않겠다는 자체 원칙으로, 반핵 여론과 중국 핵실험 우려 속에 1967년 사토 에이사쿠 총리에 의해 선언되었으나, 법적 구속력 및 실효성 논란과 미일 간 해석 차이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 사토 에이사쿠 - 오키나와 반환
오키나와 반환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통치 하에 있던 오키나와현이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복귀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미국의 군사적 요충지 활용과 오키나와 주민의 복귀 운동, 일본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결합하여 이루어졌으나, 미군 기지 문제와 경제적 격차 등의 과제가 남아있고 복귀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사토 신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토 신지 |
로마자 표기 | Satō Shinji |
출생일 | 1932년 2월 8일 |
출생지 | 일본 야마구치현 구마게군 다부세정 |
사망일 | 2016년 5월 3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 |
국적 | 일본 |
학력 |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부 졸업 |
직업 | 정치인 |
이전 직업 | 일본강관 사원 (현 JFE 스틸)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다나카파 → 오부치파 → 무파벌) |
칭호 | 정3위 |
훈장 | [[파일:JPN Kyokujitsu-sho 1Class BAR.svg|40px]] 훈1등 욱일대수장 [[파일:TWN Order of Brilliant Star 2Class BAR.svg|40px]] |
학위 | 법학사 (게이오기주쿠 대학, 1957년) |
배우자 | 사토 가즈코 |
친척 (정치인) | 마쓰오카 요스케 (대백부) 사토 이치로 (백부) 기시 노부스케 (백부) 사토 에이사쿠 (부) 사토 히로코 (모) 마쓰오카 미쓰오 (종백부) 마쓰오카 겐이치로 (종숙부) 기시 노부카즈 (종형) 아베 요코 (종자) 마쓰오카 마스오 (또종제) 아베 히로노부 (종생) 아베 신조 (종생) 기시 노부오 (종생) 아다치 마사시 (사위) 기시 노부치요 (종생손) |
웹사이트 | 사토 신지 Website (2006년 8월 9일 시점의 아카이브) |
경력 | |
제59대 통상산업대신 | 내각: 제2차 하시모토 내각 임기 시작: 1996년11월 7일 임기 종료: 1997년9월 11일 |
제60대 운수대신 신도쿄 국제공항 담당 대신 | 내각: 다케시타 개조 내각 임기 시작: 1988년12월 27일 임기 종료: 1989년6월 3일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구 야마구치 2구 →) (야마구치 2구 →) 비례 주고쿠 블록 당선 횟수: 8회 임기 시작: 1979년10월 7일 - 2000년6월 2일 임기 종료: 2003년11월 9일 - 2005년8월 8일 |
참의원 의원 | 선거구: 전국구 당선 횟수: 1회 임기 시작: 1974년7월 8일 임기 종료: 1979년9월 16일 |
2. 약력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 대학을 졸업하고 JFE 엔지니어링(JFEエンジニアリング, 구 일본강관 주식회사)에 입사했다. 1974년 제10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전국구에서 첫 당선되었으며, 오키나와 개발청 정무차관을 역임했다.[4] 1979년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중의원 의원에 첫 당선되었다.
2008년 중화민국 총통 천수이볜에게 일화의원간담회(日華議員懇談会) 전 회장으로서 일본과 타이완의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적으로 히라누마 다케오와 함께 대수경성훈장(大綬景星勲章)을 수여받았다.[6]
1997년 1월 기자 회견에서 "발전, 송전 사업의 분리는 금기시되어 왔지만, 충분히 연구해야 할 분야다"라고 전력 업계의 경쟁 정책에 관해 발언하여, 전력 자유화 흐름을 시작하는 데 기여하였다.[4]
2005년 우정 국회의 우정 민영화 법안 표결에 결석했다.[13]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 1996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야마구치현 제2구에 출마해 당선되었으나, 2000년과 2003년 중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에게 연이어 패배했다. 2003년 총선거에서는 비례 주고쿠 블록으로 부활 당선되었다.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13] 2016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3. 정계 은퇴 후
2009년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위치한 사저에서 오키나와 반환과 관련, 사토 에이사쿠와 리처드 닉슨 간의 비밀 합의서를 공개하였다. 이 합의서는 유사시 미군이 오키나와에 핵무기를 비핵 3원칙[13]에 위반하여 반입하는 것을 용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7]
4. 정책 및 활동
타이완 고속철도와 관련하여 일본 신칸센 방식의 채택에 노력하여, 일본 연합 수주에 공헌하였다.
5. 비판 및 논란
2009년 도쿄도 세타가야구에 위치한 사저에 보관하고 있던, 오키나와 반환에 있어 유사시 미국군이 오키나와에 핵무기를 비핵 3원칙[13]에 위반해 반입하는 것을 용인하는 사토 에이사쿠와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의 비밀 합의서를 공개하였다.
6. 수상
7. 가족 및 친족
- 아버지: 사토 에이사쿠 (일본의 제61·62·63대 내각총리대신, 재임 기간: 1964년 11월 ~ 1972년 7월)[4]
- 어머니: 사토 히로코 (마쓰오카 요스케 외무대신의 조카)
- 형: 사토 류타로 (JR 서일본 이사 등을 역임)
- 큰아버지: 기시 노부스케 (일본의 제56·57대 내각총리대신, 재임 기간: 1957년 2월 ~ 1960년 7월)[4]
- 아내: 와코 (도쿄 가스 회장 안자이 히로시의 장녀)
- 딸: 미카 (전 니혼 TV 방송망 보도 기자, 아다치 마사시의 아내)[12]
- 사위: 아다치 마사시 (공설 비서·참의원 의원)
- 사촌: 기시 노부카즈 (기시 노부스케의 장남, 세이부 석유 회장)
- 사촌 누이: 아베 요코 (기시 노부스케의 장녀, 아베 신타로의 아내, 아베 신조·기시 노부오의 어머니)
8. 계보
佐藤家|사토 가일본어 ([http://www2.harimaya.com/sengoku/html/sato_sin.html 사토 씨 계보(무가 가전)])[4][5]
```
메이지 천황 | ||
다이쇼 천황 | ||
쇼와 천황 | 아키히토 상왕 | |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 | 히타치노미야 마사히토 친왕 | |
아소 다카키치 | 아키코 여왕 | |
요코 여왕 | ||
아소 다로 | ||
요시다 시게루 | 와코 | |
사쿠라코 | ||
요시다 쇼사쿠 | 요시다 히로시 | |
사토 마쓰스케 | 사와 | |
히로코(에이사쿠의 부인) | ||
마사코 | ||
후지에다 | ||
마쓰오카 요스케 | ||
사토 노부타카 | ||
사토 노부타츠 | ||
사토 노부히로 | ||
사토 노부히코 | 사토 간조 | |
(이케가미) | ||
사토 사쿠조 | ||
시게요 | 아베 신타로 | |
사토 이치로 | 아베 신조 | |
기시 슈스케 | ||
기시 노부스케 | 요코 | |
기시 요조 | 사토 에이사쿠 | 사토 류타로 |
사토 에이지 | ||
사토 신지 | ||
기시 노부마사 | 료코 (노부스케의 부인) | |
안자이 히로시 | 와코 |
참조
[1]
뉴스
佐藤信二・元通産相が死去…84歳
https://web.archive.[...]
2016-05-04
[2]
웹사이트
佐藤信二氏が死去 元通産相 栄作元首相の次男 84歳
https://www.hiroshim[...]
中国新聞社
2024-03-11
[3]
뉴스
佐藤信二氏が死去 元通産相、栄作元首相の次男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0-02-12
[4]
뉴스
青鉛筆
朝日新聞
1972-05-18
[5]
뉴스
収録 79総選挙 二世と母
朝日新聞
1979-09-18
[6]
웹사이트
陳総統が日華懇の佐藤元会長および平沼会長に「大綬景星勲章」を授与
http://www.taiwanemb[...]
台北駐日経済文化代表処
2015-04-29
[7]
뉴스
核密約文書を保管 「合意議事録」 佐藤元首相の遺族
http://www.hiroshima[...]
ヒロシマ平和メディアセンター
2015-04-29
[8]
웹사이트
佐藤信二・元通産相が死去 佐藤栄作元首相の次男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10-29
[9]
웹사이트
佐藤信二氏が死去 元通産相 栄作元首相の次男 84歳
https://www.hiroshim[...]
2023-01-17
[10]
뉴스
故佐藤信二氏に正三位 運輸相など歴任
https://www.nikkei.c[...]
[11]
간행물
官報
2016-06-13
[12]
서적
昭和最後の日 テレビ報道は何を伝えたのか
신조샤
2015-08
[13]
문서
사토 에이사쿠는 일본 내각총리대신 퇴임 후인 1974년, "핵무기를 만들지도, 갖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라는 비핵 3원칙을 내세운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