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삼위일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삼위일체를 세 개의 개별적인 의지를 가진 존재들로 구성된 사회나 공동체로 보는 신학적 관점이다. 이는 니케아 신조와 같이 '기원의 영원한 관계'를 통해 삼위일체를 정의하는 전통적인 삼위일체론과 구별된다.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세 위격의 개별성과 상호 관계, 사랑의 관계를 강조하며, 때로는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를 붕괴시키고, 사회 이론의 패러다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관점은 동방 정교회의 위파스타시스 개념과 관계적 존재론을 기반으로 하며,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와 같은 학자들은 각 위격이 고유한 의식과 의지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또한,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삼위일체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신성한 본질을 공유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 본질을 성부, 성자, 성령 간의 사랑의 관계로 해석한다.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니케아 기독교의 삼위일체론과 몇 가지 점에서 구별된다.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삼위일체를 구성하는 세 위격의 개별성과 상호 관계를 강조하는 반면, 니케아 삼위일체론은 성부, 성자, 성령의 본질적 일치를 강조한다.[11]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하느님이 세 위격(히포스타시스)으로 존재한다고 본다.
2. 니케아 삼위일체론과의 구별
매튜 바렛은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출발점이 세 위격에 있으며, 삼위일체가 주로 '기원의 영원한 관계'에 의해 정의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는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삼위일체를 인간 사회와 유사한 공동체로 재정의하고, 위격들을 세 개의 의식/의지의 중심점으로 재정의하며, 위격들을 그들의 '관계'(상호성, 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라 재정의하고, 통일성을 위격들 간의 사랑의 인격적 관계로 재정의한다(페리코레시스 재정의)고 설명했다.
2. 1. 종속설 논쟁
일부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성부, 성자, 성령을 서로에게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세 개의 뚜렷한 의지를 가진 존재로 보는데, 이는 종속설과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는다.[11] 니케아 신조는 성자가 아버지와 동일한 본질이며 영원하다고 고백하며, 영원한 생성과 같은 '기원의 영원한 관계'를 통해 삼위일체를 정의한다. 따라서 성자는 아버지에게 종속되지 않으며, 이들의 관계는 성자가 아버지에게 복종하는 인간 사회와는 다르다. 삼위일체의 세 위격은 모두 하나님의 동일한 존재와 의지를 나타내므로, 성자가 아버지에게 복종해야 할 의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의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종속설과 함께 니케아 정통주의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매튜 바렛은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세 위격의 개별성, 상호 관계, 그리고 사랑의 관계를 강조하며,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를 붕괴시키고, 사회 이론(교회론, 정치, 젠더)의 패러다임으로 사용된다고 보았다.
2. 2. 니케아 신경의 정의
니케아 신조는 성자가 ''아버지와 동일 본질''[11](다시 말해, 아버지와 동등 본질이며 영원)이라고 고백함으로써 성자의 영원한 생성과 같은 '기원의 영원한 관계'에 의해 삼위일체를 정의한다. 성자는 아버지에게 종속되지 않으며, 그들의 관계는 성자가 아버지에게 복종하는 인간 사회와 유사하지 않다. 이는 종속설과 함께 니케아 정통주의에서는 불가능한데, 삼위일체의 세 위격 모두가 하나님의 동일한 존재와 의지의 이미지로 간주되므로, 성자가 아버지에게 복종해야 할 의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 이미지로 나타나는 하나의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3. 세 위격
3. 1. 위파스타시스 (개별 실체)
정교회 신학은 유일하신 하느님이 세 '위격'(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라틴 서방에서 사용됨)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12]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사고는 세 위격이 각각 별개의 실체라고 주장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니케아 공의회 이후 동방에서 그리스어 용어 '위파스타시스'로 제시되었다. 여기서 위파스타시스는 존재의 특정 개별 사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따라서 삼위일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세 개의 별개의 '위격' 또는 '위파스타시스'로 구성된다. 카파도키아 교부들은 삼위일체의 관계적 성격을 설명하는 전통적인 교리들을 요약했다. 즉, 성부는 성자를 낳음으로써 성부이고, 마찬가지로 성자는 낳아졌기 때문에 성자이다. 이 두 위파스타시스는 먼저 개별 실체로서 정체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통해 그 자체를 이루는 것이다. 존 지지울라스는 삼위일체 신학에서 이러한 강조점을 가장 잘 알려진 현대 옹호자일 것이며, 그는 이를 관계적 존재론이라고 부른다.[13]
3. 2. 관계적 존재론
존 지지울라스를 포함한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많은 옹호자들은 인간 관계를 통해 관계적 존재론을 설명하며, 현대 개인주의를 비판한다. 이들은 개인의 정체성과 자아가 관계에 의해 깊이 구성되며, 관계가 없다면 그 사람은 동일한 사람이 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한다. 즉, 관계는 존재론적으로 사람보다 먼저 존재한다(반드시 시간적으로 앞서는 것은 아님).[14]
3. 3.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의 견해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는 자신을 "활력적인 사회적 삼위일체론자"라고 밝히며, 세 위격 모두가 고유한 의식과 의지의 중심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그는 의지를 본성 대신 위파스타시스의 속성으로 보기 때문에, 단의설 교리를 가르친다.[15]
4. 단일 본질
삼위일체의 세 위격은 세 명의 별개의 신으로 혼동되어서는 안 되며, '삼위일체'라는 이름 자체가 이를 막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삼위일체는 삼위일체성(트리-유니티, 처음에는 테르툴리아누스에 의해 개략적으로 설명됨)을 의미한다. 세 위격/개체(hypostases)는 모두 하나의 신성한 본성, 즉 그들의 본질("우시아"(ousia, 희랍어))을 가진다.
4. 1. 우시아와 히포스타시스의 분리
삼위일체 발전 과정에서 희랍어 용어 ''우시아''와 ''개체(hypostasis)''는 완전히 분리되었다. 니케아 공의회 이전에는 이 용어들이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이 하나의 본질을 성부, 성자, 성령 사이의 사랑의 관계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관계는 인간의 사랑 관계에 비유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것은 완전한 연합이며, 세 개의 개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존재론적 구성 자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삼위일체 위격들의 ''상호 내주(perichoresis)''라는 개념은 이 더 큰 연합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인용되었다.[1]4. 2. 상호 내주 (페리코레시스)
삼위일체의 위격(位格)들의 ''상호 내주(페리코레시스)''[1] 개념은 이 더 큰 연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 3. 동방과 서방 전통의 차이
카파도키아 교부들은 세 위격에서 시작하여 연합의 의미를 전개하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테르툴리아누스의 라틴 전통을 따라 연합에서 시작하여 세 개의 별개의 위격을 전개했다(심리학적 비유를 따라). 동방과 서방의 전통 모두 3 또는 1이 다른 것보다 존재론적으로 우선한다고 보지 않는다. 셋은 항상 하나 안에서 연합되고 하나에 의해 구성되며, 하나는 항상 셋 안에서 표현된다.[16]참조
[1]
간행물
Perichoresis and Projection: Problems with the Social Doctrine of the Trinity
http://www.theologyp[...]
New Blackfriars
2000-10-01
[2]
서적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Wm. B. Eerdmans Publishing
[3]
웹사이트
Against Eunomius
http://www.ccel.org/[...]
[4]
서적
The Trinity and the Kingdom: The Doctrine of God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5]
서적
After Our Likeness: The Church as the Image of the Tri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6]
서적
She Who Is: The Mystery of God in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https://books.googl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7]
서적
Trinit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8]
서적
Being as Communion: Studies in Personhood and the Church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9]
웹사이트
A Formulation and Defens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ttps://www.reasonab[...]
2024-10-25
[10]
서적
Simply Trinity: The Unmanipulated Father, Son, and Spirit
Baker Books
[11]
웹사이트
Nicene Creed
https://www.crcna.or[...]
2024-08-19
[12]
서적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Wiley-Blackwell
[13]
서적
Being as Communion
St. Vladimir's Press
[14]
서적
God as Communion
The Liturgical Press
[15]
웹사이트
Monothelitism and the Trinity
https://www.reasonab[...]
2024-10-25
[16]
서적
God For us
Harper San Francisco
[17]
간행물
Perichoresis and Projection: Problems with the Social Doctrine of the Trinity
http://www.theologyp[...]
New Blackfriars
2000-10-01
[18]
서적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Wm. B. Eerdmans Publishing
[19]
웹사이트
Against Eunomius
http://www.ccel.org/[...]
[20]
서적
The Trinity and the Kingdom: The Doctrine of God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1]
서적
After Our Likeness: The Church as the Image of the Tri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2]
서적
She Who Is: The Mystery of God in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https://books.googl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23]
서적
Trinit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24]
서적
Being as Communion: Studies in Personhood and the Church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