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울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울림은 김창완, 김창훈, 김창익 삼형제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1977년 데뷔 앨범 《산울림 새노래 모음》을 발표하며 한국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1977년부터 1997년까지 13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활발하게 활동하며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너의 의미' 등의 히트곡을 남겼다. 2008년 멤버 김창익의 사망으로 해체되었으며, 이후 김창완은 김창완 밴드로, 김창훈은 김창훈과 블랙스톤즈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울림 - 김창완
    1954년 서울 출생인 김창완은 서울대학교 졸업 후 1977년 록 밴드 산울림을 결성하여 가수로 데뷔, 음악 활동과 더불어 배우, 라디오 DJ, 저술 활동 등 한국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산울림 - 77 99 22
    77 99 22는 김종서, 자우림, 윤도현 밴드, 델리스파이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산울림의 곡들을 리메이크한 1996년 발매 옴니버스 음반으로, 각 곡마다 아티스트들의 개성이 드러나는 편곡과 해석이 특징이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밴드 - 여행스케치
    여행스케치는 1989년 결성된 대한민국의 포크 듀오로, 초기 10명 혼성그룹에서 9장의 앨범을 발표하고 2003년부터 조병석, 남준봉 2인 체제로 활동하며 다양한 뮤지션과 협업, 30주년 기념 콘서트 개최 등 30년 이상 음악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밴드 - 악퉁
    악퉁은 추승엽, 장세환, 김엘리사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밴드로서, 2008년 첫 앨범 발매 후 꾸준히 활동하며 다양한 음반 참여 및 아티스트 협업, 공연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MBC 대학가요제 참가자 - 원미연
    원미연은 1985년 《MBC 대학가요제》를 통해 이름을 알린 후 1989년 가수로 데뷔하여 《이별여행》 등의 곡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배우와 사업가로도 활동한다.
  • MBC 대학가요제 참가자 - 신해철
    신해철은 1988년 무한궤도로 데뷔하여 독보적인 음악적 입지를 구축하고 사회 문제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 '마왕'이라는 별명을 얻은 뮤지션, 방송인이자 사회 운동가였으나, 2014년 의료 과실로 사망하여 신해철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산울림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6년 김창완의 미니 콘서트에서의 김창완
2016년 김창완의 미니 콘서트에서의 김창완
음악가 정보
국적대한민국
출신지대한민국
장르사이키델릭 록
포크 록
펑크 록
뉴 웨이브
팝 록
활동 기간1977년 ~ 2008년
관련 활동김창완 밴드
구성원김창완 (기타, 보컬)
김창훈 (베이스, 보컬)
김창익 (드럼)
레이블서라벌레코드
로엔 엔터테인먼트

2. 역사

산울림은 김창완(1954년생), 김창훈(1956년생), 김창익(1958년–2008년) 삼형제로 구성된 밴드이다. 젠틀 자이언트, 비 지스와 유사하게 형제들로 구성되었다.

세 사람이 대학생 때 결성된 이 밴드는 처음에는 '무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전문적인 활동을 할 의도는 없었다. 김창훈의 또 다른 대학 밴드인 "샌드 페블스"는 "나 어떡해"라는 곡으로 MBC 대학가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무이'는 "문좀 열어줘"라는 곡으로 대상을 수상할 후보였지만, 김창완이 이미 대학교를 졸업했기 때문에 자격이 되지 않았다.[4]

자신감을 얻은 밴드는 음반 기획사를 찾았고, 새 매니저의 요구에 따라 밴드 이름을 '산울림'으로 변경했다. 1977년 12월 첫 앨범 《vol.1 아니벌써》를 발매했는데, 이는 한국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비평적으로나 상업적으로 모두 성공을 거두었다. 사람들은 밴드가 만들어낸 사이키델릭/하드 록 사운드에 매료되었다. 산울림의 등장은 1970년대 중반, 여러 주요 음악가들이 대마초 소지 혐의로 체포된 후 초토화된 한국 음악계를 활성화시켰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5]

1977년부터 1984년까지 10개 이상의 앨범을 발매하고 다른 음악가들을 도왔다. 1990년대의 K팝 회고 열풍과 함께, 그들의 모든 앨범이 재발매되었고 트리뷰트 앨범이 발매되었다. 산울림은 30주년을 기념하여 2007년 7월 5일과 2007년 7월 6일 서울에서 공연을 가졌으며, 같은 해 vol. 14 앨범을 발매할 계획이었다.

2008년 1월 29일, 드러머 김창익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서 폭설 속에서 지게차를 운전하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6][7] 김창완은 동생의 사망 이후 밴드의 해체를 발표했다.

해체 후, 김창완은 음악가, 배우, 작가, 방송 연예인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한국 드라마 《하얀 거탑》에서 악역 중 한 명으로 출연했으며, 로맨틱 코미디 《커피프린스 1호점》에서 조연을 맡았다. 김창훈은 가족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6]

2. 1. 데뷔 전 (1954-1977)

김창완은 1954년, 김창훈은 1956년, 김창익은 1958년에 태어났다. 삼형제의 아버지는 미8군 군속 설계사였고, 어머니는 장은성 씨였다. 어릴 적 가정환경은 부모의 불화로 좋지 못했다.[22]

김창완은 서울대학교 농대 잠사학과, 김창훈은 같은 대학 식품공학과에 입학했고, 김창익은 고려대학교 공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했다.[22]

1970년대 초반 김창완이 대학생이 될 무렵, 삼형제는 음악을 시작했다. 이들은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드럼을 연주하기 시작했다.[22] 밴드 결성 초기에는 '무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전문적인 활동을 할 의도는 없었다. 김창훈은 '샌드 페블스'라는 대학 밴드에서 활동하며 "나 어떡해"라는 곡으로 MBC 대학가요제에서 대상을 받았다. '무이'는 "문좀 열어줘"로 대학가요제 대상 후보에 올랐지만, 김창완이 이미 대학교를 졸업했기 때문에 참가 자격을 얻지 못했다.[4] 이후 자신감을 얻은 밴드는 음반 기획사를 찾았고, 새 매니저의 요구에 따라 밴드 이름을 '산울림'으로 변경했다.

2. 2. 결성과 초기 활동 (1973-1979)

산울림은 1973년경 맏형 김창완이 500원짜리 어쿠스틱 기타를 사서 작곡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23] 둘째 김창훈이 대학에 들어간 기념으로 부모님이 약속한 피아노 대신 드럼을 요구하여 세 형제가 취미로 밴드 연주를 하게 되었다. 김창완이 대부분의 곡을 만들었지만 김창훈도 곡을 썼다. 이 시기에 많은 곡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거의 1년마다 산울림의 정규 앨범을 발표할 수 있었다.[22]

1977년 제1회 MBC 대학가요제에 무이(無異)라는 이름으로 〈문좀 열어줘〉라는 곡으로 예선에 참가하여 1등을 했지만, 맏형 김창완이 이미 졸업한 상태였기 때문에 본선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샌드 페블즈의 〈나 어떡해〉는 둘째 김창훈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산울림 2집에 다시 리메이크되어 실렸다. 같은 해 대학을 졸업하면서 그동안 작곡했던 150여 곡을 정리하는 기분으로 앨범 한 장을 내기로 했다. 우여곡절 끝에 레코드 회사에서 녹음을 허락했고, 녹음 당일 취직시험이 있던 김창완은 과감히 녹음을 선택했다.[25] 그렇게 제작된 《산울림 새노래 모음》(1977)은 이듬해인 1978년 겨울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24]

1978년 5월에는 2집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를 발표하여 록의 진정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앨범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노래 불러요〉, 〈둘이서〉, 〈나 어떡해〉 등이 크게 히트했다. 이 음반은 산울림의 사이키델릭한 음악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70년대 후반 암울했던 가요계에 혜성처럼 등장한 산울림의 걸작으로 꼽힌다.

1978년 7월에는 라디오 주제가 〈빨간 풍선〉이 옴니버스 앨범으로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으며 인기 그룹으로 자리 잡았다. 1978년 11월에는 김창훈의 위악적인 보컬과 거친 퍼즈 기타 톤이 강렬한 〈내 마음〉, 한국 가요 역사상 전무후무한 18분짜리 싸이키델릭 곡인 〈그대는 이미 나〉 등이 수록된 실험적인 3집을 발표했지만 대중의 외면을 받았다. 1979년에는 상업적인 모습을 반성하며 동요 1집 《개구장이》를 발표했고, 이 역시 크게 히트하여 국민 동요로 자리매김했다. 1979년 김창훈, 김창익 두 동생이 군에 입대하면서 맏형 김창완은 홀로 남아 산울림의 드라마, 영화 음악 모음집인 4집과 형제가 군 복무 중에 녹음한 5집을 발표했지만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2. 3. 후기 활동과 해체 (1980-2008)

1980년 김창완은 '고장난 우주선'이라는 세션들과 함께 6집을 녹음해 발표했다. 여기에는 1979년 노고지리가 불러 히트한 '찻잔'이 어쿠스틱 버전으로, 1978년 히트곡 '빨간 풍선'도 다시 실렸다. 이 앨범에서 한동안 한국에서 가장 긴 노래 제목이었던 '창문너머 어렴풋이 옛생각이 나겠지요'가 크게 히트했다.[4]

1981년 두 동생이 제대하면서 7집 '가지마오'를 발표했다. '가지마오', '먼 나라 이야기', '하얀 달', '끊이지 않는 소리' 등은 산울림 중기를 대표하는 노래가 되었고, '독백', '하얀 밤', '청춘' 등은 이후 산울림의 다양한 시도에 밑거름이 된 곡들이다. '가지마오', '청춘', '독백'이 크게 히트했고, 1981년 KBS 가요대상 중창 부문을 수상했다. 1982년 8집에서는 <내게 사랑은 너무 써>와 <회상>이 크게 히트했지만, 김창완은 상업적인 8집을 가장 싫어한다고 했다. 이러한 반성으로 시작된 9집은 3집과 함께 가장 록적인 앨범으로 평가받지만, 대중의 외면을 받았다. 경제적인 이유로 김창훈, 김창익 두 형제는 가수 활동을 그만두고 직장을 구했다.[4]

김창완은 독집 '기타가 있는 수필'을 발표하고, 1984년에는 세션들과 산울림 10집 '너의 의미'를 발표해 히트시켰다. 11집 '슬픈 장난감'은 새로운 음악 형식을 도입하여 앞면에는 발라드, 뒷면에는 뉴웨이브, 디스코 사운드의 곡들을 수록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 김창완은 이 시기부터 드라마 출연, 드라마 음악 제작, 후배 가수 지원 등을 통해 이치현과 벗님들, 어금니와 송곳니, 동물원, 장기하와 얼굴들 등의 아티스트들을 배출했다. 1991년 12집 'Adajio'를 발표했지만, 이전 산울림 음악과는 완전히 다른 포근한 분위기의 곡들로 채워져 실패를 겪었다. 이후 빅쇼, 락 인더 코리아, 문막공연 등을 통해 재결합한 형제는 1997년 산울림 13집을 발표, '기타로 오토바이를 타자'가 좋은 반응을 얻었다. 2006년 30주년 공연 등 재결합하여 14집을 준비하던 중, 2008년 1월 29일 김창익이 캐나다 밴쿠버에서 지게차 사고로 사망하면서 밴드는 공식 해체되었다.[4][6][7] 2008년 11월 25일 김창완은 산울림 시절 발매했던 1집 ~ 13집과 산울림 동요 1집 ~ 4집을 모두 엮어 산울림 전집 'The Story of Sanullim - Complete Studio Recordings'를 발매하였다.[4]

현재 김창완김창완밴드로, 김창훈은 김창훈과 블랙스톤즈를 만들어 각자 활동하고 있다.[4]

2. 4. 해체 이후 (2008-현재)

2008년 1월 29일, 드러머 김창익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서 폭설 속에서 지게차를 운전하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6][7] 김창완은 동생의 사망 이후 밴드의 해체를 발표했다.

해체 후, 김창완은 음악가, 배우, 작가, 방송 연예인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한국 드라마 《하얀 거탑》에서 악역 중 한 명으로 출연했으며, 로맨틱 코미디 《커피프린스 1호점》에서 조연을 맡았다. 김창훈은 가족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6]

3. 음악 스타일

김창완은 1968년 중앙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1975년 군 제대 시기까지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CCR), 아이언 버터플라이 등 외국 록이나 팝에 심취했었다. 국내 가수 중에는 신중현, 김추자, 펄 시스터즈의 노래를 좋아했다.[25]

4. 평가 및 영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는 "당대에는 높은 창의성에도 불구하고 연주력이 낮다는 이유로 과소평가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1990년대 이후 ‘인디’ 계열의 음악인들로부터 절대적인 추종을 받고 있다."고 설명한다.[26]

5. 구성원



산울림의 세 멤버는 형제 관계로, 젠틀 자이언트, 비 지스와 같은 밴드와 유사하다. 멤버는 김창완(1954년생), 김창훈(1956년생), 김창익(1958년생~2008년)이다.[4]

2008년 1월 29일, 드러머 김창익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서 폭설 속에서 지게차를 운전하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6][7] 김창완은 동생의 사망 이후 밴드의 해체를 발표했다.

해체 후, 김창완은 음악가, 배우, 작가, 방송 연예인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한국 드라마 《하얀 거탑》에서 악역 중 한 명으로 출연했으며, 로맨틱 코미디 《커피프린스 1호점》에서 조연을 맡았다. 김창훈은 가족과 함께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6]

6. 음반 목록

산울림은 정규 음반, 동요 음반, 영화 음악, 컴필레이션 음반 등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1999년에는 후배 가수들이 산울림 헌정 앨범 '77 99 22'를 발매하기도 했다.

6. 1. 정규 음반

제목발매일
산울림 새노래 모음1977년 12월 15일[8]
산울림 2집1978년 5월 10일[9]
산울림 3집1978년 11월 1일[10]
특급 열차/우리강산1979년 4월 15일[11]
한낮의 모래시계/이렇게 갑자기1979년 9월 20일[12]
조금만 기다려요/어느 비내리던 날1980년 5월 5일[13]
가지마오/하얀달/청춘1981년 8월 1일[14]
새야 날아/내게 사랑은 너무 써1982년 3월 25일[15]
웃는 모습으로 간직하고 싶어/멀어져간 여자1983년 1월 10일[16]
너의 의미/지금 나보다/꿈이야 생각하며 잊어줘1984년 7월 20일[17]
그대 떠나는 날 비가 오는가?/슬픈 장난감1986년 9월 10일[18]
아다지오/꿈꾸는 공원/추억1991년 7월 1일[19]
무지개/기타로 오토바이를 타자1997년 1월[20]


6. 2. 동요 음반

음반명발매일
어린이에게 보내는 산울림의 동요선물 1집 - 개구쟁이1978년
어린이에게 보내는 산울림의 동요선물 2집 - 산할아버지1981년
어린이에게 보내는 산울림의 동요선물 3집 - 이게 웬 긴 꼬리냐/엄마품1982년
동심의 노래1984년


6. 3. 영화

제목연도
내일 또 내일1979년
슈퍼 삼총사1982년
이티 이야기1983년


6. 4. 컴필레이션 음반

음반명발매일
산울림 록사운드1982년
산울림 러브사운드1982년
산울림 Rock World1983년
산울림 사랑의 발라드1983년
산울림 Great hits 1~41987년
초록색대문1998년
하늘색 꽃병1998년
산울림 다시듣기 '청춘, 위로, 추억'2005년
Evening Breeze2024년



이 외에도 10개 이상의 컴필레이션 앨범이 발매되었고, 후배 가수들이 1999년에 산울림 헌정 앨범인 '77 99 22'를 발매하기도 하였다.

7. 수상


  • 1978년 TBC 가요대상 중창부문
  • 1981년 KBS 가요대상 중창부문
  • 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공로상[21]

참조

[1] 웹사이트 Sanullim (산울림) http://world.kbs.co.[...] 2018-01-04
[2] 웹사이트 산울림 http://www.mnet.com/[...] 2018-01-04
[3] 서적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Rocking 70's-Resurrection of Korean Rock http://www.arirang.c[...] 2014-01-20
[5] 웹사이트 Sanullim (산울림) http://world.kbs.co.[...] 2014-11-10
[6] 웹사이트 Rocker Brothers' Youngest Passes Away in Canada https://www.koreatim[...] 2008-01-30
[7] 웹사이트 Kim quick to lead charity concerts http://www.koreahera[...] 2011-03-17
[8] 웹사이트 산울림 새노래 모음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9] 웹사이트 산울림 제2집 -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0] 웹사이트 내 마음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1] 웹사이트 특급열차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2] 웹사이트 한낮의 모래시계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3] 웹사이트 조금만 기다려요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4] 웹사이트 가지마오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5] 웹사이트 새야 날아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6] 웹사이트 웃는 모습으로 간직하고 싶어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7] 웹사이트 너의 의미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8] 웹사이트 그대 떠나는 날 비가 오는가?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19] 웹사이트 꿈꾸는 공원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20] 웹사이트 무지개 - 산울림 http://www.melon.com[...] 2022-10-21
[21] 뉴스 장기하-언니네이발관, 한국대중음악상 3관왕 http://www.vop.co.kr[...] 2009-03-13
[22] 웹인용 “아니, 김창완 아저씨가 정말 가수였어요?” - 청년 스피릿 <산울림> http://ch.yes24.com/[...] 이즘 2016-01-18
[23] 뉴스 "[대중음악가 열전] 2. '아트버스터' 산울림과 김창완" http://news20.busan.[...] 2016-03-25
[24] 문서
[25] 뉴스 "[추억의 LP 여행] 산울림(上)" http://weekly.hankoo[...] 2004-03-04
[26] 웹인용 산울림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