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니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니움은 이탈리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대 지역으로, 그 이름은 사비니족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니움은 아펜니노 산맥 지역을 중심으로 라티움, 루카니아, 캄파니아, 아풀리아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보비아눔, 베네벤툼 등 주요 도시를 포함했다. 삼니움인들은 기원전 354년 로마와 조약을 맺었으나, 삼니움 전쟁을 통해 로마와 대립했다. 이후 피로스 전쟁과 포에니 전쟁, 사회 전쟁을 거치며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술라의 내전에서 패배한 후 쇠퇴하여 로마에 동화되었다. 삼니움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가이우스 폰티우스, 겔리우스 에그나티우스 등이 있으며, 본시오 빌라도, 교황 펠릭스 4세 등도 삼니움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적 지역 - 하이집트
하이집트는 고대 이집트의 북쪽 지역으로 나일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지중해와 인접하여 상이집트보다 온화한 기후를 가졌고, 선왕조 시대 여러 왕들이 존재했으나 상이집트의 나르메르 왕에 의해 통일되어 20개의 노메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 역사적 지역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삼니움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국가 | 고대 로마 |
위치 | 남부 이탈리아 |
중심지 | 보비아눔 (Bovianum, 현재의 보이아노) 말벤툼 (Maleventum, 현재의 베네벤토) |
주요 민족 | 삼니움족 |
역사 | |
기원 | 기원전 600년경 |
로마와의 전쟁 | 삼니움 전쟁 |
로마에 합병 | 기원전 290년경 |
문화 | |
언어 | 오스크어 |
종교 | 고대 로마 종교와 유사한 토착 신앙 |
지리 | |
주요 산맥 | 아펜니노 삼니타 (Appennino Sannita) |
주요 강 | 볼투르노강 (Volturno) 칼로레 이르피노강 (Calore Irpino) |
로마자 표기 | |
라틴어 | Samnium |
이탈리아어 | Sannio |
2. 어원
어원적으로 삼니움(Samnium)이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움브리아인인 사비니족의 이름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5] 사피님(Safinim), 사비누스(Sabinus), 사벨루스(Sabellus), 삼니스(Samnis)에서 인도유럽어 뿌리인 *sabh-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라틴-팔리스크어에서는 Sab-로, 오스크-움브리아어에서는 Saf-로 나타난다. 즉, Sabini와 *Safineis이다. 사비니족의 수호신인 사부스(Sabus)는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어 용어인 사우니타이(Saunitai)와 사우니티스(Saunitis)는 이 그룹에 속하지 않으며, 그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삼니움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54년 로마와 맺은 조약으로, 이는 그들의 국경을 리리스 강으로 정했다. 그 직후 삼니움 전쟁이 발발했다. 그들은 기원전 321년 로마 군대와의 중요한 전투에서 승리했고, 추가적인 로마로부터의 승리를 통해 기원전 316년에 그들의 ''제국''(imperium)은 절정에 달했다. 기원전 290년경, 로마는 몇 차례의 격렬한 전투 끝에 삼니움인의 세력을 꺾을 수 있었다.
선사 시대 어느 시점에서,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삼니움과 움브리아에 걸쳐 존재했다. 샐먼(Salmon)은 이를 공통 이탈리아어라고 추정하며 기원전 600년경으로 추정하는데, 이 시점 이후 공통 언어는 방언으로 분화되기 시작했다.
언어학자 율리우스 포르코니는 어원을 더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a-가 일리리아에서 선사 시대에 거주하면서 -o-에서 변형되었다고 추측하며, 이 이름들을 소유 형용사의 확장된 e-등급인 *swe-bho-에서 파생된 o-등급 확장인 *swo-bho-에서 파생하는데, 이 *swe-bho-는 재귀 대명사 *se- ("자신")에서 파생된 것이다. 그 결과는 인도유럽 부족 이름의 집합이 나타나는데, 게르만족 수에비와 셈노네스, 수이오네스, 켈트족 세노네스, 슬라브족 세르비아인과 소르브인, 이탈리아족 사벨리, 사비니 등이 있으며, 수많은 친족 용어들도 포함한다. 일반적인 개념은 "우리 자신의 친족"이다.[6]
3. 역사 지리
삼니움은 대부분 아펜니노 산맥 지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북쪽으로는 라티움, 남쪽으로는 루카니아, 서쪽으로는 캄파니아, 동쪽으로는 아풀리아에 의해 경계가 정해졌다. 이 지역의 주요 도시로는 라틴인에 의해 ''Bovianum(보비아눔)''으로 이름이 바뀐 ''Bovaiamom'' (오늘날: 보야노)와 오스크어로 ''Maleventum'' (''Maloenton'') 이 있었으며, 나중에 로마인에 의해 ''Beneventum''(베네벤툼) (오늘날: 베네벤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삼니움은 역사의 대부분 동안 내륙 지역이었지만, 짧은 기간 동안 이탈리아 반도의 양쪽 해안 일부를 통제했다.
삼니움은 적어도 4개의 부족으로 구성되었다. 펜트리 (수도: ''Bovianum(보비아눔)''), 카라체니 (주요 도시: ''Cluviae'', 현대의 카솔리, 그리고 ''Juvanum'', 그 유적은 토리체라 펠리냐와 몬테네로도모 사이에 흩어져 있음), 카우디니 (수도: ''Caudium'', 오늘날 몬테사르키오) 및 히르피니 (주요 도시: ''Beneventum'', ''Abellinum'', ''Aquilonia''). 그들은 나중에 프렌타니 (수도 ''Larinum'', 현대의 라리노)에 의해 합류되었을 수도 있다.
4. 역사
삼니움인들은 피로스 왕(에피루스의)과 피로스 전쟁 동안 동맹을 맺은 이탈리아 민족 중 하나였다. 피로스가 시칠리아로 떠난 후, 로마는 삼니움을 침략했고 크라니타 언덕 전투에서 참패했지만, 피로스의 패배 이후 삼니움인들은 스스로 저항할 수 없었고 로마에 항복했다. 일부 삼니움인들은 제2차 포에니 전쟁 동안 한니발에 합류하여 그를 도왔지만, 대부분은 충성을 유지했다. 삼니움인들과 여러 다른 이탈리아 민족들은 로마가 그들에게 로마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자 사회 전쟁 (기원전 91–87년)을 시작했다. 이 전쟁은 거의 3년 동안 지속되었고, 로마의 승리로 끝났다. 그러나 또 다른 전쟁을 피하기 위해 삼니움인들과 다른 이탈리아 부족들에게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삼니움인들은 내전에서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에 대항하여 포풀라레스를 지지했지만, 불행하게도 술라가 전쟁에서 승리했고 로마의 독재자로 선포되었다. 술라는 자신에게 반대하는 모든 사람들을 처벌하라고 명령했다. 로마와 이탈리아 전역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잔혹하게 사냥당하고 살해되었다. 포풀라레스의 가장 두드러진 지지자 중 하나였던 삼니움인들은 너무 심하게 처벌받아 "그들의 도시 중 일부는 이제 마을로 쇠퇴했고, 일부는 실제로 완전히 버려졌다"고 기록되었다. 삼니움인들은 이 이후 역사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지 못했고, 결국 라틴화되어 로마 세계에 동화되었다.
5. 주요 인물
5. 1. 삼니움 통치자
5. 2. 술라에 대한 반란 주동자
가이우스 파피우스 무틸루스는 기원전 90년부터 89년까지 활동한 인물이다. 폰티우스 텔레시누스는 파피우스 휘하의 삼니움 사령관이었다.
5. 3. 로마 시민
본시오 빌라도는 서기 26년부터 36년까지 로마 제국 유다이아 속주의 5대 총독이었다.
5. 4. 가톨릭 교황
6. 검투사
참조
[1]
서적
[2]
서적
[3]
문서
[4]
문서
[5]
서적
[6]
간행물
[7]
문서
Geography
[8]
서적
Samnium and the Samni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