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마 폼필리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기원전 715년에 로마 원로원에 의해 선출되었다. 그는 평화와 종교 개혁을 추구하며,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다양한 사회 정책을 시행했다. 특히 야누스 신전 건립과 로마력 개혁이 대표적인 업적으로 꼽힌다. 그는 로마인들에게 지혜와 경건함으로 칭송받았으며, 4대 로마 왕인 안쿠스 마르키우스는 그의 손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국왕 - 로물루스
로물루스는 로마 건국 신화의 중심이자 전설적인 초대 왕으로, 쌍둥이 형제 레무스와 함께 로마 건설, 통치, 신화적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로마 국왕 -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로마 왕정 시대의 여섯 번째 왕으로, 영토 확장과 켄투리아 집회 설립 등 로마 사회의 체제를 변화시키는 개혁을 추진했으나, 사위인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에게 암살당했다. - 로마 왕국 - 라티누스
라티누스는 로마와 그리스 신화에서 라틴족의 시조이자 라티움의 왕으로, 신통기에서는 오디세우스와 키르케의 아들, 아이네이스에서는 아이네이아스에게 딸을 주어 로마 건국에 기여한 인물로 묘사되며 라틴 민족의 기원과 정체성을 상징한다. - 로마 왕국 - 렉스
렉스는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왕을 지칭하는 칭호로, 로마 왕국의 로마의 왕, 신성 로마 제국의 로마 왕, 스코틀랜드 왕국의 스코트인의 왕 등 다양한 군주들이 사용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로마 제국
로마 제국은 기원전 27년부터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이어진 고대 로마의 제국 시대로, 팍스 로마나 시대를 거쳐 다민족 국가로 성장했으나 분열과 멸망을 겪었으며, 법, 군사,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누마 폼필리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누마 폼필리우스 |
로마자 표기 | Numa Pompilius |
재위 기간 | 기원전 715년–기원전 672년 |
이전 국왕 | 로물루스 |
다음 국왕 |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타티아 |
자녀 | 폼필리아 |
아버지 | 폼포니우스 |
기타 | |
출생 | 기원전 753년 4월 21일 |
출생지 | 크레스 |
사망 | 기원전 673년 |
2. 생애와 통치
플루타르코스와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 건국(기원전 753년) 후 로물루스가 죽자 로마 원로원은 사비니인 출신 누마 폼필리우스를 새 왕으로 선출하였다. 누마는 철학과 명상을 좋아했으며, 퓌타고라스 학설을 공부했다고 알려졌으나, 리비우스는 연대기적, 지리적 불일치를 들어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56]
누마는 사비니인의 왕 티투스 타티우스의 딸 타티아와 결혼했으나, 왕이 되기 전에는 쿠레스에서 살았다. 타티아가 죽은 후, 그는 뉨페 에게리아와 사랑에 빠져 정치에 대한 조언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누마는 처음에 왕위 제안을 거절했으나, 복점관을 통해 신의 뜻을 확인한 후 왕위에 올랐다. 그는 야누스 신전을 건설하여 전쟁과 평화를 알리는 의식을 행했으며, 뉨페 에게리아에게서 도시의 신성한 의식을 행하는 법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고 한다.[57] 유피테르는 누마에게 방패를 내려 로마의 운명을 예언하게 했고, 누마는 이 방패를 본떠 11개의 방패를 만들어 살리이 사제들이 매년 행진하게 했다.
누마는 폰티펙스 막시무스 직위를 만들고, 플라멘과 베스타 처녀 사제 제도를 정비했다.[58] 또한, 태양력과 태음력을 보정하여 1월과 2월을 추가하는 역법 개혁을 단행했다.[57]
기원전 673년, 누마 폼필리우스는 평화롭게 생을 마감했으며,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그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누마 폼필리우스는 사비니족의 유력자 폼포니우스의 네 아들 가운데 막내로, 로마가 건국된 날(기원전 753년 4월 21일)에 태어났다.[3][52] 그는 엄격한 훈육을 받았으며, 집에는 사치품을 전혀 들여놓을 수 없었다고 한다. 사비니인의 왕이자 로물루스의 친구였던 티투스 타티우스는 자신의 외동딸 타티아를 누마와 혼인시켰다. 혼인한 지 13년 후에 타티아가 죽자 누마는 은거하게 된다.[54] 리비우스에 따르면, 누마는 임금으로 선출되기 직전까지 쿠레스에서 살았다.[4][56]리비우스와 플루타르코스는 누마가 퓌타고라스에게서 철학을 배웠다는 이야기에 대해 연대기적으로나 지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박한다.[4]
플루타르코스는 일부 저자들이 누마에게 외동딸 폼필리아가 있었다고 기록했지만, 다른 저술가들은 누마에게 폼포(또는 폼포니우스)(폼포니우스), 피누스, 칼푸스, 마메르쿠스, 누마 등 다섯 명의 아들이 있었다고 언급했다고 전한다. 이들로부터 각각 폼포니우스 가문, 피나리우스 가문, 칼푸르니우스 가문, 아에밀리우스 가문, 폼필리우스 가문의 귀족 가문이 혈통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플루타르코스는 다른 저술가들이 이것이 가문의 지위를 높이기 위한 허구라고 믿었다고 덧붙였다.[9] 폼필리아의 어머니는 누마의 첫 번째 부인 타티아 혹은 두 번째 부인 루크레티아로 알려져 있으며, 폼필리아는 마르키우스와 혼인하여 미래의 왕인 앙쿠스 마르키우스를 낳았다고 한다.[5][6][7][8]
전설에 따르면 뉨페 에게리아가 누마를 가르쳐 현명한 입법자가 되게 하였다고 한다. 리비우스는 누마가 밤마다 에게리아에게 도시의 신성한 의식 절차에 대해 자문했다고 전한다.[57]
2. 2. 왕위 계승
로물루스가 죽은 후 1년 동안 로마 원로원 의원들이 5일씩 번갈아 가며 왕의 권력을 행사하는 섭정 기간을 가졌다.[10] 기원전 715년, 로마인(로물루스 파)과 사비니인(타티우스 파) 사이에 많은 다툼 끝에 타협이 이루어져, 원로원은 사비니족 출신인 누마를 다음 왕으로 선택했다.[10]플루타르코스와 리비우스에 따르면, 누마는 처음에 왕위 제안을 거절했다. 그는 로물루스의 통치 아래 로마가 여전히 전쟁을 추구하는 국가라고 주장하며, 군대를 이끌 지도자가 필요하며 자신과 같이 경건하고 사색적인 삶을 사는 사람은 필요하지 않다고 하였다.[11] 그러나 그의 아버지와 사비니족 친척들, 그리고 그의 스승과 누마의 사위 마르쿠스의 아버지를 포함하여 로마에서 온 두 명의 원로원 의원으로 구성된 사절단이 그를 설득하여 왕위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누마는 원로원으로부터 쿠레스에서 소환된 후 로마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권력의 상징을 받았지만, 왕위에 오르기 전 점술가에게 신들의 뜻을 물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주피터에게 묻자 징조가 좋다는 응답을 받았다.[56][10] 이렇게 로마와 사비니족 사람들, 그리고 하늘의 승인을 받은 그는 로마의 왕 자리에 올랐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누마의 첫 번째 행동은 로물루스가 자신을 영구적으로 둘러쌌던 300명의 호위병, 소위 켈레스( "빠른 자")를 해산시킨 것이었다. 이는 그들의 충성심에 대한 의심, 누마의 겸손함, 또는 평화와 온건함을 보여주기 위한 행동으로 해석된다.
2. 3. 통치와 사망
누마 폼필리우스는 기원전 673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통치는 평화, 종교 및 제도 개혁으로 특징지어진다.[12][13] 전설에 따르면 뉨페 에게리아가 그에게 현명한 입법자가 되도록 가르쳤다고 한다.[57]그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야누스 신전 건설: 전쟁과 평화를 상징하며, 평화 시에는 문이 닫혀 있었다. 누마의 통치 기간 내내 야누스 신전의 문은 닫혀 있었는데, 이는 그의 평화 정책을 상징한다.[57] 플루타르코스는 누마의 통치 기간 동안 로마뿐 아니라 이탈리아 전역에서 분쟁이 없었고, 길은 안전했으며, 축제와 기념일이 성행했다고 기록했다.[38]
- 종교 개혁: 폰티펙스 막시무스(대신관) 직위를 만들고, 유피테르, 마르스, 퀴리누스의 사제인 플라멘을 설치했다. 베스타 처녀 사제를 알바 롱가에서 로마로 데려왔다.[58]
- 역법 개혁: 태양력과 태음력을 보정하여 1월과 2월을 추가했다.[57]
- 직능별 조직: 상업 및 수공업 종사자들을 직능별 조직으로 분할하여 부족 간의 대립을 없애고자 했다.
누마 폼필리우스는 약 81세의 나이로 자연사했으며, 그의 요청에 따라 화장되지 않고 야니쿨룸 언덕에 묻혔다.[12][13] 그의 뒤를 이어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로마의 왕이 되었다.[12]
3. 종교 개혁
플루타르코스와 리비우스에 따르면,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종교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는 뉨페 에게리아에게 가르침을 받아 현명한 입법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리비우스는 누마가 밤마다 에게리아에게 도시의 신성한 의식을 올바르게 행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고 기록했다.[57]
누마는 유피테르의 호의로 팔라티누스 언덕 하늘에서 떨어진 방패를 얻었다. 이 방패에는 로마 시의 운명이 적혀 있다는 예언이 있었다. 누마는 이 신성한 방패('앙킬라'(ancila))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와 똑같이 생긴 11개의 방패를 만들게 했다. 이 방패들은 살리이 사제들이 해마다 들고 행진했다.[58]
그는 최고 제사장 (폰티펙스 막시무스) 직책을 만들고, 유피테르, 마르스, 퀴리누스의 사제인 플라멘을 임명했다. 또한 알바 롱가에서 베스타 처녀 사제를 로마로 데려왔다.[58] 그는 태양력과 태음력을 보정하여 역법 개혁을 단행하고, 1월과 2월을 추가했다고 전해진다.[57]
3. 1. 종교 제도 정비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종교 제도와 의식을 정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최고 제사장 (폰티펙스 막시무스) 직위를 만들고, 유피테르, 마르스, 퀴리누스를 모시는 플라멘이라는 사제를 설치했다. 또한 알바 롱가에서 베스타 처녀 사제를 로마로 데려왔다.[58]누마는 살리이 사제단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유피테르의 신성한 방패인 '앙킬레'(ancila)를 들고 매년 행진했다. 전설에 따르면 팔라티누스 언덕 하늘 위에서 방패 하나가 떨어졌는데, 여기에는 로마 시의 운명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누마는 이 방패의 중요성을 알고 똑같이 생긴 방패 11개를 더 만들었다.[58] 리비우스에 따르면 누마는 밤마다 에게리아에게서 도시의 신성한 의식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을 놓고 자문을 받았다고 한다.[57]
누마는 경계의 신인 테르미누스 숭배를 통해 로마인들에게 합법적인 재산 존중과 평화로운 관계를 가르치고자 했다. 테르미누스 신은 정의의 증거이자 평화의 수호자로 여겨졌다.[22]
3. 2. 종교 의식과 신앙
리비우스와 디오니시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종교 의식과 신앙 체계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다양한 신들에게 바치는 제물, 제사, 축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마련했다.[27]누마는 특히 희생 의식에서 어떤 제물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날짜와 장소에서 제사를 지내야 하는지, 그리고 그 비용을 어떻게 충당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규정했다. 또한, 공공 및 사적인 모든 종교 의식을 대제사장의 감독하에 두어, 백성들이 종교적인 문제에 대해 조언을 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로마인들이 전통 의식을 소홀히 하고 외래 의식을 받아들여 종교적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했다.[27]
누마는 피데스(신뢰) 숭배를 장려하고, 아르게이 장소를 봉헌하는 등 다양한 종교 의식을 제정했다. 피데스 숭배는 로마인들에게 신뢰와 약속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아르게이 장소 봉헌은 로마의 종교적 지형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7]
전설에 따르면, 누마는 님페 에게리아와 매일 밤 만나 도시의 신성한 의식을 제정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받았다고 한다.[15] 그는 에게리아와 뮤즈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담은 여러 권의 "신성한 책"을 저술했다고 전해진다.[17]
누마는 주피터와 같은 신들과 직접 소통하며, 번개와 천둥으로부터 보호받는 의식을 얻어내기도 했다.[20] 또한, 역병이 돌 때 하늘에서 떨어진 청동 방패를 살리이 사제들이 관리하도록 하여 로마를 보호하고자 했다.[21]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초기 로마 종교는 형상이 없는 영적인 존재를 숭배하는 형태였다. 누마는 신을 인간이나 동물의 형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처음 170년 동안 로마에는 신상이나 조각상이 없었다고 한다. 이는 신성한 존재를 물질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것은 불경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30]
4. 법률 및 사회 개혁
누마는 많은 업적과 제도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루타르코스는 누마의 업적 중 일부가 라코니아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았는데, 이는 누마가 사비니족 출신이고 사비니족은 스스로를 스파르타의 식민지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누마는 당시 1년이 10개월로 부정확했던 로마력을 개선하여 2개월을 추가, 더 정확한 역법으로 만들었다. 또한 로마 내부 부족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농민들을 '파기'라는 작은 집단으로 나누고, 상업이나 수공업 종사자들은 직능별 조직으로 분할하여 부족 간 대립을 없앴다.
전쟁을 억제하기 위해 '전령승'이라는 제사직에게만 선전포고 권한을 부여했다. 전령승은 전쟁이 예상될 때 상대방에게 보상 조건을 전달하고,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에만 선전포고를 할 수 있었다.
누마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야누스 신전 건립이다. 야누스는 시작과 끝을 상징하는 신으로, 이 신전의 문은 전쟁 시에는 열리고 평화 시에는 닫혀 있었다. 누마의 통치 기간 동안 문은 계속 닫혀 있었지만, 그의 사후에는 열린 채로 있었다. 로마 제국이 성립될 때까지 이 문이 닫혔던 것은 포에니 전쟁 이후 6년 동안뿐이었다.
누마의 손자인 안쿠스 마르키우스는 4대 로마 왕이 되었다.
4. 1. 달력 개혁
누마는 태양력과 태음력을 보정하여 역법 개혁을 단행하고, 1월과 2월을 추가했다.[57] 그는 달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12개월로 나누고, 지점 이동에 맞춰 조정한 달력 개혁을 공포했다.[31][15] 또한 날짜를 세속적인 날과 신성한 날로 구분했다.[14]플루타르코스는 영웅전에서 누마 폼필리우스가 3월 대신 1월을 달력의 첫 달로 만든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는 모든 경우에 군사적 영향이 시민적이고 정치적인 것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먼 옛날 야누스는 반신반인이었든 왕이었든 간에 시민 및 사회 질서의 수호자였고, 인간의 삶을 짐승적이고 야만적인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두 얼굴을 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인간의 삶을 한 종류와 상태에서 다른 종류와 상태로 이끌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32] 당시 로마력은 1년이 10개월인 부정확한 것이었지만, 누마는 여기에 2개월을 추가하여 더 정확한 역법으로 만들었다.
4. 2. 직업 길드 설립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전통적인 직업 길드를 설립했다.[33]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누마는 모든 백성을 여러 기술과 직업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조합들을 만들었다.직업군 |
---|
음악가 |
금세공인 |
목수 |
염색공 |
구두장이 |
무두장이 |
구리 세공인 |
도예가 |
다른 모든 수공업자들은 하나의 조합으로 통합하여, 각 조합에 적절한 법정, 의회, 관례를 지정했다.[33]
윌리엄 블랙스톤은 누마가 "원래 법인을 고안했다"고 평가한다. 누마는 즉위 당시 도시가 사비니족과 로마인이라는 두 적대적인 파벌로 갈라져 있는 것을 보고, 각 수공업과 직업별로 별도의 사회를 설립하여 이 두 파벌을 더 작은 여러 파벌로 세분하는 것이 현명하고 정치적인 조치라고 생각했다.[33]
누마는 또한 당시 1년이 10개월이었던 부정확한 로마력을 개선하여 2개월을 추가, 더 정확한 역법으로 만들었다. 그는 로마 내부의 부족 간 다툼을 없애기 위해 농민들을 "파기"라는 더 작은 집단으로 분할하고, 상업이나 수공업 종사자들은 직능별 조직으로 분할하여 부족 간 대립을 없앴다.
4. 3. 농업 장려 정책
누마는 로마의 빈곤한 사람들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고 농업에 종사하도록 설득하여 공격성을 줄이고 빈곤과 범죄를 없애려고 했다. 그는 농업을 "부보다는 성격을 함양하는" 직업으로 여겼다.[34] 플루타르크는 누마가 식사 없이, 다듬지 않은 포도나무에서 제물을 바치는 것을 금지한 것은 사람들이 농업에 종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제안한다.[35]누마는 로마 인근 지역을 '파기'(마을)로 나누고, 로마 내 부족 간 다툼을 없애기 위해 농민들을 "파기"라는 더 작은 집단으로 분할했다.
4. 4. 기타 사회 정책
누마는 아버지가 아들의 결혼을 아버지의 뜻대로 허락했다면, 아들을 노예로 파는 것을 금지했다.[36]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누마는 노예들이 사투르날리아 기간 동안 주인들과 함께 잔치를 벌일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땅의 연간 수확물을 생산하는 데 도움을 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허락하는 것"이 그 이유였다. 플루타르코스는 그 시기가 "노예도 주인도 없고 모두 친척이자 동등하게 여겨졌던" "사투르누스 시대"를 기리는 것이라고 언급했다.[37]
5. 누마의 책 이야기
기원전 181년, 서기관 루키우스 페틸리우스의 밭을 갈던 농부들이 돌 상자 두 개를 발견했다.[39] 상자에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비문이 새겨져 있었는데, 하나는 누마 폼필리우스 왕의 무덤임을, 다른 하나는 누마의 책들이 들어 있음을 알렸다. 왕의 이름이 새겨진 상자는 비어 있었지만, 다른 상자에는 각각 7권씩 총 14권의 책이 묶여 있었다. 7권은 라틴어로 된 사제법 관련 책이었고, 나머지 7권은 당시 철학을 다룬 그리스어 책이었다.[40]
이 사실이 알려지자 법무관 쿠인투스 페틸리우스는 책을 살펴본 후 종교에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소각을 명령했다. 서기관은 평민 호민관을 거쳐 상원에 사건을 가져갔다. 법무관은 책을 읽거나 보관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선서를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선언했고, 상원은 책을 코미티움에서 소각하고 소유주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루키우스 페틸리우스는 보상금을 거절했고, 책들은 희생 제물 담당자에 의해 소각되었다.[41]
이 사건은 정치적 동기가 부여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9] 일부 학자들은 책의 진위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지만,[40] 에르네스토 페루치는 책의 진위를 증명하려 노력했고,[41] 마리아 호세 페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42]
알랭 델라트와 조셉 카르코피노는 이 사건이 로마 피타고라스 학파의 계획 결과라고 믿는다.[43] 이들은 책의 내용이 도덕적, 우주론적 종교적 신념 해석을 담고 있었으며, 고대 피타고라스주의의 특징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책의 내용은 번개와 점복술 등에 대한 믿음과 모순되었을 수 있다.[44] 대부분의 고대 저술가들은 피타고라스 철학 논문의 존재를 언급했지만,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와 같이 일부는 종교적 법령만 언급하기도 한다.[45][46]
6. 후대의 평가 및 유산
누마 폼필리우스는 지혜와 경건함으로 후대에 칭송받았다. 전설에 따르면 뉨페 에게리아가 그를 가르쳐 현명한 입법자가 되도록 이끌었다고 한다. 리비우스는 누마가 밤마다 에게리아와 만나 도시의 신성한 의식에 대한 조언을 받았다고 기록했다.[57]
플루타르코스는 누마를 강력한 평화주의자로 묘사하며, 로마를 평화롭게 만드는 것을 그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았다고 평가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로마뿐 아니라 이탈리아 전역에서 분쟁이 사라지고, 축제와 기념일이 번성했다고 한다. 플루타르코스는 누마의 평화 정책을 전쟁을 추구했던 그의 전임자 및 후임자들과 대조하며 높이 평가했다.[38]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누마가 모세 율법의 영향을 받아 인간 형상의 조각상을 만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47]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초기 로마와 고대 히브리인들 사이에 알려진 접촉이 없다는 이유로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누마 폼필리우스는 동로마 제국 시대까지도 기억되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누마를 로마 국가의 건국자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그가 "법을 통해 [로마 도시를] 처음으로 조직하고 발전시킨" 인물이라고 회상했다.[48] 11세기 미하일 프셀로스는 누마를 경건하고 평화로운 인물이자 "모든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으로 칭송했다.[50]
로마 연대기에 따르면, 누마는 기원전 672년 노년으로 사망했고, 43년간 통치 후 약 81세였다.[12][13] 그의 요청에 따라 화장되지 않고 야니쿨룸 언덕에 묻혔다.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그의 뒤를 이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물루스는 전쟁, 누마는 평화의 왕으로 로마는 전쟁과 평화의 기술에 모두 정통하게 되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http://galileo.rice.[...]
[2]
웹사이트
Numa Pompilius {{!}} Biography, Reign,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4-17
[3]
서적
Pompon in Plutarch and Dionysius
[4]
서적
Ab urbe condita
s:From the Founding [...]
Livy
[5]
논문
Numa
[6]
논문
Coriolanus
[7]
서적
Annales
Tacitus
[8]
서적
Le origini di Roma
E. Peruzzi
1970
[9]
논문
Numa
[10]
논문
The Significance of Numa's Religious Reforms
1963
[11]
논문
The Philosopher-King and the City in Plutarch's Life of Numa
2015
[12]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s:From the Founding [...]
Livy
[13]
논문
Numa
[14]
논문
The History of Rome, Books 01 to 08
[15]
서적
Ab urbe condita
s:From the Founding [...]
Livy
[16]
논문
Numa
[17]
논문
Numa
[18]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Livy
[19]
서적
The parallel lives
Gerard Walter
1967
[20]
논문
Numa
[21]
논문
Numa
[22]
논문
Numa
[23]
서적
Vegoia and Egeria
[24]
논문
The Story of Rom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Republic
[25]
논문
Numa
[26]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s:From the Founding [...]
Livy
[27]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1904-01-31
[28]
서적
Fasti Praenestini II 13, 2, 123 Degrassi as cited by Capdeville
[29]
논문
Numa
[30]
웹사이트
The Parallel Lives : Numa, ch. 8, 15, 16
https://penelope.uch[...]
[31]
논문
The Roman Calendar from Numa to Constantine
2011
[32]
논문
Numa
[33]
서적
1 Bl. Comm. 456–457
[34]
논문
Numa
[35]
논문
Numa
[36]
서적
Numa
[37]
웹사이트
Plutarch, The Parallel Lives Comparison of Lycurgus and Numa ch. 1
https://penelope.uch[...]
[38]
웹사이트
The Parallel Lives : Numa ch. 6, 8, 12, 16, 19, 20, 22
https://penelope.uch[...]
[39]
서적
Documenti sacerdotali di Roma antica. I. Libri e commentari
Sassari
1983
[40]
서적
Roma e la filosofia greca dalle origini alla fine del II secolo a. C.
Torino
1973
[41]
서적
Origini di Roma II. Le lettere
Bologna
1973
[42]
서적
La tumba y los libros de Numa
Faventia
1979
[43]
서적
Les doctrines pythagoriciennes des livres de Numa
Académie royale de Belgique, Bulletin de la classe de la classe des lettres et des sciences morales et politiques
1936
[43]
서적
La basilique pythagoricienne de la Porte majeure
1926
[43]
서적
La religione romana arcaica
Milano
1977
[44]
서적
[44]
서적
[45]
서적
Natural History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The Ante-Nicene Fathers: Translations of the Writings of the Fathers Down to A.D. 325
[48]
법률
Novella
[49]
서적
Chronicle
[50]
서적
Chronographia
[51]
서적
로마 황제 군상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04
[52]
서적
대비열전
[53]
서적
로마 건국 이래의 역사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08
[54]
서적
대비열전
[55]
서적
로마 건국사
[56]
서적
로마사
[57]
서적
로마사
[58]
서적
로마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