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일포는 신라 효소왕 때 네 명의 국선이 절경에 반해 3일 동안 머물렀다는 데서 유래한 지명이다. 김홍도의 《해동명산도》에 그림이 있으며, 남효온의 《유금강산기》, 이유원의 《임하필기》 등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다. 정조실록에는 제주 기생 만덕이 삼일포를 구경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렴성역
렴성역은 1932년 동해북부선 구간 개통으로 시작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폐지된 후 1996년 금강산청년선 개통으로 영업을 재개한 역이다. - 경상북도의 관광지 - 낙산사
낙산사는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의 계시로 창건한 사찰로, 화재와 재건을 거쳐 현재 재건축 중이며, 의상대, 홍련암 등의 암자와 해수관음상, 칠층석탑 등의 문화재를 보유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 경상북도의 관광지 - 경포대
경포대는 강릉시에 위치한 관동팔경 중 하나인 누정으로, 여러 이건과 중수를 거쳐 현재의 팔작지붕 건물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내부에는 다양한 시문 현판이 걸려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명승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연기념물 - 불곰
불곰은 곰과에 속하는 잡식성 동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곰아과에 속하는 다른 곰들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연기념물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삼일포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호수 |
위치 | 북한 강원도 고성군 삼일포리 |
좌표 | 38° 41′ 00″ N 128° 18′ 00″ E |
지리 정보 | |
유입 | 알려진 바 없음 |
유출 | 알려진 바 없음 |
유역 | 알려진 바 없음 |
위치한 국가 | 북한 |
면적 | 80 헥타르 |
해안선 | 알려진 바 없음 |
고도 | 알려진 바 없음 |
섬 | 알려진 바 없음 |
기타 정보 | |
북한 천연기념물 순번 | 218 |
2. 지명 유래
신라 효소왕 때 국선인 영랑(永郞), 술랑(述郞), 남석랑(南石郞), 안상랑(安祥郞) 네 명이 삼일포의 절경에 반해 3일 동안 머물렀기 때문에 삼일포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2]
2. 1. 화랑들의 흔적
신라 효소왕 때 국선인 영랑(永郞), 술랑(述郞), 남석랑(南石郞), 안상랑(安祥郞) 등 네 명의 국선(四國仙)이 삼일포의 절경에 반해 3일 동안 머물렀기 때문에 삼일포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2] 삼일포 남쪽 산봉우리 절벽에는 신라 화랑들이 새겼다고 하는 ‘술랑도 남석행(述郞徒南石行)’이라는 여섯 글자가 있다.[3]3. 역사 속의 삼일포
조선 시대 김홍도의 그림(《해동명산도》)과 남효온의 《유금강산기》, 이유원의 《임하필기》, 《정조실록》 등에 삼일포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4]
3. 1. 회화 작품
조선의 화가 김홍도가 그린 해동명산도 중 삼일포 그림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전해지고 있다.[4]3. 2. 문학 작품
- 김홍도의 《해동명산도》 중 삼일포 그림이 전해진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4]
- 남효온의 《유금강산기》에 삼일포에 관한 내용이 있다.[4]
- 이유원의 《임하필기》 13권에 삼일포에 관한 내용이 있다.[4]
- 《정조실록》 1796년(정조 20년) 11월 25일 기사에 제주 기생 만덕 관련 내용 중 삼일포가 언급된다.[4]
3. 3. 역사적 기록
참조
[1]
웹사이트
Lake Samilpo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05-06
[2]
문서
강원도 통천군 총석정에도 이어진다.
[3]
웹사이트
남석행
http://people.aks.ac[...]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2012-04-16
[4]
웹사이트
조선후기의 여성 CEO 김만덕의 금강산 여행
http://www.itkc.or.k[...]
2012-04-16
[5]
문서
공식 명칭은 아산호이며 경기권에서 평택호라고 부르나 두가지 명칭을 혼용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