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1단활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1단 활용은 일본어 동사 활용의 한 유형으로, 어간이 모음 -i로 끝나며, 문어에서는 예외적인 동사 그룹에 속한다. 구어에서는 상2단 활용이 상1단 활용에 통합되는 현상이 나타나 동사 활용이 간략해졌다. 일본어 교육에서는 하1단 활용과 함께 '그룹 2'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상1단활용 | |
---|---|
동사 정보 | |
활용 종류 | 상1단 활용 |
설명 | 일본어 동사의 활용 형태 중 하나. |
어미 변화 | 어미 '-る' 앞의 모음이 'i'단 또는 'e'단으로 끝나는 동사. |
특징 | |
그룹 | 동사를 그룹으로 나눌 때 2그룹에 속함. |
과거 표현 | '-た'를 붙여 과거형을 만듦. |
정중한 표현 | '-ます'를 붙여 정중한 표현을 만듦. |
수동/사역/가능 표현 | '-られる'을 붙여 수동, 사역, 가능 표현을 만듦. |
예시 | |
예시 단어 | 見る (miru, 보다) |
과거형 | 見た (mita, 보았다) |
정중한 표현 | 見ます (mimasu, 봅니다) |
수동/사역/가능 | 見られる (mirareru, 보여지다/보게 하다/보여질 수 있다) |
2. 정의
상1단 활용은 "착(き)る", "닮(に)る", "삶(に)る", "마르(ひ)る", "재채기하(ひ)る", "키질하(ひ)る", "보(み)る", "돌(み)る", "쏘(い)る", "주조하(い)る)", "물을 주(い)る)", "있(ゐ)る", "이끌(ゐ)る" 등 10여 개의 단어와 그 복합 동사("돌아보(かへり)みる", "이끌(ひき)ゐる", "쓰(もち)ゐる" 등)에만 나타나는 동사 활용 방식이다. 어간이 모음 -i로 끝나는 '모음 어간 동사'이며, 하1단 활용은 "-e" 음으로 끝난다. 어간은 "る" 앞의 이단 모음까지로, 그 이후가 어미로 간주된다.
2. 1. 학교 문법
학교 문법에서는 활용 어미를 이단 음이 들어가는 부분부터로 하기 때문에 "어간이 없다" 또는 "어간과 어미의 구별이 없다"라고 설명되는 경우가 있다.문어에서는 어간 모음이 모음 교체하는 상2단 활용이 주요한 동사의 형태이며, 상1단 활용은 어간 모음이 모음 교체하지 않는 예외적인 동사의 그룹이다. 상1단 활용 동사는 모두 어간이 1음절이지만, 다른 1음절로 끝나는 하2단 활용이나 라행 4단 활용과 동음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어간을 안정화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구어에서는 상1단 활용 어수가 많다. 이는 2단 활용의 1단화가 일어나, 상2단 활용이 상1단 활용에 합류했기 때문이다. 이 변화로 일본어 동사의 활용은 더 간략해졌다.
구어의 상1단 활용 동사는 하1단 활용 동사와 함께 라누키 말("보(み)れる", "나오(出)れる" 등)이 발생한다.
사역의 접미사인 "-ase-"에 대해서는 "-as-"도 병용된다. 예를 들어 "세우(立)타스"가 아닌 "세우(立)세루"가 규범적이라고 여겨지는 한편, "세우(立)세라레루"(tat-ase-rare-ru)보다 "세우(立)타사레루"(tat-as-ere-ru)가 규범적이라고 여겨진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서는 하1단 활용과 함께 "그룹 2"라고 불린다.
3. 문어에서의 활용
문어에서 상일단 활용은 가정형 대신 이연형을 사용하며, 'ろ'로 끝나는 명령형은 없다는 특징을 보인다.
3. 1. 활용표
행 | 기본형 | 뜻 | 활용형 | ||||||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이연형 | 명령형 | |||
カ행 | 着(き)る | 입다 | (着) | き | き | きる | きる | きれ | きよ |
ナ행 | 似(に)る | 닮다 | (似) | に | に | にる | にる | にれ | によ |
ハ행 | 干(ひ)る | 마르다 | (干) | ひ | ひ | ひる | ひる | ひれ | ひよ |
マ행 | 見(み)る | 보다 | (見) | み | み | みる | みる | みれ | みよ |
ヤ행 | 射(い)る | 쏘다 | (射) | い | い | いる | いる | いれ | いよ |
ワ행 | 居(ゐ)る | 데리고 가다 | (居) | ゐ | ゐ | ゐる | ゐる | ゐれ | ゐよ |
문어에서는 가정형 대신에 이연형이 된다. 또, 'ろ'로 끝나는 명령형은 없다.
3. 2. 주요 동사
문어 상일단 활용에 해당하는 주요 동사는 "착(き)る"(입다), "닮(に)る"(닮다), "삶(に)る", "마르(ひ)る", "재채기하(ひ)る", "키질하(ひ)る", "보(み)る", "돌(み)る", "쏘(い)る", "주조하(い)る)", "물을 주(い)る)", "있(ゐ)る", "이끌(ゐ)る" 등 10여 개와 그 복합 동사("돌아보(かへり)みる", "이끌(ひき)ゐる", "쓰(もち)ゐる" 등)가 있다.행 | 기본형 | 뜻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이연형 | 명령형 |
---|---|---|---|---|---|---|---|---|---|
カ행 | 着(き)る | 입다 | (着) | き | き | きる | きる | きれ | きよ |
ナ행 | 似(に)る | 닮다 | (似) | に | に | にる | にる | にれ | によ |
ハ행 | 干(ひ)る | 마르다 | (干) | ひ | ひ | ひる | ひる | ひれ | ひよ |
マ행 | 見(み)る | 보다 | (見) | み | み | みる | みる | みれ | みよ |
ヤ행 | 射(い)る | 쏘다 | (射) | い | い | いる | いる | いれ | いよ |
ワ행 | 居(ゐ)る | 데리고 가다 | (居) | ゐ | ゐ | ゐる | ゐる | ゐれ | ゐよ |
4. 구어에서의 활용
구어에서는 문어와 달리 상1단 활용을 하는 동사가 많다. 이는 2단 활용이 1단 활용으로 변화하면서 상2단 활용이 상1단 활용에 합류했기 때문이다. 이 변화로 일본어 동사의 활용이 더 간략해졌다.
구어의 상1단 활용 동사는 하1단 활용 동사와 함께 라누키 말( "보(み)れる", "나오(出)れる" 등)이 발생한다.
사역의 접미사인 "-ase-"에 대해서는 "-as-"도 병용된다. 예를 들어 "세우(立)타스"가 아닌 "세우(立)세루"가 규범적이라고 여겨지는 한편, "세우(立)세라레루"(tat-ase-rare-ru)보다 "세우(立)타사레루"(tat-as-ere-ru)가 규범적이라고 여겨진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서는 하1단 활용과 함께 "그룹 2"라고 불린다.
구어 상1단 활용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행 | 기본형 | 뜻 | 활용형 | ||||||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가정형 | 명령형 | |||
ア행 | 老いる|오이루일본어 | 늙다 | 老 | -이 | -이 | -이루 | -이루 | -이레 | -이로・-이요 |
居る|이루일본어 | 있다 | (있) | 이 | 이 | 이루 | 이루 | 이레 | 이로・이요 | |
カ행 | 起きる|오키루일본어 | 일어나다 | 起 | -키 | -키 | -키루 | -키루 | -키레 | -키로・-키요 |
着る|키루일본어 | 입다 | (입) | 키 | 키 | 키루 | 키루 | 키레 | 키로・키요 | |
カ행 | 過ぎる|스기루일본어 | 지나다 | 過 | -기 | -기 | -기루 | -기루 | -기레 | -기로・-기요 |
ザ행 | 閉じる|토지루일본어 | 닫다 | 閉 | -지 | -지 | -지루 | -지루 | -지레 | -지로・-지요 |
タ행 | 落ちる|오치루일본어 | 떨어지다 | 落 | -치 | -치 | -치루 | -치루 | -치레 | -치로・-치요 |
ナ행 | 煮る|니루일본어 | 삶다 | (삶) | 니 | 니 | 니루 | 니루 | 니레 | 니로・니요 |
バ행 | 浴びる|아비루일본어 | 받는다 | 浴 | -비 | -비 | -비루 | -비루 | -비레 | -비로・-비요 |
マ행 | 染みる|시미루일본어 | 스며들다 | 染 | -미 | -미 | -미루 | -미루 | -미레 | -미로・-미요 |
見る|미루일본어 | 보다 | (보) | 미 | 미 | 미루 | 미루 | 미레 | 미로・미요 | |
ラ행 | 降りる|오리루일본어 | 내리다 | 降 | -리 | -리 | -리루 | -리루 | -리레 | -리로・-리요 |
4. 1. 활용표
행 | 기본형 | 활용형 | ||||||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가정형 | 명령형 | ||
아행 | 늙다 | -이 | -이 | -이루 | -이루 | -이레 | -이로・-이요 | |
있다 | (있) | 이 | 이 | 이루 | 이루 | 이레 | 이로・이요 | |
카행 | 일어나다 | -키 | -키 | -키루 | -키루 | -키레 | -키로・-키요 | |
입다 | (입) | 키 | 키 | 키루 | 키루 | 키레 | 키로・키요 | |
가행 | 지나가다 | -기 | -기 | -기루 | -기루 | -기레 | -기로・-기요 | |
자행 | 닫다 | -지 | -지 | -지루 | -지루 | -지레 | -지로・-지요 | |
타행 | 떨어지다 | -치 | -치 | -치루 | -치루 | -치레 | -치로・-치요 | |
나행 | 삶다 | (삶) | 니 | 니 | 니루 | 니루 | 니레 | 니로・니요 |
바행 | 쐬다 | -비 | -비 | -비루 | -비루 | -비레 | -비로・-비요 | |
마행 | 스며들다 | -미 | -미 | -미루 | -미루 | -미레 | -미로・-미요 | |
보다 | (보) | 미 | 미 | 미루 | 미루 | 미레 | 미로・미요 | |
라행 | 내리다 | -리 | -리 | -리루 | -리루 | -리레 | -리로・-리요 |
4. 2. 2단 활용의 1단화
구어에서는 2단 활용의 1단화가 일어나, 상2단 활용이 상1단 활용에 합류했다. 이 변화로 인해 일본어 동사의 활용은 더 간략해졌다.구어의 상1단 활용 동사는 하1단 활용 동사와 함께 라누키 말( "보(み)れる", "나오(出)れる" 등)이 발생한다.
사역의 접미사인 "-ase-"에 대해서는 "-as-"도 병용된다. 예를 들어 "세우(立)타스"가 아닌 "세우(立)세루"가 규범적이라고 여겨지는 한편, "세우(立)세라레루"(tat-ase-rare-ru)보다 "세우(立)타사레루"(tat-as-ere-ru)가 규범적이라고 여겨진다.
4. 3. 라누키 말
구어 상1단 활용 동사에서는 라행의 5단 활용 동사 어미의 일부(「る」)가 탈락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라누키 말'이라고 부른다.예를 들어, '見(み)る'(보다)는 원래 '見(み)ろ'(봐라)로 활용되지만, 구어에서는 '見(み)ろ'의 'ろ'에서 'る'가 탈락하여 '見(み)よ'가 되는 경우가 있다.
행 | 기본형 | 활용형 |
---|---|---|
아행 | 늙(오)다 | 老いる|오이루일본어 |
아행 | 있다(이) | 居る|이루일본어 |
카행 | 일어나다(오) | 起きる|오키루일본어 |
카행 | 입다(키) | 着る|키루일본어 |
가행 | 지나가다(스) | 過ぎる|스기루일본어 |
자행 | 닫다(토) | 閉じる|토지루일본어 |
타행 | 떨어지다(오) | 落ちる|오치루일본어 |
나행 | 삶다(니) | 煮る|니루일본어 |
바행 | 쐬다(아) | 浴びる|아비루일본어 |
마행 | 스며들다(시) | 染みる|시미루일본어 |
마행 | 보다(미) | 見る|미루일본어 |
라행 | 내리다(오) | 降りる|오리루일본어 |
5. 사역형
상1단 활용 동사의 사역형을 만들 때는 접미사 '-ase-'를 붙인다. 예를 들어, '보다(見る)'의 사역형은 '보게 하다(見せる)'가 된다. '-ase-' 외에 '-as-'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우다(立つ)'의 사역형은 '세우게 하다(立たせる)'가 규범적이지만, '세우게 하다(立たされる)'도 쓰인다.
6. 일본어 교육에서의 상일단 활용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서는 상1단 활용 동사와 하1단 활용 동사를 함께 '그룹 2'라고 부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