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강 (후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샹강(湘江)은 중국 후난성에서 가장 큰 강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발원하여 장강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총 길이는 856km이며, 후난성을 통과하는 길이는 670km이다. 샹강은 링취 운하를 통해 리수이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류는 서쪽 지류와 동쪽 지류로 나뉜다. 샹강 유역은 94,600㎢이며, 후난성 면적의 40%를 차지한다. 샹강은 수운 교통로로 중요하며, 창사, 주저우, 샹탄 등 주요 도시를 지나간다. 샹강은 중금속 오염 문제와 홍수 피해를 겪고 있으며, 중국 민간 신앙에서 상강 여신이 보호하는 강으로 여겨진다. 또한, 샹강은 소상팔경의 배경이 되기도 하며, 마오쩌둥의 샹강평론이 창간된 곳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둥팅호 수계 - 영거 (운하)
영거 운하는 중국 링취 현에 위치한 수자원 시설로, 샹 강과 리 강을 연결하여 가뭄 해소와 수질 개선에 기여하고,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어 농업 생산성 향상에도 활용되었으며, 수문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등고선 운하 중 하나이다. - 둥팅호 수계 - 원강 (하천)
구이저우 성에서 발원하여 후난 성을 거쳐 둥팅 호로 흘러 들어가는 원강은 용두강, 중안강, 무수 등의 강과 합류하며 총 길이 1,033km에 이르는 강이다. - 광시의 강 - 주강 (강)
주강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에 위치하며 서강, 북강, 동강과 주강 삼각주를 포괄하는 강으로, 광저우, 홍콩, 선전 등 주요 도시가 위치하고 연간 유량이 중국에서 두 번째로 많으며, 벼농사 기원지로 밝혀지기도 했다. - 광시의 강 - 서강 (중국)
주강 수계의 주요 강인 서강은 윈난성에서 발원하여 광시 좡족 자치구를 거쳐 광둥성으로 흐르며, 유역은 아열대 기후에 속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후난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후난성의 강 - 미뤄강
미뤄강은 후난성 북동부를 흐르는 강으로, 굴원이 몸을 던진 곳이자 용주와 쫑즈 같은 중국 민속 행사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상강 (후난성)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샹장강 (Xiāng Jiāng), 샹수이강 (Xiāng Shǔi) |
길이 | 856km |
유역 면적 | 94,600km² |
발원지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구 | 동정호 |
상세 정보 | |
한자 표기 | 湘江 |
병음 | Xiāng Jiāng |
웨이드-자일스 표기 | Hsiang Chiang |
객가어 발음 | Siɔ̃⁴⁴-ziɔ̃³¹, Siɔ̃⁴⁴-swɛ¹³ |
고대 중국어 | *Slaŋ |
추가 정보 | |
총 길이 (위키데이터) | 948 km |
유역 면적 (위키데이터) | 94,721 km2 |
유역 면적 (상강 기준) | 85,383 km2 |
길이 (또 다른 값) | 844 km |
총 길이 (또 다른 값) | 948 km |
2. 지리
샹강은 광시 좡족 자치구 린구이현에서 발원하여 후난성을 관통하는 강으로, 장강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이다. 총 길이는 856km이며, 이 중 670km가 후난 성 내에 있어 후난성에서 가장 큰 강이다.[4]
샹강은 싱안현, 취안저우현, 둥안현, 융저우 시, 치양현, 헝양 시, 주저우 시, 샹탄 시, 창사 시, 왕청현, 샹인현을 거쳐 둥팅호로 흘러들어 장강과 연결된다.[4]
2. 1. 발원 및 상류
샹강은 광시 좡족 자치구 린구이현에서 발원하며, 싱안현에서 링취 운하를 통해 리수이강과 연결된다. 링취 운하의 물은 70%가 샹강으로, 30%가 리 강으로 흐른다.[6] 과거에 이 운하는 샹강 및 구이강과 함께 창장 강과 주강 삼각주를 연결하는 중요한 수로를 제공했다.[6]샹강 상류는 크게 서쪽 지류와 동쪽 지류로 나뉜다. 서쪽 지류는 전통적으로 주류로 알려져 왔으며,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의 하이양 산맥에서 발원한다. 그러나 2011년 중국 국가 수자원 조사에 따르면 동쪽 지류가 샹강의 주류로 간주되어야 한다.[4] 이는 동쪽 지류가 서쪽 지류보다 더 길고 더 많은 수량을 기여하기 때문이다. 동쪽 지류는 샤오 강의 이름을 유지하며, 후난성 란산 현의 샹장위안 향 (湘江源瑶族乡)의 예거우 산 (野狗岭)에서 발원한다. 두 지류는 핑 섬에서 합류하여 샹강의 본류를 형성한다.
2. 2. 중류 및 하류
샹 강은 싱안현, 취안저우현, 둥안현 등을 거쳐 융저우 시에서 쯔수이, 스치허, 샤오수이, 잉수이, 바이수이 등의 지류와 합류한다.[4] 이후 헝양 시에서는 쩡수이와 레이수이가, 헝산 현에서는 미수이가, 주저우 시 루커우 구에서 루수이가, 샹탄 시에서 롄수이가 유입된다.[4] 창사 시 중심에서는 류양허와 라오다오허가, 왕청 구 가오탕링 가도에서는 웨이수이가 유입되며, 웨양 시 샹인 현의 하오허커우에서 좌우로 갈라져 둥팅호로 흘러든다.[4] 샹 강은 둥팅호를 거쳐 장강과 연결된다.2. 3. 지류
샹강에는 수많은 지류가 있으며, 주요 지류로는 소수, 뇌수, 미수 등이 있다.[4] 이 외에도 2,157개의 지류가 샹강으로 유입되어 복잡한 수계를 형성한다.샹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지류 이름 | 유입 위치 | 기타 |
---|---|---|
소수 | 동쪽 | |
뇌수 | 동쪽 | 헝양 시에서 유입 |
미수 | 동쪽 | 헝산 현에서 유입 |
루수이 | 동쪽 | 주저우 시 루커우 구에서 유입 |
류양허 | 동쪽 | 창사 시 중심에서 유입 |
치수이 | 서쪽 | |
쩡수이 | 서쪽 | 헝양 시에서 유입, 고명: 승수, 별칭: 초하 |
쥐안수이 | 서쪽 | |
롄수이 | 서쪽 | 샹탄 시에서 유입 |
웨이수이 | 서쪽 | 왕청 구 가오탕링 가도에서 유입, 고명: 옥담강 |
쯔수이 | 융저우 시에서 유입 | |
스치허 | 융저우 시에서 유입 | |
잉수이 | 융저우 시에서 유입 | |
바이수이 | 융저우 시에서 유입 | |
라오다오허 | 창사 시 중심에서 유입, 노당하, 요호하로도 불림 | |
노홍강 | 별칭: 응수 | |
연수 | 별칭: 역속하, 흥락강, 백과하 | |
형피하 | 별칭: 금변하 | |
오강 | ||
춘릉강 | 별칭: 교원하, 오양해 댐이 있음 | |
기수 | 별칭: 소동강 | |
백하 | ||
율강 | ||
오수 | ||
의수 | ||
자계하 | ||
근강하 | 별칭: 근강 | |
샹강 유역은 창장의 남쪽, 난링 산맥의 북쪽에 펼쳐져 있다. 동쪽은 뤄샤오 산맥이 간강 수계와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은 헝산 산맥으로 쯔수이 수계와 갈라진다. 94,600제곱킬로미터의 유역 면적 중 85,300제곱킬로미터가 후난성에 속하며, 이는 후난성 면적의 40%에 해당한다.[1]
3. 유역
상강의 융저우시 상류는 물살이 빠르고 급하며, 산의 암반층을 깎아 협곡을 만들고 있다. 석회암 분포가 많아 종유동 등이 많으며, 동굴을 통과해 온 지하수가 대량으로 강에 공급된다. 화이화시에서 헝양시까지는 상강의 중류로, 연안은 기복이 있는 구릉과 그 사이의 분지나 협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헝산현부터는 하류로, 지세가 평탄하며 강물은 완만하고, 강을 따라 사주가 단속적으로 이어진다. 상강 하구 부근에는 둥팅호가 현재보다 넓었던 시절의 흔적인 크고 작은 호수가 펼쳐져 있다.[1]
상류의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 싱안현에는 북쪽으로 흐르는 상강과 서쪽으로 흐르는 주강 지류인 리강을 잇는 길이 약 30km의 운하인 링취가 있다. 이는 진나라 시황제가 남월국 정복을 위해 축조하게 한 것으로, 두 강물이 이곳에서 교환된다.[1]
3. 1. 지형 및 특징
샹강 유역은 대부분 기복이 심한 구릉 지대와 그 사이로 강을 따라 이어지는 하곡 평원 및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하류의 창사시부터는 넓은 충적 평야가 펼쳐진다.[1] 샹강 유역은 상류와 하류 간 해발 고도 차이는 크지 않으나, 기복이 심해 빗물이 빠르게 계곡으로 흘러 강에 물이 집중되는 속도가 빠르다.[1]
3. 2. 주요 도시
샹강 유역의 주요 도시로는 헝양, 주저우, 샹탄, 창사 등이 있으며, 이들은 샹강을 통해 경제, 문화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1]
4. 환경 및 치수
샹강(湘江|샹장중국어)은 수운 및 수자원 이용과 더불어 중금속 오염, 홍수 문제가 나타나는 곳이다. 샹강 수계에는 통항 가능한 지류가 31개 있으며, 샹강의 주류는 상류 660km까지 배가 다닐 수 있다. 샹강은 창사시, 주저우시, 샹탄시 등 중국 유수의 중공업 도시(창주탄 도시군)의 물류 일부를 담당하지만, 이 때문에 중국에서 중금속 오염이 가장 심한 강으로 불리며[7][8], 유역에서는 금속 중독 등 공해도 발생하고 있다.
샹강 유역은 연 강우량이 1300mm 이상이며, 봄과 여름에 비가 집중된다. 특히 4월부터 6월은 강우량이 많아 4월부터 7월경에는 샹강의 수위가 연중 최고에 달한다. 샹강과 그 지류는 홍수가 잦아, 물이 없을 때는 강바닥이 드러나지만 유량이 많을 때는 강변이 물에 잠기고 주변으로 넘쳐흘러 큰 피해를 일으킨다.
4. 1. 수운 및 수자원
샹강(湘江|샹장중국어) 수계에는 통항 가능한 지류가 31개 있으며, 샹강의 주류는 상류 660km까지 통항할 수 있다. 샹강은 창사 시, 주저우 시, 샹탄 시 등 중국 유수의 중공업 도시(창주탄 도시군)의 물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그 때문에 샹강은 중국에서 중금속 오염이 가장 심한 강으로 불리며[7][8], 유역에서는 다양한 금속으로 인한 중독 등 공해도 발생하고 있다.샹강 유역의 연 강우량은 1300mm 이상이며, 강우는 봄과 여름에 집중된다. 특히 4월부터 6월은 비가 많은 계절이다. 우기에는 샹강의 수위가 상승하여 4월부터 7월경에 수위가 연중 최고에 달한다.
샹강과 그 지류에서는 홍수가 많다. 물이 없는 시기에는 강바닥이 드러나지만, 유량이 많은 시기에는 강변이 물에 잠기고 주변으로 넘쳐흘러 대수해를 일으킨다.
4. 2. 환경 문제
샹강은 중국에서 중금속 오염이 가장 심각한 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7][8] 이는 창사시, 주저우시, 샹탄시와 같은 중국 유수의 중공업 도시(창주탄 도시군)의 물류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샹강 유역에서는 다양한 금속 중독 등의 공해가 발생하고 있다.4. 3. 홍수 문제
샹강 유역의 연 강우량은 1300mm 이상이며, 강우는 봄과 여름에 집중되고, 특히 4월부터 6월은 비가 많이 내리는 계절이다. 우기에는 샹강의 수위가 상승하여 4월부터 7월경에 수위가 연중 최고에 달한다.샹강과 그 지류에서는 홍수가 많이 발생한다. 물이 없는 시기에는 강바닥이 드러나지만, 유량이 많은 시기에는 강변이 물에 잠기고 주변으로 넘쳐흘러 큰 홍수 피해를 일으킨다.[7][8]
5. 문화
상강의 강의 신은 "'''상비'''", "'''상군'''"이라고 하며, 아황과 여영 두 여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황과 여영은 순 임금의 비였으나, 순이 세상을 떠나자 슬퍼하며 강에 몸을 던졌고, 이후 강의 신이 되었다. 반죽 표면에 있는 반점은 아황과 여영의 눈물이 떨어져 얼룩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상강죽, 상죽, 눈물대나무 등의 별칭이 있다.[1]
춘추 시대부터 전국 시대에 걸쳐 이 지역에 있었던 초나라 사람들은 상수신을 숭배했다. 굴원은 『상부인』이라는 한시를 남기기도 했다.
초나라에 전해지는 상비 등의 신화, 무릉도원을 비롯한 전설, 굴원의 시 등으로 인해, 풍광이 수려한 상강 유역은 신화적, 시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땅으로 여겨졌다.
5. 1. 샹강 여신
중국 민간 신앙에서 샹강은 상강 여신 또는 상(湘)의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보호한다. 이들은 전설적인 통치자 요의 딸이자 그의 후계자 순의 아내였다고 한다. 남편의 죽음을 견디지 못한 그들은 이 강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어원 신화는 상반죽(斑竹중국어), 상죽(湘竹중국어 또는 湘江竹중국어), 상비죽(湘妃竹중국어), 눈물 대나무(淚竹중국어)라고도 불리는 반점 대나무의 반점을 슬피 우는 비의 눈물과 연관시킨다.[1]전국 시대 동안 초나라 사람들은 어떤 형태로든 이들을 숭배했으며, 굴원이 이들의 명예를 기리는 의식 노래를 기록하기 위해 "상부인"(湘夫人중국어)을 썼다고 전해진다.[1]
상강의 강의 신은 "'''상비'''", "'''상군'''"이라고 하며, 아황과 여영 두 여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황과 여영은 순 임금의 비였으나, 순이 세상을 떠나자 슬퍼하며 강에 몸을 던졌고, 이후 강의 신이 되었다. 반죽의 표면에 있는 반점은 아황과 여영의 눈물이 떨어져 얼룩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상강죽, 상죽, 눈물대나무 등의 별칭이 있다.[1]
5. 2. 소상팔경
'''소상팔경'''은 동정호에서 상강(샹강), 소수까지 이어지는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 여덟 곳을 꼽은 것이다.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서화의 소재로 자주 활용되었다. 이는 상강 유역의 풍광이 수려하고, 신화적,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장소였기 때문이다.[1]
5. 3. 샹강평론과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1919년 창사 시에서 상강평론을 창간하여 중국 공산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1]참조
[1]
웹사이트
hn.xinhuanet.com
https://web.archive.[...]
2013-05-21
[2]
웹사이트
voc.com.cn
http://hnrb.voc.com.[...]
2013-05-22
[3]
웹사이트
fgw.hunan.gov.cn
http://fgw.hunan.gov[...]
[4]
웹사이트
chinadaily.com.cn
http://www.chinadail[...]
2011-12-20
[5]
웹사이트
gxdqw.com
http://www.gxdqw.com[...]
[6]
웹사이트
Lingqu Canal (Xiang'an County,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Qin Dynasty)
https://whc.unesco.o[...]
[7]
뉴스
湘江:中国重金属汚染最厳重的河流_网易新聞中心
http://discover.news[...]
网易探索
[8]
뉴스
湘江啓示録 中国重金属汚染最厳重的河流治理之困--南都周刊
http://www.nbweekly.[...]
南方都市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