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강(霜降)은 24절기 중 하나로, 찬 공기에 의해 이슬이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단풍이 들기 시작하고, 차가운 북풍이 부는 시기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승냥이가 짐승에게 제사를 지내고, 초목이 누렇게 낙엽이 지며, 동면하는 벌레들이 엎드리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여겼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210°에 위치하는 때이며, 매년 10월 23일 또는 24일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월의 세시 - 할로윈
    할로윈은 만성절 전날 저녁을 의미하는 "All Hallows' Eve"에서 유래되었으며, 켈트족의 삼하인 축제와 기독교의 만성절 전야제가 융합되어 아이들이 의상을 입고 집집마다 다니는 "트릭 오어 트리트" 풍습과 함께 기념되는 축제로, 잭오랜턴, 해골 등의 상징과 함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이민자들에 의해 미국으로 전파된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지만, 종교적 및 문화적 해석은 다양하다.
  • 10월의 세시 - 한로
    한로는 찬 이슬이 맺힐 무렵을 뜻하며, 겨울새가 날아오고 국화가 피는 등 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추수를 마무리하는 시기이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음력 9월 - 입동
    입동은 양력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으로, 태양 황경이 225°에 이르러 겨울 기운이 시작되는 절기이며, 김장 풍습과 관련이 있지만, 기상학적 겨울 시작과는 다르고 천문학적으로 특별한 의미는 없다.
  • 음력 9월 - 음력 9월 23일
    음력 9월 23일은 한국, 일본 등에서 사건, 탄생, 사망 등의 기록이 있는 날이며, 포항 스틸야드 개장, 전주월드컵경기장 개장,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등의 사건이 있었고, 김복진, 소지섭 등이 태어났으며, 가타라이 가와야나기 등이 사망했다.
상강
개요
설명태양의 황경이 210°에 도달할 때임.
시기양력 10월 23~24일경
위치가을의 마지막 절기
다음 절기입동
계절가을
특징늦가을의 추위가 시작되며,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명칭
한자霜降
로마자 표기Syanggang
중국어 병음Shuāngjiàng
일본어霜降 (そうこう, Sōkō)
한국어상강 (霜降)
베트남어Sương giáng
전통적 의미
중국초후: 승냥이가 제사를 지낸다. (豺乃祭獸)
중후: 초목이 누렇게 시든다. (草木黃落)
말후: 겨울잠 자는 벌레가 모두 굴에 숨는다. (蟄蟲咸俯)
문화
대한민국늦가을 날씨를 대비하고 겨울 채비를 시작하는 시기임.

2. 어원 및 정의

이슬이 찬 공기에 의해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때이다. 역변람에서는 "이슬이 음기에 맺혀 서리가 되어 내리는 까닭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단풍이나 담쟁이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이날부터 입동까지 부는 차가운 북풍고갈이라고 부른다.

3. 한국의 상강

(날짜가 바뀌는 해)01231582~160323일23일24일24일1604~163523일23일23일24일1636~167123일23일23일23일1672~169922일23일23일23일1700~170323일24일24일24일1704~173523일23일24일24일1736~176723일23일23일24일1768~179923일23일23일23일1800~180324일24일24일24일1804~183523일24일24일24일1836~186723일23일24일24일1868~189923일23일23일24일1899년 (23일→24일)1900~193524일24일24일24일1932년 (23일→24일)1936~196723일24일24일24일1965년 (23일→24일)1968~199523일23일24일24일1996~202723일23일23일24일1998년 (23일→24일)2028~206323일23일23일23일2064~209522일23일23일23일2096~209922일22일23일23일2100~212723일23일24일24일2128~215523일23일23일24일2156~219123일23일23일23일2159년 (23일→24일)2192~219922일23일23일23일2192년 (22일→23일)2200~222323일24일24일24일2224~225523일23일24일24일2225년 (23일→24일)2256~228723일23일23일24일2288~229923일23일23일23일2300~232324일24일24일24일2324~235523일24일24일24일2353년 (23일→24일)2356~238323일23일24일24일2384~241523일23일23일24일2416~245123일23일23일23일2452~247922일23일23일23일2480~249922일22일23일23일2481년 (22일→23일)


3. 1. 풍속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역변람에서는 "이슬이 음기에 맺혀 서리가 되어 내리는 까닭이다"라고 설명한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상강이 지나고 입동이 되기 5일 전부터 벌레들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상강 후 15일을 5일씩 세 시기로 나누어 자연 현상을 설명했는데, 첫 5일 동안은 승냥이가 사냥한 짐승을 늘어놓는 것을 제사를 지내는 모습에 비유했고, 다음 5일 동안은 풀과 나무가 누렇게 변하며 잎사귀가 떨어지며, 마지막 5일 동안은 동면을 준비하는 벌레들이 땅속으로 들어가 모습을 감춘다고 보았다.

한국에서는 이 무렵 단풍이나 담쟁이가 아름답게 물들기 시작한다. 상강부터 입동 사이에 부는 차가운 북풍을 '고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중국과 일본의 상강

중국일본 모두 24절기 중 하나로 여기는 상강은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때를 의미한다. 양국 모두 이 시기에 기온이 낮아지고 가을이 깊어지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단풍이나 담쟁이덩굴이 물들기 시작하는 시기와도 관련이 깊다. 특히 일본에서는 상강부터 입동 사이에 부는 차가운 북풍고갈(木枯らし)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강 기간을 더 세분화하여 기후나 동식물의 변화를 나타내는 72후는 중국과 일본에서 각기 다른 내용을 사용하고 있어, 양국의 자연관이나 문화적 차이를 엿볼 수 있다. 각 국가별 72후의 상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태양력을 기준으로 상강 날짜는 매년 조금씩 변동하며, 일본의 경우 특정 규칙에 따라 날짜가 정해진다.

4. 1. 중국

역변람에서는 상강을 "이슬이 음기에 맺혀 서리가 되어 내리는 까닭이다"라고 설명한다.

중국에서의 상강 기간 72후는 다음과 같다.

4. 2. 일본

이슬이 찬 공기에 의해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때이다. 일본의 역변람(暦便覧)에서는 "이슬이 음기(陰氣)에 의해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단풍이나 담쟁이덩굴이 물들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이날부터 입동까지 부는 차가운 북풍고갈(木枯らし)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의 상강 날짜는 다음과 같다.

연도연도를 4로 나눈 나머지결정하기 어려운 연도 (날짜가 바뀌는 연도)
0123자정 전후 10분
1582년 ~ 1603년23일23일24일24일
1604년 ~ 1635년23일23일23일24일
1636년 ~ 1671년23일23일23일23일
1672년 ~ 1699년22일23일23일23일
1700년 ~ 1703년23일24일24일24일
1704년 ~ 1735년23일23일24일24일
1736년 ~ 1767년23일23일23일24일
1768년 ~ 1799년23일23일23일23일
1800년 ~ 1803년24일24일24일24일
1804년 ~ 1835년23일24일24일24일
1836년 ~ 1867년23일23일24일24일
1868년 ~ 1899년23일23일23일24일1899년 (23-24일)
1900년 ~ 1935년24일24일24일24일1932년 (23-24일)
1936년 ~ 1967년23일24일24일24일1965년 (23-24일)
1968년 ~ 1995년23일23일24일24일
1996년 ~ 2027년23일23일23일24일1998년 (23-24일)
2028년 ~ 2063년23일23일23일23일
2064년 ~ 2095년22일23일23일23일
2096년 ~ 2099년22일22일23일23일
2100년 ~ 2127년23일23일24일24일
2128년 ~ 2155년23일23일23일24일
2156년 ~ 2191년23일23일23일23일2159년 (23-24일)
2192년 ~ 2199년22일23일23일23일2192년 (22-23일)
2200년 ~ 2223년23일24일24일24일
2224년 ~ 2255년23일23일24일24일2225년 (23-24일)
2256년 ~ 2287년23일23일23일24일
2288년 ~ 2299년23일23일23일23일
2300년 ~ 2323년24일24일24일24일
2324년 ~ 2355년23일24일24일24일2353년 (23-24일)
2356년 ~ 2383년23일23일24일24일
2384년 ~ 2415년23일23일23일24일
2416년 ~ 2451년23일23일23일23일
2452년 ~ 2479년22일23일23일23일
2480년 ~ 2499년22일22일23일23일2481년 (22-23일)



상강 기간의 72후 중 일본에서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5. 천문학적 관점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와 같이 태양의 위치가 적도회귀선에 오는 4개의 지점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의 24절기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의 기준점만 사용하며, 상강을 포함한 나머지 20개 절기에 해당하는 별도의 천문학적 용어는 없다.[2]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태양천구 상에서 북회귀선(북위 23.5°)과 남회귀선(남위 23.5°) 사이를 오가는 것처럼 보인다. 태양은 춘분점추분점에서 천구의 적도(적위 0°)를 지나며, 하지점에서는 북회귀선(적위 +23.5°)에, 동지점에서는 남회귀선(적위 -23.5°)에 도달한다. 상강은 태양이 남위 약 11.7°, 즉 남회귀선적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때이다. 이는 우수와 같은 적위 값이며, 태양이 적도에서 남회귀선으로 향하는 중간 지점이라는 점에서 입동(남위 약 16°)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참고)[3]

이는 하루 중 낮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과도 관련이 있다.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추분에는 낮의 길이가 약 50% (12시간), 하지에는 약 60%, 동지에는 약 40%가 된다.[4] 상강은 낮의 길이가 이들의 중간값인 약 45%가 되는 시기이다. 이는 우수와 비슷한 낮 길이에 해당하며, 낮 길이가 약 43%인 입동과는 구분된다. (24절기, 적위 참고)

6. 시간

이 시기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린다.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 절기 외에 나머지 20개 절기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는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는 없다.[2]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북회귀선남회귀선 사이를 오간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는 적도(0°)에 위치하며, 하지점에 있을 때는 북회귀선(북위 23.5°)에, 동지점에 있을 때는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상강은 태양이 남위 '''약 11.7°''', 즉 남회귀선적도의 '''가운데'''에 있을 때이다.[3]

이는 낮의 길이와도 관련이 있다.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추분의 낮 길이는 약 50%, 하지는 약 60%, 동지는 약 40%이다.[4] 상강은 이들의 중간인 '''약 45%'''일 때에 해당한다. (입춘입동은 약 43%이다.)[4] (24절기, 적위 참고)

날짜 및 시간 (UTC)
시작종료
신사2001-10-23 08:252001-11-07 08:36
임오2002-10-23 14:172002-11-07 14:21
계미2003-10-23 20:082003-11-07 20:13
갑신2004-10-23 01:482004-11-07 01:58
을유2005-10-23 07:422005-11-07 07:42
병술2006-10-23 13:262006-11-07 13:34
정해2007-10-23 19:152007-11-07 19:24
무자2008-10-23 01:082008-11-07 01:10
기축2009-10-23 06:432009-11-07 06:56
경인2010-10-23 12:352010-11-07 12:42
신묘2011-10-23 18:302011-11-07 18:34
임진2012-10-23 00:132012-11-07 00:25
계사2013-10-23 06:092013-11-07 06:13
갑오2014-10-23 11:572014-11-07 12:06
을미2015-10-23 17:462015-11-07 17:58
병신2016-10-22 23:452016-11-06 23:47
정유2017-10-23 05:262017-11-07 05:37
무술2018-10-23 11:222018-11-07 11:31
기해2019-10-23 17:192019-11-07 17:24
경자2020-10-22 22:592020-11-06 23:13
신축2021-10-23 04:512021-11-07 04:58
임인2022-10-23 10:352022-11-07 10:45
계묘2023-10-23 16:202023-11-07 16:35
갑진2024-10-22 22:142024-11-06 22:20
을사2025-10-23 03:502025-11-07 04:04
병오2026-10-23 09:372026-11-07 09:52
정미2027-10-23 15:322027-11-07 15:38
무신2028-10-22 21:132028-11-06 21:27
기유2029-10-23 03:082029-11-07 03:16
경술2030-10-23 09:002030-11-07 09:08
출처: JPL Horizons On-Line Ephemeris System


참조

[1] 간행물 The Twenty-four Solar Terms of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Calculation for Them https://en.cnki.com.[...] 1994
[2] 웹사이트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https://astro.kasi.r[...]
[4] 문서 전세계적으로 보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