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강(霜降)은 24절기 중 하나로, 찬 공기에 의해 이슬이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단풍이 들기 시작하고, 차가운 북풍이 부는 시기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승냥이가 짐승에게 제사를 지내고, 초목이 누렇게 낙엽이 지며, 동면하는 벌레들이 엎드리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여겼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210°에 위치하는 때이며, 매년 10월 23일 또는 24일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0월의 세시 - 할로윈 할로윈은 만성절 전날 저녁을 의미하는 "All Hallows' Eve"에서 유래되었으며, 켈트족의 삼하인 축제와 기독교의 만성절 전야제가 융합되어 아이들이 의상을 입고 집집마다 다니는 "트릭 오어 트리트" 풍습과 함께 기념되는 축제로, 잭오랜턴, 해골 등의 상징과 함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이민자들에 의해 미국으로 전파된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지만, 종교적 및 문화적 해석은 다양하다.
10월의 세시 - 한로 한로는 찬 이슬이 맺힐 무렵을 뜻하며, 겨울새가 날아오고 국화가 피는 등 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추수를 마무리하는 시기이다.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음력 9월 - 입동 입동은 양력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으로, 태양 황경이 225°에 이르러 겨울 기운이 시작되는 절기이며, 김장 풍습과 관련이 있지만, 기상학적 겨울 시작과는 다르고 천문학적으로 특별한 의미는 없다.
음력 9월 - 음력 9월 23일 음력 9월 23일은 한국, 일본 등에서 사건, 탄생, 사망 등의 기록이 있는 날이며, 포항 스틸야드 개장, 전주월드컵경기장 개장,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등의 사건이 있었고, 김복진, 소지섭 등이 태어났으며, 가타라이 가와야나기 등이 사망했다.
초후: 승냥이가 제사를 지낸다. (豺乃祭獸) 중후: 초목이 누렇게 시든다. (草木黃落) 말후: 겨울잠 자는 벌레가 모두 굴에 숨는다. (蟄蟲咸俯)
문화
대한민국
늦가을 날씨를 대비하고 겨울 채비를 시작하는 시기임.
2. 어원 및 정의
이슬이 찬 공기에 의해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때이다. 역변람에서는 "이슬이 음기에 맺혀 서리가 되어 내리는 까닭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시기에는 단풍이나 담쟁이가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이날부터 입동까지 부는 차가운 북풍을 고갈이라고 부른다.
3. 한국의 상강
(날짜가 바뀌는 해)
0
1
2
3
1582~1603
23일
23일
24일
24일
1604~1635
23일
23일
23일
24일
1636~1671
23일
23일
23일
23일
1672~1699
22일
23일
23일
23일
1700~1703
23일
24일
24일
24일
1704~1735
23일
23일
24일
24일
1736~1767
23일
23일
23일
24일
1768~1799
23일
23일
23일
23일
1800~1803
24일
24일
24일
24일
1804~1835
23일
24일
24일
24일
1836~1867
23일
23일
24일
24일
1868~1899
23일
23일
23일
24일
1899년 (23일→24일)
1900~1935
24일
24일
24일
24일
1932년 (23일→24일)
1936~1967
23일
24일
24일
24일
1965년 (23일→24일)
1968~1995
23일
23일
24일
24일
1996~2027
23일
23일
23일
24일
1998년 (23일→24일)
2028~2063
23일
23일
23일
23일
2064~2095
22일
23일
23일
23일
2096~2099
22일
22일
23일
23일
2100~2127
23일
23일
24일
24일
2128~2155
23일
23일
23일
24일
2156~2191
23일
23일
23일
23일
2159년 (23일→24일)
2192~2199
22일
23일
23일
23일
2192년 (22일→23일)
2200~2223
23일
24일
24일
24일
2224~2255
23일
23일
24일
24일
2225년 (23일→24일)
2256~2287
23일
23일
23일
24일
2288~2299
23일
23일
23일
23일
2300~2323
24일
24일
24일
24일
2324~2355
23일
24일
24일
24일
2353년 (23일→24일)
2356~2383
23일
23일
24일
24일
2384~2415
23일
23일
23일
24일
2416~2451
23일
23일
23일
23일
2452~2479
22일
23일
23일
23일
2480~2499
22일
22일
23일
23일
2481년 (22일→23일)
3. 1. 풍속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역변람에서는 "이슬이 음기에 맺혀 서리가 되어 내리는 까닭이다"라고 설명한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상강이 지나고 입동이 되기 5일 전부터 벌레들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상강 후 15일을 5일씩 세 시기로 나누어 자연 현상을 설명했는데, 첫 5일 동안은 승냥이가 사냥한 짐승을 늘어놓는 것을 제사를 지내는 모습에 비유했고, 다음 5일 동안은 풀과 나무가 누렇게 변하며 잎사귀가 떨어지며, 마지막 5일 동안은 동면을 준비하는 벌레들이 땅속으로 들어가 모습을 감춘다고 보았다.
한국에서는 이 무렵 단풍이나 담쟁이가 아름답게 물들기 시작한다. 상강부터 입동 사이에 부는 차가운 북풍을 '고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중국과 일본의 상강
중국과 일본 모두 24절기 중 하나로 여기는 상강은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여 내리기 시작하는 때를 의미한다. 양국 모두 이 시기에 기온이 낮아지고 가을이 깊어지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단풍이나 담쟁이덩굴이 물들기 시작하는 시기와도 관련이 깊다. 특히 일본에서는 상강부터 입동 사이에 부는 차가운 북풍을 고갈(木枯らし)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강 기간을 더 세분화하여 기후나 동식물의 변화를 나타내는 72후는 중국과 일본에서 각기 다른 내용을 사용하고 있어, 양국의 자연관이나 문화적 차이를 엿볼 수 있다. 각 국가별 72후의 상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태양력을 기준으로 상강 날짜는 매년 조금씩 변동하며, 일본의 경우 특정 규칙에 따라 날짜가 정해진다.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와 같이 태양의 위치가 적도나 회귀선에 오는 4개의 지점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의 24절기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의 기준점만 사용하며, 상강을 포함한 나머지 20개 절기에 해당하는 별도의 천문학적 용어는 없다.[2]
이는 하루 중 낮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과도 관련이 있다.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과 추분에는 낮의 길이가 약 50% (12시간), 하지에는 약 60%, 동지에는 약 40%가 된다.[4] 상강은 낮의 길이가 이들의 중간값인 약 45%가 되는 시기이다. 이는 우수와 비슷한 낮 길이에 해당하며, 낮 길이가 약 43%인 입동과는 구분된다. (24절기, 적위 참고)
6. 시간
이 시기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린다.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 절기 외에 나머지 20개 절기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는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는 없다.[2]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은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를 오간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는 적도(0°)에 위치하며, 하지점에 있을 때는 북회귀선(북위 23.5°)에, 동지점에 있을 때는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상강은 태양이 남위 '''약 11.7°''', 즉 남회귀선과 적도의 '''가운데'''에 있을 때이다.[3]
이는 낮의 길이와도 관련이 있다.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과 추분의 낮 길이는 약 50%, 하지는 약 60%, 동지는 약 40%이다.[4] 상강은 이들의 중간인 '''약 45%'''일 때에 해당한다. (입춘과 입동은 약 43%이다.)[4] (24절기, 적위 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