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는 독일 남부 상트 오틸리엔을 중심으로 외방 선교를 위해 설립된 수도원 연합체이다. 1884년 안드레아스 암라인 신부에 의해 시작되어 1887년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으로 이전하며 발전했다. 2013년 기준 전 세계에 997명의 수도자가 소속되어 있으며,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지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에는 1909년 덕원에 수도원을 설립했으나 공산 정권에 의해 폐쇄되었고, 현재는 왜관 수도원이 운영되고 있다.

2. 역사

독일 남부 뮌헨 남서쪽에 위치한 상트 오틸리엔Sankt Ottiliende을 중심으로, 외방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수도원들의 연합체이다. 1884년 1월 6일 안드레아스 암라인 신부에 의해 레겐스부르크 교구에 속한 라이헨바흐Reichenbachde의 폐쇄된 베네딕도 수도원 건물에서 시작되었고,[1] 1887년 1월 13일 현재의 아우크스부르크 교구에 속한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으로 자리를 옮겨 본격적인 발전을 시작하였다. 2013년 현재 전세계에 걸쳐 997명의 수도자들이 소속되어 있다.

노르베르트 베버 (1870-1956),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 및 바이에른 성 오틸리엔 수도회 초대 대수도원장


수도회는 1884년, 뵈론 대수도원의 수도자였던 안드레아스 암레인의 비전에 따라 설립되었다. 암레인은 뵈론 대수도원 내에서는 베네딕토 선교의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독립적인 공동체를 시작하기 위해 뵈론 수도원을 떠났다.[1] 그는 1884년 오버팔츠의 라이헨바흐에 수도원을 설립했지만, 부지가 너무 외진 곳에 위치해 1887년 현재의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이 있는 오버바이에른으로 공동체를 옮겼다.

같은 해에 첫 선교 수도자들이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남잔지바르 사도직 관할지로 떠났다. 이 지역은 현재 탄자니아의 여러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도자들은 페라미호, 난다, 한가 수도원과 여러 작은 공동체에서 봉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수도회의 줄루족 선교 (1921년 시작)는 현재 독립 수도원으로, 한때 설립에 기여했던 교구를 섬기고 있다.

1908년에는 아시아 선교 구역이 추가되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한민국의 왜관 수도원으로 재구성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의 두 수도원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필리핀 민다나오 섬의 수도원과 케랄라(인도)의 쿠밀리에 있는 수도원도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에 더 많은 수도원이 설립되었으며, 최근에는 우간다, 토고, 쿠바, 이집트에도 여러 새로운 수도원이 세워졌다.

2012년까지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장은 당연직으로 수도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부터는 총회에서 회장을 선출한다.

여성 수도자들은 처음에는 상트 오틸리엔을 기반으로 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근처에 자체적인 수도원을 설립하여 선교 베네딕토 사업의 일부를 구성해 왔다. 그들은 독립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투칭 선교 베네딕토 수녀회'''를 형성하고 있다.

2. 1. 설립과 초기 발전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는 독일 남부 뮌헨 남서쪽에 위치한 상트 오틸리엔을 중심으로, 외방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수도원들의 연합체이다. 1884년 1월 6일 안드레아스 암라인 신부에 의해 레겐스부르크 교구에 속한 라이헨바흐의 폐쇄된 베네딕도 수도원 건물에서 시작되었고,[1] 1887년 1월 13일 현재의 아우크스부르크 교구에 속한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으로 자리를 옮겨 본격적인 발전을 시작하였다. 2013년 현재 전세계에 걸쳐 997명의 수도자들이 소속되어 있다.

수도회는 1884년, 뵈론 대수도원의 수도자였던 안드레아스 암레인의 비전에 따라 설립되었다. 그는 뵈론 대수도원 내에서는 베네딕토 선교의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독립적인 공동체를 시작하기 위해 뵈론 수도원을 떠났다.[1]

같은 해에 첫 선교 수도자들이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남잔지바르 사도직 관할지로 떠났다. 이 지역은 현재 탄자니아의 여러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도자들은 페라미호, 난다, 한가 수도원과 여러 작은 공동체에서 봉사하고 있다.

1908년에는 아시아 선교 구역이 추가되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한민국의 왜관 수도원으로 재구성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의 두 수도원으로 구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북미와 남미에 더 많은 수도원이 설립되었으며, 최근에는 우간다, 토고, 쿠바, 이집트에도 여러 새로운 수도원이 세워졌다.

2012년까지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장은 당연직으로 수도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부터는 총회에서 회장을 선출한다.

여성 수도자들은 처음에는 상트 오틸리엔을 기반으로 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근처에 자체적인 수도원을 설립하여 선교 베네딕토 사업의 일부를 구성해 왔다. 그들은 독립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투칭 선교 베네딕토 수녀회'''를 형성하고 있다.

2. 2. 한국에서의 활동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주교의 부탁으로 노르베르트 베버 총아빠스는 신부 2명과 수사 1명으로 구성된 선교인단을 대한제국에 파견하였다.[2] 1909년 여름에 현 혜화동 가톨릭대학교 자리에 땅을 매입하고 백동수도원을 건축함으로써 한국 최초의 남자 수도회 생활을 시작하였다.[2] 1927년에는 북한의 원산시 인근 덕원에 새로운 수도원을 설립하고 그곳으로 이전하였다. 해방 이후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수도원이 폐쇄되고 주교원장을 비롯한 많은 수도자들이 평양형무소에서 피살되거나 강제수용소에서 고통을 당하였으며,[2] 이후 1952년에 피신한 수도사들이 경북 왜관에 정착하여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에서 수도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해방 전에 혜화문 부근에 수도원을 열고 모은 자료들이 현재 오틸리엔 수도원 문서방에 보관되어 있다가 2014년에 서울역사박물관을 통해 공개되었다.[3][4]

대한민국에서는 성 베네딕토 자치 수도원이 1909년부터 1949년까지 덕원에 있었고, 성 마우로와 성 플라치도 수도원이 왜관에, 성 베네딕토 수도원이 서울과 부산, 남양주에, 성 요셉 수도원이 남양주, 성 베네딕토 노인 마을이 금남, 성 바오로 수도원이 뉴턴 II, 성 베네딕토 수도원이 화순에 있다.

2. 3. 세계로의 확장



수도회는 1884년, 뵈론 대수도원의 수도자였던 안드레아스 암레인의 비전에 따라 설립되었다. 암레인은 뵈론 수도원 내에서는 베네딕토 선교의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독립적인 공동체를 시작하기 위해 뵈론 수도원을 떠났다.[1] 그는 1884년 오버팔츠의 라이헨바흐에 수도원을 설립했지만, 부지가 너무 외진 곳에 위치해 1887년 현재의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이 있는 오버바이에른으로 공동체를 옮겼다.

같은 해에 첫 선교 수도자들이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남잔지바르 사도직 관할지로 떠났다. 이 지역은 현재 탄자니아의 여러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도자들은 페라미호, 난다, 한가 수도원과 여러 작은 공동체에서 봉사하고 있다. 수도회의 줄루족 선교 (1921년 시작)는 현재 독립 수도원으로, 한때 설립에 기여했던 교구를 섬기고 있다.

1908년에는 아시아 선교 구역이 추가되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한민국의 왜관 수도원으로 재구성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의 두 수도원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필리핀 민다나오 섬의 수도원과 인도 케랄라의 쿠밀리에 있는 수도원도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에 더 많은 수도원이 설립되었으며, 최근에는 우간다, 토고, 쿠바, 이집트에도 여러 새로운 수도원이 세워졌다.

2012년까지 상트 오틸리엔 대수도원장은 당연직으로 수도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부터는 총회에서 회장을 선출한다.

여성 수도자들은 처음에는 상트 오틸리엔을 기반으로 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근처에 자체적인 수도원을 설립하여 선교 베네딕토 사업의 일부를 구성해 왔다. 그들은 독립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투칭 선교 베네딕토 수녀회'''를 형성하고 있다.

3. 현황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 수도회는 독일령 동아프리카 선교를 목적으로 창설되었기에, 초기 수도사 대다수가 독일인이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선교 베네딕토회는 현지 출신 지원자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2024년 현재, 수도회 소속 1021명의 수도사들은 아프리카(58%), 아시아(16%), 아메리카(2%) 및 유럽(24%)의 25개 수도 공동체에 속해 있다. 현재 수도회에는 100명이 넘는 수도사가 있는 세 개의 수도원이 있다.


  • 한가 (125명)
  • 왜관 (114명)
  • 므빔와 (100명)

4. 소속 수도원

독립 수도원(녹색), 종속 수도원(연두색), 그리고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 수도회 역사(흰색) 수도원의 위치

  • 독일:
  • *성심 대수도원, 성 오틸리엔(St. Ottilien Archabbey, St Ottilien) (1887)
  • **''구세주 수도원'', 몬테 이라고, 스페인
  • *성 펠리치타스 수도원, 뮌스터슈바르차흐(Münsterschwarzach Abbey)
  • **''그리스도 왕 관구수도원'', 스카일러, 미국
  • *성 삼위일체 수도원, 슈바이크엘베르크(Holy Trinity Abbey, Schweiklberg)
  • *쾨니히스뮌스터 수도원(Königsmünster Abbey), 메셰데
  • **''성 베네딕토 첼라'', 하노버
  • 오스트리아:
  • *성 게오르기우스 수도원(St Georgenberg), 슈탄스
  • 스위스:
  • *성 오트마르 수도원(Uznach Abbey), 우츠나흐
  • 케냐:
  • 평화의 왕자 수도원(Prince of Peace Abbey), 티고니
  • '''세인트 베네딕트 수도원'''(St Benedict's Monastery), 나이로비
  • '''세상의 모후 수도원'''(Our Lady Queen of the World Monastery), 난유키
  • '''어부 베드로 수도원'''(Monastery of Peter the Fisherman), 일레렛
  • 성 그레고리오스 연구소, 랑가타 (수도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성심 수도원(Sacred Heart Abbey, Inkamana)
  • 탄자니아:
  • 성 마우루스와 성 플라시두스 수도원(St Maurus and St Placidus Abbey), 항가
  • '''성 요한 보스코 양성원'''(St John Bosco Formation House), 나카구구
  • '''성 요셉 농장'''(St Joseph's Farm), 놀레
  • '''성 플라시두스 조달처'''(St Placidus Procure), 다르에스살람
  • '''성 버나드 수도원'''(St Bernard's Priory), 키팔라팔라
  • '''성 베네딕트 수도원'''(St Benedict's Monastery), 므베야
  • 성령 수도원, 므빔와
  • '''성 베네딕트 수도원'''(St Benedict's Monastery), 숨바왕가
  • '''성 버나드 수도원'''(St Bernard's Monastery), 키필리
  • '''성 베네딕트 수도원'''(St Benedict's Monastery), 푸구
  • 그리스도의 도움의 성모 수도원(Our Lady Help of Christians Abbey), 난다
  • '''성 마우루스 조달처'''(St Maurus Procure), 쿠라시니
  • '''성 베네딕트 본당'''(St Benedict Parish), 사카라니
  • 성 베네딕트 수도원, 페라미호
  • '''성 라파엘 수도원'''(St Raphael's Priory), 우웸바
  • 토고:
  • 성육신 수도원(Incarnation Conventual Priory), 아그방
  • '''성 마우루스와 성 플라시두스 수도원'''(St Maurus and St Placidus Monastery), 카라
  • '''성 보니파시오 첼라'''(Cella St Boniface), 로메
  • 우간다:
  • 그리스도 왕 수도원(Christ the King Priory), 토로로
  • 잠비아
  • '''리시외의 성 테레사 수도원'''(St Teresia of Lisieux Priory), 카티붕가
  • 중국:
  • *성 십자가 수도원 옌지 (1946년 폐쇄)
  • **''성 십자가 수도원'', 커우첸
  • 인도:
  • *성 미카엘 수도원, 쿠밀리
  • 대한민국:
  • *성 베네딕토 자치 수도원, 덕원 (1909-1949)
  • *성 마우로와 성 플라치도 수도원, 왜관
  • **''성 베네딕토 수도원'', 서울
  • **''성 요셉 수도원'', 남양주
  • **''성 베네딕토 수도원'', 부산
  • **''성 베네딕토 노인 마을'', 금남
  • **''성 바오로 수도원'', 뉴턴 II
  • **''성 베네딕토 수도원'', 화순
  • 필리핀:
  • *성 베네딕토 관구 수도원, 디고스
  • **''성 안셀름 유학원'', 다바오
  • **''성 슐라스티카 수도원, 마닐라
  • 콜롬비아:
  • *엘 로살 성 베네딕토 수도원
  • 쿠바:
  • *주현절 수도원, 아바나 (수도회)
  • 미국:
  • *세인트폴 수도원, 뉴턴, 뉴저지
  • 베네수엘라:
  • *성 요셉 수도원, 구이구에

4. 1. 아빠스좌 수도원

독일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독일, 1884년)을 시작으로, 뮌스터슈바르차흐 수도원(독일, 788년/1913년), 슈바이클베르크 수도원(독일, 1904년), 왜관수도원(한국, 1956년) 등이 설립되었다. 페라미호 수도원(탄자니아, 1927년/1931년)과 단다 수도원(탄자니아, 1931년)은 아프리카에 설립된 초기 수도원이다. 연길 수도원(중국, 1934년)은 동아시아 지역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뉴튼 수도원(미국, 1936년)은 북미 지역으로의 확장을 보여준다. 귀궤 수도원(베네주엘라, 1947년)과 우쯔낙 수도원(스위스, 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설립되었다. 피히트 수도원(오스트리아, 1138년/1967년), 잉카마나 수도원(남아프리카 공화국, 1968년), 항가 수도원(탄자니아, 1971년), 윔와 수도원(탄자니아, 1995년), 악방 수도원(토고, 1988년)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독일에는 성심 대수도원(1887년), 성 펠리치타스 수도원, 성 삼위일체 수도원, 슈바이크엘베르크, 쾨니히스뮌스터 수도원 등이 있다. 오스트리아에는 성 게오르기우스 수도원이, 스위스에는 성 오트마르 수도원이 있다.

4. 2. 원장좌 자치 수도원

성심 대수도원, 성 오틸리엔(St. Ottilien Archabbey, St Ottilien) (1887)은 독일에 있으며, 성 펠리치타스 수도원, 뮌스터슈바르차흐(Münsterschwarzach Abbey)와 성 삼위일체 수도원, 슈바이크엘베르크(Holy Trinity Abbey, Schweiklberg), 쾨니히스뮌스터 수도원(Königsmünster Abbey)이 메셰데에 있다. 하노버에는 성 베네딕토 첼라가 있다. 오스트리아에는 성 게오르기우스 수도원(St Georgenberg)이 슈탄스에 있으며, 스위스에는 성 오트마르 수도원(Uznach Abbey)이 우츠나흐에 있다. 스페인의 몬테 이라고에는 구세주 수도원이 있다.

케냐에는 티고니 수도원(1988)이, 콜롬비아에는 엘 로살 수도원(1992)이, 필리핀에는 디고스 수도원(1996)이, 한국에는 남양주 성요셉 수도원(1997)이 설립되었다. 미국의 스카일러에는 그리스도 왕 관구수도원이 있다.

4. 3. 연합회 직할 수도원

1887년 설립된 독일 성심 대수도원, 성 오틸리엔과 성 펠리치타스 수도원, 뮌스터슈바르차흐, 성 삼위일체 수도원, 슈바이크엘베르크, 쾨니히스뮌스터 수도원이 있다. 스페인에는 구세주 수도원이, 오스트리아에는 성 게오르기우스 수도원이, 스위스에는 성 오트마르 수도원이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는 케냐의 평화의 왕자 수도원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성심 수도원, 탄자니아 성 마우루스와 성 플라시두스 수도원과 그리스도의 도움의 성모 수도원, 토고 성육신 수도원, 우간다 그리스도 왕 수도원, 잠비아의 '''리시외의 성 테레사 수도원'''이 있다.

아시아 대륙에는 1946년 폐쇄된 중국 성 십자가 수도원과, 인도 성 미카엘 수도원, 대한민국 성 마우로와 성 플라치도 수도원과 1909년 설립되어 1949년 폐쇄된 성 베네딕토 자치 수도원, 필리핀 성 베네딕토 관구 수도원이 있다.

남아메리카 대륙에는 콜롬비아 '''엘 로살 성 베네딕토 수도원'''과 베네수엘라 성 요셉 수도원이 있고, 북아메리카 대륙에는 미국 세인트폴 수도원이 있다. 쿠바에는 '''주현절 수도원'''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aint Ottilien (O.S.B.) https://gcatholic.or[...] 2024-02-19
[2] 서적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사진 https://museum.seoul[...]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2014-12
[3] 웹인용 학술총서 10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사진 {{!}} 학술·자료 > 발간도서 > 전체 {{!}} 서울역사박물관 https://museum.seoul[...] 2021-01-09
[4] 웹인용 1902년 벽안의 수도자들이 본 서울 풍경 https://www.yna.co.k[...] 2021-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