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텔페롱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텔페롱 문화는 프랑스 샤텔페롱 지역의 요정 동굴을 대표 유적지로 하는 구석기 시대 문화이다. 무스테리안 문화의 석기 제작 방식을 계승하여 얇고 긴 블레이드를 제작했으며, 상아 도구와 장신구가 발견되기도 했다. 유적 교란과 연대 측정 문제로 인해 오리냐크 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샤텔페롱 도구의 제작 주체를 두고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간의 논쟁이 존재한다.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저서 《제3의 침팬지》에서 샤텔페롱 문화를 네안데르탈인이 초기 유럽 현생 인류의 문화를 받아들인 사례로 해석했으며, 진 오엘의 소설 《지구의 아이들》 시리즈에서도 이 시기를 배경으로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고고학 - 압인무늬토기 문화
압인무늬토기 문화는 지중해 신석기 시대에 조개껍데기나 도구로 토기 표면에 무늬를 새기는 압인무늬토기를 특징으로 하며 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정착 생활을 영위했고 초기 유럽 농경민과 연관이 있으며 현대 사르데냐인, 바스크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는 문화이다. - 프랑스의 고고학 - 프랑스의 선사 시대
프랑스의 선사 시대는 157만 년 전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하여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을 거쳐 라스코 동굴 벽화와 같은 예술 작품이 만들어졌고, 농경과 거석 문화 발달 후 켈트족 문화가 꽃피운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를 포함한다. - 유럽의 구석기 문화 - 올도완 문화
올도완 문화는 약 330만 년 전부터 25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간단한 석기를 제작하고 사용한 초기 석기 시대 문화로, 호미닌의 기술 발전과 사회적 행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을 남겼다. - 유럽의 구석기 문화 - 오리냐크 문화
오리냐크 문화는 약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 유럽과 시베리아에 걸쳐 나타난 초기 상부 구석기 시대 문화로, 석엽기법, 정교한 골각기, 동물 및 비너스 조각상, 동굴 벽화 등 독특한 예술 양식을 특징으로 하며, 크로마뇽인과 그리말디인이 주요 창조자로 여겨지지만 기원과 연대, 다른 지역 문화와의 관계는 논쟁 중이고, 유전학적 연구는 초기 서유라시아인의 이동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 후기 구석기 시대 유럽 - 오리냐크 문화
오리냐크 문화는 약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 유럽과 시베리아에 걸쳐 나타난 초기 상부 구석기 시대 문화로, 석엽기법, 정교한 골각기, 동물 및 비너스 조각상, 동굴 벽화 등 독특한 예술 양식을 특징으로 하며, 크로마뇽인과 그리말디인이 주요 창조자로 여겨지지만 기원과 연대, 다른 지역 문화와의 관계는 논쟁 중이고, 유전학적 연구는 초기 서유라시아인의 이동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 후기 구석기 시대 유럽 -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는 구석기 시대 그라베트 문화의 여성 조각상으로, 다산과 출산을 상징하는 과장된 신체, 묘사되지 않은 얼굴, 띠로 덮인 머리가 특징이며,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이탈리아 북부에서 온 돌로 만들어졌다.
샤텔페롱 문화 | |
---|---|
개요 | |
![]() | |
문화 정보 | |
유형 | 고고학 문화 |
시기 | 후기 구석기 시대 |
연대 | 약 44,500–36,000 BP |
선행 문화 | 무스테리안 |
후행 문화 | 오리냐크 문화, 페리고르 문화 |
특징 | 샤텔페롱 칼날 장신구 뼈 도구 |
발견 및 연구 | |
명칭 유래 | 샤텔페롱의 라 그로트 데 페 |
주요 유적지 | 샤텔페롱 |
지역적 분포 | |
지역 | 아프로-유라시아 |
2. 주요 유적지와 석기 제작 특징
샤텔페롱 문화의 대표적인 유적지는 샤텔페롱에 있는 ''요정 동굴(la Grotte des Fées)''이다.[17] 석기 제작 방식은 무스테리안 문화의 특징을 이어받아 크고 두꺼운 석편이나 작은 블록을 코어로 사용했다. 길고 매끄러운 능선을 만들어 하나 또는 두 개의 타격점을 이용해 얇고 긴 블레이드를 떼어내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부드러운 망치로 직접 타격을 가하여 정밀도를 높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더 두꺼운 블레이드는 측면 스크레이퍼로, 부린(burin)은 디비테이지(débitage)에서 만들어졌다.[4]
주앙 질하옹 등은 19세기에 일어난 유적 교란으로 인해 오리냐크 문화와 샤텔페롱 문화의 층위가 섞였다고 주장한다.[10][11][12] 폴 멜라르와 동료들은 질하옹 등의 분석을 비판하며, 델포르트가 수행한 초기 발굴은 교란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3]
프랑스의 생세제르(Saint-Césaire영어)와 아르시-쉬르-퀴르(Arcy-sur-Cure영어) 및 아르시 동굴군의 사슴 동굴에서 네안데르탈인 화석과 함께 샤텔페롱 문화 유물이 발견됨에 따라, 현재는 네안데르탈인이 영위한 문화로 여겨지고 있다.[17][18][19]
샤텔페롱 문화의 종말은 네안데르탈인의 소멸과 연관되어 있으며, 스페인과 프랑스 서남부에서만 발견된다는 점은 네안데르탈인의 세력이 점차 축소되었음을 보여준다는 해석이 있다[25] . 다만, 포르투갈 피게이라 브라바(Figueira Brava) 동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뼈 조각(3만 1천 년 전)은 네안데르탈인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마지막 시기를 보냈을 가능성을 시사하여, 단순화된 해석은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26] .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1991년 저서 ''제3의 침팬지''에서 샤텔페롱 문화가 주변 지역에 정착한 초기 유럽 현생 인류의 문화를 어느 정도 받아들인 네안데르탈인 공동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혼성 문화의 흔적을 설명한다고 주장한다. 다이아몬드는 이러한 가설적 네안데르탈인의 저항을, 더 기술적으로 발전된 경쟁자들에게 살아남기 위해 총기나 말 사육과 같은 유럽 기술을 채택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아메리카 원주민과 비교한다.[14]
[1]
논문
Neanderthals smart enough to copy humans
2012
프랑스의 르네 동굴(Grotte du Renne)에서는 상아 비즈, 구멍 뚫린 동물 이빨, 맘모스 엄니로 지지된 것으로 보이는 주거 흔적 등도 발견되었다.[16]
3. 유적 훼손 논란과 연대 측정 문제
그러나 폴 멜라르는 토마스 하이엄이 르네 동굴[5]의 장식 유물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로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토대로, 장식 유물이 상위 오리냐크 문화 층위에서 샤텔페롱 퇴적층으로 침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그는 르네 동굴에서 얻은 새로운 연대 측정 결과는 유럽 후기 네안데르탈인 집단에게 복잡한 '상징적' 행동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가장 인상적인 증거가 무너졌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6]
장 자크 위블랭 연구팀은 새로운 연대 측정 자료를 사용하여 샤텔페롱 도구가 네안데르탈인에 의해 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이엄의 연대 측정은 장식 재료를 직접 대상으로 한 반면, 위블랭의 연대 측정은 연관된 뼈를 대상으로 했다. 하이엄은 장식 재료를 직접 측정한 연대 측정이 더 설득력이 있으며, 연관 재료에서 얻은 연대 측정보다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위블랭은 하이엄의 연대 측정이 1960년대에 장식 재료에 칠해진 바니시로 인해 오염되었다고 주장했다. 위블랭 연구팀은 이후 단백질체학적 증거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결론을 뒷받침했다.
4. 샤텔페롱 문화와 네안데르탈인
특히 생세제르에서 발견된 유물은 샤텔페롱 첨두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가장 훌륭한 것이다. 이 시기에 발견된 칼은 무스티에 문화의 아슐 전통 무스티에 문화 B형(fr)과 유사했기 때문에, 프랑수아 보르드(François Bordes영어)는 샤텔페롱 문화가 아슐 전통 무스티에 문화 B형을 기반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았다.[20]
그러나 이에 대한 다른 의견도 존재한다. 생세제르에서 발견된 석기는 샤텔페롱 문화의 것뿐이며, 중동과 남부 아프리카에서 마찬가지로 석기를 사용했던 선상부 구석기 문화(PUP)군이 이보다 더 이른 시기에 발생하여 소멸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네안데르탈인들은 독자적으로 상부 구석기 제작 기술을 습득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을 모방한 결과라고 주장하는 학설도 있다. 샤텔페롱 문화는 현생 인류가 영위한 오리냐크 문화의 출현 시기와 같거나 그보다 늦게 출현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현재는 후자의 학설이 지지받고 있으며, 샤텔페롱 문화는 네안데르탈인이 현생 인류의 문화를 모방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22] 열 발광법을 사용하여 생세제르의 플린트 석기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약 3만 6300년 전으로 추정되어 네안데르탈인이 3만 년 전까지 생존했음이 밝혀졌다.[23]
영국의 학자 폴 멜라스(Paul Mellars영어)는 샤텔페롱 문화를 문화 변동의 한 예로 보았다. 그는 오리냐크 문화를 영위한 현생 인류가 동유럽에서 서유럽으로 이동함에 따라 무스티에 문화를 담당했던 네안데르탈인들이 그 기술을 습득하여 사용했지만, 완전한 문화 이식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5. 샤텔페롱 문화의 종말과 네안데르탈인의 소멸
6. 대중문화 속 샤텔페롱 문화
진 오엘의 지구의 아이들 시리즈 중 다섯 번째 책인 ''돌의 쉼터''(2002)와 여섯 번째 책 ''채색된 동굴의 땅''(2010)은 이 시기, 오늘날 프랑스 지역을 배경으로 한다.
참조
[2]
논문
Before the transition? The final middle Palaeolithic lithic industry from the Grotte du Renne (layer XI) at Arcy-sur-Cure (Burgundy, France)
2017
[3]
논문
The timing and spatiotemporal patterning of Neanderthal disappearance
2014
[4]
논문
Neanderthal Acculturation in Western Europe?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and Its Interpretation
1998
[5]
논문
Chronology of the Grotte du Renne (France) and implications for the context of ornaments and human remains within the Chatelperronian
2010
[6]
논문
Neanderthal symbolism and ornament manufacture: The bursting of a bubble?
2010
[7]
서적
Prehistoria
Gredos
1986
[8]
서적
Euskal Herria en la Prehistoria
Orain
1996
[9]
서적
Prehistoria
Siglo XXI Editores / Fischer Bücherei
1989
[10]
논문
Analysis of Aurignacian interstratification at the Chatelperronian-type site and implications for the behavioral modernity of Neandertals
2006
[11]
논문
Like Hobbes' Chimney Birds
http://paleoanthro.o[...]
2008
[12]
논문
The Upper Paleolithic nature of the Châtelperronian in South-Western France: Archeostratigraphic and lithic evidence
2011
[13]
논문
Confirmation of Neanderthal/modern human interstratification at the Chatelperronian type-site
2007
[14]
서적
The Third Chimpanzee : The Evolution and Future of the Human Animal
https://www.harperco[...]
HarperPerennial
2006
[15]
문서
タッタソール (1998)、pp.289-290
[16]
문서
シュリーブ (1996)、p.415
[17]
문서
河合 (1999)、pp.67-70
[18]
문서
タッタソール (1998)、p.290
[19]
문서
シュリーブ (1996)、p.414
[20]
문서
ストリンガー、クライヴ (1997)、pp.303-304
[21]
문서
ストリンガー、クライヴ (1997)、p.306
[22]
문서
ストリンガー、クライヴ (1997)、pp.328-329
[23]
문서
河合 (1999)、p.70
[24]
문서
シュリーブ (1996)、p.416
[25]
문서
旧石器文化談話会 (2007)、p.71-72
[26]
문서
タッタソール (1998)、p.2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