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리냐크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냐크 문화는 1860년 프랑스 오리냐크 동굴에서 발견된 유물을 바탕으로 명명되었으며, 약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 유럽을 중심으로 서아시아, 아시아 지역에 걸쳐 나타난 구석기 시대 문화이다. 이 시기에는 현생 인류인 크로마뇽인이 살았으며, 석엽기법을 사용한 석기, 뼈나 뿔로 만든 도구, 동굴 벽화, 조각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이 제작되었다. 오리냐크 문화는 유럽 최초의 현생 인류와 관련 있으며, 유전적 증거를 통해 레반트 오리냐크 문화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냐크 문화 - 그리말디인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발견된 그리말디인 유골은 초기 아프리카 기원설과 연관되어 논쟁의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해부학적 현생인류의 일부로 분류되어 모나코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캅카스의 역사 - 아마시아 강화
    아마시아 강화는 이스라엘 왕국과 아람-다마스쿠스 간의 전쟁 종식을 위한 아마시아 조약의 체결 배경, 내용, 결과 및 영향, 그리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주는 시사점을 다룬다.
  • 동유럽의 고고문화 -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는 기원전 58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몰도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번성했던 신석기 시대 후기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의 문화로, 독특한 정착지와 정교한 도자기, 인형 조각상으로 특징지어지며, 자급자족 농경 사회를 이루었다.
  • 동유럽의 고고문화 - 빗살무늬토기 문화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기원전 5600년에서 기원전 2300년 사이 북유럽, 동유럽에 걸쳐 나타난 신석기 시대의 문화로, 빗살무늬 토기가 특징이며 수렵 채집을 기반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의 흔적이 발견되고 시베리아, 중국 북동부 지역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오리냐크 문화
지도
샤베 동굴의 사자 그림 (박물관 복제품)
샤베 동굴의 동굴사자 그림, 37,000 ~ 33,500년 전
오리냐크 문화 지도
오리냐크 문화 유적지 지도
기본 정보
문화 이름오리냐크 문화
시대후기 구석기 시대
시기기원전 43,000년경 ~ 기원전 28,000년경
지역유라시아
대표 유적지오리냐크
정의앙리 브뢰유 및 에밀 카르타일학, 1906년
이전 문화아흐마르 문화, 샤텔페롱 문화
이후 문화그라베트 문화, 말타-부레티 문화
특징
유물석기, 뼈 도구, 상아 도구
기술정교한 석기 제작 기술, 예술품 제작
예술동굴 벽화, 조각품, 장신구
언어
사용 언어알려지지 않음 (당시 인류의 언어)
사회
사회 구조소규모 무리 생활
경제 활동수렵과 채집
기타 정보
관련 인류호모 사피엔스

2. 역사

오리냐크 문화는 구석기 시대 유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여겨지는 현생 인류의 이동에 따른 문화이며, 유럽 초기 현생 인류 또는 크로마뉴인으로 알려졌다.[4] 이 현생 인류의 이동에는 아므리안 문화, 보후니치안 문화, 오리냐크 문화, 그라베트 문화, 솔뤼트레 문화, 마들렌 문화 문화의 화석이 포함되며, 대략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의 마지막 빙하기 최대기(LGM)에 걸쳐 있다.[4]

고고학자들은 오리냐크 문화 유물 제작자들이 유럽 최초의 현생 인류라는 점을 그들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정교함과 자기 인식을 통해 추론하였다. 인간 유해와 후기 오리냐크 문화 유물이 함께 발견된 사실이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한다. 유럽에서는 원시 오리냐크 문화 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간 골격 유해의 발견이 드물지만, 몇 안 되는 발견 사례 역시 현생 인류일 가능성이 높다. 오리냐크 문화 산업과 인간 유해가 가장 잘 연대 측정된 사례는 체코의 믈라데치 동굴에서 발견된 최소 5명의 개인 유해로, 골격 유해에 대한 직접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최소 3만 1,000년~3만 2,000년 전으로 밝혀졌다.[10]

루마니아의 페슈테라 쿠 오아세 동굴에서 발견된 최소 3명의 건장한 현생 인류의 유해는 뼈에 대한 직접 연대 측정 결과 약 3만 5,000년~3만 6,000년 전(BP)으로 밝혀졌다. 고고학적 자료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발견은 동유럽의 초기 오리냐크 문화의 연대 및 지리적 범위 내에 있다.[10]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오리냐크 문화와 북아프리카의 다바 문화는 모두 레반트의 초기 대형 동물 사냥 레반트 오리냐크 문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23]

20세기 초, 오리냐크 문화는 무스티에 문화솔뤼트레 문화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프랑스의 고고학자 앙리 브뢰이유에 의해 이들 문화를 3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샤텔페롱 문화, 오리냐크 문화, 그라베트 문화로 명명하는 학설이 제기되었다. 1933년 드니 페롱은 오리냐크 문화만을 5단계로 구분하고, 샤텔페롱 문화와 그라베트 문화는 연속적인 문화(페리고르 문화)로 보는 견해를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오리냐크 문화의 기원이 서아시아라는 주장도 있으며,[32] 오리냐크 문화에 대한 편년학적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2. 1. 명칭의 유래

Édouard Lartet|에두아르 라르테프랑스어가 1860년에 발굴·조사한 프랑스 중부의 오리냐크(Aurignac) 동굴을 바탕으로 Gabriel de Mortillet|가브리엘 드 모르티예프랑스어에 의해 명명되었다.

2. 2. 연대 및 지역

오리냐크 문화는 아프리카에서 근동을 거쳐 구석기 시대 유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여겨지는 현생 인류의 이동에 따른 문화이다. 이들은 유럽 초기 현생 인류 또는 크로마뉴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이 현생 인류의 이동에는 아므리안(Ahmarian), 보후니치안(Bohunician), 오리냐크(Aurignacian), 그라베트(Gravettian), 솔뤼트르(Solutrean), 마들렌(Magdalenian) 문화의 화석이 포함되며, 대략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의 마지막 빙하기 최대기(LGM)에 걸쳐 있다.[4]

296x296px


오리냐크 문화의 기원이 서아시아라는 주장도 있으며[32], 오리냐크 문화에 대한 정확한 연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주요 오리냐크 문화 유적
오리냐크 동굴Grotte d'Aurignac|오리냐크 동굴프랑스어
바초 키로 동굴Бачо Киро|바초 키로bg
쇼베 동굴Grotte Chauvet|쇼베 동굴프랑스어
호흘레 펠스Hohle Fels|호흘레 펠스de
크사르 아킬Ksar Akil|크사르 아킬ar
하요님 동굴מערת היונים|메에라트 하요님he


2. 3. 다른 문화와의 관계

고고학자들은 오리냐크 문화 유물 제작자들이 유럽 최초의 현생 인류라는 점을 그들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정교함과 자기 인식을 통해 추론하였다. 인간 유해와 후기 오리냐크 문화 유물이 함께 발견된 사실이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한다. 유럽에서는 원시 오리냐크 문화 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간 골격 유해의 발견이 드물지만, 몇 안 되는 발견 사례 역시 현생 인류일 가능성이 높다. 오리냐크 문화 산업과 인간 유해가 가장 잘 연대 측정된 사례는 체코의 믈라데치 동굴에서 발견된 최소 5명의 개인 유해로, 골격 유해에 대한 직접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최소 3만 1,000년~3만 2,000년 전으로 밝혀졌다.[10]

루마니아의 페슈테라 쿠 오아세 동굴에서 발견된 최소 3명의 건장한 현생 인류의 유해는 뼈에 대한 직접 연대 측정 결과 약 3만 5,000년~3만 6,000년 전(BP)으로 밝혀졌다. 고고학적 자료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발견은 동유럽의 초기 오리냐크 문화의 연대 및 지리적 범위 내에 있다.[10]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오리냐크 문화와 북아프리카의 다바 문화는 모두 레반트의 초기 대형 동물 사냥 레반트 오리냐크 문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23]

20세기 초, 오리냐크 문화는 무스티에 문화솔뤼트레 문화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프랑스의 고고학자 앙리 브뢰이유에 의해 이들 문화를 3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샤텔페롱 문화, 오리냐크 문화, 그라베트 문화로 명명하는 학설이 제기되었다.

또한, 1933년 다니 페이로니가 제안한 바와 같이 오리냐크 문화만을 5단계로 구분하고, 샤텔페롱 문화와 그라베트 문화는 연속적인 문화(페리고르 문화)로 보는 견해도 있다.

한편, 오리냐크 문화의 기원이 서아시아라는 주장도 있으며[32], 오리냐크 문화에 대한 편년학적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3. 주요 특징

오리냐크 문화의 주요 특징은 석기, 골각기, 예술, 그리고 장례 풍습으로 요약될 수 있다.

오리냐크 문화는 돌칼을 가공한 엔도스크레이터, 조각칼, 칼의 날, 첨두기(尖頭器) 등의 석기와, 창끝, 뼈바늘, 뼈송곳, 지휘봉과 같은 골각기(骨角器)를 사용했다. 특히 이 시기에는 골각제로 만든 장식품이 많이 제작되었다.[4]

예술 분야에서는 매머드, 코뿔소, 타르판 등 당시 서식했던 현재는 멸종된 포유류들을 묘사한 동물 조형물과 더불어 인물 조형물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가장 초기 종교의 증거 중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도르도뉴 지방의 라스코 동굴에서 발견된 , , 사슴 그림 등 다채로운 동굴 벽화와 조각 등이 오리냐크 문화 시대부터 제작되었다. 오스트리아의 빌렌도르프에서는 석회암으로 제작된 여성 조각상인 빌렌도르프의 비너스가 발견되었다.

오리냐크 문화 시기에는 동굴에 사망자(死者)를 매장하고 부장품을 함께 묻는 풍습이 있었다. 이 시기의 문화는 크로마뇽인이나 그리말디인이 창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석기

오리냐크 문화의 석기는 모드 4로 알려져 있으며, 준비된 핵에서 떼어낸 석판(모드 2 아슐리안 및 모드 3 무스테리안의 전형적인 조각이 아닌)이 특징이다. 또한 구석기시대 후기 전반에 걸쳐 도구의 표준화가 더욱 발전하고, 을 도구로 사용한 흔적이 보인다.[17] 긁개 감소 및 고환경 연구에 따르면 초기 오리냐크인들은 이전 도구 문화보다 더 추운 열린 환경에서 순록 무리를 구하기 위해 계절에 따라 더 먼 거리를 이동했다.[17]

대표적인 석기로는 돌칼을 가공한 엔도스크레이터, 조각칼, 칼의 날, 첨두기(尖頭器) 등이 있다. 이러한 석기들은 석엽을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석엽기법이라는 기법으로 만들어졌다. 석엽기법은 미리 모양을 다듬은 원기둥형 또는 원뿔형의 석핵에서 연속적으로 석엽을 떼어내는 방식이다.

동일한 형태의 석기는 유럽 외에도 발칸 반도, 서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중국, 케냐 등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서 출토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연구에서는 이것들이 모두 같은 문화라는 견해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으며, 벨기에에서 스페인에 이르는 지역과 이탈리아가 오리냐크 문화의 문화권으로 간주되고 있다.

3. 2. 골각기

유럽에서 시베리아까지 분포하는 오리냐크 문화 유적에서는 창끝, 뼈바늘, 뼈송곳, 지휘봉 등 골각제품(骨角製品)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에는 훌륭한 것들이 많다. 이 시기에는 골각제로 만든 장식품이 많이 제작되었다.[4] 창던지개나 자루 렌치로 여겨지는 구멍이 뚫린 막대(bâton de commandement)도 오리냐크 문화 유적에서 발견된다.

3. 3. 예술

오리냐크 문화 시기에는 예술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시기 사람들은 목걸이, 팔찌, 상아 구슬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작은 조각상을 만들었다. 창던지개나 자루 렌치로 여겨지는 구멍이 뚫린 막대(bâton de commandement)도 이들의 유적에서 발견된다.

오리냐크 문화 유적에서는 매머드, 코뿔소, 타르판 등 당시 서식했던 현재 멸종된 포유류들을 묘사한 동물 조형물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인간 형상을 한 조형물들도 발견되어 가장 초기 종교의 증거 중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독일의 포겔헤르트 동굴에서는 3만 5천 년 전의 동물 조형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다.[11] 포겔헤르트에서 발견된 여섯 개의 작은 매머드와 말 상아 조각상들 중 하나인 말 조각상은 구석기 시대 후기에 발견된 어떤 작품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숙련된 기술로 조각되었다. 오리냐크 문화 시대에는 신체 장식용 상아 구슬 제작도 중요했다. 유명한 쇼베 동굴 벽화도 이 시대의 것이다.

비너스 조각상이라고 불리는 전형적인 작은 조각상들은 여성을 묘사하고 있으며, 고관절, 유방, 그리고 다산과 관련된 신체 부위를 강조하며, 발과 팔은 없거나 최소화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조각상 중 하나인 호흘레 펠스의 비너스는 2008년 독일의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 조각상은 3만 5천 년 전 것으로 추정되며, 선사 시대 예술에서 인간을 묘사한 가장 오래된, 논란의 여지가 없는 예시이다.[12][13] 독일 슈바벤 알브의 호흘렌슈타인-슈타델 동굴에서 발견되어 4만 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호흘렌슈타인-슈타델의 사자 인간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인간형 동물 조각상이다.

포겔헤르트 동굴(Vogelherd Cave), 독일에서 발견된 말 조각상


오리냐크 문화 유적에서는 뼈로 만든 피리가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논란의 여지가 없는 악기는 2008년 독일 슈바벤 알브의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된 호흘레 펠스 피리이다.[14] 이 피리는 독수리 날개뼈로 만들어졌으며 다섯 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약 3만 5천 년에서 4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14] 프랑스 남서부의 아브리 블랑샤르에서도 피리가 발견되었다.[15]

동굴 벽화와 조각 등이 제작된 것은 오리냐크 문화 시대부터이며, 도르도뉴 지방의 라스코 동굴에 남아 있는 , 사슴 그림 등 다채로운 벽화가 발견되었다.

오스트리아의 빌렌도르프에서는 석회암으로 제작된 여성 조각상인 빌렌도르프의 비너스가 발견되었다.

3. 4. 장례

오리냐크 문화 시기에는 동굴에 사자(死者)를 매장하고 부장품을 비치한 예도 볼 수 있다. 크로마뇽인이나 그리말디인이 이 시기의 문화를 창조했다.

4. 오리냐크 문화인

오리냐크 문화인은 유럽 최초의 현생 인류로 여겨지며, 그들의 정교한 작품과 자기 인식은 이를 뒷받침한다. 체코 믈라데치 동굴에서 발견된 최소 5명의 유해는 오리냐크 문화인의 골격 유해에 대한 직접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최소 3만 1,000년~3만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0]

루마니아 페슈테라 쿠 오아세 동굴에서 발견된 최소 3명의 현생 인류 유해는 약 3만 5,000년~3만 6,000년 전으로 추정되며, 동유럽 초기 오리냐크 문화의 연대 및 지리적 범위 내에 있다.[10]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오리냐크 문화와 북아프리카 다바 문화는 모두 레반트의 레반트 오리냐크 문화에서 유래했다.[23]

upright


오리냐크 문화에 속하는 고예 동굴 집단의 다른 수렵 채집인들과의 유전적 위치


2019년 인구 분석에 따르면 오리냐크 문화 시대(약 4만 2천년~3만 3천년 전) 서유럽과 중유럽의 평균 인구는 1,500명(상한선: 3,300명, 하한선: 800명)으로 추산된다.[21] 2005년 연구에서는 4만~3만 년 전 상석기 유럽 인구를 1,738~28,359명(평균 4,424명)으로 추산했다.[22]

4. 1. 인류학적 특징

3만 년 전 체코와 3만 5천 년 전 벨기에의 인골에서 하플로그룹 C1a2 (Y염색체)가 검출되었으며,[33] 이 유형이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계층으로 오리냐크 문화를 이끌었다고 생각된다.[34]

또한 유럽 제2파의 하플로그룹 I (Y염색체)도 이 문화를 이끌었다.[35]

4. 2. 유전학적 특징

2016년 5월 ''네이처''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서, 벨기에의 고예 동굴(Goyet Caves)에서 발견된 초기 오리냐크 문화 시대 개체인 고예 Q116-1의 유해가 분석되었다. 이 개체는 부계 하플로그룹 C1a와 모계 M 하플로그룹에 속했다.[26] 다른 오리냐크 문화 시대 표본에서 확인된 하플로그룹은 부계 하플로그룹 C1b, K2a, 그리고 mt-DNA 하플로그룹 N, R, U이다.[26]

3만 년 전 체코와 3만 5천 년 전 벨기에의 인골에서 하플로그룹 C1a2 (Y염색체)가 검출되었으며,[33] 이 유형이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계층으로 오리냐크 문화를 이끌었다고 생각된다.[34] 또한 유럽 제2파의 하플로그룹 I (Y염색체)도 이 문화를 이끌었다.[35]

5. 주요 유적

오리냐크 문화의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지역유적
프랑스오리냐크 동굴, 쇼베 동굴
독일호흘레 펠스
슬로베니아포톡 동굴
불가리아바초 키로 동굴
레바논/팔레스타인/이스라엘 지역크사르 아킬, 하요님 동굴
시베리아바이칼호 주변, 옵 강 유역, 미누신스크를 포함한 많은 유적지[30]



오리냐크 동굴의 입구

5. 1. 유럽

오리냐크 문화는 아프리카에서 근동을 거쳐 구석기 시대 유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여겨지는 현생 인류의 이동의 일부이며, 유럽 초기 현생 인류 또는 크로마뇽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이 현생 인류의 이동에는 아므리안, 보후니치안, 오리냐크, 그라베트, 솔뤼트르, 마들렌 문화의 화석이 포함되며, 대략 4만 8천 년 전부터 1만 5천 년 전까지의 마지막 빙하기 최대기(LGM)에 걸쳐 있다.[4] 인구 측면에서 오리냐크 문화 복합체는 고예 동굴의 고예 Q116-1 인류 유해와 연관되며, 그 이후의 그라베트 문화는 베스토니체 집단과 연관된다.[9]

오리냐크 문화의 도구 산업은 바닥에 홈이 파인 가공된 뼈나 뿔촉으로 특징지어진다. 석기는 조잡한 석편 대신 준비된 핵에서 떼어낸 정교한 석판과 소석판을 사용했다.[10] 이 문화권 사람들은 프랑스 남부 트루아 프레르의 동물 조각과 쇼베 동굴의 그림과 같은 초기 동굴 벽화 중 일부를 제작했다. 또한 목걸이, 팔찌, 상아 구슬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작은 조각상도 만들었다. 창던지개나 자루 렌치로 여겨지는 구멍이 뚫린 막대도 유적에서 발견된다.

오리냐크 문화 유적에서는 당시 서식했던 현재 멸종된 포유류매머드, 코뿔소, 타르판 등을 묘사한 동물 조형물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인간 형상을 한 조형물들도 발견되어 가장 초기 종교의 증거 중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독일 포겔헤르트 동굴에서는 3만 5천 년 전의 동물 조형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다.[11] 포겔헤르트에서 발견된 여섯 개의 작은 매머드와 말 상아 조각상들 중 하나인 말 조각상은 구석기 시대 후기에 발견된 어떤 작품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숙련된 기술로 조각되었다. 오리냐크 문화 시대에는 신체 장식용 상아 구슬 제작도 중요했다. 유명한 쇼베 동굴 벽화도 이 시대의 것이다.

전형적인 작은 조각상들은 여성을 묘사하고 있으며, 비너스 조각상이라고 불린다. 이 조각상들은 고관절, 유방, 그리고 다산과 관련된 신체 부위를 강조하며, 발과 팔은 없거나 최소화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조각상 중 하나인 호흘레 펠스의 비너스는 2008년 독일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 조각상은 3만 5천 년 전 것으로 추정되며, 선사 시대 예술에서 인간을 묘사한 가장 오래된, 논란의 여지가 없는 예시이다.[12][13] 독일 슈바벤 알브의 호흘렌슈타인-슈타델 동굴에서 발견되어 4만 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호흘렌슈타인-슈타델의 사자 인간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인간형 동물 조각상이다.

오리냐크 문화 유적에서는 뼈로 만든 피리가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논란의 여지가 없는 악기는 2008년 독일 슈바벤 알브의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된 호흘레 펠스 피리이다.[14] 이 피리는 독수리 날개뼈로 만들어졌으며 다섯 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약 3만 5천 년에서 4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14] 프랑스 남서부의 아브리 블랑샤르에서도 피리가 발견되었다.[15]

5. 2. 서남아시아


  • 크사르 아킬(Ksar Akil)
  • 하요님 동굴(HaYonim Cave)

5. 3. 아시아

시베리아에서는 바이칼호 주변, 옵 강 유역, 미누신스크를 포함한 많은 유적지가 발견되었다.[30]

참조

[1]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2-06
[2] 서적 Stone Tools in the Paleolithic and Neolithic Near East: A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2-28
[3] 학술지 Industrie Moustérienne perfectionnée. Station de La Quina (Charente)
[4] 서적 The Human Career: Human Biological and Cultural Origi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5] 학술지 Out of Africa: modern human origins special feature: the spread of modern humans in Europe 2009-09-00
[5] 학술지 Radiocarbon chronology for the Early Gravettian of northern Europe: new AMS determinations for Maisières-Canal, Belgium
[6] 백과사전 Aurignacia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7] 서적 Stone Tools in the Paleolithic and Neolithic Near East: A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8] 학술지 The Levantine Aurignacian: a closer look http://www.patrimoni[...] 2006
[9] 서적 GoyetQ116-1 is chronologically associated with the Aurignacian cultural complex. Thus, the subsequent spread of the Vestonice Cluster,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Gravettian cultural complex, shows that the spread of the latter culture was mediated at least in part by population movements.
[10] 학술지 Archeology and the Dispersal of Modern Humans in Europe: Deconstructing the Aurignacian
[11] 웹사이트 Finds from the Vogelherd cave http://www.ice-age-a[...]
[12] 학술지 A female figurine from the basal Aurignacian of Hohle Fels Cave in southwestern Germany
[13] 웹사이트 Prehistoric female figure 'earliest piece of erotic art uncovered' http://entertainment[...] 2009-05-14
[14] 학술지 New flutes document the earliest musical tradition in southwestern Germany 2009-08-06
[15] 서적 Origins Reconsidered: In Search of What Makes Us Human
[16] 학술지 A 41,500 year-old decorated ivory pendant from Stajnia Cave (Poland) 2021
[17] 학술지 End scraper reduction and hunter-gatherer mobility
[18] 학술지 Genomic structure in Europeans dating back at least 36,200 years https://escholarship[...] 2014-11-28
[19] 학술지 The early upper Paleolithic of eastern Europe reconsidered https://doi.org/10.1[...] 2011-01-00
[20] 학술지 The Upper Paleolithic man from Markina Gora: Morphology vs. genetics? https://doi.org/10.1[...] 2017-03-00
[21] 학술지 Population dynamics and socio-spatial organization of the Aurignacian: Scalable quantitative demographic data for western and central Europe
[22] 학술지 Estimates of Upper Palaeolithic meta-population size in Europe from archaeological data
[23] 학술지 Timing of a Back-Migration into Africa
[24] 학술지 The genetic history of Ice Age Europe
[25] 학술지 Ancient genomes show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ur of early Upper Paleolithic foragers
[26] 학술지 Genomic structure in Europeans dating back at least 36,200 years https://www.reposito[...] 2014-11-06
[27] 학술지 Evidence for a genetic discontinuity between Neandertals and 24,000-year-old anatomically modern Europeans 2003-05-00
[28] 학술지 Genetics and Material Culture Support Repeated Expansions into Paleolithic Eurasia from a Population Hub Out of Africa 2022-04-07
[29] 학술지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n Central and East Asia: Blade Technology, Cultural Transmission, and Implications for Human Dispersals 2021-06-20
[30] 백과사전 An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oughton Mifflin Company
[31] 백과사전 Potočka zijalka http://www.dedi.si/d[...] 2012-03-12
[32] 서적 旧石器文化談話会 旧石器考古学辞典
[33] 학술지 The genetic history of Ice Age Europe
[34] 웹사이트 Eupedia http://www.eupedia.c[...]
[35] 웹사이트 Eupedia2 http://www.eupedia.c[...]
[36]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2012-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