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수국사 아미타불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수국사 아미타불도는 1907년 고종의 명에 따라 왕실의 안녕과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제작된 불화이다. 긍법, 두흠, 봉감 등 당대 유명 승려 화가들이 참여하여 제작되었으며,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 보살, 10대 제자, 사천왕 등이 묘사되어 있다. 붉은색, 녹색, 흰색, 청색, 금색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채색되었으며, 철선묘를 사용하여 안정된 필치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화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 불화 - 벽사회
    벽사회는 헤이안 시대 말기에 제작되어 일본 국보로 지정된 그림으로, 다섯 신이 역귀를 물리치는 장면을 묘사하며 천형성, 전단건달바, 신충, 종규, 비사문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문화유산 - 화의군 이영 묘역
    조선 세종의 아들 화의군 이영의 묘역은 단종 복위 운동 관련 인물인 그의 절의를 기리는 곳으로, 조선시대 묘제와 석물 조각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서울 은평구의 문화유산 - 영산군 이전 묘역
    영산군 이전 묘역은 조선 성종의 아들 영산군 이전과 그 후손 4대의 묘역으로, 16세기에서 17세기 묘제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영산군 이전의 묘는 당대 전형적인 석물 형식을 갖춰 학술적 가치가 커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서울 수국사 아미타불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불화 정보
수국사 아미타불도
수국사 아미타불도
이름수국사 아미타불도
영문 이름Buddhist Painting of Suguksa Temple (Amitabha Buddha)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242
지정일2007년 12월 27일
주소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23길 8-5, (구산동)
시대대한제국시대
수량1幅
문화재청 ID21,02420000,11

2. 제작 배경 및 발원

1907년에 편수 보암긍법(普庵肯法), 두흠(斗欽), 금어 봉감(奉鑑), 법연(法沿), 범천(梵天) 등이 아미타후불화를 조성하였다. 대시주 강문환·강재희가 황명을 받들어 황제, 황태자, 황태자비, 귀비 엄씨, 의친왕과 비, 영친왕 등의 성수만세(聖壽萬歲)를 기원하며 제작한 것이다.[1] 화면 하단 좌우 가장자리에는 화기가 적혀 있는데, 왼쪽에는 주상전하 성수만세 등의 발원축수 내용이, 오른쪽에는 연화질과 시주질이 적혀 있다. 화기에 따르면 수국사1907년 2월 7일에 총 13점의 불화를 조성, 봉안했으나 현재는 아미타후불탱, 십육나한탱, 구품탱, 감로탱, 신중탱, 현왕탱 등 6점만이 남아있다. 따라서 이 불화는 대료(大寮)의 상단탱(上壇幀)으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

2. 1.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

1907년에 편수 보암긍법(普庵肯法), 두흠(斗欽), 금어 봉감(奉鑑), 법연(法沿), 범천(梵天) 등이 아미타후불화를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대시주인 강문환·강재희가 황명을 받들어 황제, 황태자, 태자비, 귀비 엄씨, 의친왕과 비, 영친왕 등의 성수만세(聖壽萬歲)를 기원하며 제작한 것이다.[1]

이 불화는 구한말 왕실 발원 불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안정감 있는 구도와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 능숙하고 섬세한 필치가 돋보인다. 구한말 서울 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화승인 보암긍법과 두흠, 봉감 등이 참여하여 그렸다.[1]

2. 2. 제작자

1907년에 편수 보암긍법(普庵肯法), 두흠(斗欽), 금어 봉감(奉鑑), 법연(法沿), 범천(梵天) 등이 아미타후불화를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대시주 강문환·강재희가 황명을 받들어 황제, 황태자, 태자비, 귀비 엄씨, 의친왕과 비, 영친왕 등의 성수만세(聖壽萬歲)를 기원하며 제작한 것이다.[1]

이 불화는 구한말 왕실 발원 불화의 대표작으로, 보암긍법, 두흠, 봉감 등 구한말 서울 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화승들이 참여하여 그렸다.[1]

3. 도상 및 양식

1907년에 편수 보암긍법(普庵肯法), 두흠(斗欽), 금어 봉감(奉鑑), 법연(法沿)범천(梵天) 등이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 팔부중, 천인 등을 화면 가득 배치하여 그렸다.[1] 이 불화는 구한말 왕실 발원 불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안정된 구도와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 능숙하고 섬세한 필치가 돋보인다. 구한말 서울 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화승인 보암긍법, 두흠, 봉감 등이 참여하여 제작하였다.[1]

채색은 적색, 녹색, 흰색, 청색, 금색이 주를 이루며, 아미타삼존의 신광 내부를 비롯하여 권속의 옷 등에 금박과 금니|金泥중국어를 사용하여 매우 화려하다. 원색에 가까운 청색도 사용되었으나 본존의 연화대좌와 사천왕 등의 옷 일부에 적절하게 사용되어 다른 색들과 조화를 이룬다. 권속들의 옷에 시문된 금니|金泥중국어 문양 역시 다양하고 화려하다. 필선은 철선묘를 사용하여 안정된 필치를 구사하고 있으며, 제자와 사천왕 등에서는 윤곽선 안쪽에 선염을 가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1]

화기는 화면 하단 중앙이 아니라 화면 좌우 가장자리에 있다. 왼쪽에는 주상전하 성수만세 등의 발원축수 내용이, 오른쪽에는 연화질과 시주질이 적혀 있다. 화기에 의하면 수국사에서는 1907년 2월 7일에 총 13점의 불화를 조성, 봉안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아미타후불탱, 십육나한탱, 구품탱, 감로탱, 신중탱, 현왕탱 등 6점만이 남아있다.[1]

3. 1. 아미타불

화면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 팔부중, 천인 등이 화면 가득 배치되어 있다. 아미타불은 수미좌 위의 청련의 연꽃대좌 위에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짓고 결가부좌하였는데, 갸름한 얼굴에 가는 눈썹과 눈, 좁은 입, 높게 솟은 육계가 특징적이다. 불신(佛身)은 어깨가 넓어 건장하면서도 장대해 보이는데, 붉은 대의에는 원형의 화문이 있고 옷깃에도 연화문이 화려하게 있다. 신광의 내부를 금박으로 처리하여 마치 여래의 몸에서 금색의 빛이 뻗어나오는 듯한 느낌을 준다.[1]

아미타불의 좌우로는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을 비롯한 8구의 보살들이 표현되어 있는데,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외의 보살은 입상으로 표현되었다.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화관에 화불(化佛)과 사리병이 묘사되어 있으며 한 쪽 무릎을 세워 손을 편안히 내린 자세인데 본존과 같은 금색의 신광을 지니고 있어 좌우협시임을 표현하였다. 화면 아래 중앙에 마주보고 서있는 문수보살보현보살은 각각 여의와 백련을 들고 있으며, 나머지 보살은 본존을 향해 상반신을 드러낸 채 합장하고 서있는데, 여덟 보살 중에 지장보살은 보이지 않는다. 보살들은 커다란 보관에 화려한 천의 등으로 아미타불과 함께 매우 화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1]

3. 2. 팔대보살

아미타불 좌우에는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을 비롯한 8대 보살이 표현되어 있다.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 외의 보살은 서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은 머리 장식에 화불과 정병이 묘사되어 있으며, 한쪽 무릎을 세우고 손을 편안히 내린 자세이다. 이들은 본존불과 같은 금색 신광을 지니고 있어 좌우 협시보살임을 나타낸다. 화면 아래 중앙에서 마주 보고 서 있는 문수보살보현보살은 각각 여의와 흰 연꽃을 들고 있다. 나머지 보살들은 본존불을 향해 상반신을 드러낸 채 합장하고 서 있는데, 여덟 보살 중 지장보살은 보이지 않는다. 보살들은 모두 큰 머리 장식과 화려한 천의를 걸쳐 아미타불과 함께 매우 화려한 모습을 보여준다.[1]

3. 3. 10대 제자 및 권속

보살 위로는 아난과 가섭을 비롯한 10대 제자가 상반신만 드러낸 채 합장하거나 정병, 여의 등을 들고 있다. 이들은 부처나 보살들과 달리 윤곽선 주변에 음영을 넣어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1] 제자들 좌우에는 용의 뿔을 들고 있는 용왕과 석류 등 공양물이 든 쟁반을 받쳐 든 용녀, 사자관과 코끼리관을 쓴 팔부중, 금강신 등이 표현되었다.[1]

3. 4. 사천왕

화면 하단에는 사천왕이 묘사되었는데, 4구 모두 전신을 드러낸 채 왼쪽에는 비파와 검을 든 천왕, 오른쪽에는 당번과 탑을 든 천왕이 배치되어 있다.[1] 신체는 다소 짧은 편이지만 귀면문(鬼面文), 수면문(獸面文) 등이 그려진 복갑(腹甲)을 차고 있으며, 금문으로 장식된 갑옷 등이 매우 화려하면서도 번잡해 보인다.[1]

3. 5. 채색 및 필선

적색, 녹색, 흰색, 청색, 금색 등이 주를 이루며, 아미타삼존의 신광 내부를 비롯하여 권속의 옷 등에 금박과 금니|金泥중국어를 사용하여 매우 화려하다.[1] 원색에 가까운 청색도 사용되었으나 본존의 연화대좌와 사천왕 등의 옷 일부에 적절하게 사용되어 다른 색들과 조화를 이룬다.[1] 권속들의 옷에 시문된 금니|金泥중국어의 문양 역시 다양하면서도 화려하다.[1] 필선은 철선묘를 사용하여 안정된 필치를 구사하고 있으며, 제자와 사천왕 등에서는 윤곽선 안쪽에 선염을 가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1]

4. 화기(畵記)

구분내용
향우측
향좌측


5. 가치와 의의

이 불화는 구한말 왕실 발원 불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도와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 능숙하고 섬세한 필치가 돋보인다. 서울 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화승(畵僧)인 보암긍법(普庵肯法)과 두흠(斗欽), 봉감(奉鑑) 등이 참여하여 제작하였다.[1]

1907년에 보암긍법, 두흠, 봉감, 법연(法沿)범천(梵天) 등이 제작한 아미타후불화로, 강문환ㆍ강재희가 황명을 받들어 황제, 황태자, 태자비, 귀비 엄씨, 의친왕과 비, 영친왕 등의 성수만세(聖壽萬歲)를 기원하며 제작한 것이다.[1]

화기는 화면 하단 중앙이 아니라 화면 좌우 가장자리에 적혀있다. 왼쪽에는 주상전하 성수만세 등의 발원축수 내용이, 오른쪽에는 연화질과 시주질이 적혀있다. 화기에 따르면 수국사에서는 1907년 2월 7일에 총 13점의 불화(대웅전 상단탱, 대료 상단탱ㆍ영산탱ㆍ독성탱ㆍ칠성탱ㆍ구품탱ㆍ중단탱ㆍ감로탱ㆍ산신탱ㆍ신중탱(2)ㆍ현왕탱ㆍ조왕탱)를 조성, 봉안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아미타후불탱, 십육나한탱, 구품탱, 감로탱, 신중탱, 현왕탱 등 6점만이 남아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