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유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유헌은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뇌연구원 초대 원장을 역임했으며, 2013년 국민훈장을 수훈했다. 치매 및 뇌질환 연구에 기여했으며, 200여 편의 논문 발표, 6개의 SCI급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한국뇌연구원 원장, 국제뇌연구학회 아시아태평양위원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국제 HFSP기구 본부 이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서유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유헌
인물 정보
이름서유헌
한글서유헌
출생일1948년 2월 8일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분야신경과학, 신경약리학
소속한국뇌연구원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알려진 업적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수상
수상 내역국민훈장 (2002년, 201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2009년)
5.16 민족상 (2004년)
세종상 (1997년)
21세기 우수 한국 과학자 선정

2. 생애

서유헌은 서울에서 태어났다. 1973년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1981년에 동대학원 약리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신경과학연구소장, 한국뇌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에는 학문적 업적으로 국민훈장을 받았다.

2. 1. 주요 경력

연도경력
2012. 07 - 현재한국뇌연구원 원장
2008 - 현재국제뇌연구학회(IBRO) 아시아태평양위원회(APRC) 위원
2007. 12 - 2008. 05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대통령), 위원
2005. 01 - 현재국제 HFSP(인간프론티어과학)기구, 본부이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한국뇌연구원 초대 원장


3. 연구

서유헌은 뇌 연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에피네프린 합성 효소인 PNMT 유전자를 최초로 클로닝했으며,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잠재적 유전자 및 요인을 발견하고,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잠재적 약물 및 줄기 세포 치료 개발에 기여했다.

3. 1. 연구 성과

치매의 원인에 관하여 ‘C단 단백질 학설과 새로운 유전자 S100a9’을 제시해 치매와 뇌질환 연구에 새로운 시야를 선보였다. 이러한 공로로 2009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세종문화상, 5·16 민족상, 과학기술훈장 웅비장 등을 수상하였으며, 21세기 한국의 꿈 21인(MBC)에 선정되었다.

뇌 연구에 관한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6개의 SCI급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유헌은 최초로 에피네프린 합성 효소인 PNMT 유전자를 클로닝했으며,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잠재적 유전자 및 요인을 발견하고,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잠재적 약물 및 줄기 세포 치료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 연구 업적에는 논문(120편 이상의 SCI 논문을 포함한 200편 이상)과 특허(한국 특허 7건, 미국 특허 2건, 일본 특허 1건)가 있다.

4. 학술 활동

서유헌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 활동했다.

구분내용
국내대통령주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국가 생명공학종합정책 심의위원, 정부 교과교육과정개정 TF위원, 뇌 연구촉진법 제정 준비위원장, 국가 뇌연구원 설립 추진단장, 한국 뇌학회 초대회장, 아시아 대양주 신경과학회 회장, 국가 뇌연구촉진 심의위원, 한국 뇌과학 올림피아드 위원장, 한국 마음두뇌 교육협회장, 대한퇴행성 질환 학회장, 서울대학교 신경과학연구소장, 과기부 치매정복창의연구단장, 한국인지과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국제국제뇌연구학회(IBRO) 아시아태평양위원회(APRC) 위원, 국제 인간프론티어과학(HFSP)기구 본부이사, 아시아-오세아니아 신경과학회 연합(FAONS), IBRO의 APRC(아시아 태평양 지역 위원회) 및 아시아 태평양 신경화학회의 평의원 등을 역임했다.,


4. 1. 편집 활동

서유헌은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회원이자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회원이다. 또한 인간 프런티어 과학 프로그램 이사, AD&PD 국제 과학 자문 위원, 알츠하이머병 및 관련 질환에 관한 국제 학술회의 국제 과학 자문 위원이다.

6개의 SCI 저널(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Journal of Neurochemistry, Journal of Molecular Neuroscience,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Neurochemical Research 및 Neuroscience Research)의 편집자이다.

1995년부터 ''Journal of Neurochemistry''의 편집 담당자이며, 1998년부터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의 편집 위원, 1999년부터 ''Journal of Molecular Neuroscience''의 편집 위원, 2002년에 ''Neurochemical Research''와 ''Neuroscience Research''의 편집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1년부터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의 부편집인, 2013년부터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의 부편집인이다.

4. 2. 국내 활동

서유헌은 대통령주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국가 생명공학종합정책 심의위원, 정부 교과교육과정개정 TF위원, 뇌 연구촉진법 제정 준비위원장, 국가 뇌연구원 설립 추진단장, 한국 뇌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아시아 대양주 신경과학회 회장, 국가 뇌연구촉진 심의위원, 한국 뇌과학 올림피아드 위원장, 한국 마음두뇌 교육협회장, 대한퇴행성 질환 학회장, 서울대학교 신경과학연구소장, 과기부 치매정복창의연구단장, 한국인지과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및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회원이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 인지 과학회 회장, 1997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 뇌 학회의 창립 회장이자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 뇌 및 신경 과학회 회장, 2001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 약리학회 회장,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 국립 보건원(NIH)의 생의학 뇌 연구 센터 회장,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신경화학회 회장,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신경 퇴행성 질환 학회의 창립 회장 및 평의원,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 과학과 설립을 위한 심사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기관 심의 위원회 위원이었다.

2011년 6월부터 국가 생명 공학 정책 위원회 평의원이다.

4. 3. 국제 활동

서유헌은 국제뇌연구학회(IBRO) 아시아태평양위원회(APRC) 위원, 국제 인간프론티어과학(HFSP)기구 본부이사 등으로 활동하였다.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및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회원이다. 인간 프런티어 과학 프로그램 이사이자, AD&PD 국제 과학 자문 위원, 알츠하이머병 및 관련 질환에 관한 국제 학술회의 국제 과학 자문 위원이었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신경과학회 연합(FAONS), IBRO의 APRC(아시아 태평양 지역 위원회) 및 아시아 태평양 신경화학회의 평의원을 역임했다.

6개의 SCI 저널(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Journal of Neurochemistry, Journal of Molecular Neuroscience,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Neurochemical Research 및 Neuroscience Research)의 편집자이다. 2011년부터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의 부편집인, 2002년에 ''Neurochemical Research''와 ''Neuroscience Research''의 편집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95년부터 ''Journal of Neurochemistry''의 편집 담당자이며, 1999년부터 ''Journal of Molecular Neuroscience''의 편집 위원, 1998년부터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의 편집 위원, 2013년부터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의 부편집인이다.

5. 저술

저술에도 주력하여 「머리가 좋아지는 뇌과학 세상」, 「나는 두뇌 짱이 되고 싶다」, 「천재 아이를 원한다면 따뜻한 부모가 되라」, 「잠자는 뇌를 깨워라」, 「두뇌 장수학」, 「내 아이의 미래가 달라지는 엄마표 뇌교육」 등 40여 권의 뇌과학 도서를 출판하는 등 과학의 대중화에도 기여하여 1997년 한국과학기술도서상 저술상을 수상하였다.

6. 수상

연도상 이름
2009년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자상
2004년5·16 민족상
2002년과학기술훈장 웅비장
1997년세종문화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