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발투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발 투수는 야구 경기에서 처음으로 등판하여 많은 이닝을 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수이다. 선발 투수는 보통 5이닝 이상을 던지며, 투구 수 제한이나 부상으로 인해 교체될 수 있다. 선발 투수는 다양한 구종을 섞어 던지며 타자를 상대하며, 팀은 여러 명의 선발 투수를 로테이션으로 기용한다. 선발 투수의 주요 기록으로는 퀄리티 스타트, 통산 선발 등판 및 승리 등이 있으며, 개막전 선발 투수를 개막 투수라고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포지션 - 우익수
    우익수는 야구에서 외야수 중 한 명의 포지션으로, 넓은 수비 범위와 강한 어깨, 빠른 판단력 등을 요구받으며, 3루까지 송구해야 하므로 강한 어깨가 필요하다.
  • 야구 포지션 - 외야수
    외야수는 야구에서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로 구분되며 넓은 수비 범위를 담당하고, 타구 판단, 민첩성, 강한 어깨, 타격 능력이 중요하며, 중견수는 넓은 수비 범위와 빠른 발, 우익수는 강한 어깨, 좌익수는 송구 능력이 요구된다.
선발투수
기본 정보
클레이튼 커쇼 투구폼
투구폼
약칭SP, 선발
역할투수
수비 위치투수
투구 방향오른손 또는 왼손
타격 방향오른손 또는 왼손
상세 정보
설명선발 투수는 야구 또는 소프트볼 경기에서 해당 팀을 위해 첫 번째 투구를 하는 투수이다.
역할 중요성선발 투수는 팀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팀에서 가장 뛰어난 투수 중 한 명이다.
등판 간격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대부분의 팀은 5명의 선발 투수를 로테이션으로 운영하며, 각 투수는 약 4일의 휴식 후 다시 등판한다.
이 로테이션은 팀이 시즌 내내 신선한 투수를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역사
기원19세기 후반, 야구의 초창기부터 존재했다.
초기 역할당시에는 투수가 경기의 모든 이닝을 던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변화야구가 발전하고 투수들의 팔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짐에 따라 선발 투수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1900년대 초, 선발 투수가 6~7이닝을 던지고 다른 투수가 남은 이닝을 책임지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현대 야구
역할 변화현대 야구에서는 선발 투수가 5~6이닝을 던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후에는 불펜 투수가 남은 이닝을 책임진다.
이는 투수들의 팔을 보호하고 팀이 승리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중요성여전히 팀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건좋은 선발 투수는 스트라이크를 던질 수 있고, 다양한 구종을 던질 수 있으며, 압박감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관련 기록
최다 선발 등판사이 영 (815회)
연속 경기 선발 등판재크 데이비스 (682경기)
한 시즌 최다 선발 등판윌 화이트 (75경기, 1879년)

2. 선발 투수의 역할 및 특징

야구 감독은 이상적인 상황에서 선발 투수가 한 경기에서 최대한 많은 이닝을 던지기를 선호한다. 대부분의 정규 선발 투수는 정기적으로 최소 5이닝을 던지며, 그렇지 못할 경우 불펜으로 강등될 가능성이 높다. 선발 투수는 최대한 많은 이닝을 던지면서도 대량 실점 없이 5이닝 이상을 던져야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춘다.[8] 메이저 리그에서는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내로 막는 것을 퀄리티 스타트라 하며, 선발 투수의 능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많은 이닝을 꾸준히 던질 수 있는 선발 투수를 ''워크호스''(workhorse)라고 한다. 현대 야구에서 워크호스의 예로는 2013년 은퇴 전까지 완투와 완봉에서 현역 1위를 기록했던 로이 할러데이(Roy Halladay)가 있다.[4]

팀의 선발 로테이션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 선발 출전하는 투수를 "스폿 선발"이라고 한다. 스폿 선발은 주로 롱 릴리버이거나 마이너 리그에서 승격된 선발 투수이며, 예정된 선발 투수의 부상이나 더블헤더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발생한다.[5][6]

한편, 인간의 신체 구조상 투구는 부자연스러운 행위로, 투수의 어깨와 팔에 큰 부담을 준다. 어깨는 견갑골에 부담이 가해지고, 팔꿈치는 내측 인대가 늘어나기 쉬우며, 척골 신경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원심력으로 인해 손가락 끝의 모세 혈관도 손상될 수 있다.[10]

2. 1. 워크로드 및 투구 수 제한

현대 야구에서 선발 투수는 투구 수 제한(pitch count)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는 부상 방지 및 효율적인 투수 운용을 위한 조치이다.[2] 투구 수 제한은 특히 부상에서 회복 중인 선발 투수에게 흔하다. 일반적으로 선발 투수가 한 경기에서 125개 이상 투구하는 것은 드물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투구 수 제한 및 구원 투수의 분업화가 도입되었다.[10] 이전에는 에이스급 선발 투수가 거의 모든 경기에서 완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대 야구에서는 투수의 어깨와 팔꿈치 등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6회 이후 구원 투수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아졌다.[11] 스포츠 의학의 발전에 따라 투구로 인해 끊어진 모세 혈관이 재생되려면 4일 이상이 걸린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현대 프로 야구에서 선발 투수는 4일에서 6일 정도의 등판 간격을 두는 것이 보통이다.

일본은 6일 간격이 기본이지만 팀 상황에 따라 5~4일 간격, 이닝 수도 100구를 기준으로 6~7이닝에서 강판되는 경우가 많지만, 컨디션·팀 사정·감독의 방침에 따라 완투하는 경우(이 경우 투구 수는 120구를 넘는 경우도 있다)가 있다.

일본의 고교 야구에서는 에이스급 선발 투수가 거의 모든 경기에서 완투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특히 봄·여름의 고시엔 대회와 여름 지방 대회에서는 후반부의 일정이 과밀하기 때문에, 연일 에이스 투수가 선발 출전하며, 그때마다 100구 이상을 던지는 것도 결코 드물지 않다.[11][12][13][14] 이러한 기용 방법은 부상 방지 관점에서 논란이 있다.

2. 2. 투구 선택

선발 투수는 다양한 구종을 던져 타자를 상대해야 한다. 크게 패스트볼, 브레이킹 볼, 체인지업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구종은 구속, 궤적, 회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7]

구종설명
패스트볼가장 빠른 공으로, 일반적으로 80마일 후반에서 100마일 이상의 속도로 던져진다.
포심 패스트볼가장 빠르지만 움직임이 적다.
투심 패스트볼포심보다 약간 느리지만, 아래로 떨어지면서 투수의 팔 안쪽으로 휘어진다.
싱커투심과 비슷하지만 더 일찍 꺾인다.
컷 패스트볼투심과 비슷하지만 투수의 팔 반대쪽으로 꺾인다.
하드 브레이킹 볼
슬라이더투수의 팔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급격하게 꺾이는 공으로, 패스트볼보다 느리지만(보통 80마일대) 느린 브레이킹 볼보다는 빠르다.
스플리터패스트볼처럼 보이지만 궤적 후반에 아래로 꺾이며, 보통 80마일 초중반, 때로는 90마일 이상으로 던져진다.
소프트 브레이킹 볼
커브볼릴리스 지점에서 시작하여 투수의 팔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꺾이는 공으로, 60마일 후반에서 80마일 중반의 속도로 날아간다. 12-6 커브는 수직으로 떨어지는 커브볼을 의미한다.
스크루볼투수의 팔이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꺾이는, 사실상 역 커브볼이다. 현대 야구에서는 드물게 사용된다.[7]
기타 변화구
체인지업서클 체인지업, 벌컨 체인지업, 팜볼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패스트볼과 같은 팔 동작으로 던지지만 훨씬 느린 속도(패스트볼보다 10~20마일 느림)로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는다.
너클볼매우 다루기 어려운 구종으로, 투구의 궤적이 예측 불가능하다.



선발 투수는 여러 구종을 섞어 던지면서 구속, 궤적, 회전 등을 조절하여 타자를 혼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타자가 투구에 익숙해지는 것을 막고, 칠 수 없는 공을 던지기 위함이다.[9]

2. 3. 오프너 전략

201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2018 MLB season)에서 탬파베이 레이스(Tampa Bay Rays)는 '오프너(opener)'[3]라는 새로운 전략을 선보였다. 오프너 전략은 구원 투수가 경기를 시작하여 첫 1~2이닝을 던지고, 그 후 롱 릴리버(long reliever) 역할을 하는 투수가 이어받아 경기의 중간 이닝을 책임지는 방식이다. 이 전략은 상대 타선에서 강한 상위 타자들을 구원 투수가 상대하게 함으로써, 기존 선발 투수가 초반에 겪는 어려움을 줄여준다. 어떤 경우에는 팀이 오프너 이후 1~2이닝만 던질 수 있는 여러 구원 투수를 기용하는 '불펜 게임'을 펼치기도 한다.[16]

3. 선발 로테이션

팀은 여러 명의 선발 투수를 보유하고, 이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번갈아 가며 경기에 출전한다. 이를 선발 로테이션이라고 한다. 선발 로테이션은 팀의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스포츠 의학의 발전에 따라 투수의 팔꿈치 주변 모세 혈관 재생에는 4일 이상이 걸린다는 것이 증명되었고,[10] 현대 프로 야구에서 선발 투수는 4일에서 6일 정도의 등판 간격을 두는 것이 보통이다.

일본은 6일 간격이 기본이지만 팀 상황에 따라 5~4일 간격, 이닝 수도 100구를 기준으로 6~7이닝에서 강판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컨디션, 팀 사정, 감독의 방침에 따라 완투하는 경우(이 경우 투구 수는 120구를 넘는 경우도 있다)도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등판 간격 4일, 투구 수 100구 전후에서의 교체가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다. 그 때문에 미국에서는 구원 투수 정비도 일찍부터 진행되어, 중간 계투 투수, 셋업 투수, 마무리 투수와 같은 분업화가 두드러진다. 일본에서 선발 투수의 투구 수 제한 및 구원 투수의 분업화가 도입된 것은 1990년대 무렵부터이다.

일본의 고교 야구에서는 에이스급 선발 투수가 거의 모든 경기에서 완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봄·여름의 고시엔 대회와 여름 지방 대회에서는 후반부의 일정이 과밀하기 때문에, 연일 에이스 투수가 선발 출전하며, 그때마다 100구 이상을 던지는 것도 결코 드물지 않다. 이러한 기용 방법, 과밀 일정, 더 나아가 누계 수백 구를 던지는 것이 미담으로 미디어에서 다루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요즘 일본에서는 부상 방지 등의 관점과 구태의연한 체질이 계속되고 있는 상징으로서 찬반 양론이 있다.[11][12][13][14]

선발 로테이션은 보통 5명 전후의 투수로 구성되며, 팀 내에서 우수한 투수를 상위 5명 선출하여 기용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에 4명의 투수가 3일 간격으로 선발 등판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었고, 1970년대 중반에 5명의 투수가 4일 간격으로 선발하는 방법이 등장하면서 1980년대에는 거의 모든 팀에 채택되었다. 1980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완투주의를 고수하여 팀에서 91완투를 기록했지만, 이듬해부터 각 선발 투수의 성적이 급격히 하락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선발 투수에게 완투를 시키는 생각은 후퇴하고, 1선발당 투구 수 제한 도입 및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던 구원 투수의 분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오랫동안 각 팀의 에이스라 불리는 투수가 많은 경기에 선발 등판하고, 선발 등판하지 않을 때는 구원 등판도 하는 상태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반드시 선발 투수라는 개념이 성립하지 않았다. 1980년대부터 5일 간격의 선발 로테이션이 확립되어 갔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6일 간격이 통상적으로 되었다.

2016년 시즌 종료 시점에서, 일본 프로 야구에서 선발 승리(선발 투수 승리) 수만으로 200승을 달성한 자는 11명이며, 미일에서는 구로다 히로키가 사상 최초이다.[15]

3. 1. 대한민국 프로야구의 선발 로테이션

대한민국 프로야구에서는 일반적으로 5명의 선발 투수로 로테이션을 구성하며, 5~6일 간격으로 등판한다. 팀 상황에 따라 4일 간격으로 등판하는 경우도 있으며, 투수의 컨디션과 감독의 판단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된다.[15]

4. 주요 기록

선발 투수는 자신이 선발 등판한 경기에서 승리를 기록하기 위해 5이닝을 소화해야 한다.[18] NCAA 야구 규칙에 따르면, 5이닝 미만을 던진 선발 투수라도 경기 시작 전에 결정된 일정 시간 이상을 투구하면 승리를 얻을 수 있다. 5이닝 미만을 던지고도 패전을 기록할 수도 있다. 6이닝 이상을 던지면서 3자책점 이하를 기록한 선발 투수는 "퀄리티 스타트"를 달성했다고 한다. 구원 투수 없이 경기를 마무리하는 선발 투수는 "완투"를 했다고 하며, 완투를 한 투수는 거의 항상 승리 투수가 될 수 있는 상황에 놓인다.

1901년 이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단일 시즌 최다 선발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2024년 시즌 종료 시점)[18]

순위선수 이름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
1잭 체스브로뉴욕 하이랜더스511904년
2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491908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2년
4조 매기니티뉴욕 자이언츠481903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3년
6빅 윌리스보스턴 빈이터스461902년
루브 워델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904년
크리스티 매튜슨뉴욕 자이언츠
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
데이브 데이븐포트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1915년


4. 1. 퀄리티 스타트 (QS)

퀄리티 스타트(QS)는 선발 투수가 6이닝 이상을 투구하면서 3자책점 이하를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선발 투수의 안정적인 투구를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다음은 퀄리티 스타트 관련 기록이다.

1901년 이후 퀄리티 스타트 기록[18]
순위선수 이름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
1잭 체스브로뉴욕 하이랜더스511904년
2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491908년
윌버 우드1972년
4조 매기니티뉴욕 자이언츠481903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3년
6빅 윌리스보스턴 빈이터스461902년
루브 워델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904년
크리스티 매튜슨뉴욕 자이언츠
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
데이브 데이븐포트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1915년



1920년 이후 퀄리티 스타트 기록[23]
순위선수명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비고
1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491972년아메리카 리그 기록[19], 좌완 투수 기록[20]
2481973년
3미키 로리치디트로이트 타이거스451971년
4조지 울클리블랜드 인디언스441923년우완 투수 기록[21]
필 니크로애틀랜타 브레이브스1979년내셔널 리그 기록[22], 우완 투수 기록
6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431975년
필 니크로애틀랜타 브레이브스1977년
8밥 펠러클리블랜드 인디언스421946년
밥 프렌드피츠버그 파이리츠1956년
잭 샌포드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1963년
rowspan="2" |돈 드라이스데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65년
짐 카트미네소타 트윈스
퍼거슨 젠킨스시카고 컵스1969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1년
미키 로리치디트로이트 타이거스1973년
스탠 번센시카고 화이트삭스
윌버 우드1974년
필 니크로애틀랜타 브레이브스1978년


4. 2. MLB 통산 기록

Cy Young영어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가장 많은 선발 등판(815경기)을 기록한 투수이다.[18] Nolan Ryan영어, Don Sutton영어, Greg Maddux영어 등도 많은 선발 등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8]

다음은 1901년 이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단일 시즌 최다 선발 경기 기록이다.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18]

순위선수 이름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
1잭 체스브로뉴욕 하이랜더스511904년
2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491908년
윌버 우드1972년
4조 매기니티뉴욕 자이언츠481903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3년
6빅 윌리스보스턴 빈이터스461902년
루브 워델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904년
크리스티 매튜슨뉴욕 자이언츠
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
데이브 데이븐포트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1915년



다음은 19세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단일 시즌 최다 선발 경기 기록이다.[18]

순위선수명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비고
1윌 화이트신시내티 레즈751879년내셔널 리그 기록, 우완 투수 기록
패드 갈빈버펄로 바이슨스1883년내셔널 리그 기록, 우완 투수 기록
3짐 매코믹클리블랜드 블루스741880년
4가이 헤커루이빌 이클립스731884년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기록
찰스 래드본프로비던스 그레이스
6패드 갈빈버펄로 바이슨스721884년
rowspan="2" |존 클락슨보스턴 빈이터스1889년
8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701885년
빌 허친슨시카고 콜츠1892년
10맷 킬로이볼티모어 오리올스691887년좌완 투수 기록


4. 3. MLB 시즌 기록

잭 체스브로는 1904년에 뉴욕 하이랜더스(현재의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한 시즌 최다 선발 등판(51경기) 기록을 세웠다.[18]

순위선수 이름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
1잭 체스브로뉴욕 하이랜더스511904년
2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491908년
윌버 우드1972년
4조 매기니티뉴욕 자이언츠481903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3년
6빅 윌리스보스턴 빈이터스461902년
루브 워델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904년
크리스티 매튜슨뉴욕 자이언츠
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
데이브 데이븐포트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1915년


4. 4. 대한민국 프로야구 통산 기록

(내용 없음)

4. 5. 대한민국 프로야구 시즌 기록

순위선수 이름소속 구단선발기록 연도
1잭 체스브로뉴욕 하이랜더스511904년
2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491908년
윌버 우드1972년
4조 매기니티뉴욕 자이언츠481903년
윌버 우드시카고 화이트삭스1973년
6빅 윌리스보스턴 빈이터스461902년
루브 워델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904년
크리스티 매튜슨뉴욕 자이언츠
에드 월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
데이브 데이븐포트세인트루이스 테리어스1915년


  • 1901년 이후의 기록이 대상이며, 기록은 2024년 종료 시점이다.[18]

5. 개막 투수

개막전에서 선발 투수를 맡는 투수를 개막 투수라고 부른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각 구단의 에이스 또는 대표 투수가 개막 투수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투수에게 명예로운 일로 여겨진다.[1]

참조

[1] 문서 Doctoring The Numbers: The Five-Man Rotation, Part 3 http://www.baseballp[...] BaseballProspectus.com 2002-08-30
[2] 웹사이트 Regular Season Pitching Rules https://www.littlele[...] 2020-12-30
[3] 웹사이트 How has a year of 'the opener' changed MLB? https://www.mlb.com/[...] 2020-12-30
[4] 웹사이트 Halladay goes for 61 against Nationals https://archive.toda[...]
[5] 웹사이트 Reds' Jose De Leon: To serve as spot starter https://www.cbssport[...] 2022-03-21
[6] 웹사이트 Mets scratch Syndergaard (strep) from start https://www.espn.com[...] 2022-03-21
[7] 뉴스 The Mystery of the Vanishing Screwbal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7-28
[8] 문서
[9] 문서
[10] 서적 スーパードクターK 講談社 2003
[11] 웹사이트 済美・安楽の熱投が問いかけたもの。高校野球における「勝利」と「将来」。 http://number.bunshu[...] Number Web 2013-04-04
[12] 웹사이트 甲子園でエースは連投すべきなのか?“経験者”土肥義弘が語る http://sportsnavi.ya[...] スポーツナビコラム 2013-08-03
[13] 웹사이트 エースの酷使、サイン伝達騒動……。熱戦に沸いた甲子園の“影”を考える。 http://number.bunshu[...] Number Web 2013-08-25
[14] 뉴스 高校野球の呪い「酷使病」──アマチュアスポーツの“素人性”が引き起こした金足農・吉田輝星投手の悲劇(松谷創一郎)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18-08-31
[15] 뉴스 広島黒田7回無失点、野茂に並んだ日米最多201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6-08-21
[16] 웹사이트 MLBに異変「オープナー」制で勝利数の重要性低下 https://www.nikkansp[...] nikkansports.com 2018-09-21
[17]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Games Started https://www.baseball[...] 2023-12-19
[18] 웹사이트 Single-Season Leaders & Records for Games Started https://www.baseball[...] 2023-12-15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url https://www.baseball[...]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