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익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익수는 야구에서 외야수 중 한 명의 포지션으로, 주로 오른쪽 파울 라인에서 중앙까지의 수비 범위를 담당한다. 우익수는 넓은 수비 범위, 강한 어깨, 빠른 판단력과 순발력을 요구받으며, 3루까지 가장 거리가 멀어 강한 어깨가 필요하다. 리틀 리그에서는 수비가 약한 선수가 맡는 포지션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프로에서는 고도의 수비 능력이 요구된다. 한국 프로 야구에서는 골든 글러브 수상, MVP,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메이저 리그 명예의 전당에는 많은 우익수들이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익수 | |
---|---|
수비 위치 정보 | |
포지션 | 외야수 |
위치 | 우익 |
역할 및 책임 | |
수비 | 우익수는 외야의 오른쪽 부분을 담당하며, 타자가 친 공을 잡거나 송구하여 아웃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2루나 3루로 진루하려는 주자를 저지하기 위해 정확하고 빠른 송구를 해야 한다. |
공격 | 우익수는 타격 능력도 요구되며, 득점 기회를 만들기 위해 안타나 장타를 쳐야 한다. 주자가 있을 때는 진루를 돕고, 없을 때는 스스로 득점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필요한 능력 | |
강한 어깨 |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2루나 3루로 정확하게 송구할 수 있는 강한 어깨가 필요하다. |
빠른 발 | 넓은 범위를 커버하고, 타구를 빠르게 쫓아가기 위한 빠른 발이 필요하다. |
판단력 | 타구의 방향과 속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최적의 수비 위치를 선정하는 판단력이 필요하다. |
타격 능력 | 득점 기회를 만들기 위한 타격 능력과 주자를 진루시키기 위한 작전 수행 능력도 중요하다. |
기타 정보 | |
약자 | RF |
2. 포지션 설명
우익수는 주로 라이트 파울 존에서 센터까지의 수비 범위를 담당하며, 외야수 중 3루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 강한 어깨가 요구된다. 우타자의 밀어치기나 좌타자의 강한 타구 등 까다로운 타구를 처리해야 하고, 송구 백업도 필수적이라 운동량이 많다.
드물게 우익수 앞 강한 타구를 처리해 1루로 송구하여 타자를 아웃시키는 '라이트 고로'가 가능하다. 2루나 3루로 송구할 기회가 많아 좌투수에게 적합하지만, 내야수에 비하면 주된 팔의 영향은 작다.
경기 수준이 낮은 리그에서는 좌타자나 밀어치는 우타자가 적어 수비 기회가 적다. 수비력이 없어도 경기 성립에 지장이 없어, 가장 수비가 서툰 선수가 맡는 경우가 많다. '라이파치'는 실력 없는 선수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2][3][4]
그러나 프로 수준에서는 좌타자가 늘고 우타자도 의도적으로 우익수 쪽으로 밀어치기 때문에 수비 기회가 늘어난다. 따라서 높은 수비력(수비 범위, 강견)이 요구된다. 스즈키 세이야, 카지타니 타카유키[5], 오타 타이시[6] 등이 대표적인 현역 우익수이며, 모두 강견이 장점이다.
2. 1. 요구되는 능력
외야수는 넓은 범위를 수비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 좋은 판단력, 그리고 공에 대한 민첩한 반응이 필요하다. 특히 우익수는 머리 위로 날아오는 공을 잡거나 파울 라인 쪽으로 가는 타구를 막아야 한다. 또한, 홈 플레이트에서 약 76.20m~약 91.44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3루까지 멀리 공을 정확하게 던질 수 있는 강한 어깨가 요구된다.[2]이러한 기본적인 능력 외에도 우익수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포수나 투수의 송구를 받을 때 1루수를 백업한다.
- 번트 상황에서 1루수를 백업한다.
- 유격수, 3루수, 또는 파울 라인 지역 등에서 오는 송구에 대해 2루수를 백업한다.
- 1루수가 3루와 홈 사이에서 견제에 걸렸을 때 1루를 백업한다.
우익수는 리틀 리그에서는 수비 능력이 부족한 선수들을 배치하는 포지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는 리틀 리그 선수들이 메이저 리그 선수들처럼 모든 방향과 거리로 타구를 날리지 못하고, 우타자가 좌타자보다 많아 좌익수나 중견수에게 더 많은 수비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2][3][4]
하지만 프로 수준에서는 좌타자가 많아지고, 우타자도 주자를 진루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우익수 방향으로 타구를 보내기 때문에 우익수에게도 높은 수준의 수비 능력(넓은 수비 범위, 강한 어깨)이 요구된다.[5][6][7]
2. 2. 다른 포지션과의 관계
외야수는 넓은 범위를 수비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 정확한 판단력, 그리고 공에 대한 빠른 반응이 필요하다. 특히 우익수는 홈 플레이트에서 76m~91m 떨어져 있어, 효과적인 수비를 위해서는 공을 멀리 정확하게 던질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모든 외야수 중에서 우익수는 3루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가장 강한 어깨를 가진 선수가 맡는 경우가 많다.[2]우익수는 또한 다음과 같은 백업 플레이를 수행한다.
- 가능할 때마다 포수와 투수의 송구를 백업한다.
- 1루수가 공을 처리해야 하는 모든 번트 상황에서 1루수를 백업한다.
- 유격수, 3루수, 또는 파울 라인 지역 등 경기장 왼쪽에서 던져지는 모든 공에 대해 2루수를 백업한다.
- 1루수가 3루와 홈 사이에서 견제에 걸렸을 때 1루를 백업한다.
우익수는 리틀 리그에서 수비 능력이 부족한 선수들을 기용하는 포지션이라는 인식이 있다.[2][3][4] 이는 대부분의 리틀 리그 선수들이 외야로 꾸준히 타구를 보내지 못하고, 우타자가 좌타자보다 많아 좌익수와 중견수에게 더 많은 수비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프로 야구나 상위 리그에서는 좌타자가 늘어나고, 우타자들이 주자를 진루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우익수 방향으로 밀어치기를 하기 때문에 우익수의 수비 기회가 늘어난다. 따라서 프로 수준에서는 높은 수비력(넓은 수비 범위, 강한 어깨)이 요구되는 포지션이다.[5][6][7]
3. 한국 프로 야구 (KBO 리그)
한국 프로 야구(KBO 리그)에서 우익수는 주로 우측 외야를 수비하는 포지션이다. 역대 주요 우익수로는 골든 글러브를 수상한 김준환(해태 타이거즈), 김종모(한화 이글스),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양준혁(삼성 라이온즈), 송지만(넥센 히어로즈), 심재학(두산 베어스), 박한이(삼성 라이온즈), 심정수(현대 유니콘스), 이진영(SK 와이번스, LG 트윈스), 이용규(키움 히어로즈), 카림 가르시아(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 손아섭(롯데 자이언츠) 등이 있다. MVP(최우수 선수)는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멜 로하스 주니어(kt 위즈)가, 최우수 신인상은 최형우(삼성 라이온즈)가 받았다.
3. 1. 역대 주요 우익수
역대 주요 우익수로는 골든 글러브를 수상한 김준환(해태 타이거즈), 김종모(한화 이글스, 4회),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5회), 양준혁(삼성 라이온즈, 3회), 송지만(넥센 히어로즈, 2회), 심재학(두산 베어스), 박한이(삼성 라이온즈), 심정수(현대 유니콘스, 3회), 이진영(SK 와이번스, LG 트윈스), 이용규(키움 히어로즈), 카림 가르시아(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 손아섭(롯데 자이언츠, 4회)이 있다. MVP(최우수 선수)는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멜 로하스 주니어(kt 위즈)가, 최우수 신인상은 최형우(삼성 라이온즈)가 받았다.3. 1. 1. 골든 글러브 수상자
선수 | 소속팀 | 비고 |
---|---|---|
김준환 | 해태 타이거즈 | |
김종모 | 한화 이글스 | 4회 수상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5회 수상 |
고원부 | 빙그레 이글스 |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3회 수상 |
송지만 | 넥센 히어로즈 | 2회 수상 |
심재학 | 두산 베어스 | |
박한이 | 삼성 라이온즈 | |
심정수 | 현대 유니콘스 | 3회 수상 |
이진영 | SK 와이번스, LG 트윈스 | |
이용규 | 키움 히어로즈 | |
카림 가르시아 | 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 | |
손아섭 | 롯데 자이언츠 | 4회 수상 |
3. 1. 2. MVP (최우수 선수)
3. 1. 3. 최우수 신인상
삼성 라이온즈의 최형우가 있다.4. 메이저 리그 (ML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우익수는 뛰어난 타격 능력과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팀의 공격과 수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4. 1. 명예의 전당 우익수
선수 |
---|
행크 에런 |
로베르토 클레멘테 |
블라디미르 게레로 |
토니 그윈 |
레지 잭슨 |
알 칼라인 |
윌리 킬러 |
킹 켈리 |
폴 몰리터 (1981년 우익수로 활동) |
멜 오트 |
베이브 루스 |
프랭크 로빈슨 |
샘 톰프슨 |
폴 워너 |
데이브 윈필드 |
샘 크로포드 |
키키 퀴글러 |
앙드레 도슨 |
엘머 플릭 |
해리 하일먼 |
해리 후퍼 |
척 클라인 |
토미 매카시 |
데이브 파커 |
샘 라이스 |
이노스 슬로터 |
래리 워커 |
로스 영스 |
5. 대중 문화
어린이 엔터테이너이자 그림책 작가, 레코딩 아티스트인 윌리 웰치의 노래 "우익수 (Playing Right Field)"는 우익수가 운동 능력이 부족한 선수들을 위한 포지션이라는 평판을 대중에게 더욱 널리 알렸다. 이 곡은 피터, 폴 앤 메리가 1986년 앨범 ''자유로 가는 쉬운 길은 없다 (No Easy Walk to Freedom)''에 "우익수 (Right Field)"라는 제목으로 수록했고, 1990년 피자헛 광고를 통해 대중화되었다.[1] 이 노래와 광고는 모두 어색한 리틀 리그 선수가 우익수에서 지루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타자가 공을 치자 (모두의 놀라움 속에) 성공적으로 공을 잡아내면서 우익수들이 약한 선수라는 오명을 깨뜨린다.[1]
어린이 만화 ''피너츠''에서 루시 반 펠트는 찰리 브라운의 팀 우익수이며, 종종 공을 놓치거나 경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2]
참조
[1]
웹사이트
Understanding Every Baseball Position and Their Role
https://baseballtrai[...]
2020-12-04
[2]
웹사이트
“ライパチ”は過去の話…重要度が増す「右翼手」というポジション
https://baseballking[...]
2016-04-07
[3]
문서
ライパチくん
読売新聞
[4]
문서
(제목 없음)
[5]
웹사이트
DeNA、9年連続Bクラス エラー数断トツのワケは?中畑采配失敗で萎縮、外野崩壊
https://biz-journal.[...]
ビジネスジャーナル
2018-03-12
[6]
웹사이트
実況も「すごい球が返ってきた」と賛辞 強肩だからできる日ハム大田の“高速送球”
https://full-count.j[...]
2020-08-13
[7]
Youtube
守備が一番下手な人はどこを守るのがいい?宮川フェニックスの話も…
https://www.youtube.[...]
2024-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