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유도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유도공원은 한강의 섬이었던 선유도를 정수장으로 사용하다가 폐쇄된 후, 정수장 건축 시설물을 재활용하여 조성된 공원이다. 1978년부터 2000년까지 선유도 정수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2년 4월 26일 시민공원으로 개장했다. 한강전시관, 수질정화원, 환경물놀이터, 녹색기둥의 정원, 수생식물원, 시간의 정원, 원형소극장, 카페테리아 '나루'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수생식물과 정원을 통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생태경관보전지역 - 밤섬
밤섬은 한강 하류의 무인도로, 과거 주민이 거주했으나 여의도 개발로 폭파된 후 현재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조류와 식물의 서식지로 보전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관광 - 용산가족공원
용산가족공원은 임진왜란 이후 군사 기지로 사용되다가 주한 미군 기지로 사용되던 부지를 서울특별시에서 인수하여 조성한 공원으로, 잔디밭, 연못, 산책로를 갖추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국립중앙박물관과 인접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관광 - 남산 케이블카
- 서울 영등포구의 지리 - 도림천
도림천은 서울특별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봉천천, 난곡천, 대방천 등의 지류를 가지며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도심 속 자연 친화적인 공간이다. - 서울 영등포구의 지리 - 밤섬
밤섬은 한강 하류의 무인도로, 과거 주민이 거주했으나 여의도 개발로 폭파된 후 현재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조류와 식물의 서식지로 보전되고 있다.
| 선유도공원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한국어 표기 | 선유도 |
| 한자 표기 | 仙遊島 |
| 로마자 표기 | Seonyudo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Sŏnyudo |
![]() | |
| 추가 정보 | |
| 위치 | 서울특별시 |
2. 역사
선유도는 본래 한강의 섬으로 선유봉(仙遊峰)이라는 작은 봉우리가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홍수를 막고 길을 포장하기 위한 암석 채취로 깎여나갔다.[2][1] 1962년 6월부터 1965년 1월까지 양화대교 건설로 선유봉은 완전히 사라졌다.[2][1]
1978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서남부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선유도 정수장'''으로 사용되다가 2000년 12월 정수장이 폐쇄된 뒤, 물을 주제로 한 공원으로 만들기로 하고 산업화의 증거물인 정수장 건축 시설물을 재활용하여 녹색 기둥의 정원, 시간의 정원, 수질정화원, 수생식물원 등을 만들었다.[2] 2002년 4월 26일 시민공원인 선유도공원으로 개장하였다.[2]
3. 구성
'''한강전시관'''은 기존 송수펌프실을 재활용하여 한강의 역사, 사계, 생활사, 옛모습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영상물과 사진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전시관에는 한강의 역사와 사계절을 보여주는 사진과 비디오가 전시되어 있다.
'''수질정화원'''은 정수장의 불순물을 침전하던 침전지를 재활용한 시설로서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곳에서 정화된 물은 환경물놀이장, 수생식물원 등 공원내 시설에 그대로 공급된다.
'''환경물놀이터'''는 수질정화원에서 정화된 물을 이용한 친수 공간으로, 수심이 15cm 이하로 얕아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녹색기둥의 정원'''은 정수된 물을 담아두던 정수지의 상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을 그대로 살려 담쟁이덩굴 등 덩굴성 식물을 식재하여 휴식 및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장소이다.
'''수생식물원'''은 모래와 자갈로 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던 곳을 재활용하여 조성되었다. 다양한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공원이용객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습지, 정수, 부엽, 침수 식물 등으로 구분된다. 습지식물로는 구릿대, 궁궁이, 금불초, 물봉선, 동의나물, 물억새, 쇠뜨기 등이 있다. 정수식물로는 골풀, 낙지다리, 노랑꽃창포, 창포, 매자기, 물옥잠, 벗풀, 보풀 등이 있다. 부엽식물로는 수련, 어리연꽃, 가래, 네가래, 생이가래, 백련 등이 있고, 침수식물로는 검정말, 붕어마름 등이 있다.
'''시간의 정원'''은 기존 구조물을 가장 온전하게 남겨 활용한 공간으로, 다양한 주제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향원에는 당귀, 향유, 배초향, 백리향 등 방향성 식물이, 덩굴원에는 덩굴대를 설치하여 각 종 덩굴식물을 설치하였다. 색채원에는 철따라 꽃이 바뀌는 계절 초화류를 식재하였고, 초록벽 정원에는 나팔꽃, 인동덩굴, 줄사철 등 만경류를 식재하여 초록의 벽과 꽃을 연출하였다. 소리의 정원에는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잎이 내는 소리와 파리프를 이용한 오브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푸른숲의 정원은 밀도 있는 수목식재와 교목, 관목, 지피류의 층위구조가 주는 그윽한 숲의 느낌을 가진 정원이다. 이끼원에는 나무 그늘 하부에 암석과 이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사리·습지원은 수로를 타고 흘러 내리는 물을 이용하여 습한 환경을 조성, 고사리류와 계곡의 물이 튀는 곳에 습지식물을 식재하였다.
'''원형소극장'''은 기존 원형 농축조를 재활용하여 만든 시설로서 공연·집회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약 200석 규모의 야외극장이다.
'''카페테리아 '나루''''는 취수펌프실을 재활용한 시설로서 한강 가까이에서 한강을 바라보면서 휴식과 식음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3. 1. 한강전시관
기존 송수펌프실을 재활용하여 한강의 역사, 사계, 생활사, 옛모습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영상물과 사진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전시관에는 한강의 역사와 사계절을 보여주는 사진과 비디오가 전시되어 있다.
3. 2. 수질정화원
정수장의 불순물을 침전하던 침전지를 재활용한 시설로서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곳에서 정화된 물은 환경물놀이장, 수생식물원 등 공원내 시설에 그대로 공급된다.
3. 3. 환경물놀이터
수질정화원에서 정화된 물을 이용한 친수 공간으로, 수심이 15cm 이하로 얕아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3. 4. 녹색기둥의 정원
정수된 물을 담아두던 정수지의 상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을 그대로 살려 담쟁이덩굴 등 덩굴성 식물을 식재하여 휴식 및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장소이다.
3. 5. 수생식물원
수생식물원은 모래와 자갈로 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던 곳을 재활용하여 조성되었다. 다양한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공원이용객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습지, 정수, 부엽, 침수 식물 등으로 구분된다. 습지식물로는 구릿대, 궁궁이, 금불초, 물봉선, 동의나물, 물억새, 쇠뜨기 등이 있다. 정수식물로는 골풀, 낙지다리, 노랑꽃창포, 창포, 매자기, 물옥잠, 벗풀, 보풀 등이 있다. 부엽식물로는 수련, 어리연꽃, 가래, 네가래, 생이가래, 백련 등이 있고, 침수식물로는 검정말, 붕어마름 등이 있다.
3. 6. 시간의 정원
시간의 정원은 기존 구조물을 가장 온전하게 남겨 활용한 공간으로, 다양한 주제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향원에는 당귀, 향유, 배초향, 백리향 등 방향성 식물이, 덩굴원에는 덩굴대를 설치하여 각 종 덩굴식물을 설치하였다. 색채원에는 철따라 꽃이 바뀌는 계절 초화류를 식재하였고, 초록벽 정원에는 나팔꽃, 인동덩굴, 줄사철 등 만경류를 식재하여 초록의 벽과 꽃을 연출하였다. 소리의 정원에는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잎이 내는 소리와 파리프를 이용한 오브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푸른숲의 정원은 밀도 있는 수목식재와 교목, 관목, 지피류의 층위구조가 주는 그윽한 숲의 느낌을 가진 정원이다. 이끼원에는 나무 그늘 하부에 암석과 이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사리·습지원은 수로를 타고 흘러 내리는 물을 이용하여 습한 환경을 조성, 고사리류와 계곡의 물이 튀는 곳에 습지식물을 식재하였다.
3. 7. 원형소극장
기존 원형 농축조를 재활용하여 만든 시설로서 공연·집회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약 200석 규모의 야외극장이다.
3. 8. 카페테리아 '나루'
카페테리아 '나루'는 취수펌프실을 재활용한 시설로서 한강 가까이에서 한강을 바라보면서 휴식과 식음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4. 의의 및 평가
참조
[1]
뉴스
The 2nd Han River Bridge has been completed by about 30 percent.(제2한강교 30% 공정달성)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경향 신문)
1963-07-29
[2]
뉴스
제2한강교 30% 공정달성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3-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