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밤섬은 한강에 위치한 섬으로, 고려 시대에는 귀양지였고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율도였다. 1968년 여의도 개발을 위한 잡석 채취로 폭파되어 윗밤섬과 아랫밤섬으로 나뉘었으며, 현재는 윗밤섬은 마포구 당인동에, 아랫밤섬은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속해 있다.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194종의 식물과 77종의 조류가 관찰되며, 1999년 자연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12년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영화 《김씨 표류기》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생태경관보전지역 -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은 서울 영등포구 한강변에 위치하며 과거 정수장 부지를 재활용하여 조성되었고, 물을 테마로 한 다양한 공간과 편의시설을 갖춘 친환경적인 도시 공원이다. - 대한민국의 옛 취락 - 올림픽공원 (서울)
올림픽공원은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념하여 조성되었으며, 과거 왕릉과 골프장으로 사용되던 곳이 현재는 시민 휴식 공간이자 문화 행사 장소로 활용되며 몽촌토성, 평화의 문, 올림픽 조각공원 등의 볼거리를 제공하고 올림픽공원역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밤섬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한국어 이름 | 밤섬 |
| 면적 | 0.24 제곱킬로미터 |
| 길이 | 1147 미터 |
| 위치 | 한강 |
| 한국어 이름 정보 | |
| 한글 | 밤섬 |
| 로마자 표기 | Bamseom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amsŏm |
| 역사 | |
| 설명 | 밤섬은 원래 여의도의 일부였으나, 한강 개발 과정에서 분리되어 섬이 되었다. 과거에는 밤섬에 사람이 살았으나, 현재는 무인도이다. 밤섬은 생태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아 람사르 협약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
| 생태 | |
| 서식 어종 | チョウセンイチモンジタナゴ チョウセントゲタナゴ クロヒレヒガイ |
| 기타 | |
| 관련 링크 | 영등포구청 공식 웹사이트 여의도 역사 (서울시 공원 웹사이트, 보존된 링크) 서울시청 한강 소개 (보존된 링크) 중앙일보 기사 (깨진 링크) 람사르 습지 정보 서비스 |
2. 역사
고려 말기에는 귀양지로 사용되었고,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율도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주민들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1910년 10월 1일 경성부 서강면 율도가 되었고,[10] 1914년 4월 1일 여의도와 합쳐져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에 속하게 되었다.[11] 1936년 4월 1일에는 경성부에 편입되어 율도정이 되었으며,[12] 1945년 광복 후에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율도동이 되었다.[13] 1968년 2월 10일, 여의도 개발을 위한 제방 축조에 필요한 잡석 채취를 위해 밤섬 중심부가 폭파되면서 윗밤섬(북서쪽)과 아랫밤섬으로 나뉘었다.
2. 1.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고려 말기에는 귀양지였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율도였으며, 주민들이 상주(常住)하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 밤섬 주민 대부분은 배를 만드는 조선업에 종사하였다.2. 2.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1910년 10월 1일 경성부 서강면 율도가 되었다.[10] 1914년 4월 1일 여의도[11]와 합쳐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에 속하게 되었다.[12] 1936년 4월 1일 경성부에 편입되어 율도정이 되었다.[13] 1945년 광복 후에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율도동이 되었다.[14] 1968년 2월 10일 여의도 개발을 위한 제방 축조에 필요한 잡석 채취를 위해 밤섬 중심부를 폭파하여 윗밤섬(북서쪽)과 아랫밤섬으로 나뉘었다. 현재 윗밤섬은 마포구 당인동에, 아랫밤섬은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속해 있다. 서강대교가 건설되면서 서쪽 섬을 교각 지지대 중 하나로 사용하여 밤섬은 무인도가 되었다. 조선 시대 밤섬 주민 대부분은 배를 만드는 조선업에 종사하였다.2. 3. 1968년 이후 변화
1968년 2월 10일 여의도 개발을 위한 매립 공사에 필요한 돌을 확보하기 위해 밤섬을 폭파하여 상밤섬(북서쪽)과 하밤섬으로 나누었다.[11] 서강대교가 건설되면서 서쪽 섬을 교각 지지대 중 하나로 사용하여 밤섬은 무인도가 되었다. 현재 윗밤섬은 마포구 당인동에, 아랫밤섬은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속해 있다.3. 지리 및 면적 변화
1968년 폭파 이전 밤섬의 면적은 5만 2,087평이었고, 이 중 주민 거주지는 1만 7,393평이었다. 아랫밤섬이 5만 905평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윗밤섬은 1,182평에 불과했다.[14] 1999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될 당시에는 퇴적 작용으로 인해 윗밤섬(4만 1,600평)이 아랫밤섬(3만 1,450평)보다 더 커졌다.
동쪽 섬에는 섬들 사이의 수로로 열리는 만이 있는데, 이 만은 대부분 매립되어 습지가 되었다. 이곳에는 많은 갈대와 갈대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있다. 서쪽 섬은 두 섬 중에서 특히 서쪽 끝 부분이 더 숲이 우거져 있다.[14]
3. 1. 섬의 분리와 면적 변화
1968년 2월 10일, 여의도 개발을 위한 매립 공사에 필요한 돌을 확보하기 위해 밤섬을 폭파하여 상밤섬(북서쪽)과 하밤섬으로 나누었다.[14] 폭파 전 밤섬의 면적은 5만 2,087평(주민 거주지: 1만 7,393평)이었다. 아랫밤섬이 5만 905평으로 대부분이었고, 윗밤섬은 1,182평에 불과했다. 폭파 후 면적은 4만 7,490평으로 줄었다가, 이후 퇴적 작용으로 인해 점차 늘어났다.밤섬의 면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연도 | 면적 |
|---|---|
| 1968년 폭파 후 | 4만 7,490평 |
| 1985년 | 5만 3,630평 |
| 1991년 | 6만 170평 |
| 1999년 | 7만 3,050평 (윗밤섬 4만 1,600평, 아랫밤섬 3만 1,450평) |
| 2013년 | 279531m2 (매년 평균 4400m2씩 증가)[14] |
서강대교가 건설되면서 서쪽 섬을 교각 지지대 중 하나로 사용하여 밤섬은 무인도가 되었다. 서강대교가 지나는 서쪽 섬의 길이는 560m이다. 동쪽 섬의 길이는 655m이다.
4. 생태
밤섬은 흰뺨검둥오리를 비롯한 다양한 조류의 중요한 서식지이자, 겨울철 철새들의 피난처이다. 버드나무, 줄 등 약 108종의 식물이 서식하며, 도시에 사는 아이들이 자연을 체험하기에 좋은 곳이기도 하다.[4]
4. 1. 생물 다양성
밤섬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99년 서울특별시가 밤섬을 "자연보전지역"으로 등록하였고,[4] 2012년 6월 21일에는 람사르 습지 2050호로 지정되었다.[5]식물은 버드나무, 물쑥, 갈풀, 갈대, 물억새 등 194종이 서식하고 있다. 조류는 해오라기,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꿩, 붉은머리오목눈이, 까치 등 77종이 서식하며, 이 중 산새가 41종, 물새·오리류가 15종, 갈매기류 3종, 백로·왜가리류 4종, 도요새 등이다. 특히 밤섬은 겨울철 철새들의 피난처 역할을 하며, 흰뺨검둥오리 등 다양한 조류의 중요한 서식지이다.
밤섬의 물은 쉬리(Acheilognathus yamatsutae영어), 잔가시고기(Acanthorhodeus gracilis영어), 참종개(Sarcocheilichthys nigripinnus morii영어)를 포함한 많은 한국 토종 어류의 산란장이자 치어 성육장이다.[5] 또한 많은 수생 조류의 월동지이며, 여름에는 청둥오리(Anas poecilorhyncha영어)와 왜가리(Nycticorax nycticorax영어)와 같은 종의 번식지이기도 하다.[5]
4. 2. 보전 노력
밤섬은 흰뺨검둥오리 등 다양한 조류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겨울철 철새들의 피난처 역할을 한다. 버드나무와 줄 등 약 108종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밤섬은 도시에 사는 아이들이 자연을 체험하기에 좋은 곳이다. 1999년 서울특별시는 밤섬을 "자연보전지역"으로 등록하였다.[4]밤섬은 2012년 6월 21일 람사르 습지 2050호로 지정되었다.[5] 밤섬의 물은 쉬리 (''Acheilognathus yamatsutae''|아케일로그나투스 야마츠타에영어), 잔가시고기 (''Khanka spiny bitterling''|칸카 스피니 비터링영어, ''Acanthorhodeus gracilis''), 참종개 (''Rainbow gudgeon''|레인보우 구지온영어, ''Sarcocheilichthys nigripinnus morii'')를 포함한 많은 한국 토종 어류의 산란장이자 치어 성육장이다. 또한 많은 수생 조류의 월동지이며, 여름에는 청둥오리 (''Anas poecilorhyncha'')와 왜가리 (''Nycticorax nycticorax'')와 같은 종의 번식지이기도 하다.[5]
밤섬에는 관광객과 방문객을 위한 광범위한 시설이 갖춰져 있다. 지금까지 방문객을 위한 전망대 6개와 안내판이 설치되었다. 이 시설은 시민들이 12월부터 2월까지 방문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6] 이 일정은 1999년 정부 결정에 따라 설정되었는데, 밤섬이 람사르 습지[5]이기 때문에 조류학자와 자연주의자들이 조류 관찰 시간을 선택할 때 조류 보호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5. 생태 공원
밤섬에는 관광객과 방문객을 위한 시설이 갖춰져 있다. 방문객을 위한 전망대 6개와 안내판이 설치되었으며, 시민들은 12월부터 2월까지 밤섬을 방문할 수 있다.[6] 이는 1999년 정부 결정에 따른 것으로, 밤섬이 람사르 습지[5]이기 때문에 조류학자와 자연주의자들이 조류 관찰 시간을 선택할 때 조류 보호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6. 대중문화
밤섬은 2009년 한국 영화 김씨 표류기의 주요 배경이다. 이 영화에서 한 남자(정재영)는 한강에 뛰어들어 자살을 결심하지만, 밤섬에 떠밀려 표류하게 된다.
7.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Bamseom Island
https://www.ydp.go.k[...]
2020-01-12
[2]
웹사이트
Introduction - Changes to Yeouido
https://web.archive.[...]
2007-08-03
[3]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A Clean, Attractive & Global City, Seoul!"
http://english.seoul[...]
[4]
웹사이트
Yeongdeungpo Park(영등포공원)
http://park.ydp.go.k[...]
2018-11-01
[5]
웹사이트
Han River-Bamseom Islet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4-03-25
[6]
문서
Yeongdeungpo Park
[7]
웹사이트
Han River-Bamseom Islets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1-03-31
[8]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A Clean, Attractive & Global City, Seoul!"
https://web.archive.[...]
[9]
뉴스
봄빛 물든 한강 밤섬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4-06
[10]
문서
여의도는 경성부 연희면에 속해 있었다.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호
1936-02-14
[13]
뉴스
밤섬의 어제와 오늘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2-07-09
[14]
뉴스
'한강 밤섬 반세기만에 6배 넓어졌다'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