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순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순음은 혀와 윗입술 사이의 기류를 좁혀서 만들어지는 자음이다.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 다양한 조음 방법으로 나타나며, 혀의 끝, 날, 또는 밑부분을 사용해 발음할 수 있다. 음향학적으로는 양순음보다 치경음에 더 가깝다. 설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아라키어, 탕고아어, 바오어, 빅 남바스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또한, 언어 장애나 준언어적 표현에서도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음운 변화를 겪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설순음
음성학적 정보
조음 위치설순음
조음 방법(제공된 정보 없음)
특징
정의혀를 윗입술에 대고 조음하는 자음
예시 (국제 음성 기호)
무성 설순 파열음t̼ ([t̼et̼e])
유성 설순 파열음d̼ ([nɔ̀-d̼ɔ́ːɡ])
설순 비음n̼ ([n̼ata])
무성 설순 마찰음θ̼ ([ˈinɛθ̼])
유성 설순 마찰음ð̼ ([ð̼atu])
설순 탄음ɾ̼
설순 전동음
설순 설측 접근음ɺ̼
설순 방출음ǀ̼ (ǀ̼ʔ)

2. 조음 방법

설순음은 혀와 윗입술 사이의 기류를 좁혀서 만들어진다. 파열음, 비음, 마찰음 등 여러 가지 조음 방법으로 나타나며, 혀끝(설단), 혓날(설단), 또는 혀 밑부분(설하)으로 발음할 수 있다. 음향학적으로는 양순음보다 치경음에 더 가깝다. 설순음은 포만트 천이와 비음 공명을 통해 양순음 및 치경음과 구별될 수 있다.[3][4][5][6][7][8]

2. 1. 다양한 설순음

(두 가지 표기)설명예시언어철자IPA의미설순 비음아라키어{{lang|akr|m̈ana|}}

|

| "웃다"[3][4][5]

|-

|

|

| 무성 설순 파열음

| 탕고아어

| p̈ep̈e|tgp

|

| "나비"[6]

|-

|

|

| 유성 설순 파열음

| 비자고어의 카조코 방언

|

|

| "돌"

|-

|

|

| 비음화된 유성 설순 파열음

| 바오어

|

|

| "활"[6]

|-

|

|

| 무성 설순 마찰음

| 빅 남바스어

|

|

| "그는 천식 환자이다"

|-

|

|

| 유성 설순 마찰음

| 탕고아어

| v̈atu|tgp

|

| "돌"[6]

|-

|

|

| 유성 설순 탄음

| 비자고어의 카조코 방언

|

|

| "돌"

|-

|

| —

| 설순 측면 접근음

| (일반적으로 언어 장애에서 사용)

|

|

|

|-

|

| —

| 무성 설순 측면 마찰음

| (언어 장애)

|

|

|

|-

|

| —

| 유성 설순 측면 마찰음

| (언어 장애)

|

|

|

|-

|

| —

| 설순 측면 탄음 (아랫입술 사용)

| 피라앙어 (/ɡ/의 변이음의 일부, [ɺ͡ɺ̼])

| toogixi|myp

|

| "괭이"[7]

|-

|

|

| 설순 전동음
(아랫입술 사용)

| 코아틀란 사포텍어

| (준언어적)

|

| 아이의 방귀 소리를 흉내내는 데 사용.[8] (딸기 소리와 유사하지만, 윗입술만 사용)

|-

| ''또는''

|

| 설순 흡착음 릴리스 (여러 자음)

| 코아틀란 사포텍어

| (준언어적)

|

| 수프를 먹거나 돼지가 물을 마시는 것을 흉내내는 데 사용[8]

|}

3. 음향학적 특징

설순음은 혀와 윗입술 사이의 기류를 좁혀서 만들어진다. 파열음, 비음, 마찰음을 포함한 여러 가지 조음 방법에서 나타나며, 혀의 끝(설단), 혀의 날(설단), 또는 혀의 밑부분(설하)으로 발음할 수 있다.[1] 음향학적으로는 양순음보다 치경음에 더 가깝다. 설순음은 포만트 천이와 비음 공명을 통해 음향학적으로 양순음 및 치경음과 구별될 수 있다.[2]

4. 언어별 분포

(두 가지 표기)설명예시언어철자IPA의미설순 비음아라키어m̈ana|아라키어 발음akr"웃다"[3][4][5]무성 설순 파열음탕고아어p̈ep̈e|탕고아어 발음tgp"나비"[6]유성 설순 파열음비자고어의 카조코 방언"돌"비음화된 유성 설순 파열음바오어"활"[6]무성 설순 마찰음빅 남바스어"그는 천식 환자이다"유성 설순 마찰음탕고아어v̈atu|탕고아어 발음tgp"돌"[6]유성 설순 탄음비자고어의 카조코 방언"돌"설순 측면 접근음(일반적으로 언어 장애에서 사용)무성 설순 측면 마찰음(언어 장애)유성 설순 측면 마찰음(언어 장애)설순 측면 탄음 (아랫입술 사용)피라앙어 ( /ɡ/의 변이음의 일부)toogixi|피라앙어 발음myp"괭이"[7]설순 트릴
(아랫입술 사용)코아틀란 사포텍어(준언어적)아이의 방귀 소리를 흉내내는 데 사용.[8] (딸기 소리와 유사하지만, 윗입술만 사용)또는설순 클릭 릴리스 (여러 자음)코아틀란 사포텍어(준언어적)수프를 먹거나 돼지가 물을 마시는 것을 흉내내는 데 사용[8]


5. 음운 변화

바누아투에서는 일부 산토-말레쿨라 어족 언어가 역사적으로 양순음에서 치조음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중간 단계인 설순음을 거쳤는데, 이는 다른 산토 및 말레쿨라 언어에 남아 있다.

다양한 언어에서 순음이 비원순 모음 앞에서 설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예: 탕고아어, 아라키어, 네세어), 톨로마코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음운 변화가 더 진행되어 설순음이 완전한 치조음으로 바뀌었다. *b > *[p] > ''p̈'' > ''t'' [t]; *m > ''m̈'' > ''n'' [n]. 따라서 원 오세아니아어 *bebe (나비) > (탕고아어 또는 아라키어에서는 p̈ep̈etgp로 표기)[9]는 나중에 톨로마코어에서 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원 오세아니아어 *tama (아버지) > (cf. 탕고아어 tam̈atgp, 아라키어 ram̈aakr[10]) > 톨로마코어 가 되었다.

6. 국제 음성 기호(IPA)

(두 가지 표기)설명예시언어철자IPA의미설순 비음아라키어{{lang|akr|m̈ana|}}

|

| "웃다"[3][4][5]

|-

!

!

| 무성 설순 파열음

| 탕고아어

|p̈ep̈e|tgp

|

| "나비"[6]

|-

!

!

| 유성 설순 파열음

| 비자고어의 카조코 방언

|

|

| "돌"

|-

!

!

| 비음화된 유성 설순 파열음

| 바오어

|

|

| "활"[6]

|-

!

!

| 무성 설순 마찰음

| 빅 남바스어

|

|

| "그는 천식 환자이다"

|-

!

!

| 유성 설순 마찰음

| 탕고아어

|v̈atu|tgp

|

| "돌"[6]

|-

!

!

| 유성 설순 탄음

| 비자고어의 카조코 방언

|

|

| "돌"

|-

!

! —

| 설순 측면 접근음

| (일반적으로 언어 장애에서 사용)

|

|

|

|-

!

! —

| 무성 설순 측면 마찰음

| (언어 장애)

|

|

|

|-

!

! —

| 유성 설순 측면 마찰음

| (언어 장애)

|

|

|

|-

!

! —

| 설순 측면 탄음 (아랫입술 사용)

| 피라앙어 ( /ɡ/의 변이음의 일부, [ɺ͡ɺ̼])

| toogixi|myp

|

| "괭이"[7]

|-

!

!

| 설순 트릴
(아랫입술 사용)

| 코아틀란 사포텍어

| (준언어적)

|

| 아이의 방귀 소리를 흉내내는 데 사용.[8] (''딸기 소리''와 유사하지만, 윗입술만 사용)

|-

! ''또는''

!

| 설순 클릭 릴리스 (여러 자음)

| 코아틀란 사포텍어

| (준언어적)

|

| 수프를 먹거나 돼지가 물을 마시는 것을 흉내내는 데 사용[8]

|}

참조

[1] 문서
[2] 서적 Phonetic Symbol Guide
[3] 서적 Araki: A disappearing language of Vanuatu http://alex.francoi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 웹사이트 An online Araki-English-French dictionary https://marama.huma-[...]
[5] 웹사이트 excerpt from a text in Araki language https://doi.org/10.2[...]
[6] 문서
[7] 간행물 Phonetic rarities in Pirahã https://jstor.org/st[...] 2023-09-27
[8] 웹사이트 Sound Symbolism http://www.linguisti[...] 2008-11-24
[9] 웹사이트 An online Araki-English-French dictionary https://marama.huma-[...]
[10] 웹사이트 An online Araki-English-French dictionary https://marama.huma-[...]
[11] Youtube 【前歯の謎が判明?!】いっこく堂のくせに〜!! #1 https://www.youtube.[...] 2024-02-18
[12] 뉴스 「腹話術を『教えたくない』という気持ちがありました」いっこく堂(59)が明かす「弟子入り」を断り続けるワケ 腹話術師・いっこく堂さんインタビュー #2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4-02-18
[13] 문서
[14] 문서
[15] 웹사이트 Sound Symbolism http://www.linguis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