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순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정의된 조음 위치 중 하나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한다. 양순음에는 무성 및 유성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전동음, 탄음, 접근음, 방출음 등이 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어의 'man'과 'bed'에서 각각 유성 양순 비음 [m]과 유성 양순 파열음 [b]가 사용된다. 이보어는 6가지 양순 파열음을 대조적으로 가지며, 양순음은 전 세계 언어의 약 0.7%를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연구개음
    연구개음은 혀의 뒤쪽이 연구개에 닿아 소리 내는 자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를 통해 다양한 발음을 표기하며,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양순음
개요
설명양쪽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되는 자음
조음 위치
구분입술소리
관련 조음 위치양순음
순치음
조음
조음 방법파열음, 비음, 마찰음, 전동음, 탄음, 접근음 등 다양함
양순 파열음p
b
양순 비음m
양순 마찰음ɸ
β
양순 접근음β̞
양순 탄음ⱱ̟
방출음
동시 조음k͡p
ɡ͡b
ŋ͡m
참고
관련 음성 기호IPA
관련 음성 기호 설명mado
sampo
biɴ
ɸɯne
βaɾ
β̞ana
[ⱱ̟a]
siʙi
pʼa
k͡ʘôõ
기타 조음 위치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인두음
성문음
기타 조음 방법



l
ɟ̆
ɢ̆
ʡ̆
측면 접근
흡착

설순음
ɫ
파찰

2. 종류

국제 음성 기호(IPA)에 따른 양순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IPA설명언어 예시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비음몽어Hmoobhmn몽어
유성 양순 비음영어man영어사람
무성 양순 파열음영어spin영어회전하다
유성 양순 파열음영어bed영어침대
무성 양순 파찰음카잉강어fykgp'씨앗'
유성 양순 파찰음십보어bokoshp'소장'
무성 양순 마찰음일본어富士山|후지산일본어후지산
유성 양순 마찰음에웨어ɛʋɛee에웨어
양순 접근음스페인어loboes늑대
유성 양순 탄음모노어vwamnh'보내다'
무성 양순 전동음파라 아라라어colspan=2 |'버리다'
유성 양순 전동음니아스어simbinia아래턱
양순 방출음아디게어пӀэady고기
양순 방출 마찰음유치어ḟasęyuc안녕하세요!
무성 양순 내파음세레르어colspan=3|
유성 양순 내파음자메이카 파투아beatjam치다
양순 흡착음(여러 개의 구별되는 자음)㉧응어ʘoengh고기



이보어는 양순 파열음에서 의 6가지 대조를 가지고 있다.

2. 1. 파열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양순 파열음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IPA설명언어 예시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파열음영어spin회전하다
유성 양순 파열음영어bed침대



이보어에서는 양순 파열음에서 6가지 대조( )를 가지고 있다.

IPA 확장 기호에서는 입술을 서로 부딪히는 소리인 '''양순 파열음'''()도 정의하고 있다. 입술이 들리는 소리로 벌어지는 비파열음의 입술 소리는 이다.[5]

2. 2. 파찰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 따른 양순 파찰음은 다음과 같다.

IPA설명언어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파찰음카잉강어fykgp'씨앗'
유성 양순 파찰음십보어bokoshp'소장'


2. 3.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일본어의 富士山|ふじさん|후지산일본어에서처럼 나타난다.[4] 유성 양순 마찰음은 에웨어의 ɛʋɛ|에베|에웨어ee에서처럼 나타난다.

IPA설명언어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마찰음일본어富士山|ふじさん|후지산일본어후지산
유성 양순 마찰음에웨어ɛʋɛ|에베|에웨어ee에웨어


2. 4. 비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식별되는 양순 비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IPA설명언어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비음몽어Hmoobhmn몽어
유성 양순 비음영어man영어사람


2. 5. 전동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양순 전동음은 다음과 같다.

IPA설명예시 언어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전동음파라 아라라어[ʙ̥uta]버리다[3]
유성 양순 전동음니아스어simbi|심비nia[siʙi]아래턱


2. 6. 탄음

모노어Mono language (Congo)영어에서는 vw|vwamnh가 로 소리나며 '보내다'라는 뜻을 가진다.[2]

2. 7. 접근음

lobo|로보es스페인어에서 '늑대'를 뜻한다.[2]

2. 8. 방출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양순 방출음은 아디게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IPA설명언어표기IPA의미
양순 방출음아디게어пӀэ|pʼaady고기
양순 방출 마찰음유치어[4]asę|ɸʼasẽyuc안녕하세요!


2. 9. 기타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정의하는 양순음은 다음과 같다.

IPA설명언어표기IPA의미
무성 양순 비음몽어Hm oobhmn몽어
유성 양순 비음영어man사람
무성 양순 파열음영어spin회전하다
유성 양순 파열음영어bed침대
무성 양순 파찰음카잉강어fykgp'씨앗'
유성 양순 파찰음십보어bokoshp'소장'
무성 양순 마찰음일본어富士山|후지산일본어후지산
유성 양순 마찰음에웨어ɛʋɛee에웨어
양순 접근음스페인어loboes늑대
유성 양순 탄음모노어vwamnh'보내다'
무성 양순 전동음파라 아라라어colspan=2 |'버리다'
유성 양순 전동음니아스어simbinia아래턱
양순 방출음아디게어пӀэady고기
양순 방출 마찰음유치어ḟasęyuc안녕하세요!
무성 양순 내파음세레르어colspan=3|
유성 양순 내파음자메이카 파투아beatjam치다
양순 흡착음(여러 개의 구별되는 자음)㉧응어ʘoengh고기



이보어는 양순 파열음에서 의 6가지 대조를 가지고 있다.

IPA 확장 기호에서는 입술을 서로 부딪히는 소리인 ''''''()도 정의하고 있다. 입술이 들리는 소리로 벌어지는 비파열음의 입술 소리는 이다.[5]

IPA 표에서는 ''양순 측음''을 음영 처리하여 이러한 소리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마찰음 와 는 종종 측음이지만, 어떤 언어도 중앙성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기 때문에 동위음 현상은 눈에 띄지 않는다.

3. 분포

양순음은 여러 언어에서 매우 흔하다. 전 세계 언어 중 약 0.7%만이 양순음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데, 여기에는 틀링깃어, 치피위언어, 오네이다어, 위치타어가 포함된다.[1] 하지만 이들 언어 모두는 순후음 /w/를 가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 Max Planck Digital Library 2008
[2] Harvcoltxt
[3] MA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Pet Talk" in Arara SIL Brazil 2014-01-09
[4] 저널 Yuchi Phonology
[5] 서적 Phonetic Transcription in Theory and Practice Edinburgh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