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기 (의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재기는 대한민국의 수의학자이다. 영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조교, 부교수를 거쳐 교수로 봉직했으며, 한국임상수의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가축 의학 연구, 특히 닭, 토끼, 개, 소, 산양 등의 질병과 치료법, 방사선 진단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저서로 《소 동물임상방사선학》 등이 있으며, 《개와 고양이의 방사선 진단학》 등을 공저하고 《소동물임상방사선진단학지음》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부학자 - 윤일선
윤일선은 한국 근대 병리학 및 해부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교육자로, 한국 의학 교육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다. - 대한민국의 해부학자 - 윤치왕
윤치왕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의사이자 군인, 사회기관단체인으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 전쟁에 군의관으로 참전했으며, 대한산부인과학회 회장을 지내며 한국 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병리학자 - 윤일선
윤일선은 한국 근대 병리학 및 해부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교육자로, 한국 의학 교육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다. - 대한민국의 병리학자 - 박성회
대한민국의 병리학자 박성회는 T 세포 발달과 면역 내성 유도 연구에 기여, T 세포 발달의 새로운 경로 제시, 항 ICAM1 항체 개발을 통한 이종 이식 거부 억제, 백혈병 세포 제거 항 JL1 항체 개발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식 연구소 소장 및 병리학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성재기 (의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성재기 |
| 출생일 | 1933년 12월 8일 (만 90세) |
| 분야 | 수의과학 |
| 출신 대학 | 서울대 수의과대학원 수의학 박사 |
| 태어난 곳 | 경상북도 영주군 이산면 석포리 |
| 배우자 | 유숙희(劉淑姬) |
| 자녀 | 슬하 2남 1녀 |
| 소속 | 서울대 수의대 명예교수 前 경희대 생물학과 강사 前 서울대 농대 농학과 전임교수 前 서울대 상대 농업경제학과 전임강사 |
2. 학력
3. 생애 및 이력
1958년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조교가 되었고, 이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부교수, 1976년 수의과대학 부교수, 1978년 수의과대학 교수로 봉직하였다.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호는 소암(素岩)이다. 경상북도 영주 출신이다.[1]
영주군 이산면 석포리 출신으로 영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에 진학했다. 1957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를 학사 학위받았다. 바로 서울대 대학원에 진학, 1958년 12월부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조교로 있으면서 대학원을 다녔다. 1961년 서울대 대학원에서 수의학 석사를 받았으며 1969년 박사과정에 진학, 1973년 2월 26일 서울대 대학원에서 수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강사가 되었으며 1965년 3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전임강사가 되었고 한 달 후 1965년 4월 29일 서울대학교 경과대학(慶科大學) 수의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1] 1973년 서울대 농과대학 수의학과 부교수, 1976년 3월 서울대학교 수의학과가 다시 부활하자 수의학과 부교수가 되고, 1978년 수의과대학 교수가 되었다. 대한수의학회 회원, 한국임상수의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1998년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명예교수가 되었다. 2012년에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발전후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2]
2010년 1월에는 한국임상수의학회 고문에 위촉되었다.
4. 연구 분야 및 업적
성재기는 가축에 대한 의학을 연구하였다. 그는 닭, 토끼, 개, 소, 산양 등에 대한 질병과 치료법을 연구하였다.
1966년에는 초생추 각장기에 있어서 P32및 I131의 흡수분포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73년에는 Cobalt-60 감마선 외부전신조사가 어린 토끼의 혈액상과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981년에는 Iodocqsein , Tapazole 및 Diethylstilbestrol 이 닭 의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서울대학교 출판부를 통해 발표하였다.
1977년에는 한우 간질 감염 의 역학적 조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같은 해 Rompun투여 가 한국 재래흑산양 의 임상소견 및 혈액성상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96년에는 독일 셰퍼트견의 혈관육종례와 개의 legg-calve-perthes disease 진단 2례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997년에는 심근경색 유발견에서 마취가 심초음파에 미치는 영향, 개의 전립선에 있어서 경직장 초음파 검사법을 이용한 미만성 저에코영역의 성상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4. 1. 방사선 진단학 연구
성재기는 방사선 진단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1960년대에는 코발트-60 감마선이 어린 토끼의 혈액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초생추(갓 부화한 병아리)의 각 장기에서 P32 및 I131의 흡수 분포 등을 연구했다. 1970년대에는 저독성 유기인제를 이용한 견모낭충증 치료, 한우 간질 감염의 역학 조사, Rompun 투여가 한국 재래 흑산양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했다. 1981년에는 닭의 갑상선 기능에 대한 Iodocqsein, Tapazole 및 Diethylstilbestrol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했다. 1990년대에는 개를 대상으로 한 혈관육종, legg-calve-perthes disease 진단, 심근경색 유발견의 심초음파 연구, 전립선 초음파 검사법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4. 2. 기타 연구
성재기는 가축에 대한 의학을 연구하였다. 그는 닭, 토끼, 개, 소, 산양 등에 대한 질병과 치료법을 연구하였다.1966년에는 초생추 각장기에 있어서 P32및 I131의 흡수분포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73년에는 Cobalt-60 감마선 외부전신조사가 어린 토끼의 혈액상과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981년에는 Iodocqsein , Tapazole 및 Diethylstilbestrol 이 닭 의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서울대학교 출판부를 통해 발표하였다.
1977년에는 한우 간질 감염 의 역학적 조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같은 해 Rompun투여 가 한국 재래흑산양 의 임상소견 및 혈액성상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96년에는 독일 셰퍼트견의 혈관육종례와 개의 legg-calve-perthes disease 진단 2례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997년에는 심근경색 유발견에서 마취가 심초음파에 미치는 영향, 개의 전립선에 있어서 경직장 초음파 검사법을 이용한 미만성 저에코영역의 성상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5. 저서 및 역서
- J.Kevin Kealy영어외 공저 《개와 고양이의 방사선 진단학》 (도서출판 샤론, 1998)
- 역서, Jerry M.Owens영어 저, 《소동물임상방사선진단학지음》 (성재기 역, 선진문화사, 1992)
- 《소 동물임상방사선학》
- 《축산수의법규》
6. 가족 관계
부인 유숙희(1935년 1월 19일 - )와 아들 성오정(1960년 9월 5일 - ), 의사인 아들 성인호(1964년 5월 1일 - ), 딸 성은주(1967년 9월 10일 - )가 있다. 처남으로는 연암축산원예대학교 교수인 유문일과 제일은행 차장인 유수태가 있다.
참조
[1]
뉴스
정부 인사
경향신문
1965-04-29
[2]
웹사이트
발전후원위원회:서울대학교 수의과 대학
http://vet.snu.ac.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