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주시는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1980년 영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영주시가 되었다.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조선 시대에는 내령군, 고려 시대에는 강주로 불리며 역사를 이어왔다. 현재는 1읍, 9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백산 아래 부석사, 소수서원 등 문화유적과 자연경관을 보유한 관광 도시이다. 교통 시설로는 중앙고속도로, 국도, 철도(중앙선, 영동선, 경북선)가 있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또한,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주시의 행정 구역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영주시의 행정 구역 - 순흥면
    순흥면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면으로, 고려 시대 흥주, 조선 시대 순흥부로 불렸으며 안향의 고향이자 소수서원이 있는 유서 깊은 지역으로, 단종 복위 시도 관련 역사적 사건으로 한때 폐읍되었으나 복구되어 현재 영주시의 한 면을 이룬다.
  • 영주시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영주시 - 순흥 안씨
    순흥 안씨는 안자미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고려 시대 안향의 성리학 도입으로 명문가가 되었으나 조선 시대 단종 복위 운동 참여로 몰락, 일제강점기 안창호, 안중근 등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현재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영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부석사 무량수전
공식 명칭영주시
한글영주시
한자榮州市
로마자 표기Yeongju-si
McCune–Reischauer 표기Yŏngju-si
속한 지역영남
방언경상 방언
면적668.45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99,309명
인구 밀도293.2 명/km²
하위 행정 구역1읍, 9면, 9동
영주시 엠블럼
영주시 기
시청 소재지경상북도 영주시 시청로 1 (휴천2동 470)
지역 번호054-63×
웹사이트영주시 공식 웹사이트
행정
단체장박남서 (국민의힘)
국회의원임종득 (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
인구 통계
총 인구 (2023년 7월)103,630명
남자 인구49,730명
여자 인구50,469명
인구 밀도 (2023년 7월)150.17명/km²
지리
총 면적670.09km²
상징
시목은행나무
시화철쭉
시조까치
마스코트영주도령
기타 정보
영주시의 위치

2. 역사

1914년 4월 1일 영천군 봉향면과 망궐면, 가흥면을 영주군 영주면으로 합면하였다.[18] 1940년 11월 1일 영주면을 영주읍으로 승격하였다.[19] 1980년 4월 1일 영주읍을 '''영주시'''로 승격하고, 영주군을 영풍군으로 개칭하였다.[20] 1995년 1월 1일 영주시 일원과 영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영주시가 설치되었다.[21] 1998년 10월 15일 상망동과 하망1동을 통합하여 상망동으로, 하망2동과 하망3동을 통합하여 하망동으로, 영주1동과 영주2동, 영주3동을 통합하여 영주1동으로, 영주4동을 영주2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읍 9면 9동)[22] 2008년 10월 16일 문수면 벌사리를 대양리로 개칭하였다.[23]

1914년 이전 및 1980년 영주시 승격 이전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 1413년: 경상도 영천군(栄川郡)이 되었다.
  • 1457년: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가 폐지되면서 그 일부를 편입하였다.
  • 1687년: 순흥도호부가 다시 설치되면서 편입했던 지역의 일부를 반환하였다.
  • 1895년: 안동부 영천군(安東府栄川郡)이 되었다.
  • 1896년: 경상북도 영천군(慶尚北道永川郡)이 되었다.
  • 1906년: 임지면(林只面)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으로 영천군(榮川郡), 풍기군(豊基郡) 및 순흥군(順興郡)의 일부(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 제외)가 합쳐져 '''영주군'''(榮州郡)이 발족하였다.[11]
  • 1923년: 상리면(上里面), 하리면(下里面)이 예천군(醴泉郡)에 편입.(11면)
  • 1940년 11월 1일: 영주면(榮州面)이 영주읍(榮州邑)으로 승격.(1읍 10면)
  • 1973년 7월 1일: 풍기면(豊基面)이 풍기읍(豊基邑)으로 승격.[14]
  • 1983년 2월 15일: 이산면(伊山面) 원리(院里)의 일부가 영주시에 편입, 평은면(平恩面) 수도리(水島里)가 문수면(文殊面)에 편입, 안정면(安定面) 파지동(芭芝洞)이 장수면(長壽面)에 편입.
  • 1989년 1월 1일: 예천군(醴泉郡) 감천면(甘泉面)의 일부가 장수면(長壽面)에 편입.(1읍 9면)


1914년 당시 영주군의 면 설치 현황은 다음과 같다.

면 이름설치된 구역
영주면(榮州面)영천군 봉향면, 망궐면, 가흥면
장수면(長壽面)영천군 두전면, 호문면
문수면(文殊面)영천군 적포면, 권선면
평은면(平恩面)영천군 川上面, 진혈면
이산면(伊山面)영천군 산이면, 어화면, 말암면
풍기면(豊基面)풍기군 동부면, 서부면, 창락면
안정면(安定面)풍기군 동촌면, 생현면, 용산면
봉현면(鳳峴面)풍기군 와룡면, 노좌면
상리면(上里面)풍기군 상리면(上里面)
하리면(下里面)풍기군 하리면(下里面)
순흥면(順興面)순흥군 대평면, 내죽면
단산면(丹山面)순흥군 동원면
부석면(浮石面)순흥군 봉양면, 용암면, 도강면


3. 지리

영주시는 경상북도 최북단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좁은 형태이다. 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비로봉(1,439m), 국망봉(1,421m), 연화봉(1,394m)과 죽령을 경계로 도솔봉(1,315m)으로 이어지는 소백산 산록 고원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봉황산과 북부 산악지대에서 발원한 내성천봉화군을 거쳐 문수면 수도리에 이르고, 소백산 비로봉·연화봉과 죽령계곡에서 발원한 남원천과 국망봉에서 발원한 죽계천이 고현동에서 합류하여 서천을 이루어 시가지를 감돌아 낙동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토질은 대부분 사질양토로 농산물이 잘 자라며, 특히 북부 산악지대는 사양토로 배수가 잘되어 인삼, 사과 등의 재배에 적합하다.

영주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Dwa형인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Cwa형인 온대 여름 건조 기후의 경계 지역으로 볼 수도 있다.[24]

영주시의 기후 (영주기상관측소, 풍기읍 성내리[24],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25][2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3.621.625.232.035.235.537.538.033.830.024.516.438.0
평균 최고 기온 (°C)2.75.811.518.623.927.428.929.625.520.012.24.817.6
평균 기온 (°C)-2.20.25.411.817.221.324.024.219.312.96.1-0.411.7
평균 최저 기온 (°C)-7.3-5.4-0.64.810.515.820.120.214.26.70.4-5.46.2
최저 기온 기록 (°C)-23.8-20.7-12.0-5.81.25.110.89.62.0-6.9-11.5-20.0-23.8
강수량 (mm)18.4mm30.2mm53.3mm94.8mm118.5mm158.5mm298.8mm283.7mm154.1mm58.2mm42.2mm23.3mm1334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5.05.17.88.58.49.615.815.09.95.77.15.5103.4
평균 상대 습도 (%)59.256.255.553.859.767.677.277.275.069.665.461.964.9
평균 일조시간185.2187.4211.5222.5247.0205.6147.7163.0169.8197.5167.7175.02279.9



영주시는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육괴의 북부에 위치하여, 전 지역이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중생대에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27]

3. 1. 지형

경상북도의 최북단에 위치한 영주시는 남북이 길고 동서로는 협소하며, 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어 주봉인 비로봉(1,439m), 국망봉(1,421m), 연화봉(1,394m)과 죽령을 경계로 하여 도솔봉(1,315m)으로 이어진 소백산 산록 고원 부지에 형성되어 있다. 봉황산과 북부 산악지대에서 발원한 내성천봉화군을 관류하여 문수면 수도리에 이르고, 소백산 주봉인 비로봉·연화봉과 죽령계곡에서 발원한 남원천과, 국망봉에서 발원한 죽계천이 고현동에서 합류되어 서천을 이루어 시가지를 감돌아 낙동강으로 유입되며, 토질은 대부분 사질양토로 각종 농산물이 잘 자란다. 특히 북부 산악지대는 사양토이기 때문에 배수가 잘되어 인삼, 사과 등의 생육에 적절한 곳이다.

3. 2. 기후

영주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Dwa형인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Cwa형인 온대 여름 건조 기후의 경계 지역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24]

영주시의 기후 (영주기상관측소, 풍기읍 성내리[24],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25][2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3.621.625.232.035.235.537.538.033.830.024.516.438.0
평균 최고 기온 (°C)2.75.811.518.623.927.428.929.625.520.012.24.817.6
평균 기온 (°C)-2.20.25.411.817.221.324.024.219.312.96.1-0.411.7
평균 최저 기온 (°C)-7.3-5.4-0.64.810.515.820.120.214.26.70.4-5.46.2
최저 기온 기록 (°C)-23.8-20.7-12.0-5.81.25.110.89.62.0-6.9-11.5-20.0-23.8
강수량 (mm)18.4mm30.2mm53.3mm94.8mm118.5mm158.5mm298.8mm283.7mm154.1mm58.2mm42.2mm23.3mm1334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5.05.17.88.58.49.615.815.09.95.77.15.5103.4
평균 상대 습도 (%)59.256.255.553.859.767.677.277.275.069.665.461.964.9
평균 일조시간185.2187.4211.5222.5247.0205.6147.7163.0169.8197.5167.7175.02279.9


3. 3. 지질

영주시는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육괴의 북부에 위치해 있어, 전 지역이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중생대에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27]

4. 행정 구역

영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주시의 면적은 668.89km2이며, 인구는 2021년 12월을 기준으로 50,271세대 101,942명이다.[28]

읍면동한자세대인구면적(km2)
풍기읍豊基邑5,47310,48575.93
이산면伊山面1,1972,29553.24
평은면平恩面7871,42262.18
문수면文殊面1,1161,93841.25
장수면長壽面1,1632,14342.06
안정면安定面1,5832,96243.69
봉현면鳳峴面1,4042,70051.93
순흥면順興面1,1211,98354.35
단산면丹山面1,0751,83192.2
부석면浮石面1,6882,99591.68
상망동上望洞3,4677,43015.78
하망동下望洞2,8896,0072.55
영주1동榮州洞2,2283,9121.02
영주2동榮州洞2,5494,9150.49
휴천1동休川洞2,7966,5115.24
휴천2동休川洞5,0309,8370.88
휴천3동休川洞3,5497,59910.32
가흥1동可興洞6,73515,3037.08
가흥2동可興洞4,4219,67417.12



영주시 읍·면·동 지도


영주시내 지도


읍·면은 여러 개의 리(里)로 구성된다.

읍·면·동법정리
풍기읍성내리, 동부리, 산법리, 미곡리, 삼가리, 욱금리, 금계리, 교촌리, 서부리, 백리, 백신리, 창락리, 수철리, 전구리
부석면남대리, 북지리, 임곡리, 소천리, 노곡리, 용암리, 우곡리, 상석리, 감곡리, 보계리
문수면승문리, 만방리, 적동리, 권선리, 월호리, 벌사리, 탄산리, 수도리, 조제리
평은면평은리, 강동리, 지곡리, 오운리, 천본리, 금광리, 용혈리
이산면원리, 신암리, 지동리, 석포리, 용상리, 신천리, 운문리, 두월리, 내림리
봉현면두산리, 오현리, 대촌리, 한천리, 유전리, 노좌리, 하촌리
순흥면태장리, 지동리, 석교리, 읍내리, 내죽리, 청구리, 배점리, 덕현리
장수면반구리, 두전리, 갈산리, 파지리, 성곡리, 화기리, 소룡리, 호문리
안정면신전리, 생현리, 봉암리, 용산리, 여륵리, 묵리, 내줄리, 일원리, 안심리, 옹암리, 단촌리, 대평리, 오계리
단산면동원리, 사천리, 구구리, 병산리, 옥대리, 단곡리, 좌석리, 마락리
상망동상망동, 조와동, 하망동
하망동하망동
영주1동, 영주2동영주동
휴천1동, 휴천2동휴천동
휴천3동휴천동, 조암동, 적서동
가흥1동가흥동, 문정동
가흥2동가흥동, 고현동, 창진동, 상줄동, 아지동


5. 인구

영주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29]

연도총인구
1975년173,977명
1980년163,397명
1985년157,292명
1990년140,889명
1995년131,097명
2000년126,507명
2005년114,081명
2010년113,926명
2015년109,735명
2020년103,119명


6. 정치 · 행정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교일 의원이 당선되었다.[1] 영주시의 역대 시장에 대한 내용은 영주시장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6. 1. 국회의원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교일 의원이 당선되었다.[1]

6. 2. 역대 시장

영주시의 역대 시장에 대한 내용은 영주시장 문서를 참고하라. 영주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에 대한 내용은 영주시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

6. 3. 영주시청

는 잘못된 링크이다. 영주시청 문서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영주시청으로 링크해야 한다.

7. 영주시 상징물

영주시의 상징물은 다음과 같다.[30]



영주시의 심볼


은행잎은 아래에서 위로 활기차게 뻗어 나가는 모습으로, 높은 기상과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시의 영문 첫 글자 Y를 의미한다. 붉은색 원은 영주시의 특산물인 사과를, 마름모꼴 원 네 개는 인삼 꽃(딸기)을 상징한다.

  • 기의 바탕 (흰색): 순수하고 품위 있는 시민 정신
  • 은행잎 (초록색): 시목,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시의 영문 첫 글자 "Y"
  • 원 (금적색): 영주시 특산물 사과
  • 원 (4개): 영주시 특산물 인삼 꽃 (딸기)

7. 1. 상징물

7. 2. 캐릭터

영주도령


영주시의 캐릭터는 "영주도령"이다. 선비의 고장인 영주를 상징하는 선비의 모습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게 도령의 모습으로 만들었다. 앞으로 영주시를 새롭게 만들어 갈 영주의 도령은 활력이 넘치고 희망이 가득한 영주시를 상징하고 과거의 정신을 바탕으로 밝은 미래가 있는 영주시로 거듭나겠다는 영주시의 의지를 담고 있다.

7. 3. 심볼



은행잎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활기차게 뻗어나가는 높은 기상과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의 영문 첫머리의 Y자를 의미한다. 적색의 원은 특산물인 사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마름모형을 이룬 원은 특산물인 인삼꽃(딸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30]

  • 기의 바탕(백색): 인심이 순후하고 품위가 높은 시민의 기상
  • 은행잎(초록색): 시목을 뜻하며,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의 영문 머리글자인 "Y"
  • 원(금적색): 영주시의 특산물인 "사과"
  • 원(4개): 영주시의 특산물인 "인삼꽃(딸기)"을 상징

8. 관광

부석사 무량수전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 소수서원

  • '''부석사'''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세운 화엄종 종찰이다. 부석면 북지리에 있으며, 국보 5점, 보물 4점, 도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 중 하나이다. 몇 안 되는 고려시대 건축물인 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하다. 관광문화해설사가 관광지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제17호)
  • *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
  • *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
  • *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
  • * 부석사 조사당 벽화(국보 제46호)
  • *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제249호)
  • *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제255호)
  • *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보물 제1562호)
  • '''소수서원'''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다. 조선 중종 37년(1542년)에 풍기군수 주세붕안향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 순흥면 내죽지에 있으며, 소백산국립공원이 소재하고 있다. 관광문화해설사가 관광지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영풍 단촌리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273호)
  • 영풍 태장리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274호)
  • 영풍 병산리 갈참나무(천연기념물 제285호)

소수서원 내부


부석사


소수서원에 소장된 유학자 안향(安珦)의 초상화

9. 교통

영주시는 도로와 철도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 도로

중앙고속도로를 통해 부산, 대구와 연결된다.

국도 5호선, 국도 28호선을 통해 영천, 경주, 포항과 연결된다.

국도 36호선을 통해 보령, 공주, 세종, 청주, 충주, 제천과 연결된다.

  • 철도

영주역중앙선, 영동선, 경북선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9. 1. 철도

한국철도공사 중앙선, 영동선, 경북선의 분기점이며 서울(청량리역),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 김천으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며, 코레일 경북본부가 위치한 철도의 요충지이다.[1] 중앙선 복선전철화 및 고속화가 2022년 경에 완료되면 서울(청량리역)로 1시간 내외, 대구(동대구역)로 45분 내외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1]

영주역중앙선, 영동선, 경북선에 위치해 있다.[1]

9. 2. 국도 · 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영주시를 관통하며 영주 나들목풍기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 남북으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8호선이 지나며, 동서로 국도 제36호선이 있다.

9. 3. 버스

9. 4. 항공

영주시에는 공항이 없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되었다.[32] 국내선 및 일부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김해국제공항이나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10. 교육 기관


11. 자매 도시

영주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영주시' - 네이트 백과사전 http://100.nate.com/[...] 2009-11-03
[3] 웹사이트 Aluminum Rolling, Automotive and Beverage Can Sheet - Novelis http://www.novelis.c[...]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7]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www.yeongju.g[...] Yeongju 2021-01-06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9] 법률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12-28
[10]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1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 1917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14] 법령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5]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16]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주(27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주(27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20] 법률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979-12-28
[21]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2] 조례 영주시행정운영동·리의설치에관한조례 1998-10-09
[23] 조례 리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8-10-16
[24] 기타
[2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주(27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주(27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7]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8] 기타
[29] 기타
[30] 웹사이트 영주시청 - 열린시정 http://www.yeongju.g[...]
[31] 뉴스 영주시 마구령 터널공사 3도 연결도 개설 http://n.breaknews.c[...]
[32] 뉴스 예천공항 개항 15년 만에 폐쇄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