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가락도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가락도요는 북극 지역에서 번식하고 전 세계 해안에서 월동하는 도요새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18-20cm이며, 뒷발가락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의 북극권, 그린란드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해안의 모래사장, 갯벌 등에서 조개류, 갑각류, 곤충류 등을 먹고 살며, 툰드라 지역에서 둥지를 틀고 4개의 알을 낳는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관심 필요(LC)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붉은가슴도요속 - 목도리도요
    목도리도요는 수컷이 번식기에 화려한 목도리 모양의 깃털을 가지며 렉에서 과시 행동을 하고, 유라시아 습지에서 번식하여 아프리카 등지에서 겨울을 나는 이동성 조류이다.
  • 붉은가슴도요속 - 종달도요
    종달도요는 짙은 갈색 깃털과 짧은 다리를 가진 도요목 도요과 새로,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겨울을 나고 한국에서는 나그네새로 관찰되며, 곤충이나 씨앗을 먹고 "풀루루"와 유사한 울음소리를 낸다.
  • 1764년 기재된 새 - 쇠제비갈매기
    쇠제비갈매기는 몸길이 약 24cm의 갈매기과 조류로, 여름에는 머리가 검고 배는 흰색이며 부리는 노란색이지만 겨울에는 부리와 다리가 검게 변하고, 유라시아 대륙 중위도 지역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연안 등지에서 월동하며 해안가나 강가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개체 수 감소로 일본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1764년 기재된 새 - 논병아리
    논병아리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분포하는 몸길이 25~29cm의 작은 물새로, 수생 식물이 무성한 담수호나 늪에 서식하며 잠수에 능숙하고,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레드 리스트에서 관심 필요(LC) 등급으로 분류되어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북극의 새 - 흰올빼미
    흰올빼미는 부엉이과의 대형 조류로 북극 툰드라 지역에 서식하며, 흰색 깃털과 검은색 반점이 특징이고, 레밍을 주로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
  • 북극의 새 - 붉은가슴도요
    붉은가슴도요는 몸길이 23~26cm의 비교적 큰 도요새로, 북극 지방에서 번식 후 전 세계 해안으로 이동하는 철새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세가락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뉴저지주 델라웨어 만에서 번식 깃털로 바뀌는 중인 민부리도요
뉴저지주 델라웨어 만에서 번식 깃털로 바뀌는 중
옥스퍼드셔 파모어 저수지의 번식 깃털
옥스퍼드셔 파모어 저수지의 번식 깃털
학명Calidris alba
명명자Pallas, 1764년
한국어 이름미유비시기 (三趾鷸)
영어 이름Sanderling
분포
민부리도요 분포도
민부리도요 분포
보전 상태
IUCN관심 필요
IUCN 기준IUCN3.1
참고 자료BirdLife International (2016). Calidris alb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6-3. IUCN. 2021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이명

2. 분포

세가락도요는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의 북극 지역에서 번식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캐나다 북극 제도, 누나부트 준주, 그린란드(그리고 제한적으로 알래스카)에서 번식한다. 유라시아에서는 스피츠베르겐과 타이미르 반도에서 노보시비르스크 제도에 이르는 러시아 북부 지역에서 번식한다. 북반구 겨울에는 전 세계 해안에 걸쳐 거의 범세계적 분포를 보인다. 완전한 철새로, 번식지에서 월동지까지 3000km에서 10000km를 이동한다. 더 멀리 이동하는 새일수록 늦게 도착하고 일찍 떠난다. 대부분의 성체는 7월과 8월 초에 번식지를 떠나고, 어린 새들은 8월 말과 9월 초에 떠난다. 북쪽으로의 이동은 월동지의 남쪽 끝에서 3월에 시작된다.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북극권, 그린란드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중앙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방면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장거리 철새로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나그네새로서 봄, 가을 철새 이동 시기에 관찰되지만, 혼슈 중부 이남 지역에서는 겨울새로 월동하는 개체도 있다. 또한 번식을 하지 않는 어린 새는 7, 8월에도 일본에 머무르는 경우가 있다.

3. 형태

세가락도요는 작고 통통한 도요새로, 몸길이는 18cm에서 20cm이고 몸무게는 40g에서 100g이다. 겨울철 는 어두운 어깨 반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흰색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옅은 색을 띤다. 종명 ''alba''는 라틴어로 "흰색"을 의미한다. 여름이 되면 얼굴과 목이 벽돌색으로 변한다. 어린 새는 검은색과 흰색 반점으로 덮여 있으며 성체보다 훨씬 더 뚜렷한 대비를 보인다.

표준 측정
길이
무게
날개 길이
날개
꼬리
부리
부척



크기를 잘못 판단하면 번식 깃털을 가진 세가락도요를 일부 쇠청다리도요 종류로 착각할 수 있으며, 겨울 깃털을 가진 세가락도요는 민물도요 또는 붉은어깨도요로 오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개체는 뒷발가락(첫 번째 발가락)이 없으며, 이것이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드물게 약간의 흔적 정도의 첫 번째 발가락이 있는 개체도 있다. 겨울깃은 전신이 회백색이며 날개 가장자리가 검다. 여름깃에서는 머리와 등, 날개가 적갈색이며, 배와 목이 흰색이다. 암수 동색이다. 부리와 발은 검은색이다.

3. 1. 아종


  • ''C. a. alba'' (팔라스, 1764): 엘즈미어 섬, 북동 그린란드, 스발바르 제도, 프란츠요제프 제도, 타이미르 반도에서 번식한다.
  • ''C. a. rubida'' (괼린, 1789): 북동 시베리아, 알래스카, 북 캐나다에서 번식한다.

4. 생태

샌프란시스코 오션 비치에 있는 세가락도요


비번식기에는 해안의 모래사장, 암초, 하구, 갯벌 등에서 서식한다. 수 마리에서 수십 마리의 무리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수백 마리의 대군을 형성하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툰드라나 암석이 많은 평원 등지에 서식한다.

모래사장에서 파도가 치는 곳을 뛰어다니면서 조개류, 갑각류, 곤충류 등을 먹고, 암초의 해조류나 이끼류를 먹기도 한다.

번식기는 6-7월이며, 지상에 둥지를 틀고 보통 4개의 알을 낳는다. 일부다처제, 이중 둥지 산란 체제를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경우 첫 번째 둥지에서는 수컷이, 다음 둥지에서는 암컷이 포란과 육추를 한다.

평소에는 "츄 츄", "킷 킷"하고 작은 소리로 지저귀며, 번식기에는 "큐큐큐"하고 눈에 띄는 소리로 운다.

5. 보전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LC)로 지정되어 있다.[8]

일본의 다음 도도부현에서는 레드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10]

등급도도부현
멸종 위급 또는 위기종 (멸종 위기 I류, CR 또는 EN)가나가와현
위기종 (멸종 위기 II류・VU)효고현
준위협 (NT)지바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오사카부
정보 부족 (DD)이시카와현



한국에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Calidris alba' 2016
[2] 서적 The Birds of Turkey 2008
[3] 웹사이트 Sanderling
[4]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5]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2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The new species of birds in Vroeg's catalogue, 1764 https://www.biodiver[...]
[7] 학술지 Birds in the sales catalogue of Adriaan Vroeg (1764) described by Pallas and Vosmaer http://www.repositor[...]
[8] 웹사이트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Calidris alba'') http://www.iucnredli[...] IUCN 2012-02-25
[9] 웹사이트 'Calidris alba (Pallas, 1764)' http://www.itis.gov/[...] ITIS 2012-02-25
[10]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ミユビシギ)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