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군다 디비시온 2010-1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군다 디비시온 2010-11 시즌은 2010년 8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레알 베티스와 라요 바예카노가 라리가로 승격되었고, 그라나다는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여 승격했다. 바르셀로나 B는 2군 팀 자격으로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가하지 못했다. 알바세테, CD 테네리페, SD 폰페라디나, UD 살라망카는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 호나탄 소리아노가 32골로 득점왕, 안드레스 페르난데스가 0.84의 평균 실점률로 최저 실점 골키퍼, FC 바르셀로나 B가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축구 - 2010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은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어 스페인이 우승했으나, 부패 의혹과 개최국의 조별 리그 탈락, 자불라니와 부부젤라 소리 등 여러 화제를 낳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이미지 제고와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대회이다.
  • 2010년 축구 - 2010년 AFC 챌린지컵
    2010년 AFC 챌린지컵은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어 북한이 투르크메니스탄을 꺾고 우승했으며, 인도, 타지키스탄 등 8개 팀이 참가했고 량용기가 득점왕과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2011년 축구 - 2011년 코파 아메리카
    2011년 코파 아메리카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으며, 우루과이가 파라과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루이스 수아레스가 MVP, 파올로 게레로가 득점왕을 수상했다.
  • 2011년 축구 -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클랜드 시티 FC가 AS 테파나를 꺾고 우승하여 2012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클럽 축구 대회이며, 마넬 엑스포시토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 - 세군다 디비시온 1940-41
    세군다 디비시온 1940-41 시즌은 스페인 축구 리그의 두 번째 티어 리그로, 1, 2조로 나뉘어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팀들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 플레이오프를 거쳐 그라나다 CF, 레알 소시에다드, CD 카스테욘,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승격하고, 레알 아빌레스 CF와 CF 바달로나는 지역 리그로 강등되었다.
  • 세군다 디비시온 시즌 - 세군다 디비시온 1942-43
    세군다 디비시온 1942-43 시즌은 스페인 2부 축구 리그로 24개 구단이 3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은 라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에, 하위 팀들은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레알 소시에다드와 CE 사바델이 라리가로 승격했다.
세군다 디비시온 2010-11
시즌 정보
대회세군다 디비시온
시즌2010-11
결과
우승팀베티스
승격팀베티스
라요 바예카노
그라나다
강등
강등팀살라망카
테네리페
폰페라디나
알바세테
통계
총 경기 수462
총 득점 수1220
리그 득점왕호나탄 소리아노
경기 결과
최대 점수차 홈 승리그라나다 5–0 헤레스 (2010년 10월 30일)
그라나다 6–1 짐나스틱 (2010년 12월 12일)
알코르콘 5–0 라스 팔마스 (2011년 2월 12일)
베티스 5–0 카르타헤나 (2011년 4월 16일)
최대 점수차 원정 승리살라망카 0–5 바야돌리드 (2011년 3월 27일)
최다 득점 경기누만시아 4–6 바르셀로나 B (2011년 2월 26일)
시즌
이전 시즌2009–10
다음 시즌2011–12

2. 참가 구단

레알 바야돌리드, 테네리페, 헤레스지난 시즌 라 리가에서 강등된 팀들이다. 테네리페와 헤레스는 1부 리그에서 한 시즌 만에 곧바로 2부 리그로 복귀했고, 바야돌리드는 3년간의 라 리가 생활을 마감했다. 레알 소시에다드는 2부 리그에서 3시즌 연속으로 승격되었고, 레반테는 2시즌 만에, 에르쿨레스는 13시즌 만에 승격되었는데, 이는 1부 리그에서 가장 오랫동안 부재했던 기간이었다.

지난 시즌에 강등된 팀은 카스테욘, 레알 우니온, 무르시아, 카디스였다. 이 네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 B의 플레이오프 우승팀인 그라나다(2ªB 챔피언), 폰페라디나(2ªB 준우승), 바르셀로나 B(플레이오프 우승팀), 알코르콘(플레이오프 우승팀)으로 대체되었다.

자치 지방팀 수
1안달루시아 지방5베티스, 코르도바, 그라나다, 레크레아티보, 헤레스
2카스티야 이 레온 지방4누만시아, 폰페라디나, 살라망카, 바야돌리드
3카탈루냐3바르셀로나 B, 짐나스틱, 지로나
4카나리아 제도2라스 팔마스, 테네리페
마드리드 지방2알코르콘, 라요 바예카노
발렌시아 지방2엘체, 비야레알 B
7아라곤 지방1우에스카
카스티야-라 만차 지방1알바세테
갈리시아 지방1셀타
무르시아 지방1카르타헤나


2. 1. 참가 구단의 변동

바야돌리드, 테네리페, 그리고 헤레스라 리가에서 강등당했다. 바야돌리드는 3년 만에, 테네리페와 헤레스는 각각 1년 만에 1부 리그에서 강등당했다. 반면 레알 소시에다드는 3년 만에 1부 리그 승격을 이룩했고, 레반테는 2년 만에, 그리고 에르쿨레스는 13년 만의 1부 리그 복귀에 성공했다.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된 구단들은 카스테욘, 레알 우니온, 무르시아, 그리고 카디스였다. 이 네 구단을 대신해 세군다 디비시온 B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한 네 구단이 대신했다: 그라나다 (우승), 폰페라디나 (준우승), 바르셀로나 B, 그리고 알코르콘 (각각 플레이오프전 승자)

2. 2. 구단별 구장 및 위치

2010-11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한 구단은 다음과 같다.



2. 3. 구단 인사 및 협찬사

2010-11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의 22개 구단들은 다양한 유니폼 제작사와 협찬사의 지원을 받았다.

알바세테호마가 제작한 유니폼을 입고 카하 루랄의 후원을 받았다. 알코르콘은 브로칼 유니폼과 CREAA의 후원을 받았다. 바르셀로나 B는 나이키 유니폼을 입고 유니세프에 기부하여 유니폼 전면에 자선 단체 로고를 부착했다. 베티스는 자체 상표인 RBb 유니폼을 입고 카하솔과 SEAT의 후원을 받았다. 카르타헤나켈미 유니폼을 입고 카르타헤나 로마 극장 재단의 후원을 받았다.

셀타 비고리-닝 유니폼을 입고 시트로엥과 에스트레야 갈리시아의 후원을 받았다. 코르도바는 자체 상표인 CCF 유니폼을 입고 카하수르의 후원을 받았다. 엘체는 라산 유니폼을 입고 발렌시아 주의 후원을 받았다. 짐나스틱은 자체 상표인 N 유니폼을 입고 타라고나의 후원을 받았다. 지로나는 엘레멘츠 유니폼을 입고 브라바 해안의 후원을 받았다.

그라나다는 레제아 유니폼을 입고 카하 그라나다의 후원을 받았다. 우에스카는 베미세르 유니폼을 입고 CAI의 후원을 받았다. 라스 팔마스는 KS 유니폼을 입고 카하 데 카나리아스의 후원을 받았다. 누만시아에레아 유니폼을 입고 카하 두에로의 후원을 받았다. 폰페라디나나이키 유니폼을 입고 바이오3의 후원을 받았다.

라요 바예카노는 파트리크 유니폼을 입고 클레사의 후원을 받았다. 레크레아티보세후도 유니폼을 입고 카하솔의 후원을 받았다. 살라망카는 모벨 유니폼을 입고 카하 두에로의 후원을 받았다. 테네리페는 루안비 유니폼을 입고 카하 데 카나리아스의 후원을 받았다. 바야돌리드카파 유니폼을 입었으나 협찬사는 없었다.

비야레알 B푸마 유니폼을 입고 카스테요 공항의 후원을 받았다. 헤레스는 레제아 유니폼을 입고 카하솔의 후원을 받았다.

3. 리그 순위

wikitext

순위구단경기승점결과 및 비고
1베티스4225898544+4183라 리가로 승격
2라요 바예카노42231097348+2579라 리가로 승격
3바르셀로나 B422011118562+2371바르셀로나의 2군임에 따라 승격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하지 못함[4]
4엘체42181595542+1369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5그라나다421814107147+2468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6셀타 비고42171696243+1967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7바야돌리드42199146551+1466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4]
8헤레스42179166064-460
9알코르콘42177185752+558
10누만시아42176196563+257 지로나와의 상대 전적에서 앞서며,(지로나 2–0 누만시아; 누만시아 4–0 지로나) 윗 순위를 기록했다.
11지로나421512155856+257
12레크레아티보421220104437+756 카르타헤나와의 상대 전적에서 앞서며,(레크레아티보 3–0 카르타헤나; 카르타헤나 1–3 레크레아티보) 윗 순위를 기록했다.
13카르타헤나42168184863-1556
14우에스카421316133945-655
15라스 팔마스421315145671-1554
16코르도바421313165863-552
17비야레알 B42156214363-2051
18짐나스틱421213173745-849
19살라망카42137224668-2246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20테네리페42911224266-2438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21폰페라디나42519183663-2734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22알바세테42711243564-2932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최종 순위: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상대 다득점; 5) 골득실; 6)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 출처: [https://fbref.com/en/comps/17/489/2010-2011-Segunda-Stats FBref - 2010-2011 2부 통계]

3. 1. 최종 순위

순위구단경기승점결과 및 비고
1베티스4225898544+4183라 리가로 승격
2라요 바예카노42231097348+2579라 리가로 승격
3바르셀로나 B422011118562+2371바르셀로나의 2군임에 따라 승격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하지 못함[4]
4엘체42181595542+1369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5그라나다421814107147+2468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6셀타 비고42171696243+1967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7바야돌리드42199146551+1466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4]
8헤레스42179166064-460
9알코르콘42177185752+558
10누만시아42176196563+257 지로나와의 상대 전적에서 앞서며,(지로나 2–0 누만시아; 누만시아 4–0 지로나) 윗 순위를 기록했다.
11지로나421512155856+257
12레크레아티보421220104437+756 카르타헤나와의 상대 전적에서 앞서며,(레크레아티보 3–0 카르타헤나; 카르타헤나 1–3 레크레아티보) 윗 순위를 기록했다.
13카르타헤나42168184863-1556
14우에스카421316133945-655
15라스 팔마스421315145671-1554
16코르도바421313165863-552
17비야레알 B42156214363-2051
18짐나스틱421213173745-849
19살라망카42137224668-2246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20테네리페42911224266-2438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21폰페라디나42519183663-2734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22알바세테42711243564-2932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최종 순위: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상대 다득점; 5) 골득실; 6)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 출처: [https://fbref.com/en/comps/17/489/2010-2011-Segunda-Stats FBref - 2010-2011 2부 통계]

3. 2. 순위 변동표

wikitable

구단 \ 라운드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
베티스1121213111111111111113333332122111111111
라요 바예카노5332132333222222333321122211211222222222
바르셀로나 B7411747456444554466667788986544443444356433
엘체85101312151111101112101313977810101010121210139765565556643554
그라나다20222117161410101289781011987876554444456756665534345
셀타 비고1710763212223333332222322111233334333465666
바야돌리드32157876756567610111212111215161414121211131199777777777
헤레스20211512868989812791065455444679101211910101211119898988
알코르콘126138109979101591212141618191819161411111210111010121411108811131110899
누만시아16181916181616161314111511111311121099991010111415141213121311121415151413131010
지로나4128101417171714151313151415141617141211139986569108899101210812121411
레크레아티보18202220191920212122212121171815151819161918151616161616151615141210121011111312
카르타헤나19691312141311131014108754544587767787767810989129101113
우에스카141416182020181818181819171817181714151714121315151513131415161513131613111314141214
라스 팔마스6843556857789681213131618181717171718202019181717171717171515151615
코르도바111517191513151415161416161616171415171313111413131114151614131416151516161716161516
비야레알 B221391191113121612161114151213109788665558988111214161314141617171717
짐나스틱15111415171819202020192019212222222220202020181819171717171818181818181818181818
살라망카9754645446564458911111415161819192018181819191919191919191919
테네리페1919192222222222222122222219192021202222212120211719192020202121212120202020
폰페라디나13171821212121191919201718202021202121212222222222222222222222222221212121
알바세테101612141110121517171718202221191916131517191921202121212121202020202122222222



출처: [http://www.lfp.es/?tabid=113&Controltype=clas&idDivision=2&idTemporada=110&idJornada=1 LFP 리가 아델란테]

width=10px bgcolor=FFD700|선두
width=10px bgcolor=ACE1AF|라 리가로 승격
width=10px bgcolor=D0F0C0|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1 진출
width=10px bgcolor=FFCCCC|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



```

2010-11 시즌 동안 22개 구단들의 순위 변동표이다.


  • 베티스는 1, 2 라운드에서 1위를 기록하고, 3라운드에서 2위로 잠시 내려갔지만, 4라운드에서 다시 1위를 탈환한 후 5라운드에서 2위, 6라운드에서 1위, 7라운드에서 3위로 내려갔지만, 8라운드에서 다시 1위를 탈환한 후 줄곧 1위를 유지했다.
  • 라요 바예카노는 초반 5위, 3위를 기록하다 5라운드에서 1위를 기록했지만, 이후 6라운드에서 3위로 내려갔다. 7라운드에서 2위를 기록한 후, 10라운드까지 3위를 유지하다 11라운드부터 21라운드까지 2위를 기록했다. 22, 23라운드에서 1위를 기록했지만, 24라운드부터 26라운드까지 2위를 기록하고, 27, 28라운드에서 다시 1위를 기록했다. 29라운드부터는 2위를 유지했다.
  • 바르셀로나 B는 꾸준하게 중상위권을 유지했다.
  • 엘체는 시즌 초반에는 중위권을 맴돌았지만, 16라운드부터 7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노리기 시작했다. 이후 30라운드까지 4~7위 사이를 오가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유지했다.
  • 그라나다는 시즌 초반 최하위권을 기록했지만, 9라운드부터 순위를 끌어올려 12라운드에는 7위까지 올라갔다. 이후 39라운드까지 3~8위 사이를 오가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유지했다.
  • 셀타 비고는 시즌 초반 상위권을 유지하며 1, 2위를 다투었지만, 중반 이후 3~6위 사이를 오가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유지했다.
  • 바야돌리드는 시즌 초반 1~3위를 기록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지만, 이후 순위가 하락하여 12~16위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35라운드부터 다시 7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유지했다.
  • 헤레스, 알코르콘, 누만시아, 지로나, 레크레아티보, 카르타헤나, 우에스카, 라스 팔마스, 코르도바, 비야레알 B, 짐나스틱, 살라망카, 테네리페, 폰페라디나, 알바세테는 시즌 내내 중하위권을 맴돌았다. 특히 테네리페, 폰페라디나, 알바세테는 시즌 대부분을 최하위권에서 보냈다.


출처: [http://www.lfp.es/?tabid=113&Controltype=clas&idDivision=2&idTemporada=110&idJornada=1 LFP 리가 아델란테]

{| class="infobox bordered"

|-

|width=10px bgcolor=FFD700| ||선두

|-

|width=10px bgcolor=ACE1AF| ||라 리가로 승격

|-

|width=10px bgcolor=D0F0C0| ||

4. 경기 결과

2010-11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바세테알코르콘바르셀로나 B베티스카르타헤나셀타 비고코르도바엘체짐나스틱지로나그라나다우에스카라스 팔마스누만시아폰페라디나라요 바예카노레크레아티보살라망카테네리페바야돌리드비야레알 B헤레스
알바세테1–12–22–11–20–11–00–20–11–12–13–10–11–20–11–11–11–01–21–10–21–1
알코르콘2–01–33–30–01–02–10–11–13–12–00–15–03–12–02–02–14–03–21–01–23–1
바르셀로나 B2–12–00–33–01–14–12–04–01–24–00–13–51–01–11–21–15–13–10–04–12–1
베티스2–03–02–25–01–13–11–41–02–14–13–14–14–13–04–00–11–03–12–12–13–1
카르타헤나1–11–05–12–10–41–20–12–21–02–12–05–21–01–12–41–31–01–01–12–01–2
셀타 비고3–13–01–21–13–03–22–21–00–41–11–22–04–01–10–00–31–01–01–20–11–1
코르도바5–11–42–01–12–00–00–01–01–11–12–02–01–23–32–33–32–02–21–00–00–2
엘체1–01–02–10–21–21–32–11–00–00–03–02–21–02–01–11–03–11–02–20–04–1
짐나스틱2–12–01–13–12–01–21–10–02–00–30–00–01–00–00–10–02–01–11–01–20–2
지로나3–03–10–20–11–11–12–12–22–12–03–11–12–03–01–30–01–14–22–02–34–2
그라나다3–01–04–13–02–11–11–13–36–12–12–05–22–02–01–12–10–12–10–13–05–0
우에스카1–03–11–11–10–01–22–02–21–10–10–00–00–01–04–11–10–10–01–03–01–1
라스 팔마스2–14–12–22–22–01–10–12–13–21–11–11–10–01–02–11–12–11–02–02–20–3
누만시아0–12–14–61–22–01–31–12–01–04–03–23–14–03–00–31–23–22–13–32–13–0
폰페라디나2–11–22–21–11–20–03–00–11–11–10–00–03–20–40–11–13–21–11–11–51–2
라요 바예카노3–31–02–31–03–11–34–21–21–12–01–14–02–03–23–10–01–21–03–03–03–0
레크레아티보0–00–01–11–33–01–12–10–01–04–00–00–11–11–01–11–10–23–00–12–01–1
살라망카1–01–12–30–32–01–11–15–41–01–01–21–14–22–22–20–10–11–20–51–02–3
테네리페0–11–01–40–31–10–21–21–00–23–32–20–11–11–11–12–11–01–23–20–12–1
바야돌리드1–12–02–11–00–13–25–12–01–01–02–32–03–04–52–12–24–01–02–23–02–1
비야레알 B1–01–42–31–02–02–20–31–10–20–12–11–10–31–01–01–22–00–10–22–01–2
헤레스4–20–01–02–31–42–11–30–01–23–11–11–32–11–00–00–11–12–02–04–03–1


5. 승격 플레이오프전

이 시즌을 기점으로 새 방식의 승격 플레이오프전(Promoción de ascensoes)이 도입되어 라 리가로 승격할 마지막 구단을 결정하게 되었다. 3위에서 6위를 차지한 구단들(2군 제외)이 승격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했다. 5위 구단은 4위를, 6위 구단은 3위를 상대했다. 준플레이오프 1차전은 2011년 6월 8일과 9일에 진행되었고, 높은 순위를 기록한 구단의 안방에서 2011년 6월 11일과 12일에 2차전이 진행되었다. 결선 플레이오프전도 2경기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2011년 6월 15일에, 2차전은 2011년 6월 18일에 진행되었고, 이 경우에도 순위가 더 높은 구단이 2차전을 안방에서 치렀다.[5]

준플레이오프전에서는 그라나다셀타 비고를 승부차기 끝에 (5-4) 꺾고, 엘체바야돌리드를 합계 3-2로 이기고 결선 플레이오프전에 진출했다.[5] 결선 플레이오프전에서는 그라나다엘체가 맞붙어 1, 2차전 합계 1-1을 기록, 원정 다득점에 따라 그라나다가 승리하며 35년 만에 라 리가로 복귀했다.[5] 그라나다는 26시즌을 세군다 디비시온 B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보냈다.[5]

바르셀로나 B는 바르셀로나의 2군임에 따라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할 자격이 없었다.[4]

준플레이오프전
1차전2차전합계
셀타 비고1 – 00 – 1 () () 4-5그라나다
바야돌리드1 – 01 – 3엘체



결선 플레이오프전
1차전2차전합계
그라나다0 – 01 – 1 ()그라나다
엘체


6. 수상

2011년 6월 4일 기준으로, 호나탄 소리아노가 32골로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6] 호나탄 소리아노는 바르셀로나 B 소속으로 4번의 페널티킥을 포함해 총 32골을 기록했다.[6] 27골을 기록한 하비 게라가 그 뒤를 이었으며, 바야돌리드 소속으로 페널티킥 없이 27골을 기록했다.[6] 루벤 카스트로베티스 소속으로 4번의 페널티킥을 포함해 25골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6] 알렉산드레 헤이호는 그라나다 소속으로 페널티킥 없이 24골을 기록해 4위를 차지했다.[6]

최저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는 우에스카의 안드레스 페르난데스로, 31경기에 출전해 26실점, 평균 실점률 0.84를 기록했다.[6] 이스마엘 팔콘은 셀타 비고 소속으로 33경기에서 28실점, 평균 실점률 0.85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6] 파브리시오 아고스토는 레크레아티보 소속으로 40경기에서 36실점, 평균 실점률 0.90을 기록했다.[6]

페어플레이상은 바르셀로나 B가 102점으로 수상했다.[6] 1999년부터 매년 시즌 동안 가장 훌륭한 페어플레이를 펼친 팀에게 수여되는 이 상은 카드, 경기 중단, 관중의 행동 및 기타 페널티를 고려하여 산정된다.[3] 누만시아가 116점으로 2위, 짐나스틱이 117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6]

{| class="wikitable"

|-

! align=center |'''피치치'''

! align=center |'''사모라'''

! align=center |'''페어플레이'''

|-

| align=center |

순위이름페널티골구단
1호나탄 소리아노324바르셀로나 B
2하비 게라270바야돌리드
3루벤 카스트로254베티스
4알렉산드레 헤이호240그라나다
5키니225알코르콘



| align=center |

순위이름실점경기실점률
1안드레스 페르난데스26310.84우에스카
2이스마엘 팔콘28330.85셀타 비고
3파브리시오 아고스토36400.90레크레아티보
4루벤 페레스39410.95짐나스틱
5로베르토43391.10그라나다



| align=center |

순위구단경기점수
1바르셀로나 B42102
2누만시아42116
3짐나스틱42117
4비야레알 B42130
5셀타 비고42139



|}

7. 시즌 통계

참조

[1] 뉴스 Reglamento General de la RFEF. Artículo 108 (page 62 of PDF) http://www.rfef.es/F[...] RFEF 2010-07-20
[2] 뉴스 Reglamento de Competiciones de ámbito Estatal (page 13 of PDF) http://www.rfef.es/F[...] RFEF 2010-07-20
[3] 뉴스 Criterios de puntuación del juego limpio http://www.rfef.es/i[...] RFEF 1998-10-30
[4] 뉴스 Reglamento General de la RFEF. Artículo 108 (PDF 62쪽) http://www.rfef.es/F[...] RFEF 2010-07-20
[5] 뉴스 Reglamento de Competiciones de ámbito Estatal (PDF 13쪽) http://www.rfef.es/F[...] RFEF 2010-07-20
[6] 뉴스 Criterios de puntuación del juego limpio http://www.rfef.es/i[...] RFEF 1998-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