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에 A 2012-1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리에 A 2012-13 시즌은 2012년 8월에 시작하여 2013년 5월에 종료되었다. 페스카라, 토리노, 삼프도리아가 세리에 B에서 승격하여 참가했으며, 유벤투스가 우승을 차지했다. 에딘손 카바니가 29골로 득점왕을 차지했고, 유벤투스는 최소 실점, 최다 승점, 최다 연승 등의 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13 축구 리그 - 리그 1 2012-13
리그 1 2012-13 시즌은 2012년 8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진행된 프랑스 최상위 축구 리그이며, 파리 생제르맹이 우승을 차지하고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가 득점왕을 기록했으며, AS 낭시, 트루아 AC, 스타드 브레스투아 29가 리그 2로 강등되었다. - 2012-13 축구 리그 - 라리가 2012-13
라리가 2012-13 시즌은 2012년 8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프로 축구 리그로, FC 바르셀로나가 승점 100점으로 우승했으며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재정 문제 등 여러 이슈가 있었다. - 이탈리아의 축구단 - 잔프랑코 졸라
잔프랑코 졸라는 나폴리, 파르마, 첼시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고 뛰어난 기술과 창의적인 플레이로 첼시 팬 선정 역대 최고의 선수 및 이탈리아와 영국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감독과 코치를 역임한 이탈리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이탈리아의 축구단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세리에 A 시즌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세리에 A 시즌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이탈리아 축구 리그의 시즌으로, 북부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카살레가 라치오를 꺾고 우승했으나, 리그 운영과 강등 제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세리에 A 2012-13 | |
---|---|
시즌 정보 | |
대회 | 세리에 A |
시즌 | 2012-13 |
날짜 | 2012년 8월 25일 - 2013년 5월 19일 |
참가 팀 수 | 20 |
이전 시즌 | 2011-12 |
다음 시즌 | 2013-14 |
결과 | |
우승 팀 | 유벤투스 (29번째 우승) |
강등 팀 | 팔레르모 시에나 페스카라 |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 팀 | 유벤투스 나폴리 밀란 |
UEFA 유로파리그 진출 팀 | 피오렌티나 우디네세 라치오 |
통계 | |
최다 득점자 | 에딘손 카바니 (29골) |
총 득점 | 1000골 |
경기당 평균 득점 | 2.63골 |
최대 홈 승리 | 삼프도리아 6–0 페스카라 라치오 6–0 볼로냐 |
최대 원정 승리 | 페스카라 1–6 유벤투스 |
최고 득점 경기 | 토리노 3–5 나폴리 |
최다 연승 | 9경기 (유벤투스) |
최다 무패 | 14경기 (밀란) |
최다 무승 | 19경기 (페스카라) |
최다 연패 | 8경기 (페스카라) |
최고 관중 | 79,341명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밀란) |
최저 관중 | 6,300명 (우디네세 1–1 팔레르모) |
평균 관중 | 24,655명 |
관련 정보 | |
리그 공인구 | Nike MAXIM |
구글 지도 |
2. 시즌
2. 1. 소식
세리에 B 2011-12에서 우승한 페스카라는 19년 만에, 2위를 한 토리노는 3년 만에, 리그 6위였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삼프도리아는 1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했다. 이들은 지난 시즌 강등된 노바라, 체세나, 레체를 대신하여 2012-13 시즌에 참가한다.[9] 칼리아리는 40년 넘게 사용해왔던 스타디오 산텔리아를 경기장 안전 문제로 떠나, 콰르투산텔레나의 스타디오 이스 아레나스에서 홈경기를 치른다.[9] 칼리아리는 향후 몇 년 안에 자체 신규 경기장을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9] 경기 일정은 7월 26일 TV 생중계 행사에서 발표되었다.[9]2. 2. 규정
리그 경기 일정은 이하의 기준에 부합되어 만들어졌다.- 시드 팀은 없다.
- 인테르, 밀란, 유벤투스, 나폴리, 로마 간의 경기는 주중에 배치되지 않는다.
- 제노아, 밀라노, 로마, 토리노 더비는 주중에 배치되지 않는다.
- 시즌 첫, 마지막 라운드에 더비 경기는 잡히지 못한다.
- 더비 경기들은 다른 날에 배치된다.
시즌 휴식일은 다음과 같다.
이번 시즌 공인구의 최대 후원사인 나이키는 현재의 공인 "세이티로"를 미래지향적이고 화려한 "맥심"으로 교체할 계획 중에 있다. 또한 이 공은 프리미어리그와 프리메라리가에서도 사용되며 각 공의 가죽에 리그의 문양이 인쇄될 것이다.
3. 참가 구단
wikitext
2012-13 시즌 세리에 A에는 20개의 팀이 참가했으며, 각 팀의 홈구장 및 위치는 다음과 같다.
팀 | 홈 도시 | 경기장 | 2011–12 시즌 |
---|---|---|---|
나폴리 | 나폴리 | 스타디오 산 파올로 | 5위 (세리에 A) |
라치오 |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 4위 (세리에 A) |
로마 |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 7위 (세리에 A) |
밀란 |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 | 준우승 (세리에 A) |
볼로냐 | 볼로냐 |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 9위 (세리에 A) |
삼프도리아 | 제노바 |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마라시) | 6위 (세리에 B)[52] |
시에나 | 시에나 |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 몬테파스키 아레나 | 14위 (세리에 A) |
아탈란타 | 베르가모 | 스타디오 아틀레티 아추리 디탈리아 | 12위 (세리에 A) |
우디네세 | 우디네 | 스타디오 프리울리 | 3위 (세리에 A) |
유벤투스 | 토리노 | 유벤투스 스타디움 | 우승 (세리에 A) |
인테르 |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 | 6위 (세리에 A) |
제노아 | 제노바 |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마라시) | 17위 (세리에 A) |
토리노 | 토리노 |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 준우승 (세리에 B) |
카타니아 | 카타니아 |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치발리) | 11위 (세리에 A) |
칼리아리 | 칼리아리 | 스타디오 이스 아레나스 (콰르투산텔레나) | 15위 (세리에 A) |
키에보 베로나 | 베로나 |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 10위 (세리에 A) |
파르마 | 파르마 |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 | 8위 (세리에 A) |
팔레르모 | 팔레르모 |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라 파보리타) | 16위 (세리에 A) |
페스카라 | 페스카라 | 스타디오 아드리아티코-조반니 코르나키아 | 우승 (세리에 B) |
피오렌티나 | 피렌체 |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 13위 (세리에 A) |
3. 1. 경기장 및 위치
2012-13 시즌 세리에 A에는 20개의 팀이 참가했으며, 각 팀의 홈구장 및 위치는 다음과 같다.
팀 | 홈 도시 | 경기장 | 2011–12 시즌 |
---|---|---|---|
나폴리 | 나폴리 | 스타디오 산 파올로 | 5위 (세리에 A) |
라치오 |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 4위 (세리에 A) |
로마 |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 7위 (세리에 A) |
밀란 |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 | 준우승 (세리에 A) |
볼로냐 | 볼로냐 |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 9위 (세리에 A) |
삼프도리아 | 제노바 |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마라시) | 6위 (세리에 B)[52] |
시에나 | 시에나 |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 몬테파스키 아레나 | 14위 (세리에 A) |
아탈란타 | 베르가모 | 스타디오 아틀레티 아추리 디탈리아 | 12위 (세리에 A) |
우디네세 | 우디네 | 스타디오 프리울리 | 3위 (세리에 A) |
유벤투스 | 토리노 | 유벤투스 스타디움 | 우승 (세리에 A) |
인테르 |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 | 6위 (세리에 A) |
제노아 | 제노바 |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마라시) | 17위 (세리에 A) |
토리노 | 토리노 |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 준우승 (세리에 B) |
카타니아 | 카타니아 |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치발리) | 11위 (세리에 A) |
칼리아리 | 칼리아리 | 스타디오 이스 아레나스 (콰르투산텔레나) | 15위 (세리에 A) |
키에보 베로나 | 베로나 |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 10위 (세리에 A) |
파르마 | 파르마 |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 | 8위 (세리에 A) |
팔레르모 | 팔레르모 |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라 파보리타) | 16위 (세리에 A) |
페스카라 | 페스카라 | 스타디오 아드리아티코-조반니 코르나키아 | 우승 (세리에 B) |
피오렌티나 | 피렌체 |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 13위 (세리에 A) |
3. 2. 감독 및 주요 선수
(재직 라운드)(출장 경기 수)
(득점 수)
아우렐리오 안드레아촐리it (24~38)
델리오 로시it (18~38)
페드로 오비앙es (34)
주세페 이아키니it (18~38)
미르코 부치니치me (10)
루이지 델네리it (9~21)
다비데 발라르디니it (22~38)
알레한드로 다리오 고메스es (36)
이보 풀가it (7~38)
에우제니오 코리니it (7~38)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it (4~23)
알베르토 말레사니it (24~26)
잔 피에로 가스페리니it (27~28)
주세페 산니노it (29~38)
크리스티아노 베르고디it (14~27)
크리스티안 부키it (28~38)
블라디미르 베이스sk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