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크 코나크바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리크 코나크바예프는 카자흐스탄 출신의 은퇴한 권투 선수이자, 스포츠 행정가, 정치인이다.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1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하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소련의 보이콧으로 불참하고 프렌드십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카자흐스탄 권투 연맹 회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아시아 권투 연맹 및 국제 복싱 협회 집행위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리차르다스 타물리스
리차르다스 타물리스는 [본문 내용 요약] 관련 인물 또는 사건이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며 진보적인 관점에서 [본문 내용]을/를 [평가/비판/옹호]한다. - 소련의 올림픽 복싱 참가 선수 - 다나스 포즈냐카스
다나스 포즈냐카스는 폴란드 출신의 리투아니아 권투 선수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으며, 은퇴 후에는 국제 복싱 협회 심판, 코치, 연맹 회장 등을 역임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 소련의 남자 권투 선수 - 리차르다스 타물리스
리차르다스 타물리스는 [본문 내용 요약] 관련 인물 또는 사건이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며 진보적인 관점에서 [본문 내용]을/를 [평가/비판/옹호]한다. - 소련의 남자 권투 선수 - 알렉산드르 레브자크
알렉산드르 레브자크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은퇴한 권투 선수이자 코치이며, 1987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우승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라이트헤비급 금메달을 획득하고, 프로 데뷔 후 은퇴하여 권투 지도자로 활동했다. - 파블로다르 출신 - 로만 스클랴르
로만 스클랴르는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으로, 부총리, 산업 및 인프라 개발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및 산업 발전에 기여했고, 2024년에는 총리 대행을 잠시 맡았다. - 파블로다르 출신 - 이반 니폰토프
이반 니폰토프는 러시아의 유도 선수로, 200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81kg급 우승과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획득 경력이 있으며, 야와라 네바 유도 클럽 소속으로 활동했다.
세리크 코나크바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세리크 코나크바예프 | |
![]() | |
원어명 | Серик Конакбаев |
본명 | Серік Керімбекұлы Қонақбаев |
로마자 표기 | Serik Kerimbekuly Konakbayev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59년 10월 25일 |
출생지 | 소련 카자흐 SSR 파블로다르 |
신장 | 180cm |
체급 | 라이트웰터급, 웰터급 |
소속팀 | 스파르타크 잠불 |
은퇴 | 1984년 |
경력 정보 | |
아마추어 복싱 | 올림픽 은메달 (1980)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1982)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1979, 1981) |
메달 기록 | |
올림픽 | 은메달, 1980 모스크바, 라이트웰터급 |
친선 경기 대회 | 동메달, 1984 하바나, 웰터급 |
세계 선수권 대회 | 은메달, 1982 뮌헨, 웰터급 |
월드컵 | 금메달, 1979 뉴욕, 라이트웰터급 금메달, 1981 몬트리올, 웰터급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79 쾰른, 라이트웰터급 금메달, 1981 탐페레, 웰터급 |
2. 선수 경력
소련 카자흐 SSR의 파블로다르 출신이다. 아버지인 케림베크는 기술자로 일했으나 1977년에 교통 사고로 사망했다. 어머니인 발투간은 교사로 일했다. 1979년에 소련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같은 해에 쾰른에서 열린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 라이트웰터급에서 이탈리아의 파트리치오 올리바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이탈리아의 올리바의 뒤를 이어 라이트웰터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1년에는 탐페레에서 열린 198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동독의 카를하인츠 크뤼거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2년에는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웰터급에서 미국의 마크 브릴랜드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러한 국제 대회 활약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소련이 해당 대회를 보이콧하면서 참가가 무산되었다. 올림픽 대신 참가한 아바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는 웰터급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생활을 마친 이후에는 권투 지도자와 공무원으로 활동했다. 은퇴 직후에는 알마알타의 콤소몰의 비서로 일했으며,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카자흐 SSR 권투 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1992년부터 2007년까지 카자흐스탄 프로 권투 연맹의 회장을 지냈으며, 회장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99년에는 카자흐스탄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1년까지 의원을 지냈다. 또한 1995년부터 아시아 권투 연맹 집행위원을 맡고 있으며, 2010년부터 국제 복싱 협회 집행위원을 맡고 있다.
2. 1. 아마추어 복싱 선수 시절
소련 카자흐 SSR의 파블로다르 출신이다. 아버지인 케림베크는 기술자로 일했으나 1977년에 교통 사고로 사망했다. 어머니인 발투간은 교사로 일했다. 1979년에 소련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같은 해에 쾰른에서 열린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 라이트웰터급에서 이탈리아의 파트리치오 올리바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980년에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이탈리아의 올리바의 뒤를 이어 라이트웰터급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소련 국가대표로 참가했으며, 라이트웰터급 결승에서 이탈리아의 파트리치오 올리바에게 1-4 다수결 판정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경기 결과는 아래와 같다.
경기 | 결과 | 상대 | 내용 |
---|---|---|---|
16강 | 승 | 시미온 쿠초브(루마니아) | 5-0 심판 전원 일치 판정 |
8강 | 승 | 임레 바치카이(헝가리) | RET 2 |
준결승 | 승 | 호세 앙헬 몰리나(푸에르토리코) | 기권 |
준결승 | 승 | 호세 아귈라(쿠바) | 4-1 다수결 판정 |
결승 | 패 | 파트리치오 올리바(이탈리아) | 1-4 다수결 판정 |
1981년에는 탐페레에서 열린 198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동독의 카를하인츠 크뤼거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2년에는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웰터급에서 미국의 마크 브릴랜드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소련이 1984년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하면서 1984년 하계 올림픽 참가가 무산되었다. 당시 코나크바예프는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거론되었기 때문에 보이콧은 큰 영향을 주었다. 올림픽 대신 참가한 아바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는 웰터급 동메달을 획득했다.[1]
2. 1. 1.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소련 국가대표로 참가했으며, 라이트웰터급 결승에서 이탈리아의 파트리치오 올리바에게 1-4 다수결 판정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경기 결과는 아래와 같다.경기 | 결과 | 상대 | 내용 |
---|---|---|---|
16강 | 승 | 시미온 쿠초브(루마니아) | 5-0 심판 전원 일치 판정 |
8강 | 승 | 임레 바치카이(헝가리) | RET 2 |
준결승 | 승 | 호세 앙헬 몰리나(푸에르토리코) | 기권 |
준결승 | 승 | 호세 아귈라(쿠바) | 4-1 다수결 판정 |
결승 | 패 | 파트리치오 올리바(이탈리아) | 1-4 다수결 판정 |
2. 1. 2.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불참
소련이 1984년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하면서 1984년 하계 올림픽 참가가 무산되었다. 당시 코나크바예프는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거론되었기 때문에 보이콧은 큰 영향을 주었다. 올림픽 대신 참가한 아바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서는 웰터급 동메달을 획득했다.[1]2. 2. 프렌드십 게임
코나크바예프는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소련이 1984년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하면서 참가가 무산되었다. 올림픽 대신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프렌드십 게임에 참가하여 웰터급 동메달을 획득했다.3. 선수 은퇴 후
선수 생활을 마친 후에는 권투 지도자와 공무원으로 활동했다. 은퇴 직후에는 알마알타의 콤소몰의 비서로 일했으며,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카자흐 SSR 권투 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1992년부터 2007년까지 카자흐스탄 프로 권투 연맹의 회장을 지냈으며, 회장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99년에는 카자흐스탄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1년까지 의원을 지냈다. 또한 1995년부터 아시아 권투 연맹 집행위원을 맡고 있으며, 2010년부터 국제 복싱 협회 집행위원을 맡고 있다.
3. 1. 정치 경력
선수 생활을 마친 후에는 권투 지도자와 공무원으로 활동했다. 은퇴 직후에는 알마알타의 콤소몰의 비서로 일했으며,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카자흐 SSR 권투 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1992년부터 2007년까지 카자흐스탄 프로 권투 연맹의 회장을 지냈으며, 회장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99년에는 카자흐스탄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1년까지 의원을 지냈다. 또한 1995년부터 아시아 권투 연맹 집행위원을 맡고 있으며, 2010년부터 국제 복싱 협회 집행위원을 맡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