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보이콧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보이콧은 올림픽 경기에 특정 국가가 불참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정치적, 외교적 이유로 발생하며, 올림픽의 역사에서 여러 차례 나타났다. 주요 사례로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이 있다. 최근에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 문제로 여러 국가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스포츠 보이콧 - 1986년 아시안 게임
1986년 아시안 게임은 1986년 서울에서 개최된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27개국이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총 메달 수 1위를 기록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의 발판이 되었다. - 국제 스포츠 보이콧 - 1966년 FIFA 월드컵
1966년 FIFA 월드컵은 잉글랜드에서 개최된 제8회 FIFA 월드컵으로, 잉글랜드가 서독을 꺾고 우승했으며, 포르투갈의 에우제비우가 득점왕을 차지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8강에 진출했다. - 올림픽 논란 -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은 소련이 반소련 정서와 선수단 안전 문제를 이유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불참하고 동구권 국가들이 동참한 사건으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보복 및 소련의 도핑 적발 우려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 올림픽 논란 -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
노다르 쿠마리타슈빌리는 1988년 그루지야에서 태어난 루지 선수로,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훈련 중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국제 루지 연맹은 트랙 안전 규정을 강화했다.
올림픽 보이콧 | |
---|---|
올림픽 보이콧 | |
![]() | |
주요 보이콧 연도별 구분 | |
1956년 하계 올림픽 | 스페인 네덜란드 스위스 중국 |
1976년 하계 올림픽 | 다수 아프리카 국가 |
1980년 하계 올림픽 | 미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 |
1984년 하계 올림픽 | 소련을 포함한 공산 국가 |
1988년 하계 올림픽 | 북한 |
2022년 동계 올림픽 | 미국 (외교적 보이콧) 영국 (외교적 보이콧) 캐나다 (외교적 보이콧) 호주 (외교적 보이콧) 리투아니아 (외교적 보이콧) 코소보 (외교적 보이콧) 벨기에 (외교적 보이콧) 덴마크 (외교적 보이콧) 에스토니아 (외교적 보이콧) 인도 (외교적 보이콧) |
2024년 하계 올림픽 | 202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위협) |
보이콧 지도 (색상별) | |
![]() | |
설명 | |
정의 | 올림픽 보이콧은 올림픽 대회에 특정 국가나 단체가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불참하는 행위를 말함. |
주요 원인 | 정치적 갈등 인종 차별 문제 전쟁 및 군사적 개입 선수 안전 문제 도핑 스캔들 |
영향 | 올림픽 대회의 권위 및 참여도 저하 참가국 선수들의 기회 박탈 국제 관계 악화 정치적 메시지 전달 수단으로 활용 |
2. 올림픽 보이콧의 역사
올림픽 보이콧은 냉전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념 대립과 국제 분쟁이 주요 원인이었다.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인종 차별 정책을 실시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문제로 아프리카 28개국이 불참했다.
-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여 미국, 캐나다, 서독, 대한민국, 일본 등 서방 진영 국가들이 불참했고, 중소 분쟁으로 중화인민공화국도 불참했다.[1]
-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1980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소련과 동구권 국가들이 불참했다.[4] 알바니아, 이란, 리비아도 각자의 이유로 불참했다.[4]
-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7개국이 불참하였다.[4]
올림픽 |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보이콧 국가 | |
---|---|---|---|---|---|
목록 | 지도 | ||||
XVI | 1956 | 오스트레일리아 | 멜버른 | 이집트, 이라크, 레바논,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네덜란드, 앤티가 바부다, 캄보디아, 파나마, 스페인, 스위스, 중화인민공화국 | ![]() |
XVIII | 1964 | 일본 | 도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도네시아, 중화인민공화국 | ![]() |
XXI | 1976 | 캐나다 | 몬트리올 | 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베냉,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이집트, 에티오피아, 가봉, 감비아, 가나, 가이아나, 이라크, 케냐, 리비아,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미얀마, 니제르,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스리랑카, 수단, 스와질란드, 시리아, 중화 타이베이,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우간다, 잠비아 | -- |
XXII | 1980 | 소련 (현재 러시아) | 모스크바 | 알바니아, 앤티가 바부다, 아르헨티나, 바하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바베이도스, 벨리즈, 버뮤다, 볼리비아, 캐나다, 케이맨 제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칠레, 중화인민공화국, 이집트, 엘살바도르, 피지, 가봉, 감비아, 가나, 아이티, 온두라스, 홍콩, 인도네시아, 이란, 이스라엘, 코트디부아르, 일본, 케냐, 대한민국, 라이베리아, 리히텐슈타인, 말라위, 말레이시아, 몬테네그로, 모나코, 모리셔스, 모로코, 앤티가 바부다, 니제르, 북예멘, 노르웨이, 파키스탄, 파나마, 파푸아뉴기니, 파라과이, 필리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소말리아, 수단, 수리남, 스와질란드, 중화 타이베이, 태국, 토고,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미국,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우루과이, 서독, 자이르 | |
XXIII | 1984 | 미국 | 로스앤젤레스 | 소련, 불가리아, 동독, 몽골, 베트남, 라오스, 체코슬로바키아, 아프가니스탄, 헝가리, 폴란드, 쿠바, 남예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티오피아, 앙골라, 알바니아, 이란, 부르키나파소, 리비아 | -- |
XXIV | 1988 | 대한민국 | 서울 | 에티오피아, 니카라과, 마다가스카르, 쿠바, 알바니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세이셸 | ![]() |
2. 1. 1956년 멜버른 올림픽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여러 국가가 정치적인 이유로 참가를 거부했다.- 이집트, 이라크, 레바논은 수에즈 운하 국유화 선언으로 인해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가 이집트를 침공한 수에즈 위기에 항의하여 올림픽에 불참했다.
- 네덜란드, 스페인, 스위스는 소련이 헝가리 혁명을 무력으로 진압한 것에 항의하여 올림픽 참가를 거부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중화민국의 올림픽 참가를 허용한 것에 반발하여 불참했다.
2. 2. 1964년 도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인도네시아는 신흥국 경기 대회(GANEFO)에 참가했던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 자격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인정하지 않자 불참했다.[1] 중화인민공화국은 1956년 하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중화민국의 올림픽 참가를 허용한 IOC의 결정에 반발하여 불참했다.[1]2. 3.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당시 인종 차별 정책을 실시하고 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친선 럭비 경기를 한 뉴질랜드의 올림픽 참가가 허용되자 아프리카 28개국이 항의의 표시로 불참을 선언하였다. 중화민국은 캐나다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중화민국이라는 국호 사용을 불허하고, '타이완'이라는 이름으로만 참가를 허용하자 이에 반발하여 불참했다.국가 |
---|
2. 4.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여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는 미국, 캐나다, 서독, 대한민국, 일본을 포함한 서방 진영 45~50개국 정도가 불참했다.[1] 중소 분쟁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도 불참했다.[1]2. 5.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980년 하계 올림픽 당시 서방 진영 국가들의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소련,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을 포함한 동구권 국가들이 1984년 하계 올림픽에 불참했다.[4] 이들 국가에는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베트남, 라오스, 몽골, 아프가니스탄, 쿠바, 남예멘, 에티오피아 등이 포함되었다.[4] 알바니아는 독자적인 외교 노선을 이유로, 이란과 리비아는 미국과의 적대 관계를 이유로 불참했다.[4]하지만, 루마니아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입 국가 중 유일하게 참가하였고, 유고슬라비아와 중화인민공화국도 참가했다.[4]
2. 6. 1988년 서울 올림픽
1988년 하계 올림픽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미국,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 일본 등 거의 모든 IOC 회원국이 참가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쿠바, 알바니아, 마다가스카르, 세이셸, 에티오피아, 니카라과 등 7개국이 불참하였다.[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남북 공동 개최 무산에 반발하여 불참하였고, 쿠바, 에티오피아, 니카라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연대를 이유로 불참하였다. 알바니아, 마다가스카르, 세이셸은 재정 문제 등을 이유로 불참하였다.[4]
3. 외교적 보이콧
외교적 보이콧은 선수단은 올림픽에 참가시키되,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 형태를 의미한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코로나19 팬데믹을 이유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4]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 문제를 이유로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국가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5][6][7][8][9][10][11][12][14][15] 2014년 소치 동계 패럴림픽에서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항의하여 미국과 영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1]
대회 |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보이콧 국가 |
---|---|---|---|---|
XXXII 올림픽 하계 올림픽 | 2020 | 日本|일본일본어 | 도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코로나19 팬데믹)[4] |
XXIV 올림픽 동계 올림픽 | 2022 | 中国|중국중국어 | 베이징 |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리투아니아, 코소보, 벨기에, 에스토니아, 덴마크, 인도, 중화민국(대만) |
2014년 동계 패럴림픽 | 2014 | Россия|러시아ru | 소치 | 미국,영국 |
3. 1. 2020년 도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을 이유로 제32회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과 정부 대표단 모두를 파견하지 않았다.[4] 이는 의학적 이유에 따른 보이콧으로 기록되었다.대회 |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보이콧 국가 | 지도 |
---|---|---|---|---|---|
XXXII 올림픽 하계 올림픽 | 2020 | 일본 | 도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의학적 이유)[4] |
3. 2.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2022년 동계 올림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 문제를 이유로 여러 국가에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다음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국가 목록이다.[5][6][7][8][9][10][11][12][14][15]이들 국가는 선수단을 파견했지만, 정부 공식 사절단은 파견하지 않았다.
3. 3. 2014년 소치 동계 패럴림픽
2014년 소치 동계 패럴림픽에서 미국과 영국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고,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올림픽 휴전 위반에 항의하여 개막식에 기수만 참가시켰다.[1]참조
[1]
뉴스
2022 Beijing Winter Olympics: Australia joins US diplomatic boycott
https://www.bbc.com/[...]
BBC News
2021-12-08
[2]
뉴스
India announces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Winter Olympics
https://www.thehindu[...]
The Hindu
2022-02-03
[3]
웹사이트
India launches last-minute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Olympics over Chinese soldier
https://edition.cnn.[...]
2022-02-04
[4]
뉴스
Tokyo Olympics: North Korea to skip Games over Covid-19 fears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7-17
[5]
뉴스
Lithuania confirms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2022 Winter Olympics
https://www.aninews.[...]
2021-12-08
[6]
뉴스
White House announces US diplomatic boycott of 2022 Winter Olympics in Beijing
https://www.cnn.com/[...]
2021-12-08
[7]
뉴스
Australia joins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Winter Olympics
https://www.abc.net.[...]
ABC News
2021-12-08
[8]
웹사이트
UK 'effectively' plans a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Winter Olympics, joining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Lithuania
https://www.chicagot[...]
2021-12-08
[9]
뉴스
Trudeau announces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Olympics
https://www.cbc.ca/n[...]
CBC/Radio-Canada.
2021-12-08
[10]
뉴스
Kosovo boycotts Beijing Winter Olympics
https://alsat.mk/kos[...]
2021-12-08
[11]
뉴스
Which Countries Are Boycotting China's Winter Olympics? Full List
https://www.newsweek[...]
2021-12-18
[12]
웹사이트
Estonian government officials in no mood to attend Beijing Olympics
https://bnn-news.com[...]
2022-01-18
[13]
웹사이트
Taiwan to boycott Beijing Winter Olympics: source
https://www.taipeiti[...]
2022-01-26
[14]
웹사이트
Denmark to join diplomatic boycott of Beijing Olympics over human rights
https://www.reuters.[...]
2022-01-14
[15]
뉴스
Indian diplomats to boycott Beijing Winter Olympics after China makes Galwan PLA soldier torchbearer
https://www.indiatod[...]
2022-02-03
[16]
서적
올림픽 보이콧,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