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빛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빛섬은 한강에 조성된 인공 섬으로, 2011년 완공되어 가빛섬, 채빛섬, 솔빛섬, 예빛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연, 문화 체험, 수상 레저, 미디어 아트 갤러리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수익형 민자사업(BOT) 방식으로 운영된다. 건설 과정 및 운영 방식, 공공성 훼손 및 특혜 논란, 동물권 침해 논란, 오세훈 전 시장 관련 논란 등 다양한 논란이 있었으며, 영화 촬영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공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공섬 - 송도국제도시
인천 연수구에 위치한 송도국제도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핵심 지구로서 국제 업무, 교육, 주거 기능을 수행하는 계획도시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지향하며 GCF 본부를 유치하여 국제적인 위상을 높였다. - 오세훈 - 서울시의 무상 급식 정책 논란
서울시의 무상 급식 정책 논란은 2010년 지방 선거를 기점으로 오세훈 시장과 시의회의 갈등 속에 전면 무상 급식을 둘러싼 재정 부담, 복지 우선순위, 사회적 형평성 등의 쟁점이 부각되며 사회적 이슈가 되었고, 2011년 오세훈 시장의 사퇴와 정치 지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 오세훈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는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비정형 디자인이 특징인 복합 문화 공간으로, 동대문운동장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전시, 컨벤션, 공연, 디자인 행사 등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연계되어 서울의 명소로 자리 잡았으나, 디자인 및 운영 비용에 대한 비판도 있다. - 한강의 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한강의 섬 -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은 서울 영등포구 한강변에 위치하며 과거 정수장 부지를 재활용하여 조성되었고, 물을 테마로 한 다양한 공간과 편의시설을 갖춘 친환경적인 도시 공원이다.
| 세빛섬 | |
|---|---|
| 기본 정보 | |
![]() |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올림픽대로 683 (06500) |
| 대중교통 | 지하철 3/7/9호선, 고속터미널역 8-1번 출구 |
| 웹사이트 | 세빛섬 공식 웹사이트 (영어) |
| 한국어 명칭 | 세빛섬 |
| 로마자 표기 | Sebitseom |
| 다른 이름 | 플로팅 아일랜드 |
| 건축 정보 | |
| 건물 명칭 | 세빛섬 |
| 원어 건물 명칭 | Some Sevit |
| 상태 | 운영 중 |
| 기공 | 2009년 4월 |
| 완공 | 2011년 4월 |
| 개장 | 2011년 5월 (전망 공간 일부), 2014년 10월 (전면 개장) |
| 용도 | 복합문화시설 |
| 건축가 | 김태만 |
| 건설사 | 해안건축 |
| 개발사 | (주)세빛섬 |
| 건축 면적 | 10,346 m² |
2. 역사
세빛섬은 세계 최초로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는 부체 위에 건물을 짓는 플로팅 형태의 건축물이다.[19] 2006년 11월 한강 인공 섬 조성 제안을 시작으로, 2009년 11월에는 예빛이 건설되었고, 2011년 4월에는 세빛섬 전체가 완공되어 한강에 설치되었다.
2. 1. 건설 과정
2006년 11월, 한강에 인공 섬을 조성하자는 제안이 있었다.[8] 2009년 9월, 각 섬의 로비, 데크, 옥상 건설을 위해 세빛섬(당시 이름은 플로섬)에 약 8600만달러가 투자되었다.[6] 2009년 11월, 미디어 아트 갤러리 기능을 하는 예빛 건설이 완료되었다.[8] 2011년 4월에는 세빛섬 건설이 완료되어 한강에 설치되었고, 2011년 5월 21일 외부 관람 구역이 개방되었다.[8]2011년 5월 기준으로 세빛섬 지분은 효성그룹이 47%, 효성그룹 계열사 진흥기업이 10%, SH건설이 29%를 소유하고 있었다. 세빛섬은 CR101이라는 제조 회사에서 관리 및 운영해 왔다.[7] 유지 보수 및 임대료는 월별 약 97만달러, 연간 약 1160만달러에 달했다. 향후 25년간 예상되는 지출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지 않고 2.68억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세빛섬은 당초 2011년 9월 개장 예정이었으나, 경영상 갈등으로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었다.[5] 이후 2014년 5월 가빛이 개장하고, 7월에는 채빛이 개장했으며, 11월에 세빛섬이 정식으로 개장하였다.[8]
2. 2. 개장 및 운영
세빛섬은 총면적 10421m2 (가빛: 4881m2, 채빛: 3477m2, 솔빛: 1271m2, 예빛: 792m2)으로, 컨벤션 홀, 공연 및 전시 공간, 상업 공간(예: 레스토랑, 카페 등)을 갖춘 사모 펀드 컨소시엄이었다. 2011년 9월에 개장할 예정이었으나, 경영상의 갈등으로 인해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었다.[5] 2011년 5월 기준으로 세빛섬의 47%는 효성그룹이 소유하고 있으며, 10%는 효성그룹의 계열사인 진흥기업이, 29%는 SH건설이 소유하고 있다. 세빛섬은 CR101이라는 제조 회사에서 관리 및 운영해 왔다.[7]2014년 5월 가빛이 개장했고, 7월에는 채빛이 개장했다. 이후 2014년 11월, 세빛섬은 대중에게 정식 개장하였다.[8]
| 날짜 | 내용 |
|---|---|
| 2011년 4월 | 세빛섬 건설 완료 및 한강에 설치 |
| 2011년 5월 21일 | 외부 관람 구역 개방 |
| 2014년 5월 | 가빛 개장 |
| 2014년 7월 | 채빛 개장 |
| 2014년 11월 | 세빛섬 대중에게 정식 개장[8] |
가빛섬은 공연장, 달빛산책로가 있는 공연 문화의 섬이다. 채빛섬은 3개의 섬 중에서 가장 먼저 완공되었으며, 문화체험시설이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섬이다. 솔빛섬은 수상레저 시설이 있는 수상 레저의 섬이다. 예빛섬은 문화행사, 영상 관람, 무대 공간 등으로 활용되는 미디어 아트 갤러리이다.
3. 각 섬의 특징

3. 1. 가빛섬 (1섬, Vista)
공연장, 달빛산책로가 있으며, 공연 문화의 섬이다.[1] 공연 예술의 섬으로 공연장과 달빛길을 갖추고 있다.[5]
3. 2. 채빛섬 (2섬, Viva)
채빛섬(채빛섬|labels=no한국어)은 3개의 섬 중에서 가장 먼저 완공된 섬이다. 문화체험시설이 있으며, 엔터테인먼트의 섬이다.[1]
3. 3. 솔빛섬 (3섬, Terra)
수상 레저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수상 레저의 섬이다.[1]
3. 4. 예빛섬 (Media Art Gallery)
Yevit영어(예빛섬)은 문화 행사, 영상 관람, 무대 공간 등으로 활용되는 미디어 아트 갤러리이다. 세 개의 부유 섬과 함께 떠 있는 구조물이다.
4. 운영 방식
세빛섬은 수익형 민자사업 중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으로 건축되었다.[18] 이 시설의 운영 주체는 세빛섬의 최대 주주인 (주)세빛섬으로, 20년간 운영한 뒤 서울특별시에 세빛섬을 기부채납할 예정이다.[29]
세빛섬은 총 면적 10421m2으로, 가빛(4881m2), 채빛(3477m2), 솔빛(1271m2), 예빛(792m2)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벤션 홀, 공연 및 전시 공간, 상업 공간(예: 레스토랑, 카페 등)을 갖춘 사모 펀드 컨소시엄으로 2011년 9월에 개장할 예정이었으나, 경영상의 갈등으로 인해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었다.[5] 2009년 9월, 각 섬의 로비, 데크 및 옥상을 건설하기 위해 세빛섬(당시 플로섬으로 명명)에 약 8600만달러가 투자되었다.[6] 2011년 5월 기준으로 세빛섬의 47%는 효성그룹이 소유하고 있으며, 10%는 효성그룹의 계열사인 진흥기업, 29%는 SH건설이 소유하고 있다. 세빛섬은 CR101이라는 제조 회사에서 관리 및 운영해 왔다.[7] 유지 보수 및 임대료에 대한 월별 비용은 약 970000USD, 연간 약 11600000USD에 달한다. 향후 25년 동안 예상되는 지출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지 않고 2.68억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5. 논란 및 비판
세빛섬은 운영 방식과 관련하여 공공성 훼손 및 부유층을 위한 시설로 변질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23] 감사원 조사 결과, 사업 과정에서 특혜 제공 및 예산 낭비 문제가 드러났다.[26][27]
또한, 세빛섬에서 개최된 '모피쇼'는 동물보호단체의 반발을 샀으며,[24] 펜디의 패션쇼는 동물 권리 침해 논란을 일으켰다.[9]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세빛섬 사업과 관련하여 대한변협으로부터 수사 의뢰를 받았으나, 서울중앙지검은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28][29]
5. 1. 공공성 훼손 및 특혜 논란
세빛섬은 컨벤션홀, 공연·전시 공간, 레스토랑, 수상레저시설 등을 갖춘 총면적 20382m2의 3개 인공섬으로 2011년 9월 전면 개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운영 방식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사업 운영은 CR101이라는 업체가 대행하는데, CR101은 세빛섬에 투자한 민간자본 '세빛섬'에 매달 10.88억원, 연간 130.64억원의 임대료를 지불해야 했다. CR101은 25년 동안 3000억원 이상을 내야 했으며, 적자를 면하기 위해 최대한 이익을 내야 했다. 이 때문에 공공성은 사라지고 부유층을 위한 장소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23]또한 이곳에서 열린 '모피쇼'는 동물보호단체들의 반발을 불러왔다.[24] 2011년 SBS 《TV 동물농장》에서 모피 제조 과정에서 산 채로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 실상이 보도되어 큰 충격을 준 것도 한 원인이었다.[25] 감사원 조사 결과, 사업성 부분에서도 투자 비용은 줄이고 사업 효과는 부풀리는 등의 문제가 드러났다.[26] 감사원은 민간 사업자에 특혜를 남발하여 400억원을 낭비했다고 밝혔다.[27]
2013년 2월 대한변협 산하 지방자치단체 세금낭비조사 특별위원회는 세빛섬을 세금 낭비 사례로 지적하고 검찰에 오세훈 전 시장을 수사의뢰하였다. 이후 2014년 11월 서울중앙지검은 이를 무혐의 처분하였다. 서울중앙지검은 세빛섬의 소유권은 서울시에 있기 때문에 손해가 생긴다고 보기 어려우며, SH공사의 사업참여는 내부 절차를 밟아 이루어졌으므로 문제가 없고, 사업지연으로 채무가 발생하기는 했으나 2014년 개장하면서 해소되는 등 서울특별시는 금전적으로 손해를 입지 않았다고 밝혔다.[28][29]
5. 2. 동물권 침해 논란
2011년 SBS의 《TV 동물농장》에서 모피 제조 과정에서 산 채로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 실상이 보도되어 큰 충격을 주었다.[25] 이러한 상황에서 세빛섬에서 열린 '모피쇼'는 동물보호단체들의 반발을 불러왔다.[24]럭셔리 브랜드 펜디(Fendi)는 2011년 6월 3일, 동물 권리 운동가들의 거센 항의 속에서 세빛섬에서 가을-겨울 컬렉션을 선보이는 패션쇼를 개최했다. 패션쇼가 모피 제품을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발표된 후, 서울시는 "공공 장소 사용에 대한 반모피 운동가들의 항의에 대한 대응"으로 패션쇼에서 모피를 제외할 것을 요구했다.[9]
서울시의 요구에 대해 펜디는 쇼까지 남은 시간이 부족하고(쇼까지 불과 몇 주밖에 남지 않았다), 이미 준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러나 펜디는 신발, 가방, 기타 액세서리 등 더 다양한 품목을 선보임으로써 쇼의 모피 중심성을 줄이기로 결정했다.
그해 초, SBS TV 프로그램 "TV 동물농장"은 모피 산업과 모피를 위해 사육되는 동물의 생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에피소드를 방영했다. 이 에피소드는 살아있는 동물로부터 모피를 수집하는 과정의 실제 영상을 담아 시청자들에게 충격을 안겨주었고, 이는 패션쇼에 대한 항의 규모를 더욱 확대했을 수 있다.[10]
5. 3. 오세훈 전 시장 관련 논란
세빛섬은 컨벤션홀, 공연·전시 공간, 레스토랑, 수상레저시설 등을 갖춘 총면적 20382m2의 3개 인공섬으로, 2011년 9월 전면 개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운영 방식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사업 운영은 CR101이라는 업체가 대행하는데, CR101은 세빛섬에 투자한 민간자본 '세빛섬'에 매달 10.88억원, 연간 130.64억원의 임대료를 지불해야 했다. CR101은 25년 동안 3000억원 이상을 내야 하며, 적자를 면하기 위해 최대한 이익을 내야 했다. 이 때문에 공공성은 사라지고 부유층을 위한 장소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23]또한, 세빛섬에서 열린 '모피쇼'는 동물보호단체들의 반발을 샀다.[24] 2011년 SBS 《TV 동물농장》에서 모피 제조 과정에서 산 채로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 실상이 보도되어 큰 충격을 준 것도 한 원인이었다.[25] 감사원 조사 결과, 사업성 부분에서도 투자 비용은 줄이고 사업 효과는 부풀리는 등의 문제가 드러났다.[26] 감사원은 민간 사업자에 특혜를 제공하여 400억 원을 낭비했다고 밝혔다.[27]
2013년 2월, 대한변협 산하 지방자치단체 세금낭비조사 특별위원회는 세빛섬을 세금 낭비 사례로 지적하고 오세훈 전 시장을 검찰에 수사 의뢰하였다. 그러나 2014년 11월, 서울중앙지검은 세빛섬의 소유권이 서울시에 있어 손해가 발생했다고 보기 어렵고, SH공사의 사업 참여는 내부 절차를 거쳐 이루어졌으므로 문제가 없으며, 사업 지연으로 채무가 발생했으나 2014년 개장하면서 해소되는 등 서울특별시가 금전적 손해를 입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혐의 처분하였다.[28][29]
6. 기술적 특징
세빛섬은 플로팅 건축 기술을 활용하여 지어졌다. 이 기술은 부유식 함체 위에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장마철 한강 수위가 상승해도 건물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30]
6. 1. 플로팅 건축 기술
세빛섬에는 플로팅 건축 기술이 응용되었다. 이 기술은 부유식 함체 위에 구조물을 올리는 것으로, 장마철에 수위가 올라가도 물에 잠기지 않는다.[30] GPS를 이용한 계류안전시스템으로 건물의 수상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30]6. 2. GPS 계류안전시스템
GPS를 이용한 계류 안전 시스템으로 건물의 수상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30]7. 대중문화 속 세빛섬
2014년 3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촬영 장소로 제공되었다. 영화에서 세빛섬은 한국인 배우 수현이 연기하는 닥터 조의 연구실인 유진 유전공학 연구소(U-Gin Genetics Research Lab)가 나온다.[30] 촬영 장소 제공에 힘입어 타국 관광객을 포함하여 방문객 수가 이전에 비해 크게 상승하였다.[31]
세빛섬은 한국 드라마, 특히 그녀는 예뻤다와 아테나: 전쟁의 여신에 등장했다.[11] 이 인공 섬들은 블록버스터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헬렌 조 박사의 연구실로 등장했다.[12] 도전! 슈퍼모델 21번째 시즌의 마지막 런웨이 쇼가 이 인공 섬 근처에서 진행되었다.[13] 또한 이 인공 섬들은 어메이징 레이스 29의 11번째 에피소드에서 피트 스탑 장소로 사용되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세빛섬
https://www.somesevi[...]
2024-06-16
[2]
뉴스
Fendi launches fashion line on Seoul floating island
http://www.taipeitim[...]
2011-06-04
[3]
뉴스
세빛둥둥섬 새이름은 '세빛섬'
http://news.jtbc.joi[...]
JoongAng Ilbo
2014-07-14
[4]
웹사이트
세빛섬 소개
https://www.somesevi[...]
[5]
웹사이트
시설 소개
http://www.somesevit[...]
2015-07-01
[6]
웹사이트
세빛둥둥섬 '호화쇼'만 둥둥?
http://news.naver.co[...]
2015-07-01
[7]
웹사이트
(주)CR101
http://www.saramin.c[...]
2015-07-01
[8]
웹사이트
세빛섬 소개
http://www.somesevit[...]
2015-07-01
[9]
뉴스
Fendi launches fashion line on Seoul floating island
https://www.reuters.[...]
2011-06-03
[10]
웹사이트
산 채로 가죽 벗겨진 너구리 '충격'
http://news.naver.co[...]
2011-07
[11]
웹사이트
Some Sevit
http://english.visit[...]
2018-05-14
[12]
뉴스
Soul and Seoul in the 'Age of Ultron'
http://www.koreahera[...]
2015-04-22
[13]
에피소드
Finale Part Two: America's Next Top Model is...
2014-12-05
[14]
웹사이트
The Amazing Race recap: 'As Easy as Stacking Cups'
https://ew.com/recap[...]
2017-05-25
[15]
간행물
[인터뷰] 효성그룹 Magazine '세빛섬' 건축가 김태만 대표
http://www.haeahn.co[...]
해안건축
2015-01-29
[16]
뉴스
한강물 불어나도 16m까지 상승…섬 1개당 10여개 체인 강바닥에 고정
http://economyplus.c[...]
이코노미조선
2013-11-04
[17]
웹사이트
세빛섬 홈페이지
http://www.somesevit[...]
[18]
뉴스
'모피쇼 인공섬', 알고보니 'MB사돈가' 효성 소유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11-05-27
[19]
웹인용
세빛섬 홈페이지
http://www.somesevit[...]
[20]
뉴스
미운오리가 백조로" 서울의 랜드마크 꿈꾸는 '세빛섬'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4-12-27
[21]
뉴스인용
`세계 최대' 한강 인공섬 21일 부분 개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5-03
[22]
뉴스인용
세빛둥둥섬 새이름은 '세빛섬'
http://news.jtbc.joi[...]
JTBC
2014-07-14
[23]
뉴스
세빛둥둥섬 ‘호화쇼’만 둥둥?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1-07
[24]
뉴스
SBS여기자 "귀막히고 코막히는 명품 모피쇼"
https://news.naver.c[...]
미디어오늘
2011-07
[25]
뉴스
산 채로 가죽 벗겨진 너구리 '충격'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11-07
[26]
뉴스
부실 드러난 ‘한강르네상스’…경제성 부풀리고 업자 특혜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1-07
[27]
뉴스
한강르네상스'에 400억원 낭비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1-07
[28]
뉴스
이헌 변호사 “죄 없는 세빛섬, 박원순 시장은 비난만 했다”
http://www.mediapen.[...]
미디어펜
2015-02-26
[29]
뉴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세빛섬 세금 낭비 배임' 무혐의 처분
https://www.lawtimes[...]
2015-02-26
[30]
뉴스
`세빛섬` 서울 랜드마크로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5-05-17
[31]
뉴스
세빛섬, '어벤져스2 특수'에 즐거운 환호성
http://www.ekn.kr/ne[...]
2015-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